KR101844233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233B1
KR101844233B1 KR1020160119748A KR20160119748A KR101844233B1 KR 101844233 B1 KR101844233 B1 KR 101844233B1 KR 1020160119748 A KR1020160119748 A KR 1020160119748A KR 20160119748 A KR20160119748 A KR 20160119748A KR 101844233 B1 KR101844233 B1 KR 101844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outdoor
outdoor fan
freez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312A (ko
Inventor
김승효
조환석
엄동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2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 일측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실외팬;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모터의 목표 RPM을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RPM이 상기 목표 RPM보다 낮을 때, 상기 실외팬이 구속 상태라고 판단하고,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결빙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실외팬의 구동을 위한 모터에 발생될 수 있는 결빙을 판단하고, 별도의 해빙 또는 제빙 장치 없이 모터 자체의 제어를 통해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는 실외기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실내기에 구비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일측에는 실외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팬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한랭지에서 외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모터에 결빙이 발생될 수 있다. 모터에 결빙이 발생되면 실외팬이 정상상태로 구동되지 않는 구속 상태가 되며, 실외기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해빙하거나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모터를 구동하면 모터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에 발생되는 결빙을 정확히 판단하고, 상기 결빙을 해빙하거나 제거한 후에 모터를 정상상태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판단함에 있어서, 모터의 구속상태 여부 판단을 선행한다. 모터의 구속상태 여부는 모터에 정상상태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변화를 감지하여 구속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단순히 모터의 구동에 따라 팬이 회전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모터에 결빙이 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모터의 결빙 이외에도 외부 이물질 등에 의해 팬이 회전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터가 결빙되었는지 판단함에 있어, 모터의 구동 외 다른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87538호(1999.10.19.)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또한,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판단한 후에, 해빙 또는 제빙을 위하여 모터의 일측에 히터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을 적용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히터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은 전체 구조를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은 유지보수를 위한 수고와 비용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정학히 판단하고, 히터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 없이도,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해빙 또는 제빙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제어하여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해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의 구속 상태 및 모터의 결빙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 없이,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해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 일측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실외팬;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모터의 목표 RPM을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RPM이 상기 목표 RPM보다 낮을 때, 상기 실외팬이 구속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팬이 구속 상태일 때,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결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 상기 모터가 결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3상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가 결빙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가 기설정된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결빙된 것으로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발열 해빙 제어와 상기 모터를 정상상태로 회전시키는 회전 제빙 제어가 번갈아서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 해빙 제어가 상기 회전 제빙 제어 이전에 수행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모터가 기설정된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결빙된 것으로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3상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실외팬을 구비하는 실외기, 및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실외팬이 구동되는 실외팬 구동단계; 및 상기 실외팬의 구속 발생 여부가 판단되는 구속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판단단계에서,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한 목표 RPM보다 상기 모터의 구동 RPM이 낮을 때, 상기 실외팬이 구속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속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모터의 결빙 여부가 판단되는 결빙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빙판단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결빙 여부는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구속판단단계에서 상기 실외팬이 구속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결빙판단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결빙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결빙판단단계에서 모터에 결빙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발열 해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빙판단단계 이후에, 기설정된 제2시간동안 상기 모터의 결빙 횟수가 판단되는 횟수판단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제2시간동안 모터의 결빙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되는 발열 해빙 단계와 상기 모터를 정상상태로 회전시키는 회전 제빙 단계가 번갈아서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 해빙 단계가 상기 회전 제빙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제2시간동안 모터의 결빙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이면,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되는 발열 해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제어하여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해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팬의 구속 상태 및 모터의 결빙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 없이, 모터에 발생된 결빙을 해빙시키거나 제빙할 수 있으므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해빙을 위한 히터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 필요 없으므로, 추가적인 구성의 유지보수를 위한 수고와 비용이 들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터가 정상상태로 구동될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모터가 해빙 제어될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200), 팽창밸브(300), 실외열교환기(40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팽창밸브(300)가 실내기(I)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팽창밸브(300)는 실외기(O)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실내기(I)와 실외기(O)에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 저아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공기조화장치(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가 공기조화장치(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공기조화장치(10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공기조화장치(10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측에는 실내팬(210)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400) 측에는 실외팬(4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팬(210)은 제1모터(2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실외팬(410)은 제2모터(4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100) 내에는 상기 압축기(100)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오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100) 내의 오일은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에 따라서 냉매와 혼합되어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냉매와 함께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매와 오일이 혼함된 상태의 유체를 "혼합기"로 정의한다.
이러한 혼합기가 공기조화장치(10)의 냉매 사이클을 순환하게 되면,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분리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500)는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100)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기(500)로 유입된 혼합기에서 분리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00)와 실외열교환기(400)를 포함하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혼합기는 공급유로(105)를 통해 오일분리기(5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분리기(500)에서 분리된 액상 오일은 회수유로(505)를 통해 다시 압축기(100)로 공급되고, 상기 오일분리기(50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내팬(210) 및 실외팬(410)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220) 및 제2모터(420)는 회전축에 구비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 둘레에 구비되는 스테이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한랭지에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킬 경우, 실외기(O)에 구비되는 상기 제2모터(420)에 결빙이 발생될 수 있다. 제2모터(420)에 결빙이 발생하면, 상기 실외팬(410)이 비정상상태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실외팬(410)의 비정상상태 구동은 상기 실외팬(410)의 RPM이 기설정된 RPM 이하가 되거나, 실외팬(410)의 회전 구동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실외팬(410)의 비정상상태 구동을 실외팬(410)의 구속상태라고 나타낼 수 있다. 즉, 구속상태는 외부 이물질이 실외팬(410)의 회전을 방해하여 실외팬(410)의 회전이 비정상상태인 경우, 또는 제2모터(420)의 결빙에 의해 실외팬(410)의 회전이 비정상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외팬(410)의 구속상태는 실외팬(410)의 팬락상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물질에 의해 실외팬(410)이 구속상태로 되면, 이물질을 제거하여 실외팬(410)을 정상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모터(420)의 결빙에 의해 실외팬(410)이 구속상태로 되면, 제2모터(420)를 해빙하거나 제빙하여 실외팬(410)을 정상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제2모터(420)의 구조, 및 제2모터(420)의 결빙에 따른 실외팬(410)의 구속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1모터(220) 및 제2모터(420)는 회전축(A) 둘레에 구비되는 로터(R) 및 상기 로터(R) 둘레에 구비되는 스테이터(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R)는 회전축(A) 둘레에서 상기 회전축(A)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S)는 상기 로터(R)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로터(R)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R)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S)에는 코일(W)이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코일(W)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스테이터(S)와 로터(R) 사이에 전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로터(R)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터(R)는 회전축(A)에 고정되므로, 상기 로터(R)은 상기 회전축(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220) 및 제2모터(420)는 3상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모터(220) 및 제2모터(420)는 3상 교류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의 구동 초기에는 초기 위치 정렬을 위하여, 3개의 상(즉, u상, v상 및 w상) 중 어느 하나의 상에만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220) 및 제2모터(420)의 회전축(A)은 3개의 상에 번갈아서 인가되는 전류를 통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외기 온도가 낮을 경우, 제2모터(420)에 결빙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터(420)의 로터(R)와 스테이터(S) 사이에 결빙(F)이 발생될 수 있다. 제2모터(420)에 발생된 결빙(F)에 의해 제2모터(420) 및 실외팬(410)이 정상상태로 구동되지 못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모터가 정상상태로 구동되는 경우에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제어와 모터에 결빙이 발생한 경우에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모터가 정상상태로 구동될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외팬(410)의 구동을 위한 제2모터(42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하의 설명이 제1모터(4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의 (a) 내지 (c)는 모터가 정상상태로 구동될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모터의 3상에 전류가 번갈아서 인가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2모터(4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C)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압축기(100) 및 유로전환밸브(600) 역시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압축기(100) 및 유로전환밸브(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제2모터(4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C)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C)에는 상기 제2모터(4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장치(I)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모터(420)에 3상의 전류를 번갈아서 인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에 구비된 인버터장치(I)는 상기 제2모터(420)에 3상의 전류를 번갈아서 인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c)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터(420)가 정상상태로 구동될 때, 제2모터(420)에는 3상의 전류가 번갈아서 그리고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터(420)에는 u상, v상 및 w상의 전류가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모터(420)에 3상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서, 제2모터(420)의 회전축(A)이 회전되고, 전술한 실외팬(410)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실외팬(410)에 이물질이 걸리거나, 상기 실외팬(410)을 구동하는 제2모터(420)에 결빙이 발생하면, 실외팬(410)이 회전되지 않는 구속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실외팬(410)의 구속상태가 발생된 상황에서, 제2모터(420)를 정상상태로 구동시키게 되면, 제2모터(420)에 과부하가 걸려서 상기 제2모터(420)가 파손될 수 있다.
외부 이물질에 의해 실외팬(410)에 구속상태가 발생한 경우, 공기조화기 자체적으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제2모터(420)를 정상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모터(420)의 결빙에 의해 실외팬(410)에 구속상태가 발생한 경우, 제2모터(420)에 흐르는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제2모터(420)의 결빙을 해빙 또는 제빙한 후에, 제2모터(420)를 정상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모터(420)의 결빙의 경우에 사용자의 특별한 조치 없이도 공기조화기 자체적으로 제2모터(420)를 다시 정상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실외팬(410)의 구속상태와 제2모터(420)의 결빙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실외팬(410)의 구속 상태와 제2모터(420)의 결빙 여부의 판단을 위한 제어와, 제2모터(420)의 해빙 또는 제빙을 위한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모터가 해빙 제어될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전술한 제어부(C)는 제2모터(420)에 정상상태로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2모터(420) 목표 RPM을 판단하고, 상기 제2모터(420)의 구동 RPM이 상기 목표 RPM보다 낮을 때 상기 실외팬(410)이 구속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모터(420)에 정상상태로 전류가 인가될 때의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2모터(420)의 회전축의 목표 RPM이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팬(410)이 구속상태인지 여부는, 상기 제2모터(420)가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한 목표 RPM의 범위 내로 구동되는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목표 RPM은 기설정된 범위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모터(420) 또는 실외팬(410)의 실제 구동 RPM이 상기 목표 RPM보다 낮으면 상기 실외팬(410)이 구석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실외팬(410)이 구속상태일 때,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제2모터(420)의 결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팬(410)이 구속상태이면서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제2모터(420)가 결빙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온도는 -2℃ 내지 0℃가 될 수 있다.
즉, 제2모터(420)의 결빙여부의 판단을 위해서는, 실외팬(410)이 구속상태이고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라는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C)는 제2모터(420)에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한 목표 RPM과 실외팬(410)의 회전구동 RPM의 비교를 통하여 실외팬(410)의 구속 여부를 자동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실외온도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제2모터(420)의 결빙상태를 자동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2모터(420)가 결빙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420)에 정상상태로 3상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제2모터(420)에 과부하가 걸려서 상기 제2모터(42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모터(420)가 결빙된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제2모터(420)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제2모터(4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제2모터(420)의 구동 초기에 초기 위치 정렬을 위해 상기 제2모터(420)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 전류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하나의 상에 구비되는 저항에 의해 상기 제2모터(420)에 열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모터(420)가 결빙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모터(420)의 초기 위치 정렬을 위한 전류의 제어를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유지하고 이때 발생된 열을 통해 제2모터(420)를 해빙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 내지 (c)는 제2모터(420)의 결빙이 판단된 이후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모터의 3상 중 어느 한 상에만 전류가 계속해서 인가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1시간은 제2모터(420)의 초기 위치 정렬을 위해 전류를 인가하는 시간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시간은 2분 내지 5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간은 3분이 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2모터(420)의 해빙을 위해 3상 중 u상을 통해서만 전류가 인가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v상 또는 w상으로만 전류를 인가시켜서 제2모터(420)를 해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제2모터(420)의 결빙 횟수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모터(420)가 기설정된 제2시간 동안 결빙된 횟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시간은 1시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420)가 상기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결빙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C)는 발열 해빙 제어와 회전 제빙 제어를 번갈아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횟수는 3회 내지 8회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횟수는 5회가 될 수 있다.
상기 발열 해빙 제어는 상기 제2모터(420)의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제빙 제어는 상기 제2모터(420)를 정상상태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모터(420)를 정상상태로 회전시키는 제어는 상기 제2모터(420)에 3상의 전류를 번갈아서 인가하는 제어를 나타낸다.
즉, 상기 제2모터(420)가 상기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결빙된 경우, 제2모터(420)의 발열을 통한 제어만으로 제2모터(420)의 결빙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 해빙 제어 및 회전 제빙 제어를 번갈아서 수행함에 따라서, 제2모터(420)에 발생된 결빙을 보다 효율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해빙 또는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열 해빙 제어 및 회전 제빙 제어는 제1시간동안 번갈아서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발열 해빙 제어가 상기 회전 제빙 제어 이전에 수행되도록 상기 제2모터(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2모터(420)의 발열을 통해 결빙 상태를 완화시킨 후에, 제2모터(420)의 회전축의 회전 및 실외팬(410)의 회전을 통한 제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모터(420)가 상기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결빙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열 해빙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모터(420)가 상기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결빙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모터(420)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제2모터(4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외팬(420)의 구속 여부, 제2모터(420)의 결빙 여부 및 상기 제2모터(420)의 결빙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 해빙 제어 및 상기 회전 제빙 제어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2모터(420)가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공기조화기의 특징이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외팬 구동단계(S10) 및 구속판단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팬 구동단계(S10)에서,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팬(410)의 구동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구속판단단계(S30)에서, 상기 실외팬(410)의 구속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속판단단계(S30)에서 상기 실외팬(410)이 입력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한 목표 RPM의 범위 내로 구동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팬(410)의 구동 RPM이 상기 목표 RPM보다 낮으면, 상기 실외팬(410)이 구속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구속판단단계(S30) 이후에, 결빙판단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빙판단단계(S50)에서, 상기 실외팬(410)을 구동하기 위한 제2모터(420)의 결빙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빙판단단계(S60)에서 상기 제2모터(420)의 결빙 여부는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0℃) 이하일 때, 상기 결빙판단단계(S60)에서 상기 제2모터(420)가 결빙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속판단단계(S30)에서 실외팬(410)이 구속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결빙판단단계(S50)에서 상기 제2모터(420)의 결빙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결빙판단단계(S50)에서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서 제2모터(420)에 결빙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팬(410)의 구속은 제2모터(420)의 결빙 이외의 원인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실외팬의 점검 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외팬(420)의 점검을 통해, 실외팬(410)을 구속하는 이물질 제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빙판단단계(S50)에서 제2모터(420)에 결빙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모터(420)의 발열을 통해 상기 결빙을 제거(즉, 해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결빙판단단계(S50)에서 제2모터(420)에 결빙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모터(420)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발열 해빙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 해빙 단계(S70)에서, 상기 제2모터(420)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름에 따라서 상기 제2모터(420)의 회전축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제2모터(420)에서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모터(420)가 해빙될 수 있다.
이때, 제2모터(420)의 해빙을 위한 충분한 열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해빙 단계(S70)는 기설정된 제1시간(t1)동안 수행될 수 있다(S90).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5를 통해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외팬 구동단계(S10), 구속판단단계(S30) 및 결빙판단단계(S50)는 도 5를 통해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과 동일하다.
도 6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결빙판단단계(S50) 이후에, 제2모터(420)의 결빙 횟수가 판단되는 횟수판단단계(S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횟수판단단단계(S65)에서는 기설정된 제2시간 동안 상기 제2모터(420)의 결빙 횟수가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횟수판단단계(S65)에서 상기 제2모터(420)의 결빙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발열 해빙 단계와 회전 제빙 단계가 번갈아서 수행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 해빙 단계에서는 상기 제2모터(420)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되고, 회전 제빙 단계에서는 상기 제2모터(420)가 정상상태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모터(420)의 결빙 횟수가 제2시간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제2모터(420)의 발열만으로는 제2모터(420)의 해빙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열 해빙 단계에서 제2모터(420)에 발생된 열과 상기 회전 제빙 단계에서 발생되는 제2모터(420)의 회전력을 통해 제2모터(420)에 발생된 결빙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발열 해빙 단계와 회전 제빙 단계가 번갈아서 수행되는 단계(S80)에서, 상기 발열 해빙 단계가 상기 회전 제빙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 해빙 단계와 상기 회전 제빙 단계는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횟수판단단계(S65)에서 상기 제2모터(420)의 결빙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이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열 해빙 단계(S70)가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압축기 200 실내열교환기
210 실내팬 220 제1모터
400 실외열교환기 410 실외팬
420 제2모터 C 제어부
R 로터 S 스테이터
A 회전축

Claims (14)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 일측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실외팬;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정상상태로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모터의 목표 RPM을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RPM이 상기 목표 RPM보다 낮을 때, 상기 실외팬이 구속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실외팬이 구속 상태일 때,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모터가 별빙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가 결빙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터의 구속 횟수에 따라 결빙 제거 방법을 달리하여 상기 모터를 발열 또는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3상 모터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가 기설정된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구속된 것으로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발열 해빙 제어와 상기 모터를 정상상태로 회전시키는 회전 제빙 제어가 번갈아서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 해빙 제어가 상기 회전 제빙 제어 이전에 수행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기설정된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구속된 것으로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3상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실외팬을 구비하는 실외기, 및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실외팬이 구동되는 실외팬 구동단계;
    상기 실외팬의 구속 발생 여부가 판단되는 구속판단단계;
    상기 실외팬의 구속이 상기 모터의 결빙에 따른 것인지 판단되는 결빙판단단계;
    상기 모터가 결빙된 경우, 설정된 제2시간동안 상기 모터의 구속 횟수가 판단되는 횟수판단단계; 및
    상기 모터의 결빙 횟수에 따라 결빙 제거 방법을 달리하여 상기 모터를 발열 또는 회전하는 결빙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판단단계에서, 상기 모터에 정상상태로 흐르는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한 목표 RPM보다 상기 모터의 구동 RPM이 낮을 때, 상기 실외팬이 구속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판단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결빙 여부는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판단단계에서 상기 실외팬이 구속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결빙판단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결빙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제거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2시간동안 모터의 구속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되는 발열 해빙 단계와 상기 모터를 정상상태로 회전시키는 회전 제빙 단계가 번갈아서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해빙 단계가 상기 회전 제빙 단계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제거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2시간동안 모터의 구속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이면, 상기 모터에 3상 중 어느 하나의 상으로만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되는 발열 해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19748A 2016-09-20 2016-09-2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4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748A KR101844233B1 (ko) 2016-09-20 2016-09-2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748A KR101844233B1 (ko) 2016-09-20 2016-09-2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312A KR20180031312A (ko) 2018-03-28
KR101844233B1 true KR101844233B1 (ko) 2018-05-14

Family

ID=6190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748A KR101844233B1 (ko) 2016-09-20 2016-09-2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2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9450A (ja) * 2005-05-23 2006-12-07 Daiwa Industries Ltd 庫内ファンモータの制御方法
JP2008231987A (ja) * 2007-03-19 2008-10-02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圧縮機
JP5656789B2 (ja) 2011-09-29 2015-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6156515A (ja) 2015-02-23 2016-09-01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の室外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9450A (ja) * 2005-05-23 2006-12-07 Daiwa Industries Ltd 庫内ファンモータの制御方法
JP2008231987A (ja) * 2007-03-19 2008-10-02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圧縮機
JP5656789B2 (ja) 2011-09-29 2015-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6156515A (ja) 2015-02-23 2016-09-01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312A (ko)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7233B2 (ja) 室外機及びその室外機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6071648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0223494A (ja) 空気調和機
WO2012046528A1 (ja) 空気調和機
JP6419339B2 (ja) 冷凍装置および冷凍装置の運転方法
WO201516042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hiller
KR10184423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008003A (ja) 空気調和器
JP2014085078A (ja) 空気調和装置
US20160297453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railroa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6800283B2 (ja) 空気調和装置
JP6342727B2 (ja) ヒートポンプ式チラー
JP5320382B2 (ja) 空気冷媒式冷凍装置のデフロスト方法及び装置
JP5994763B2 (ja) 冷凍装置
KR10180996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0059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6804648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55933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5773897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4070823A (ja) 製氷装置
JP2011080731A (ja) 冷蔵庫
JP686589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367642B2 (ja) 空気調和機
JP6071540B2 (ja) ヒートポンプ冷温水システム
WO2021149162A1 (ja) ヒートポンプ装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空気調和機および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