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588B1 - 액체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588B1
KR101843588B1 KR1020120120656A KR20120120656A KR101843588B1 KR 101843588 B1 KR101843588 B1 KR 101843588B1 KR 1020120120656 A KR1020120120656 A KR 1020120120656A KR 20120120656 A KR20120120656 A KR 20120120656A KR 101843588 B1 KR101843588 B1 KR 10184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ner
tube
containe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654A (ko
Inventor
마사히로 하수누마
타카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10/00Siph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2Dip-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54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713Siphons
    • Y10T137/2774Periodic or accumulation responsive discharge
    • Y10T137/2802Release of trapped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713Siphons
    • Y10T137/2842With flow starting, stopping or maintaining means
    • Y10T137/2911With valve or closure in-flow pass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21With return of liquid to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27With gas maintenance or appl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27With gas maintenance or application
    • Y10T137/314Unitary mounting for gas pressure inlet and liquid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각을 형성하는 외측 용기와 외측 용기에 설치되어 내부에 액체를 수납하는 라이너를 구비한 이중 구조가 되고, 액체가, 외측 용기 내에 도입한 기체 압력으로 라이너 내로부터 압출되고, 외측 용기의 마개부에 장착한 플러그의 사이폰관으로부터 용기 외로 유출되는 액체 저장 용기에 있어서, 사이폰관의 외부 둘레에 대략 동심의 드롭 튜브를 설치하여 액체 유로가 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드롭 튜브의 관벽에 관통구멍을 뚫어 설치하며, 또한 관통구멍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액체 유로로부터 유출시키는 출구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 저장 용기{LIQUID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가요성 용기를 구비하고, 외압을 받은 가요성 용기 내의 액체가 사이폰관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이중 구조의 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고순도 약품이나 일반 화학약품 등의 액체는, 생산 공장에서 폴리에틸렌 탱크 등의 액체 저장 용기에 충전되고, 상기 액체 저장 용기에 형성된 충전·취출용 마개부에 덮개를 장착한 상태로 출하된다. 이와 같은 액체 저장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를 취출하는 수법으로는, 용기 내부에 공기 등의 기체를 도입함으로써, 그 기체 압력에 의해 액체를 용기 외로 보내는 사이폰관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사이폰관 방식에서는 액체 저장 용기의 마개부에 장착되어 있는 덮개를 분리한 후, 마개부에 액체 유로가 되는 사이폰관 및 기체 유로를 구비한 플러그가 장착된다. 그 후, 액체를 액체 저장 용기의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튜브 및 기체를 용기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튜브를 각각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 소켓을 플러그에 접속함으로써, 액체를 취출하기 위한 액체 유로 및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기체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액체 저장 용기에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가요성 용기가 외측 용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 구조를 채용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이중 구조의 액체 저장 용기는, 가요성 용기가 외압을 받아 내부의 액체를 압출하므로, 용기 저면에 남아 취출할 수 없는 액체량(잔액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이중 구조 액체 저장 용기의 종래 예에 있어서, 액체 저장 용기(1)는 가요성 라이너(가요성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구비한 이중 구조가 되고, 외측 용기(3)의 마개부(4)에는 사이폰관(30)을 구비한 플러그(1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액체 저장 용기(1)로부터 액체를 취출할 때는, 플러그(10)에 소켓(50)을 연결하고, 외측 용기(3)의 내부에 기체 압력(도면 중의 화살표(P))을 도입하여 라이너(2)를 외측으로부터 누르면, 라이너(2)의 내부에 수납된 액체가 압출되도록 하여, 라이너(2)의 내부에 삽입된 사이폰관(30)의 하단부측으로 개구된 취출구(31)로부터 용기 외로 유출된다. 또한, 도면 중의 도면부호 "5"는 라이너(2)를 용착하여 장착하는 라이너 브라켓이다.
일본 특허공보 제4713676호
그러나,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라이너(2)를 구비한 이중 구조의 액체 저장 용기(1)는, 라이너(2)에 기체 압력(P)의 외압을 받아 내부의 액체가 압출되면, 예를 들면 도 7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라이너(2´)와 같이, 내부의 액체가 거의 없어져 사이폰관(30)의 외표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눌러 부착된다.
이와 같이 라이너(2) 내의 잔액량이 감소된 상태에서는 라이너(2´)와 사이폰관(30)의 외표면 사이에, 또는 라이너(2´)들의 밀착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갇힌 액체가 발생하고, 이 액체에 의해 액구슬(Lb)이 형성된다. 상기 액구슬(Lb)을 형성하는 액체는 사이폰관(30)을 통해 용기 내로부터 취출할 수 없고, 따라서, 최종적인 용기 내의 잔액량을 늘리는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배경 때문에, 이중 구조의 액체 저장 용기(1)에서는 기체의 누르는 압력을 받은 라이너(2)가 사이폰관(30)의 외표면에 밀착해도, 또는 라이너(2)들이 밀착해도 잔액이 되는 액구슬(Lb)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잔액량을 한층 더 저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액체를 취출할 때 사이폰관의 외표면 등에 액구슬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용기 내의 잔액량을 저감한 이중 구조의 액체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수단을 채용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 용기는 외각을 형성하는 외측 용기와, 상기 외측 용기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 액체를 수납하는 가요성 용기를 구비한 이중 구조가 되고, 상기 액체가 상기 외측 용기 내로 도입한 기체 압력으로 상기 가요성 용기 내로부터 압출되며, 상기 외측 용기의 마개부에 장착한 플러그의 사이폰관으로부터 용기 외로 유출되는 액체 저장 용기로서, 상기 사이폰관의 외부 둘레에 대략 동심의 외관을 설치하여 액체 유로가 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관의 관벽에 관통구멍을 뚫어 설치하며, 또한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유출시키는 출구 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체 저장 용기에 의하면, 사이폰관의 외부 둘레에 대략 동심의 외관을 설치하여 액체 유로가 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외관의 관벽에 관통구멍을 뚫어 설치하며, 또한 관통구멍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액체 유로로부터 유출시키는 출구 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체 압력을 받은 가요성 용기 내의 액체는, 액량의 저하에 의해 가요성 용기가 사이폰관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황이 되어도 관통구멍으로부터 액체 유로로 유출되어 출구 개구로 흘러내리고, 최종적으로 사이폰관으로부터 용기 외로 유출된다.
이 경우, 외관의 관벽에 뚫어 설치한 관통구멍은, 외관의 축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 등 간격으로 배치해도 좋고, 또는 잔액량이 적은 상황에서 액체와의 접촉이 없는 축방향 상부의 배치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의 외관 및 관통구멍은, 예를 들면 벽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메쉬 형상으로 한 통체를 포함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사이폰관 보다 짧은 상기 외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액체 유로에 삽입하여 장착된 외관 유지 부재에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외관의 하단부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관통구멍으로부터 액체 유로로 유입한 액체의 출구 개구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사이폰관 보다 긴 상기 외관의 하단부에 장착된 액체 받이접시의 사이에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관통구멍으로부터 액체 유로로 유입된 액체는, 일단 액체 받이접시까지 흘러내린 후, 외관의 하단부와 액체 받이접시의 사이에 형성된 출구 개구로부터 사이폰관의 입구에 유입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를 수용하는 가요성 용기를 구비한 이중 구조의 액체 저장 용기에 있어서, 액체의 잔량이 적어진 상황에서 기체의 누르는 압력을 받은 가요성 용기가 사이폰관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관의 외표면에 밀착하는 경우, 또는 가요성 용기들이 밀착하는 경우에도 액체에는 외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액체 유로로 유입되는 유출 경로가 있으므로, 얼마 남지 않은 액체가 액구슬이 되어 가요성 용기 내에 남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구슬 형성의 방지는 귀중한 약액 등의 액체가 가요성 용기 내에 남는 잔액량의 저감에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이폰관 및 외관의 구성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이폰관 및 외관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한 액체 저장 용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이폰관 및 외관의 구성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한 액체 저장 용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이폰관 및 외관의 구성예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한 액체 저장 용기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이폰관 및 외관의 구성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a에 도시한 액체 저장 용기의 제4 변형예로서, 사이폰관 및 외관의 구성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액체 저장 용기의 전체 구성예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액체 저장 용기의 종래 구조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액체 저장 용기(1A)는, 가요성 라이너(가요성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구비하고 있다. 즉, 액체 저장 용기(1A)는 외각을 형성하는 외측 용기(3)와, 상기 외측 용기(3)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 액체를 수납하는 라이너(2)를 구비한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라이너(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액체는 외측 용기(3) 내에 도입한 기체 압력으로 라이너(2)의 내부로부터 압출되고, 외측 용기(3)의 마개부(4)에 장착된 플러그(10)의 사이폰관(액체 취출 튜브)(30)으로부터 용기 외로 유출된다.
또한, 도시한 플러그(10)에는 용기 내를 밀폐하는 덮개(70)를 장착하고 있지만, 용기 외로 액체를 취출할 때는, 덮개(70)를 분리하여 도 1a에 도시한 소켓(50)을 접속하게 된다.
라이너(2)는 불활성 재료로 형성되는 가요성 필름의 봉지체와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라이너 브라켓(5)으로 구성되고, 라이너 브라켓(5)를 통해 플러그(10)에 조립되어 있다.
가요성 필름의 봉지체의 단부에는 라이너 브라켓(5)이 용착되어 있다. 라이너(2)는 미리 세정되어 있고, 외측 용기(3)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라이너(2)로부터 액체를 배출한 후에는 라이너 브라켓(5)과 함께 라이너(2)를 폐기하고, 새로운 라이너 브라켓(5)과 함께 라이너(2)가 외측 용기(3) 내에 수용된다.
외측 용기(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캔이다. 외측 용기(3)는 라이너 브라켓(5)을 외측 용기용 개구부(4a)에 의해 지지하여, 라이너(2)를 외측 용기(3) 내에 수용하고 있다. 외측 용기용 개구부(4a)의 외벽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용기(3)는 반복 사용되어 매회 새로운 라이너(2)가 수용되는 복식 격납형 용기로 되어 있다.
라이너 브라켓(5)에는, 라이너 브라켓용 플랜지부(5a)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용기용 개구부(4a)의 내벽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너 브라켓용 플랜지부(5a)가 외측 용기용 개구부(4a)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단차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라이너 브라켓(5)이 외측 용기용 개구부(4a)에 지지된다.
라이너(2)가 외측 용기(3) 내에 수용되어, 라이너 브라켓(5)이 외측 용기용 개구부(4a)에 지지된 후, 라이너(2)는, 바람직하게는 질소 또는 압축 공기에 의해 팽창된다. 라이너(2)가 팽창된 후, 라이너(2) 내에는 후술하는 액체 유로(12) 및 사이폰관(30)으로부터 액체가 주입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너 브라켓(5)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대략 원통 형상의 라이너 브라켓(5)은 그 외벽의 축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움푹 패여 있다. 라이너 브라켓(5)은 대략 중앙부의 움푹 패인 곳 보다 상방측이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이 되고, 하방측이 하부 라이너 브라켓(5c)이 된다. 하부 라이너 브라켓(5c)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필름의 봉지체 단부가 용착되어 있다.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은, 그 상면의 테두리부에 라이너 브라켓용 플랜지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은 그 외부직경이 외측 용기용 개구부(4a)의 내부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라이너 브라켓용 플랜지부(5a)는,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융기(隆起)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라이너 브라켓용 플랜지부(5a)에 의해 후술하는 플러그용 플랜지부(11a)가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상면과 플러그용 플랜지부(11c)의 하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게 된다.
대략 원통 형상의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개구부의 내벽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에는 플러그용 원통부(11)의 하방부가 삽입된다. 또한,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에는 개구부의 원주에 대략 등간격으로 라이너 브라켓용 유체 유로(5d)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각 라이너 브라켓용 유체 유로(5d)는,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축방향으로 복수개(예를 들면, 4 군데) 설치되어 있고,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을 관통하고 있다. 각 라이너 브라켓용 유체 유로(5d)는, 외측 용기(3)와 라이너(2)(도 1a 참조)의 사이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플러그(10)는, 플러그 본체가 되는 원통 형상의 플러그용 원통부(11)에, 라이너(2) 내의 액체에 연통하여 라이너(2) 내의 액체를 공출입하는 액체 유로(12)와, 라이너(2) 내의 기체에 연통하여 라이너(2) 내의 기체를 공출입하는 기체 유로(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용 원통부(11)에는 기체 유로(13)에 연통하여 외벽으로 개구된 개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용 원통부(11)는, 외측 용기(3)와 라이너(2)의 사이에 연통하고, 외측 용기(3)와 라이너(2)의 사이의 유체가 공출입하는 유체 유로(15)를 갖고, 상기 유체 유로(15)는 밀봉을 해제하는 유체 유로 밀봉 해제 수단으로서 후술하는 콕(57)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용 원통부(11)는, 대략 원통 형상의 플러그용 원통부(11)의 축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러그용 플랜지부(11a)를 갖고 있다.
플러그용 원통부(11)는, 플러그용 플랜지부(11a)를 통해 라이너 브라켓용 플랜지부(5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10)는 외측 용기용 개구부(4a)에 유지되게 된다. 플러그용 플랜지부(11a)와 라이너 브라켓용 플랜지부(5a)의 사이에는 O-링이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용기용 개구부(4a)가 밀봉되게 된다.
플러그용 원통부(11)에는, 그 원통 형상의 저면으로부터 라이너(2)(도 1a 참조)의 저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플러그용 돌출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용 원통부(11) 및 플러그용 돌출부(11b)의 중심부에는, 그것들의 축방향으로 액체 유로(12)가 관통하고 있다.
플러그용 플랜지부(11a) 보다 하방의 플러그용 원통부(11)는,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개구부에 삽입된 플러그용 원통부(11)는, 개구부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단차에 걸려 고정된다. 플러그용 원통부(11)의 외벽과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개구부의 내벽의 사이에는 O-링이 끼워져 있다. 이 O-링이 플러그용 원통부(11)의 하방부의 외벽에 밀착됨으로써 라이너(2) 내로의 가압용 기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또한 라이너(2) 내의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개구부의 상방으로부터 플러그용 돌출부(11b)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플러그용 돌출부(11b)와 하부 라이너 브라켓(5c)의 개구부의 내벽의 사이에는, 환형상의 환형상 유로(16)가 형성된다. 상기 환형상 유로(16)는 플러그용 원통부(11)에 설치되어 있는 기체 유로(13)에 연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라이너(2) 내의 기체는 환형상 유로(16)로부터 기체 유로(13)를 통해 공출(供出)되게 된다.
플러그용 돌출부(11b)의 연장단부에는 사이폰관(30)이 용착되어 있다. 사이폰관(30)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라이너 브라켓(5c)의 개구부로부터 라이너(2) 내의 저부 근방까지 연재되어 있다. 라이너(2) 내의 액체는 사이폰관(30)으로부터 액체 유로(12)를 통해 공출되게 된다. 이 때, 사이폰관(30)은 가요성 라이너(2) 내에 잔액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측 용기(3)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로 가능한 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폰관(30)의 선단 형상으로서는 취출구(31)가 되는 선단의 전체 둘레가 라이너(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측벽에 원호 형상 등의 구멍(31a)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멍(31a)를 측벽에 복수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약액(액체) 공출용의 유효 면적이 넓어지므로, 라이너(2)가 수축했을 때, 구멍(31a)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약액을 공출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2) 내의 잔액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이폰관(30)의 선단을 그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절단한 경우에는 유효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은 가능해지지만, 가요성 라이너(2)를 찢을 우려가 있다.
상술한 플러그(10)에는, 라이너(2) 내의 액체를 취출하여 분배할 때, 덮개(70)를 제거하여 소켓(50)이 접속된다. 도 1a에는 플러그(10)에 소켓(50)을 삽입하여, 플러그(10)와 소켓(50)의 접속을 완료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10)에 대해 소켓(50)을 삽입함으로써, 소켓 본체(51)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기구(52)가 개방 상태가 되어, 밸브 기구(52)의 내부에 형성된 밸브 기구용 액체 유로(53)가 유통 가능해진다. 또한, 슬리브(54)가 플러그용 원통부(11)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사이폰관(30), 액체 통로(12) 및 밸브 기구용 액체 유로(53)가 직결하여, 라이너(2)로부터 분배된 액체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켓 본체(51)에 설치되어 있는 라이너 가압용 접속부(55)로부터 기체 등의 유체를 도입하여 외압을 공급하면, 이 외압은 라이너 가압용 접속부(55)로부터 소켓 본체(51) 내에 형성되어 있는 공출입 포트(P1)로 인도된다. 플러그(10)로의 삽입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의 소켓(50)은, 공출입 포트(P1)가 밸브 기구(52) 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체 유로(15)와 연통되므로, 유체 유로(15)에 인도된 외압은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의 상면과 플러그용 플랜지부(11c)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으로 인도된다. 틈으로 인도된 외압은 상부 라이너 브라켓(5b)에 설치되어 있는 라이너 브라켓용 유체 유로(5d)로부터 외측 용기(3)와 라이너(2)의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인도된다.
라이너(2)에는 내부 공간으로 인도된 외압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라이너(2) 내의 액체가 사이폰관(30)으로부터 액체 유로(12)로 인도된다. 액체 유로(12)로 인도된 액체는, 소켓 본체(51)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기구(52)가 개방 상태에 있으므로, 밸브 기구용 액체 유로(53)를 통해 배출 포트 부재(56)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 포트(P2)로부터 공출된다.
또한, 플러그(10)로부터 소켓(50)을 분리할 때는, 라이너 가압용 접속부(55)로부터 공급되는 외압을 정지한다. 그 후, 소켓 본체(51)에 설치되어 있는 콕(57)을 회동시켜 개방하면, 공출입 포트(P1) 내의 외압은 포트 외로 배출(공출)된다. 이와 동시에 밸브 기구(52) 내에 형성된 유로 내, 플러그용 원통부(11)의 유체 유로(15) 내, 외측 용기(3)와 라이너(2)의 사이의 내부 공간 내에 대해서도 외압으로서 작용하는 기체 압력이 대기에 방출되므로, 즉시 대기압과 일치한다.
이와 같은 액체 저장 용기(1)에 대해, 도 1a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라이너(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사이폰관(30)의 외부 둘레에, 대략 동심의 드롭튜브(외관)(32)를 설치함으로써, 액체 유로(33)가 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드롭튜브(32)의 관벽에 관통구멍(32a)를 뚫어 설치하고, 또한 이 관통구멍(32a)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액체 유로(33)로부터 유출시키기 위한 출구 개구(3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폰관(30)의 외측에 액체 유로(33)를 형성하기 위해, 사이폰관(30)의 외측에 틈을 설치하여 드롭튜브(32)를 대략 동심으로 설치한 이중관 구조로 하고, 외측의 드롭튜브(32)에 적절히 관통구멍(32a)를 뚫어 설치하여, 액구슬(Lb)의 형성을 방지하고 있다.
도시한 드롭튜브(32)는, 사이폰관(30) 보다 하단부측을 약간 짧게 한 길이를 갖고, 상단부에 설치한 플랜지부(32b)를 라이너 브라켓(5)의 오목부 내에 얹어 설치하여, 상방으로부터 삽입한 플러그(10)로 눌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드롭튜브(32)의 관벽에 뚫어 설치한 관통구멍(32a)은, 드롭튜브(32)의 축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둘레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4 군데의 관통구멍(32a)을 뚫어 설치하여 축 방향으로 복수열을 배치하면 좋다. 그러나, 관통구멍(32a)의 배치나 수에 대해서는 액구슬(Lb)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그재그 배치로 해도 좋고, 또는 잔액량이 적은 상황에서 액체의 접촉이 없는 축방향 상부로의 배치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출구 개구(34)는 사이폰관(30) 보다 짧은 드롭튜브(32)의 하단부로부터 액체 유로(33)에 링형상의 드롭 어댑터(외관 유지 부재)(35)를 삽입하고, 상기 드롭 어댑터(35)에 축방향의 슬릿 또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설치된다. 즉, 드롭튜브(32)의 하단부로부터 삽입된 드롭 어댑터(35)는 출구 개구(34)를 형성하고, 또한 하단부측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이 경우의 출구 개구(34)는,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4 분할하여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개구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체 저장 용기(1)에 의하면, 사이폰관(30)의 외부 둘레에 대략 동심의 드롭튜브(32)를 설치하여 액체 유로(33)가 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드롭튜브(32)의 관벽에 뚫어 설치한 관통구멍(32a)으로부터 유입된 액체가, 액체 유로(33)로 유입하여 출구 개구(34)로부터 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라이너(2) 내로부터 액체를 취출하기 위해, 라이너 가압용 접속부(55)로부터 가압용의 유체를 도입하여 기체 압력(P)을 작용시키면, 이 기체 압력(P)을 받은 라이너(2)는 내부의 액량이 저하됨에 따라서 사이폰관(30)의 방향으로 눌려져 드롭튜브(3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황이 된다.
그러나, 드롭튜브(32)에는 관통구멍(32a)이 뚫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얼마 남지 않은 액체는 관통구멍(32a)으로부터 액체 유로(33)로 유출되어 출구 개구(34)로 흘러내린다.
이와 같이 출구 개구(34)로 낙하된 액체는, 사이폰관(30)의 취출구(31)로부터 용기 외로 유출된다. 즉, 라이너(2)가 밀착되는 드롭튜브(32)에는 액체 유로(33) 및 출구 개구(34)를 경유하여 사이폰관(30)의 취출구(31)를 통해 얼마 남지 않은 유체를 라이너(2)의 내부로부터 확실히 유출시키는 관통구멍(32a)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이폰관(30)의 외주부에 유체 배출 경로가 형성되게 되고, 따라서, 액체 저장 용기(1)의 라이너(2) 내에 잔존하여 취출할 수 없는 액체량을 저감 또는 없앨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드롭튜브(32)는, 더 확실히 잔액량을 저감하기 위해, 전체 둘레에 걸쳐 다수의 관통구멍(32a)이 대략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특히, 라이너(2) 내의 액량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 되면, 액면이 저하되고 있으므로, 드롭튜브(32)의 하방에 다수의 관통구멍(32a)이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이 경우의 드롭튜브(32) 및 관통구멍(32a)은, 예를 들면 벽면의 일부(특히, 하단부측) 또는 전체를 메쉬 형상으로 한 통체로 해도 좋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라이너 브라켓(5)의 오목부 내에 얹어 설치한 드롭튜브(32)를 플러그(10)로 눌러 고정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제1 변형예와 같이, 연결부(C)에 있어서 플러그(10)와 접착 등에 의해 결합시켜 일체화한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제1 변형예 및 이하에 설명하는 각 변형예에서는 라이너(2)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제2 변형예와 같이, 연결부(C1)에 있어서 라이너 브라켓(5)에 용착하여 일체화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제3 변형예와 같이, 어댑터(36)를 이용하여 드롭튜브(32)의 상단부를 사이폰관(30)의 외부둘레에 압입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드롭튜브(32)는 사이폰관(30)의 외부둘레에 배치하여 어떤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제4 변형예에서는 출구 개구(34A)가, 사이폰관(30) 보다 긴 드롭튜브(32´)의 하단부에 장착된 액체 받이접시(40)의 사이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 액체 받이접시(40)는, 예를 들면 드롭튜브(32´)의 하단부로부터 압입하여 장착되고,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한 압입부(41)에는 액체 유로(33)에 연통하는 출구 개구(34A)를 형성하는 슬릿(4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체 받이접시(40)는, 원형으로 한 받이접시부(43)의 중심부 등에 개구된 액체 도입 구멍(44)이나 압입부(41)의 벽면을 관통하는 액체 도입 유로(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사이폰관(30)의 하단부에는 액체 받이접시(40)의 사이에 액체 유로를 형성하는 틈부나 절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관통구멍(32a)으로부터 액체 유로(33)로 유입된 액체가 일단 액체 받이접시(40)까지 흘러내린 후, 드롭튜브(32´)의 하단부와 액체 받이접시(40)의 사이에 형성된 출구 개구(34A)로부터 사이폰관(30)의 입구가 되는 취출구(31)로 유입된다.
또한, 도시한 제4 변형예는, 제3 변형예에 나타낸 사이폰관(30)의 고정 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의하면, 액체를 수용하는 라이너(2)를 구비한 이중 구조의 액체 저장 용기(1)에 있어서, 액체의 잔량이 적어진 상황에서 기체의 누르는 압력을 받은 라이너(2)가 사이폰관(30)의 방향으로 이동해도, 관통구멍(32a)을 구비한 드롭튜브(32)에 의해 사이폰관(30)으로의 밀착 또는 라이너(2)들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얼마 남지 않게 된 라이너(2) 내의 액체에는 관통구멍(32a)으로부터 액체 유로(33)로 유입되는 유출 경로가 있으므로, 얼마 남지 않은 액체가 액구슬(Lb)이 되어 라이너(2) 내에 남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액구슬 형성의 방지에 의해, 액체 저장 용기(1) 내에 수납되어 있는 귀중한 약액 등의 액체에 관련하여 용기 내로부터 취출되지 않고 라이너(2) 내에 남는 잔액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1, 1A : 액체 저장 용기
2 : 라이너(가요성 용기)
3 : 외측 용기
4 : 마개부
10 : 플러그
11 : 플러그용 원통부
12 : 액체 유로
13 : 기체 유로
14 : 개구부
15 : 유체 유로
16 : 환형상 유로
30 : 사이폰관(액체 취출 튜브)
31 : 취출구
32, 32´ : 드롭 튜브(외관)
32a : 관통구멍
33 : 액체 유로
34, 34A : 출구 개구
35 : 드롭 어댑터
36 : 어댑터
40 : 액체 받이접시
50 : 소켓
Lb : 액구슬

Claims (3)

  1. 외각을 형성하는 외측 용기와, 상기 외측 용기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 액체를 수납하는 가요성 용기를 구비한 이중 구조가 되고, 상기 액체가, 상기 외측 용기 내에 도입한 기체 압력으로 상기 가요성 용기 내로부터 압출되어, 상기 외측 용기의 마개부에 장착한 플러그의 사이폰관으로부터 용기 외로 유출되는 액체 저장 용기로서,
    상기 사이폰관의 외부 둘레에 동심의 외관을 설치하여 액체 유로가 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관의 관벽에 관통구멍을 뚫어 설치하며, 또한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유출시키는 출구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외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액체 유로에 삽입하여 장착된 외관 유지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 저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은 상기 사이폰관 보다 짧은, 액체 저장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유지 부재는,
    상기 외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액체 유로에 압입하여 장착된 압입부와,
    상기 외관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이접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외관의 하단부와 받이접시부 사이에 개구되어 있는, 액체 저장 용기.
KR1020120120656A 2011-10-31 2012-10-29 액체 저장 용기 KR101843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39616A JP5864215B2 (ja) 2011-10-31 2011-10-31 液体貯蔵容器
JPJP-P-2011-239616 2011-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654A KR20130047654A (ko) 2013-05-08
KR101843588B1 true KR101843588B1 (ko) 2018-03-29

Family

ID=4822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656A KR101843588B1 (ko) 2011-10-31 2012-10-29 액체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57459B2 (ko)
JP (1) JP5864215B2 (ko)
KR (1) KR101843588B1 (ko)
TW (1) TWI5763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39211B1 (en) * 2015-01-22 2016-11-14 Kongsberg Oil & Gas Tech As Storage system and flexible bag element for storing a fluid
JP6653563B2 (ja) 2015-12-17 2020-02-2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ソケット
JP6642905B2 (ja) * 2015-12-17 2020-02-1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ソケット
KR200485631Y1 (ko) * 2017-09-08 2018-02-02 박재민 이중 링거액 주머니
KR102601745B1 (ko) * 2021-03-17 2023-11-13 주식회사 케이와이산업 이액형 폴리우레탄폼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99A (ja) * 1999-10-26 2001-07-17 Surpass Kogyo Kk 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9899A (en) * 1955-08-11 1958-11-11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Dispensing apparatus
JPH0848380A (ja) * 1994-08-05 1996-02-20 Kao Corp 容 器
US6302148B1 (en) * 1999-10-26 2001-10-16 Surpass Industry Co. Ltd. Coupling device
JP5073225B2 (ja) * 2006-04-28 2012-11-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デラミボトル用ポンプ
JP4713676B1 (ja) 2010-08-11 2011-06-29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99A (ja) * 1999-10-26 2001-07-17 Surpass Kogyo Kk 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95474A (ja) 2013-05-20
US9157459B2 (en) 2015-10-13
JP5864215B2 (ja) 2016-02-17
KR20130047654A (ko) 2013-05-08
TW201332878A (zh) 2013-08-16
TWI576306B (zh) 2017-04-01
US20130112284A1 (en)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588B1 (ko) 액체 저장 용기
CN101360663B (zh) 流体用容器
KR101512855B1 (ko) 플러그 구조
CN101360664B (zh) 流体容器用接头
US9403635B2 (en) Ring for fastening a pouch in a bottle
RU2009107716A (ru) Бутылка для текучих сред,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продуктов ил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CN111315658B (zh) 填充具有喷口的薄体柔性袋的方法
JP6609515B2 (ja) 付け替え容器
JP5430297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
US8590566B2 (en) Coupling device
WO2013047419A1 (ja)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JP5771496B2 (ja) 吐出容器
JP2016033038A (ja) 吐出容器および吐出製品の製造方法
JP6814206B2 (ja) 容器のための閉鎖装置
JP2013014341A (ja) 吐出容器
JP2018531187A6 (ja) 容器のための閉鎖装置
JP2009179378A (ja) 注出キャップ
JP2008056315A (ja) 混合用容器
JP2011031944A (ja) レフィール容器及び吐出容器
KR102098402B1 (ko) 유체용 용기
JP4754457B2 (ja) ディスペンサ
KR101438507B1 (ko) 화학 물질 저장용 압력 용기
JP2018122867A (ja) 二重容器
JP6996261B2 (ja) 注出口、内容物収納容器、内容物収納容器と外装容器との組合体、内容物充填排出部材、内容物充填排出システム、内容物の充填方法、内容物の排出方法
JP2023035214A (ja) 2液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