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344B1 -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344B1
KR101843344B1 KR1020160041497A KR20160041497A KR101843344B1 KR 101843344 B1 KR101843344 B1 KR 101843344B1 KR 1020160041497 A KR1020160041497 A KR 1020160041497A KR 20160041497 A KR20160041497 A KR 20160041497A KR 101843344 B1 KR101843344 B1 KR 10184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sin particles
flame retardant
polystyrene resin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158A (ko
Inventor
김재천
Original Assignee
김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천 filed Critical 김재천
Priority to KR102016004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3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4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성인 발포성 폴리스티렌(EPS, Expandable Polystyrene) 수지입자에 기계적으로 충격과 마찰을 가하여 스크레치를 형성하고 단열성 난연성 물질에 오존을 주입하며 오존의 존재하에서 수지입자와 피코팅체를 산화 및 연화시켜 코팅하여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Expandable polystyrene resin particl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중합이 완료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EPS, Expandable Polystyrene)에 기계적인 충격과 마찰을 가하여 스크레치를 형성시키고, 상기 수지입자와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들을 오존(O3)의 존재하에서 산화 및 연화시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코팅시킴으로써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는 스티렌의 중합체로 수지 입자 내부에 발포성 가스가 함유되어 있으며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입자를 발포하고 성형한 것을 통상 스티로폼이라 한다. 최근에는 단열성과 난연성이 보다 향상된 스티로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수지입자 내부에 단열성 또는 난연성 물질을 분산시키거나 수지입자 외부에 단열성 또는 난연성 물질을 코팅하는 제조방법들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300627호에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저온플라즈마를 방전처리하여 개질된 발포성 수지 입자 표면층에 단열재와 난연재와 기능성 물질들을 강력하게 밀착 코팅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수지입자가 짧은 플라즈마 방전 영역을 순간적으로 통과하며 플라즈마방전 처리를 해야 하므로 수지입자를 균일하게 개질 할 수 없는 문제점과 플라즈마 발생장치 전극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간혹 수지 입자가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577957호에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를 수직 낙하하며 저온플라즈마 방전처리하고 직경이 큰 입자 사이의 공극에 작은 입자가 투입되고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 표면층에 발포성 우레탄 수지를 코팅하여 발포성 우레탄 수지의 발포막이 형성되여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유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특허 제10-1300627호 특허 제1577957호의 문제점을 해결한 발명으로 중합을 완료란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를 요철이 형성된 고속 믹서기로 교반하여 수지입자 표면층에 기계적인 충격과 마찰을 가해 스크레치를 형성시키고 오존화된 공기를 주입하여 오존의 존재에서 단열성과 난연성 물질들과 수지입자를 산회시키며 코팅하여 단열성과 난연성능을 향상시키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300627호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577957호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00633호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958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스크레치를 형성시켜서 폴리스티렌 수지입자 표면층에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들이 용이하게 접착 코팅시킬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합이 완료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와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들을 오존의 존재하에서 산화 및 연화시켜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표면층에 접착 코팅시킴으로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EPS, Expandable Polystyrene)수지 입자는 스티렌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를 기초수지로 하고 여기에 발포제로 부탄 또는 펜탄가스를 함유하고 있으며, 수지 입자 내부에 단열성물질 및 난연성 물질이 분산 분포된 발포성 폴리스티렌수지 입자도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수성인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기능을 향상시키는 물질들을 코팅하기 위하여 입자 표면층을 개질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지입자를 요철이 형성된 고속 믹서기에 투입하고 30~3000rpm으로 교반하여 충격과 마찰을 가해서 스크레치를 형성시키고 단열성 난연성물질과 접착성 물질을 투입하고 오존을 주입하며 교반하여 오존의 존재에서 접착 코팅하는 것이다.
오존은 산소분자(O2)가 분해되어 3개의 산소원자가 결합한 물질로서 3개의 산소원자가 4가지 형상의 공명 구조로 결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오존은 불소 다음으로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며 유·무기물과의 반응성은 산화력에 의한 것이다. 오존의 발생은 통상 산소에 물리, 화학적인 에너지를 가해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것인데 무성 방전법, 전해법, 광화학법, 방사선 조사법 등으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성방전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며, 무성방전법은 1쌍의 전극 사이에 유리나 세라믹 같은 유전체를 끼우고 공기나 산소를 불어넣고, 전극에 6kv∼18kv 교류고압을 가하면 방전영역에서 오존이 발생된다. 무성방전법의 오존발생은 공기를 사용한 경우, 10g∼35 g/m3, 산소를 사용할 경우에는 50g ∼150 g/m3의 오존을 얻을 수 있고 소비 전력은 수냉식 냉각수 온도 25℃의 경우 산소를 주입 할 때 10∼13 kwh/kg-O3 이며, 공기를 주입할 때는 15∼20 kwh/kg-O3이다 오존 발생장치는 넓게 분류하여 원형의 동축 원통형과 판상의 평판형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산업용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무성방전법의 동축원통형의 전극구조를 사용하였다.
다음 반응식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된다.
O2 + e- -> O + O + e-
O2 + e- -> O2 +
O + O2 +M -> O3 + M
O2 + O2 -> O3 + O
오존의 존재 하에서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을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코팅하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1. ESP 저장 사이로에서 정량 배출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를 30~3000rpm으로 교반하며 내부에 요철이 형성된 고속 믹서기로 하강시키면서 기계적으로 충격과 마찰을 가해 스크레치를 형성시키다.
2. 콤프레샤 (압력 3-4Kgf /cm2) 와 After cooler Air Filter 냉동건조장치로 이루어진 장치를 경유한 건조한 공기를 1쌍의 전극 사이에 세라믹 유전체를 끼운 오존 발생 장치의 전극 사이로 불어 넣고, 오존 발생 장치에 6kv∼18kv 교류 고압을 가하면 공기가 방전영역을 통과하면서 산소는 오존화가 이루어진다.
3. 스크레치가 형성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와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이 고속 믹서기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류 피더형 교반기에 유입되고 방전영역을 통과한 오존의 주입에 의해 산화 및 연화 작용이 발생하면서 교반 이송되며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이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의 표면을 코팅시킨다.
4. 코팅된 수지입자는 스크류 컨베어로 저속 이송되며 건조 양성되는 과정에서 발포성 우레탄 수지가 재코팅되어 발포막을 형성시키고, 진동체로 이송되면서 분진과 불량품을 선별한 후 포장기로 이송되고 포장 출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단열성 물질로는 에어로겔, 알미늄분말, 흑연, 블랙 안료, 활성탄소, 블랙염료( 솔벤트염료, 산성염료), 염료를 사용 할 수 있으며, 단열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단열성 물질 중 흑연은 인상 흑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블랙안료는 카본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블랙염료로는 솔벤트 염료와 산성 염료가 있으며. 염료는 천연염료 및 합성염료 중에서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난연성 물질은 무기계 난연제, 염소계 난연제, 브롬계난연제, 인계 난연제 등이 있다 무기계 난연제는 금속, 금속수산화물 및 금속산화물 등으로 예를 들어서 삼산화이철(Fe2o3),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아연(Zn) 분말, 알미늄(Al)분말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내슘이 있다.
염소계 난연제로는 대표적으로 염소화파라핀(Cl-PP) 있다. 브롬계 난연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첨가형인 헥사브로모싸이클로도데칸(HBCD)이 있으며, 인계 난연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모노머 타입의 인산에스테르, 축합형 인산에스테르가 있으며 선택하여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은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수지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10중량부를 코팅하며 바람직하게는 1-3 중량부이며 이보다 증가하면 접착성 수지의 사용량도 증가하여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 한다.
코팅 방법은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에 오존을 주입하며 산화 및 연화시켜 수지입자에 코팅시키거나, 수지입자에 오존을 주입하며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을 교반 혼합하고 접착제를 분사 코팅하거나 또는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과 접착제를 혼합한 액체를 분사할 수도 있으며,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과 접착제를 혼합한 액체에 오존을 주입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이 의도하는 오존의 존재에서 단열성 난연성 물질을 코팅하려는 의도와 부합하며 이 공정에서 수지입자의 표면층과 피코팅 물질은 산화(oxidation) 현상이 발생되므로 접착력이 뛰어나 코팅성이 강화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성 수지는 아크릴수지계, 올레핀계수지, 발포성우레탄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 초산비닐계수지, 에폭시계수지, 염화비닐계수지, 클로로프렌고무계수지, 실리콘계수지, 폐놀계수지, 요소계수지 등이 있으며, 이들 중,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 중량에 대하여 1- 0.1중량부를 분사하며 코팅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코팅 물질(단열 및 난연물질) 100중량부당 1중량부-5중량부를 적절하게 피코팅체 물성에 따라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코팅공정 완료 후에 발포성 우레탄수지 0.1중량부-5중량부를 수지입자 표면층에 재코팅하여 우레탄 발포막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소수성인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접착성, 코팅성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수지입자에 기계적인 충격과 마찰을 가해서 스크레치를 형성시키고 오존의 존재에 수지입자와 피코팅 물질을 산화시켜서 용이하고 강력하게 접착 코팅하므로 단열성 및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를 간편하게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오존 발생 장치 및 오존의 존재에 코팅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발포 성형하여 제조된 스티로폼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비교예의 스티로폼의 물성과 작용효과를 실시예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예로부터 뒷받침되는 모든 범위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1공정
중합이 완료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를 사일로에서 방출하여 직경 200mm 길이 1000mm의 스크류 피더로 정량 이송하여 내부에 요철이 형성된 직경 800mm 높이 1000mm의 믹서기에 유입하고 300-3000rpm으로 교반하여 충격과 마찰을 가해서 스크레치를 형성시킨다.
제2공정
콤프레샤 (압력 3-4Kgf /cm2) 와 After cooler Air Filter 냉동건조장치로 이루어진 장치를 경유한 건조한 공기를 1쌍의 전극 사이에 세라믹 유전체를 끼운 오존 발생 장치의 전극 사이로 불어 넣고, 오존 발생 장치에 6kv∼18kv 교류 고압을 가하면 공기가 방전영역을 통과하면서 산소는 오존화가 이루어진다.
제3공정
스크레치가 형성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와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이 고속믹서기의 하단부에 부착된 스크류피더형 교반기에 유입되면서 방전영역을 통과한 오존에 의해 산화 및 연화가 일어나며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100중량에 대하여 2중량부의 인상흑연과 초산비닐수지(고형분 33%) 1.5 중량부를 분사하여 30-30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의 표면을 코팅시킨다.
제4공정
제3공정의 수지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성 우레탄수지 (고형분 30%) 0.5중량부를 분사하고 10-60 rpm으로 교반하여 코팅한 수지를 공지의 비드법으로 발포, 성형하여 스티로폼을(밀도22) 얻었으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단열성 물질로 카본블랙 1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드법으로 발포, 성형하여 스티로폼을(밀도21.5) 얻었으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블랙 염료 0.1중량부를 더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드법으로 발포, 성형하여 스티로폼을(밀도21.5) 얻었으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제1공정을 제외하였다 공지의 비드법으로 발포, 성형하여 스티로폼을(밀도20) 얻었으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제4공정을 제외하였다. 공지의 비드법으로 발포, 성형하여 스티로폼을(밀도20) 얻었으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기계적 물성
시 험 항 목 단위 결과치 시 험 방 법
밀도 kg/ 21.5 비드법2종
열전도율(평균온도23± w/(m.k) 0.0313
굴곡강도 kgf/ 4.1
압축강도 kgf/ 1.8
흡수량 g/ 0.2
난연성 1 착화후 소화
[실시예 2]의 기계적 물성
시 험 항 목 단위 결과치 시 험 방 법
밀도 kg/ 21.5 비드법2종
열전도율(평균온도23± w/(m.k) 0.0332
굴곡강도 kgf/ 4.0
압축강도 kgf/ 1.9
흡수량 g/ 0.35
난연성 1 착화후 소화
[실시예 3]의 기계적 물성
시 험 항 목 단위 결과치 시 험 방 법
밀도 kg/ 21.5 비드법2종
열전도율(평균온도23± w/(m.k) 0.033
굴곡강도 kgf/ 4.0
압축강도 kgf/ 1.2
흡수량 g/ 0.3
난연성 1 착화후 소화
[실시예 4]의 기계적 물성
시 험 항 목 단위 결과치 시 험 방 법
밀도 kg/ 21.5 비드법2종
열전도율(평균온도23± w/(m.k) 0.0317
굴곡강도 kgf/ 4.0
압축강도 kgf/ 1.9
흡수량 g/ 0.3
난연성 1 착화후 소화
* 피코팅체의 코팅력이 떨어져서 분진이 다소 발생 하였다.
[실시예 5]의 기계적 물성
시 험 항 목 단위 결과치 시 험 방 법
밀도 kg/ 21.5 비드법2종
열전도율(평균온도23± w/(m.k) 0.0304
굴곡강도 kgf/ 4.0
압축강도 kgf/ 1.9
흡수량 g/ 0.3
난연성 1 착화후 소화
실시예1 보다 단열성이 다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기계적으로 충격과 마찰을 가하여 스크레치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와 단열성 및 난연성 분말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1종 이상의 단열성 및 난연성 물질을 오존의 존재하여 산화 및 연화시켜 접착성수지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단열성물질은 알미늄분말 에어로겔, 흑연 블랙안료, 블랙염료, 염료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난연성 물질은 무기계난연제, 염소계난연제, 브롬계난연제, 인계난연제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접착성 수지는 발포성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올레핀수지, 초산비닐수지, 에폭시수지, 염화비닐수지, 클로로프렌고무수지, 실리콘수지, 폐놀수지, 폴리스티렌수지, 요소수지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 100중량부에 발포성우레탄 수지 0.1- 5중량부를 재코팅하여 발포막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41497A 2016-04-05 2016-04-05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4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97A KR101843344B1 (ko) 2016-04-05 2016-04-05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97A KR101843344B1 (ko) 2016-04-05 2016-04-05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58A KR20170114158A (ko) 2017-10-13
KR101843344B1 true KR101843344B1 (ko) 2018-03-29

Family

ID=6013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497A KR101843344B1 (ko) 2016-04-05 2016-04-05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38B1 (ko) * 2018-03-30 2020-08-28 김재천 팽창흑연을 발포한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에 코팅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927A (en) 1965-11-26 1968-02-20 Koppers Co Inc Expandable styrene polymers by treatment with ozone
KR101577957B1 (ko) * 2015-04-09 2015-12-16 김재천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합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927A (en) 1965-11-26 1968-02-20 Koppers Co Inc Expandable styrene polymers by treatment with ozone
KR101577957B1 (ko) * 2015-04-09 2015-12-16 김재천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합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58A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3542T3 (es) Polímeros vinil aromáticos expandibles, con aislamiento térmico mejorado, y proceso para la preparación de los mismos
ES2536126T5 (es) Composiciones de polímeros vinilaromáticos expandibles con una capacidad de aislamiento térmico mejorada,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y artículos expandidos obtenidos a partir de las mismas
US20110240904A1 (en) Surfactant-free synthesis and foaming of liquid blowing agent-containing activated carbon-nano/microparticulate polymer composites
KR101811225B1 (ko) 팽창흑연을 함유한 마감재가 접착된 불연 단열성 우레탄 폼
KR100343295B1 (ko) 혼화된카본블랙,이의제조방법및이의사용방법
KR102149238B1 (ko) 팽창흑연을 발포한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에 코팅하는 방법
JP5339857B2 (ja) 生分解性難燃ポリエステル発泡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得られる発泡体、その成形体
US3640913A (en) Process for heating polymers with dielectric heating
KR101843344B1 (ko)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0627B1 (ko) 저온플라즈마 처리하여 표면을 개질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제조방법
KR102108197B1 (ko) 팽창흑연이 코팅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
KR101772761B1 (ko) 셀 균일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폴리스틸렌의 난연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US3819543A (en) Production of chlorinated polyethylene foams
EP2892702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preparation of expanded thermoplastic microspheres
KR20110017794A (ko) 난연제 조성물과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CN104693632A (zh) 一种a级不燃外墙保温板
KR101317265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577957B1 (ko)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합체 조성물
KR102070240B1 (ko) 팽창흑연을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코팅하는 방법 및 코팅된 수지입자
KR20140083361A (ko) 전자선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05035A (ko) 재활용 페놀 폼 복합체
JP2004331844A (ja) 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CN111094414A (zh) 包含碳酸钙的发泡片材、其制备方法及包括其的食品容器
KR20140026087A (ko) 알루미늄 입자를 함유하는 발포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포성 스티렌 중합체
KR101919506B1 (ko) 수분 함량이 높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