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60B1 -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60B1
KR101843160B1 KR1020170041777A KR20170041777A KR101843160B1 KR 101843160 B1 KR101843160 B1 KR 101843160B1 KR 1020170041777 A KR1020170041777 A KR 1020170041777A KR 20170041777 A KR20170041777 A KR 20170041777A KR 101843160 B1 KR101843160 B1 KR 10184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spacer
width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열
김권영
최재성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유노빅스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노빅스이엔씨(주) filed Critical 유노빅스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7004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스페이서와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는 제1 굴곡면과 상기 제1 굴곡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굴곡면에 대향되고,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는 제2 굴곡면과 상기 제2 굴곡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를 구비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바디를 제2 바디 쪽으로 조이는 바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SPACER AND CLAMP ASSEMBLY COMRISING IT}
본 발명은 내진설계가 적용된 스페이서와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a는 종래의 클램프가 구조물에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종래의 클램프가 외부 충격에 의해 클램프의 이격거리가 달라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클램프(12)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파이프(11)에 교차된다. 클램프(12)는 파이프(11)를 중심으로 좌방향에 형성되는 일단과 우방향에 형성되는 타단을 포함한다.
클램프(12)는 제1 바디(12a)와 제1 바디(12a)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바디(12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2a)와 제2 바디(12b)는 복수의 제1 볼트(13)와 너트(14)를 이용하여 파이프(11)에 고정된다. 제1 바디(12a)는 전후방향(Z)으로 제2 바디(12b)와 이격된다. 제1 바디(12a)의 일단은 제2 바디(12b)의 일단과 제1 이격거리(D1)로 이격된다. 제1 바디(12a)의 타단은 제2 바디(12b)의 타단과 제2 이격거리(D2)로 이격된다. 제1 이격거리(D1)는 제2 이격거리 (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클램프(12)는 제1 바디(12a)와 제2 바디(12b)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틸볼트(15a) 그리고 스틸볼트(15a)의 끝단에 체결되는 스틸와셔(15b)를 포함한다.
스틸볼트(15a)는 클램프(12)와 스틸와셔(15b)를 체결한다. 클램프(12)와 스틸와셔(15b) 사이에는 스틸볼트(15a)의 체결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된다. 클램프(12)와 스틸와셔(15b)는 마찰력에 의해 수평방향(전후, 좌우)의 이동이 방지된다.
즉, 클램프(12)는 스틸볼트(15a)와 스틸와셔(15b) 간의 체결력 또는 압축력을 이용하여 제1 바디(12a)와 제2 바디(12b) 간에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2)는 구조물 부착장치(17)에 결합되어 구조물(16)에 고정된다. 클램프(12)의 하단은 구조물 부착장치(17)의 상측에 체결되고, 구조물 부착장치(17)의 하측은 구조물(16)에 체결된다. 클램프(12)는 구조물 부착장치(17)와 함께 파이프(1)를 구조물(16)에 고정시킨다. 이때 파이프(1)는 구조물(16)과 소정의 간격(WH1)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종래의 클램프(12)는 지진발생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구조물(16)에 고정된 클램프(12)는 지진발생시 전후방향(Z) 또는 좌우방향(X)으로 흔들린다. 클램프(12)가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면, 스틸볼트(15a)는 스틸볼트(15a)와 제1,2 바디(12a,12b)의 간격(틈) 또는 스틸볼트(15a)와 제1 볼트(13)의 간격(틈) 내에서 흔들린다. 스틸볼트(15a)의 흔들림에 의해, 스틸볼트(15a)와 스틸와셔(15b) 간의 체결관계는 느슨해지고, 스틸볼트(15a)와 스틸와셔(15b) 간의 체결력 또는 압축력이 약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진과 같은 큰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클램프(12)와 스틸와셔(15b) 사이의 마찰력 이상의 힘이 발생되어, 슬립(slip)이 발생된다.
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2)는 지진 발생시 흔들림 또는 진동에 의해 제1 이격거리(D1)와 제2 이격거리(D2)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11)와 클램프(12) 간에 얼라인(Align)이 틀어진다. 이에 파이프(11)는 소정의 간격(WH1)보다 크게 흔들리거나 뒤틀려 구조물(16)과 부딪쳐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지진 발생시 파이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와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는 제1 굴곡면과 상기 제1 굴곡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굴곡면에 대향되고,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는 제2 굴곡면과 상기 제2 굴곡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를 구비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바디를 제2 바디 쪽으로 조이는 바디 체결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굴곡면과 상기 제2 굴곡면 사이에는 입상관(stand pipe)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입상관 및 상기 스페이서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입상관은 파이프라 칭할 수 있고, 이들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2 바디는 상측 또는 하측 각각에 다수의 고정홈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홈은 상기 제1,2 날개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 고정홈; 그리고, 상기 제1,2 날개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측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에 결합하는 스페이서 체결부;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 또는 하부 그리고, 상기 제1,2 바디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상기 스페이서 체결부를 통해 상기 스페이부의 상부와 상기 제1,2 바디의 상측에 동시에 접하거나, 상기 스페이부의 하부와 상기 제1,2 바디의 하측에 동시에 접하는 체결보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에 결합하는 스페이서 체결부;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 또는 하부 그리고, 상기 제1,2 바디의 상측 고정홈 또는 하측 고정홈에 배치되어, 상기 스페이서 체결부를 통해 상기 스페이부의 상부에 접하면서 상기 상측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스페이부의 하부에 접하면서 상기 제 하측 고정홈에 삽입되는 체결보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체결보조부재의 너비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간의 이격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제1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대향되는 제2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연결하는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제1 평판, 상기 제2 평판 및 상기 평판본체 중 적어도 둘 이상을 관통하는 관통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제1 평판의 너비 또는 상기 제2 평판의 너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간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제1 평판의 너비 또는 상기 제2 평판의 너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평판본체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평판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제2 평판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평판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제1 평판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대향되는 제2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연결하는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평판본체는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연결하면서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면서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2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면; 그리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3면에 대향되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평판본체는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 면에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평판본체는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중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3면은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제2 평판 사이에 개방되고, 상기 제4 면은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개방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제2 평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평판본체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3 면 또는 상기 제4 면이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부러진 상기 제3 면 또는 상기 제4 면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경사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제11 평판; 상기 제11 평판과 대향되는 제12 평판; 상기 제11 평판과 상기 제12 평판을 연결하되, 4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이 개방되는 제1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제11 평판과 상기 제12 평판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스페이서;와 제21 평판; 상기 제21 평판과 대향되는 제22 평판; 상기 제21 평판과 상기 제22 평판을 연결하되, 4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이 개방되는 제2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제21 평판과 상기 제22 평판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는 상기 제2 스페이서에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2 평판의 상부면은 상기 제21 평판의 하부면과 접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진에 의해 파이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진 발생시 파이프(입상관)와 구조물의 상대변위 발생, 변형, 손상 등의 충격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a는 종래의 클램프가 구조물에 장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종래의 클램프가 외부 충격에 의해 클램프의 이격거리가 달라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정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평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저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정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좌측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평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저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은 도 19의 사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의 사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의 일 예가 장비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어셈블리와 종래의 클램프에 대한 체결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을 살펴보면, 파이프(11)는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11)는 중공형상의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11)의 단면은 제1 방향(Y)과 교차하는 제2 방향(X)으로 절단한 것이다. 여기서 제1 방향(Y)은 수직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X)은 수직방향과 교차되는 수평방향일 수 있다.
클램프(110)는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110)는 판형일 수 있다. 클램프(110)는 제2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110)는 파이프(11)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110)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굴절되거나 라운드될 수 있다. 클램프(110)의 내부면은 파이프(11)의 외면에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클램프(110)는 파이프(11)의 제1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바디(110a)와 파이프(11)의 제2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바디(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1 파트라 칭할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제2 플레이트 또는 제2 파트라 칭할 수 있다. 제1 외면은 파이프(11)의 외면 중 전방에서 바라보는 면일 수 있고, 제2 외면은 파이프(11)의 외면 중 후방에서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 바디(110a)의 내부면은 파이프(11)의 제1 외면에 접할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파이프(11)를 사이에 두고 제1 바디(110a)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제3 방향(Z)으로 제1 바디(110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바디(110b)의 내부면은 파이프(11)의 제2 외면에 접할 수 있다. 제3 방향(Z)은 파이프(11)를 중심으로 전후방향 또는 앞뒤방향일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제3 방향(Z)으로 제1,2 바디(110a,110b)를 관통할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스페이서(130)에 인접하고, 제1 바디(110a)를 제2 바디(110b) 쪽으로 조일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제1,2 바디(110a,110b)를 파이프(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제1,2 바디(110a,110b)를 파이프(11)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 또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바디 체결부(150a)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나사, 너트 등일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다수 개일 수 있다. 다수의 바디 체결부(150a)는 제2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체결부(150a)는 파이프(11)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에 각각 두 개씩 제1,2 바디(110a,110b)를 관통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클램프(110)의 이격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클램프(110)의 이격거리는 제3 방향(Z)으로 이격되는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의 간격일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 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파이프(11)의 제3 외면과 제4 외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파이프(11)의 제3 외면은 파이프(11)의 외면 중 좌방에서 바라본 면일 수 있고, 파이프(11)의 제4 외면은 파이프(11)의 외면 중 우방에서 바라본 면일 수 있다.
파이프(11)의 외면은 전방을 기준으로 제1 외면, 제3 외면, 제2 외면 및 제4 외면이 시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두 개의 스페이서(130) 중 하나는 제2 방향(X) 중 좌방에서 파이프(11)의 제3 외면과 이격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제2 방향(X) 중 우방에서 파이프(11)의 제4 외면과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파이프(11)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에서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일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플라스틱으로 강도와 탄성이 좋고 100℃ 이상에서도 견딜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는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130)와 클램프(110) 간의 마찰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페이서(130)는 클램프(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110)가 금속 재질일 경우에는 스페이서(130)도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130)와 클램프(110) 간의 전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체결보조부재(170b1,170b2)는 소정의 두께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보조부재(170b1,170b2)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조부재(170b1,170b2)는 스페이서(130)의 상부와 스페이서(13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체결보조부재(170b1,170b2)와 스페이서(130)를 제1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스페이서(130)를 클램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스페이서(130)를 클램프(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 또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나사, 너트(N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파이프(11)의 단면이 원형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11)의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체결보조부재(170b1,170b2)는 스페이서(130)의 상부와 스페이서(13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체결보조부재(170b1,170b2)는 스페이서(130)의 상부와 제1,2 바디(110a,110b)의 상부에 접하는 제1 체결보조부재(170b1)와 스페이서(130)의 하부와 제1,2, 클램프(110a,110b)의 하부에 접하는 제2 체결보조부재(170b2)를 구비할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제1 체결보조부재(170b1), 스페이서(130), 제2 체결보조부재(170b2)를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1 체결보조부재(170b1)는 스페이서(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보조부재(170b2)는 스페이서(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제1,2 체결보조부재(170b1,170b2)와 함께 스페이서(130)를 제1,2 바디(110a,110b)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30)는 다수의 바디 체결부(15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체결부(150a)는 제11 체결부재(150a1) 내지 제14 체결부재(150a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파이프(11)를 기준으로 제2 방향(X)의 좌방(左方)에서 제11 체결부재(150a1)와 제12 체결부재(150a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파이프(11)를 기준으로 제2 방향(X)의 우방(右方)에서 제13 체결부재(150a3)와 제14 체결부재(150a4)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좌(左)에서 우(右)로 향하는 제2 방향(X)으로 제11 체결부재(150a1), 제12 체결부재(150a2), 제13 체결부재(150a3), 제14 체결부재(150a4)를 순차적으로 이격하면서 배치할 수 있다. 파이프(11)는 제12 체결부재(150a2)와 제13 체결부재(150a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스페이서(130) 중 하나는 제11 체결부재(150a1)와 제12 체결부재(150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스페이서(130) 중 나머지는 제13 체결부재(150a3)와 제14 체결부재(150a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제1,2 바디(110a,110b) 사이에 스페이서(130)를 배치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입상관과 구조물 슬리브(관통부)의 상대변위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하여, 입상관의 변형,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제1 방향(Y)으로 형성되는 너비(l1)를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10a)의 너비(l1)는 제1 방향(Y)을 기준으로 제1 바디(110a)의 상측에서 하측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제2 바디(110b, 도 3 참조)는 제1 바디(110a)의 너비(l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제1 바디(110a)는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는 제1 굴곡면(110a11)과 제1 굴곡면(110a1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110a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제1 굴곡면(110a11)에 대향되고,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는 제2 굴곡면(110b21)과 제2 굴곡면(110b2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110b22)를 구비할 수 있다. 입상관(11)은 제1 굴곡면(110a11)과 제2 굴곡면(110b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제1 날개(110a12)와 제2 날개(110b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보조부재(170b1,170b2)는 스페이서(130)의 하부와 제1,2 바디(110a,110b)의 하부에 접하는 제1 체결보조부재(170b1)와 스페이서(130)의 상부와 제1,2 바디(110a, 110b)의 상부에 접하는 제2 체결보조부재(170b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체결보조부재(170b1)는 스페이서(130)의 제1 너비(d1)보다 큰 제1 너비(d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보조부재(170b1)의 제1 너비(d3)는 제3 방향(Z)을 기준으로 전측에서 후측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보조부재(170b1)는 스페이서(130)의 제2 너비(d2)보다 크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너비(d4)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보조부재(170b1)의 제2 너비(d4)는 제2 방향(X)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0a)는 외부면(110a1)과 내부면(110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의 내부면(110a2)은 파이프(11)의 제1 외면에 접할 수 있고, 제1 바디(110a)의 외부면(110a1)은 제3 방향(Z) 중 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a)의 두께(t1)는 제1 바디(110a)의 외부면(110a1)과 제1 바디(110a)의 내부면(110a2) 간의 거리일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외부면(110b1)과 내부면(110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10b)의 내부면(110b2)은 파이프(11)의 제2 외면에 접할 수 있고, 제2 바디(110b)의 외부면(110b1)은 제3 방향(Z) 중 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바디(110b)의 두께(t2)는 제2 바디(110b)의 외부면(110b1)과 제2 바디(110b)의 내부면(110b2) 간의 거리일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제1 바디(110a)의 두께(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힘 또는 일정한 압력으로 파이프(11)를 조일 수 있다.
제1 이격거리(d5)는 제1 바디(110a)의 내부면(110a2)과 제2 바디(110b)의 내부면(110b2)의 간격일 수 있다. 제2 이격거리(d6)는 제1 바디(110a)의 외부면(110a1)과 제2 바디(110b)의 외부면(110b1) 간의 간격일 수 있다. 제1 체결보조부재(170b1)의 제1 너비(d3)는 제1 이격거리(d5)보다 클 수 있다. 제1 체결보조부재(170b1)의 제1 너비(d3)가 제1 이격거리(d5)보다 작으면,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13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탈되어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의 정렬이 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서 스페이서(130)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파이프(11)가 제1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파이프(11)의 제1 외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파이프(11)의 제2 외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제1 바디(110a)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111a)과 제2 바디(110b)에 형성되는 제2 체결홀(111b)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제1 체결홀(111a)과 제2 체결홀(111b)을 관통한 후 너트(N1) 또는 암나사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 체결부(150a)는 너트(N1) 또는 암나사에 체결되어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간의 제2 이격거리(d6, 도 5 참조)를 좁힐 수 있다. 바디 체결부(150a)는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를 파이프(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13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체결보조부재(170b1)는 스페이서(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보조부재(170b1)는 제1 보조체결홀(171b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보조체결홀(171b1)은 제1 체결보조부재(170b1)를 제1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 체결보조부재(170b2)는 스페이서(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보조부재(170b2)는 제2 보조체결홀(171b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보조체결홀(171b2)은 제2 체결보조부재(170b2)를 제1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제2 보조체결홀(171b2), 관통홀(131), 제1 보조체결홀(171a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N2) 또는 암나사에 체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제1,2 체결보조부재(170b1,170b2)와 함께 스페이서(130)를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다양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130)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130)는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된 다각기둥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0)는 사각기둥형상일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제1 평판(13a), 제1 평판(13a)과 대향되는 제2 평판(13f) 및 제1 평판(13a)과 제2 평판(13f)을 연결하는 평판본체(13b 내지 13e) 그리고, 제1 평판(13a)과 제2 평판(13f)을 관통하는 관통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평판본체(13b 내지 13e)는 제1 평판(13a)과 제2 평판(13f)을 연결하면서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1 면(13b), 제1 면(13b)에 대향되면서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2 면(13d), 제1 면(13b)과 제2 면(13d) 사이에 형성되는 제3 면(13c) 그리고, 제1 면(13b)과 제2 면(13d) 사이에 형성되면서, 제3면(13c)에 대향되는 제4 면(13e)을 포함할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는 제1 방향(Y)에 형성된 상부면(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13a)은 제1 평판(13a)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면(13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부면(13a)은 제1 너비(d1)와 제2 너비(d2)를 가질 수 있다. 제1 너비(d1)는 제2 너비(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스페이서(130)의 하부면(13f)은 제2 평판(13f)이라 칭할 수 있다. 하부면(13f)은 상부면(13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관통홀(131)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131)은 스페이서(130)를 제1 방향(Y)으로 스페이서(130)를 관통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관통홀(131)을 상부면(13a)의 중앙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131)은 스페이서 체결부(170a, 도 7 참조)를 관통시킬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의 전면(13b)은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13b)은 제1 면(13b)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13b)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전면(13b)은 제1 길이(l2)와 제2 너비(d2)를 가질 수 있다. 제1 길이(l2)는 제1 방향(Y)으로 스페이서(130)의 상측과 하측 사이를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스페이서(130)의 제1 길이(l2)는 제1 바디(110a)의 너비(l1, 도 4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스페이서(130)의 전면(13b)은 제1 바디(110a)의 내부면(110a2, 도 5 참조)과 접할 수 있다. 스페이서(130)의 후면(13d)은 제2 면(13d)이라 칭할 수 있다. 후면(13d)은 전면(13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스페이서(130)의 후면은 제2 바디(110b)의 내부면(110b2, 도 5 참조)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130)는 제1 바디(110a)와의 마찰력 또는 제2 바디(110b)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130)는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하여 바디(110)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다.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의 측면(13c,13e)은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13c,13e)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측면(13c,13e)은 제1 길이(l2)와 제1 너비(d1)를 가질 수 있다. 측면(13c,13e)은 우측면(13c) 또는 좌측면(13e)일 수 있다. 우측면(13c)은 제3 면(13c)이라 칭할 수 있고, 좌측면(13e)은 제4면(13e)이라 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스페이서(130)의 측면(13c,13e)은 파이프(11)의 제3 외면(도 5 참조) 또는 제4 외면(도 5 참조)과 이격될 수 있다.
도 9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130)는 전면(13b) 또는 후면(13d)에 돌기(130a1)가 형성된 사각기둥형상일 수 있다. 다수의 돌기(130a1)는 스페이서(130)의 전,후면(13b,13d)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0)의 전면(13b)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0a1)는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스페이서(130)의 후면(13d)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0a1)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는 전,후면(13b,13d)에 돌기(130a1)가 형성된 사각형상인 상부면(13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돌기(130a1)는 전면(13b) 또는 후면(13d)에서 연장될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30a1)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9의 (b)에서는 상부면(13a), 제1 너비, 제2 너비, 관통홀(131a) 및 하부면(13f)에 대한 설명은 도 8의 (b)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의 전면(13b)은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13b)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전면(13b)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0a1)는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방향(X)으로 이격되고,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의 (c)에서는 제1 길이, 제1 너비, 우측면(13c) 및 좌측면(13e)에 대한 설명은 도 8의 (c)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스페이서(130)와 바디(110) 간에 결합력이 증가하여 스페이서(130)와 바디(110) 간의 마찰력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10)는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돌기(130a1)가 형성된 스페이서(130)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파이프(11, 도 7 참조)를 구조물(1000, 도 22 참조)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의 측면(13c,13e)은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13c,13e)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스페이서(130)의 전면(13b)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0a1)는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스페이서(130)의 후면(13f)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0a1)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0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130b)는 상부면(13b1)과 하부면(13b3)이 제1 방향(Y)으로 이격되고, 상부면(13b1)과 하부면(13b3) 사이에 중간면(13b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면(13b1)은 제1 평판(13b1)이라 칭할 수 있고, 하부면(13b3)은 제2 평판(13b3)이라 칭할 수 있고, 중간면(13b2)은 중간판(13b2)이라 칭할 수 있다.
스페이서(130b)는 상스페이서(130b1)와 하스페이서(130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스페이서(130b1)는 스페이서(130b)의 상부면(13b1)과 중간면(13b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스페이서(130b1)는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만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 그리고, 나머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스페이서(130b1)는 우측면을 개방하고, 좌측면(132b1)을 형성할 수 있다.
하스페이서(130b2)는 상스페이서(130b2)의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하스페이서(130b2)는 중간면(13b2)과 하부면(13b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스페이서(130b2)는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만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 그리고 나머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스페이서(130b)는 좌측면을 개방하고, 우측면(132b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면(13b2)은 상스페이서(130b1)의 관점에서는 하부면일 수 있고, 하스페이서(130b2)의 관점에서는 상부면일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b)는 상부면(13b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면(13b1)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부면(13b1)에 자세한 설명은 도 8의 (b)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스페이서(130b)는 중간면(13b2)과 하부면(13b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면(13b2)과 하부면(13b3)은 상부면(13b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스페이서(130b)는 관통홀(131b)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131b)은 스페이서(130b)를 제1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에 관통홀(131b)은 스페이서(130b)의 상부면(13b1), 중간면(13b2) 및 하부면(13b3)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b)은 스페이서(130b)의 상부면(13b1), 중간면(13b2) 및 하부면(13b3)의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b)은 스페이서 체결부(170a, 도 7 참조)를 관통시킬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스페이서(130b1)는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만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 그리고, 양측면 중 나머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방향(X) 중 우에서 좌를 향해 바라본 상스페이서(130b1)는 상부면(13b1)과 중간면(13b2) 사이에 형성되는 양측면 중 우측면을 개방하고, 좌측면(132b1)을 형성할 수 있다. 하스페이서(130b2)는 중간면(13b2)과 하부면(13b3) 사이에 형성되는 양측면 중 좌측면을 개방하고, 우측면(132b2)을 형성할 수 있다.
상스페이서(130b1)는 하스페이서(130b2)의 길이(l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l3)를 가질 수 있다. 상스페이서(130b1)의 길이(l3)는 스페이서(130b)의 상부면(13b1)과 중간면(13b2)을 제1 방향(Y)으로 측정한 값일 수 있고, 하스페이서(130b2)의 길이(l4)는 스페이서(130b)의 중간면(13b2)과 하부면(13b3)을 제1 방향(Y)으로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상스페이서(130b1)의 길이(l3)와 하스페이서(130b2)의 길이(l4)를 합한 값에서 중간면(13b2)의 두께(t3)를 뺀 최종 값은 클램프(110)의 너비(l1, 도 4 참조)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도 10에서 스페이서(130b)가 상스페이서(130b1)의 좌측면(132b1)을 형성하고, 하스페이서(130b2)의 우측면(132b2)을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스페이서(130b1)의 우측면을 형성하고, 하스페이서(130b2)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130)는 필요한 마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클램프 어셈블리(100)를 경량화할 수 있다.
도 11 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130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0c)는 제1 스페이서(130c1)와 제2 스페이서(130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는 제1 상부면(130c11), 제1 하부면(130c12) 및 제1 측면(132c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면(130c11)는 제11 평판(130c11)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하부면(130c12)은 제12 평판(130c12)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상부면(130c11)은 제1 하부면(130c12)과 제1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면(132c11)은 제1 상부면(130c11)과 제1 하부면(130c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132c11)은 다수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페이서(130c1)는 다수의 측면 중 제1 측면(132c1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제1 측면(132c11)은 제1 평판본체(132c11)라 칭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의 제1 측면(132c11)은 전방, 후방, 좌방, 우방 중 하나의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제2 스페이서(130c2)는 제2 상부면(130c21), 제2 하부면(130c22) 및 제2 측면(132c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면(130c21)는 제11 평판(130c21)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하부면(130c22)은 제12 평판(130c22)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상부면(130c21)은 제2 하부면(130c22)과 제1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측면(132c21)은 제2 상부면(130c21)과 제2 하부면(130c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132c21)은 다수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페이서(130c2)는 다수의 측면 중 제2 측면(132c2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제2 측면(132c21)은 제2 평판본체(232c21)라 칭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130c2)는 제1 스페이서(130c1)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의 제1 하부면(130c12)은 제2 스페이서(130c2)의 제2 상부면(130c21)과 접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130c2)의 제2 측면(132c21)은 전방, 후방, 좌방, 우방 중 하나의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 또는 제2 스페이서(130c2)는 후술할 제1,2 관통홀(131c1,131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1 스페이서(130c1)의 제1 측면(132c11)과 제2 스페이서(130c2)의 제2 측면(132c21)은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130c1)는 제1 방향(Y)으로 형성되는 제1 상부면(130c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면(130c11)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부면(130c11)에 자세한 설명은 도 8의 (b)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페이서(130c1)는 제1 상부면(130c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 하부면(130c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페이서(130c2)는 제2 상부면(130c21)과 제2 하부면(130c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2 상부면(130c21) 또는 제2 하부면(130c22)은 제1 상부면(130c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는 제1 관통홀(131c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31c1)은 제1 스페이서(130c1)를 제1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31c1)은 제1 상부면(130c11)과 제1 하부면(130c12)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130c2)는 제2 관통홀(131c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관통홀(131c2)은 제2 스페이서(130c2)를 제1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 관통홀(131c2)은 제2 상부면(130c21)과 제2 하부면(130c22)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31c1)은 제 1상부면과 제1 하부면(130c12)의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31c2)은 제2 상부면(130c21) 및 제2 하부면(130c22)의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2 관통홀(131c1,131c2)은 스페이서 체결부(170a, 도 7 참조)를 관통시킬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170a)는 제1 관통홀(131c1)과 제2 관통홀(131c2)을 관통할 수 있다.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130c1)의 제1 전면과 제2 스페이서(130c2)의 제2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는 제1 전면과 제1 후면을 개방하고, 다수의 측면 중 제1 측면(132c1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130c2)는 제2 전면과 제2 후면을 개방하고, 다수의 측면 중 제2 측면(132c2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와 제2 스페이서(130c2)는 중첩될 수 있다. 제1 지스페이서(130c)의 제1 하부면(130c12)의 윗면은 제2 스페이서(130c2)의 제2 상부면(130c21)의 아랫면과 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스페이서(130c2)는 제1 스페이서(130c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층될 수 있다. 제1 지스페이서(130c)의 제1 하부면(130c12)의 아랫면은 제2 스페이서(130c2)의 제2 상부면(130c21)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는 제2 스페이서(130c2)의 길이(l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l5)를 가질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의 길이(l5)는 제1 스페이서(130c1)의 제1 상부면(130c11)과 제1 하부면(130c12)을 제1 방향(Y)으로 측정한 값일 수 있고, 제2 스페이서(130c2)의 길이(l6)는 제2 스페이서(130c2)의 제2 상부면(130c21)과 제2 하부면(130c22)을 제1 방향(Y)으로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30c1)의 길이(l5)와 제2 스페이서(130c2)의 길이(l6)를 합한 값에서 제1 하부면(130c12)의 두께(t4)와 제2 상부면(130c21)의 두께(t5)를 합한 값을 뺀 최종 값은 클램프(110)의 너비(l1, 도 4 참조)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130)는 필요한 마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클램프 어셈블리(100)를 경량화할 수 있다. 아울러, 스페이서(13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는, 무겁고 많은 부품을 소지하고 다량의 구조물을 조립해야 하는 건축 또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130d)는 상부면(13d1)과 하부면(13d4)이 제1 방향(Y)으로 이격되고, 상부면(13d1)과 하부면(13d4) 사이에 측면(13d2,13d3)이 형성되고, 상부면(230a)과 하부면(230b)을 연결할 수 있다. 스페이서(130d)의 측면(13d2,13d3)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되, 구부러질 수 있다.
스페이서(130d)는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13d2,13d3)만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 그리고, 나머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0d)는 우측면을 형성하고, 좌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상부면(13d1)은 제1 평판(13d1)이라 칭할 수 있고, 하부면(13d4)은 제2 평판(13d4)이라 칭할 수 있고, 측면(13d2,13d3)은 경사면(13d2,13d3) 또는 경사판(13d2,13d3)이라 칭할 수 있다. 경사면(13d2,13d3)은 제1 경사면(13d2)과 제2 경사면(13d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3d2)의 일측은 상부면(13d1)의 양측 중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3d2)의 타측은 상부면(13d1)의 타측과 제1 방향 중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3d3)의 일측은 하부면(13d4)의 양측 중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3d3)의 타측은 하부면(13d4)의 타측과 제1 방향 중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3d2)의 타측과 제2 경사면(13d3)의 타측은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d)는 관통홀(131d1)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131d1)은 스페이서(130d)를 제1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에 관통홀(131d1)은 스페이서(130d)의 상부면(13d1), 제1 경사면(13d2), 제2 경사면(13d3) 및 하부면(13d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d1)은 스페이서(130d)의 상부면(13d1), 제1 경사면(13d2), 제2 경사면(13d3) 및 하부면(13d4)의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d1)은 스페이서 체결부(170a, 도 7 참조)를 관통시킬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2 경사면(13d2,13d3)에 형성된 관통홀(131d1)은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보여질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d)는 상부면(13d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면(13d1)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부면(13d1)에 자세한 설명은 도 8의 (b)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스페이서(130d)는 경사면(13d2,13d3)과 하부면(13d4)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3d2,13d3)과 하부면(13d4)은 상부면(13d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경사면(13d2,13d3)의 길이는 상부면(13d1) 또는 하부면(13d4)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13d2)의 일측은 상부면(13d1)의 양측 중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3d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 수록 상부면(13d1)과 멀어질 수 있고, 상부면(13d1)에서 하부면(13d4)으로 진행할수록 상부면(13d1)과 멀어질 수 있다.
제2 경사면(13d3)의 일측은 하부면(13d4)의 양측 중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3d3)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하부면(13d4)과 멀어질 수 있고, 하부면(13d4)에서 상부면(13d1)으로 진행할수록 하부면(13d4)과 멀어질 수 있다.
제1 경사면(13d2)의 타측은 제2 경사면(13d3)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3d2)의 타측과 제2 경사면(13d3)의 타측은 상부면(13d1) 또는 하부면(13d4)을 벗어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면(13d1)을 기준으로 형성된 제1 경사면(13d2)의 기울기와 하부면(13d4)을 기준으로 형성된 제2 경사면(13d3)의 기울기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3d2)과 제2 경사면(13d3)은 제1,2 경사면(13d2,13d3)의 타측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면(13d1)에 형성된 제1 경사면(13d2)의 기울기와 하부면(13d4)에 형성된 제2 경사면(13d3)의 기울기가 다를 수도 있다. 제1 경사면(13d2)과 제2 경사면(13d3)은 제1,2 경사면(13d2,13d3)의 타측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될 수 있다. 상부면(13d1)에 형성된 제1 경사면(13d2)의 기울기와 하부면(13d4)에 형성된 제2 경사면(13d3)의 기울기가 달라지면, 제1 경사면(13d2)의 길이와 제2 경사면(13d3)의 길이도 달라질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제2 방향(X) 중 우에서 좌를 향해 바라본 스페이서(130d)에서 상부면(13d1)과 하부면(13d4) 사이에 형성되는 양측면 중 좌측면을 개방하고, 제1,2 경사면(13d2,13d3)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130d)는 필요한 마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클램프 어셈블리(100)를 경량화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파이프(11), 바디 체결부(250a) 및 스페이서 체결부(270a)는 도 3에서 설명한 파이프(11), 바디 체결부(150a) 및 스페이서 체결부(17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클램프(210)는 상측단 또는 하측단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1)은 클램프(210)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고정홈(211)을 통해 클램프(210)에 정확하게 얼라인될 수 있다.
제1 바디(210a)는 제1 상측고정홈(211a1) 또는 제1 하측고정홈(211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고정홈(211a1)과 제1 하측고정홈(211a2)은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홈너비(d7)와 제1 방향(Y)으로 형성되는 제1 홈깊이(d8)를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210b)는 제2 상측고정홈(211b1, 도 17 참조) 또는 제2 하측고정홈(211b2, 도 1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측고정홈(211b1, 도 17 참조) 및 제2 하측고정홈(211b2, 도 17 참조)은 제1 상측고정홈(211a1) 및 제1 하측고정홈(211a2)과 동일한 제1 홈너비(d7)와 제1 홈깊이(d8)를 가질 수 있다. 제1 상측고정홈(211a1)과 제1 하측고정홈(211a2)은 제1 바디(210a)의 제1 날개(210a11, 도 15 및 도 16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측고정홈(211b1, 도 17 참조) 및 제2 하측고정홈(211b2, 도 17 참조)은 제2 바디(210b)의 제2 날개(210b11, 도 15 및 도 16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과 하부면(230b)이 제1 방향(Y)으로 이격되고, 상부면(230a)과 하부면(230b) 사이에 측면(230c)이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230c)의 상측은 상부면(230a)의 일측에 연결되고, 측면(230c)의 하측은 하부면(230b)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과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은 일부가 고정홈(211)에 삽입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은 제1 상측고정홈(211a1)과 제2 상측고정홈(211b1, 도 17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은 제1 하측고정홈(211a2)과 제2 하측고정홈(211b2, 도 16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4a를 살펴보면, 스페이서(230)는 바디 체결부(250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제1 바디(210a)는 제1 방향(Y)으로 형성되는 너비(l1)를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210b)는 제1 바디(210a)의 너비(l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제1 길이(l8)는 제1 바디(210a)의 너비(l7)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제1 길이(l8)는 제1 방향(Y)을 기준으로 상부면(230a)에서 하부면(230b)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제1 바디(210a)는 제1 상측고정홈(211a1) 또는 제1 하측고정홈(211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고정홈(211a1)은 제1 바디(210a)의 상측에서 제1 바디(210a)의 하측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측고정홈(211a1)은 제11 깊이(d8)와 제11 너비(d7)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측고정홈(211a2)은 제1 바디(210a)의 하측에서 제1 바디(210a)의 상측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은 제1 두께(t6)와 제2 너비(d2)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t6)는 상부면(230a)의 상측과 하측 사이를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은 상부면(23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의 제2 너비(d2)는 제1 상측고정홈(211a1)의 제11 너비(d7)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의 제2 너비(d2)가 제1 상측고정홈(211a1)의 제11 너비(d7)보다 크면,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과 제1 상측고정홈(211a1)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4b를 살펴보면, 스페이서(230)의 측면(230c)은 상부면(230a)의 너비(d11)와 하부면(230b)의 너비(d12)보다 작은 폭(d13)을 가질 수 있다. 상부면(230a)의 너비(d11), 하부면(230b)의 너비(d12)는 제3 방향(Z)을 기준으로 전측에서 후측 사이를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측면(230c)의 폭(d13)은 제3 방향(Z)을 기준으로 전측에서 후측 사이를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상부면(230a)의 너비(d11) 또는 하부면(230b)의 너비(d12)는 측면(230c)의 폭(d13)과 제1 바디(210a)의 두께(t1, 도 14 참조) 및 제2 바디(210b)의 두께(t2, 도 14 참조)를 합한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측면(230c)의 상측은 상부면(230a)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측면(230c)의 하측은 하부면(230b)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은 제1,2 바디(210a,210b)의 상측에 접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은 제1,2, 클램프(210a,210b)의 하측에 접할 수 있다.
제1 바디(210a)는 외부면(210a1)과 내부면(210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a)의 내부면(210a2)은 파이프(11)의 제1 외면과 접하는 면이며, 제1 바디(210a)의 외부면(210a1)은 제3 방향(Z) 중 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측면(230c)의 일측은 제1 바디(210a)의 내부면(210a2)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바디(210b)는 외부면(210b1)과 내부면(210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10b)의 내부면(210b2)은 파이프(11)의 제2 외면과 접하는 면이며, 제2 바디(210b)의 외부면(210b1)은 제3 방향(Z) 중 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측면(230c)의 타측은 제2 바디(210b)의 내부면(210b2)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살펴보면,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 이격거리(d5)와 제2 이격거리(d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격거리(d5)는 제1 바디(210a)의 내부면(210a2, 도 14b 참조)과 제2 바디(210b)의 내부면(210b2, 도 14b 참조)의 간격일 수 있고, 제2 이격거리(d6)는 제1 바디(210a)의 외부면(210a1, 도 14b 참조)과 제2 바디(210b)의 외부면(210b1, 도 14b 참조) 간의 간격일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측면(230c)은 제1 이격거리(d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은 폭(d13)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 또는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은 제1 이격거리(d5)보다 크고, 제2 이격거리(d6)보다 작은 너비(d11)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 또는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의 너비(d11)가 제1 이격거리(d5)보다 짧으면,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230)가 이탈되어 정렬이 틀어질 수 있다.
즉,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 또는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의 너비는 제1 이격거리(d5)와 제2 이격거리(d6)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사이에서 스페이서(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파이프(11)가 제1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210a)는 파이프(11)의 제1 외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10b)는 파이프(11)의 제2 외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디 체결부(250a)는 제1 바디(210a)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211a)과 제2 바디(210b)에 형성되는 제2 체결홀(211b)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바디 체결부(250a)는 제1 체결홀(211a)과 제2 체결홀(211b)을 관통한 후 너트(N1) 또는 암나사에 체결될 수 있다. 바디 체결부(250a)는 너트(N1) 또는 암나사에 체결되어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간의 제2 이격거리(d6, 도 15 참조)를 좁힐 수 있다. 이에 바디 체결부(250a)는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를 파이프(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바디(210a)는 제1 상측고정홈(211a1) 또는 제1 하측고정홈(211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10b)는 제2 상측고정홈(211b1) 또는 제2 하측고정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은 제1 상측고정홈(211a1)와 제2 상측고정홈(211b1)에 삽입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은 제1 하측고정홈(211a2)와 제2 하측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은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부관통홀(231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하부면(230b)은 제1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관통홀(231b)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관통홀(231b)은 상부관통홀(231a)과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270a)는 하부관통홀(231b)과 상부관통홀(231a)을 관통하여 너트(N2) 또는 암나사에 체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270a)는 너트(N2) 또는 암나사에 체결되어, 스페이서(230)를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다양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230)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8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 하부면(230b) 및 측면(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230a)은 하부면(230b)과 제1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측면(230c)은 상부면(230a)과 하부면(230b)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면(230a)과 하부면(230b)을 연결할 수 있다.
측면(230c)은 다수의 측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230)는 측면(230c)을 제외한 다수의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측면(230c)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측면(230c)은 평판본체(230c)라 칭할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측면(230c)은 전방, 후방, 좌방, 우방 중 하나의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상부면(230a)은 제11 너비(d11)와 제2 너비(d2)를 가질 수 있다. 제11 너비(d11)는 제2 너비(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면(230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부면(230a)은 중앙영역에 상부관통홀(231a)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면(230b)은 상부면(23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면(230b)은 상부관통홀(23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관통홀(231b)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관통홀(231a) 또는 하부관통홀(231b)은 스페이서 체결부(270a, 도 17 참조)가 관통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270a)는 상부관통홀(231a)과 하부관통홀(231b)을 관통할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0)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다양한 절단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230)는 전단기(Shearing machine)나 금형(Die)을 사용하여 재료에 판단 강도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잘라낼 수 있는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 가공은 전단 (Shearing), 블랭킹 (Blanking), 피어싱 (Piercing), 트리밍 (Trimming), 노칭 (Notch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일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스페이서(230)는 측면(230c)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부면(230a)과 타측에 배치되는 하부면(230b)을 각각 소정의 각도로 꺽일 수 있다. 이에 도 18의 (a)에 도시된 스페이서(230)를 만들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측면(230c)은 상부면(230a)의 너비(d11)와 하부면(230b)의 너비(d12)보다 작은 폭(d13)을 가질 수 있다. 상부면(230a1)의 너비(d11)는 제11 너비(d11)로 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이 제1 바디(210a)의 제1 상측고정홈(211a1)과 제2 바디(210b)의 제2 상측고정홈(211b1)에 삽입되고, 하부면(230b)이 제1 바디(210a)의 제1 하측고정홈(211a2)과 제2 바디(210b)의 제2 하측고정홈(211b2)에 삽입됨으로써,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바디(230)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페이서(230)를 구비하는 클램프 어셈블리(200)는 파이프(11)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9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1), 하부면(230b1) 및 측면(230c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230a1)은 하부면(230b1)과 제1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측면(230c1)은 상부면(230a1)과 하부면(230b1)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면(230a1)과 하부면(230b1)을 연결할 수 있다.
측면(230c1)과 하부면(230b1)에 대한 설명은 도 18에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면(230a1)은 제11 너비(d21)와 제2 너비(d2)를 가질 수 있다. 제11 너비(d21)는 제2 너비(d2)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면(230a1)은 직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부면(230a1)은 중앙영역에 상부관통홀(231a1)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면(230a1)은 전면측에서 하부면(230b1)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1 연장돌기(232a)와 후면측에서 제11 연장돌기(232a)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연장돌기(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장돌기(232a)는 측면(230c1)의 전면측과 이격될 수 있다. 제12 연장돌기(232b)는 측면(230c1)의 후면측과 이격될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0)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다양한 절단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8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1)의 너비(d21)를 하부면(230b1) 너비(d22)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부면(230a1)의 너비(d21)는 제11 연장돌기(232a)와 제12 연장돌기(232b)를 포함하기 때문에 하부면(230b1)의 너비(d22)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부면(230a1)의 너비(d21)는 제11 너비(d21)로 칭할 수 있다.
하부면(230b1)의 너비(d22)는 측면의 폭(d23)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1)에 제11 연장돌기(232a)와 제12 연장돌기(232b)가 배치됨으로써, 바디(230)에 쉽게 장착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230)는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바디(23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사이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20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2), 하부면(230b2) 및 측면(230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230a2)은 하부면(230b2)과 제1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측면(230c2)은 상부면(230a2)과 하부면(230b2)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면(230a2)과 하부면(230b2)을 연결할 수 있다.
상부면(230a2)과 측면(230c2)에 대한 설명은 도 19에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면(230b2)은 제12 너비(d32)와 제2 너비(d2)를 가질 수 있다. 제12 너비(d32)는 제2 너비(d2)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면(230b1)은 직사각형상일 수 있다. 하부면(230b1)은 중앙영역에 하부관통홀(231b2)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면(230b1)은 전면측에서 상부면(230a1)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1 연장돌기(232c1)와 후면측에서 제21 연장돌기(232c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 연장돌기(232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연장돌기(232c1)는 측면(230c1)의 전면측과 이격될 수 있다. 제22 연장돌기(232d1)는 측면(230c1)의 후면측과 이격될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0)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다양한 절단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8 및 도 19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의 (a)을 살펴보면,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31), 하부면(230a34) 및 측면(230a32,230a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230a31)은 하부면(230a34)과 제1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측면(230a32,230a33)은 상부면(230a31)과 하부면(230a34)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면(230a31)과 하부면(230a34)을 연결할 수 있다. 측면(230a32,230a33)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되, 구부러질 수 있다. 측면(230a32,230a33)은 양측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측면(230a32,230a33)은 경사면(230a32,230a33)이라 칭할 수 있다. 경사면(230a32,230a33)은 제1 경사면(230a32)과 제2 경사면(230a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면(230a31)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부면(230a31)은 중앙영역에 상부관통홀(231a31)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면(230a34)은 상부면(230a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면(230a34)은 상부관통홀(231a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관통홀(231a34)을 형성할 수 있다.
제1,2 경사면(230a32,230a33)은 상,하부면(230a31,230a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230a32)은 상부관통홀(231a31) 및 하부관통홀(231a34)이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경사관통홀(231a3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경사면(230a33)은 상부관통홀(231a31), 하부관통홀(231a34) 및 제1 경사관통홀(231a32)이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경사관통홀(231a33)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관통홀(231a31), 하부관통홀(231a34) 및 제1,2 경사관통홀(231a32,231a33)은 스페이서 체결부(270a, 도 17 참조)가 관통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 체결부(270a, 도 17 참조)는 상부관통홀(231a31), 하부관통홀(231a34) 및 제1,2 경사관통홀(231a32,231a33)을 관통할 수 있다. 제1,2 경사관통홀(231a32,231a33)은 기울어진 경사면(230a32,230a33)에 형성되기 때문에 보는 관점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보여질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0)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다양한 절단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230)는 전단기(Shearing machine)나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스페이서(230)는 제1 경사면(230a32)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부면(230a31)과 제2 경사면(230a33)의 일측에 배치되는 하부면(230a34)을 각각 소정의 각도로 꺾일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230)는 제1 경사면(230a32)의 타측과 제2 경사면(230a33)의 타측을 소정의 각도로 꺾일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230a32)의 타측과 제2 경사면(230a33)의 타측은 제1 경사면(230a32)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부면(230a31)이 꺾인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꺾일 수 있다. 이에 도 21의 (a)에 도시된 스페이서(230)를 만들 수 있다.
스페이서(230)의 제1 경사면(230a32)(230c)과 제2 경사면(230a33)은 상부면(230a31)의 너비(d41)와 하부면(230a34)의 너비(d42)보다 작은 폭(d43)을 가질 수 있다. 상부면(230a1)의 너비(d41)는 제11 너비(d41)로 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0)는 상부면(230a31)이 제1 바디(210a, 도 17 참조)의 제1 상측고정홈(211a1, 도 17 참조)과 제2 바디(210b, 도 17 참조)의 제2 상측고정홈(211b1, 도 17 참조)에 삽입되고, 하부면(230a34)이 제1 바디(210a, 도 17 참조)의 제1 하측고정홈(211a2, 도 17 참조)과 제2 바디(210b, 도 17 참조)의 제2 하측고정홈(211b2, 도 17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바디(230, 도 17 참조)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제1 바디(210a, 도 17 참조)와 제2 바디(210b, 도 17 참조)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페이서(230)를 구비하는 클램프 어셈블리(200, 도 17 참조)는 파이프(11, 도 17 참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2를 살펴보면, 연장돌기(232a1)가 형성되는 스페이서(230)는 클램프(2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면(230a1)은 제11 연장돌기(232a)와 제12 연장돌기(232b, 도 19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210a)는 제1 상측고정홈(211a1, 도 17 참조) 또는 제1 하측고정홈(211a2, 도 17 참조)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바디(210b)는 제2 상측고정홈(211b1, 도 17 참조) 또는 제2 하측고정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보조부재(170b1)는 스페이서(130)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제11 연장돌기(232a)는 제1 상측고정홈(211a1, 도 17 참조)에 삽입되고, 제12 연장돌기(232b, 도 19 참조)는 제2 상측고정홈(211b1, 도 17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체결보조부재(170b1)는 제1 하측고정홈(211a2, 도 17 참조)과 제2 하측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제11 연장돌기(232a)와 제12 연장돌기(232b, 도 19 참조)와 체결보조부재(170b1)에 의해 클램프(210)에 체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 사이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는 스페이서(230)를 통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연장돌기(232a1, 232c1)가 형성되는 스페이서(230)는 클램프(2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면(230a1)은 제11 연장돌기(232a1)와 제12 연장돌기(232b1, 도 20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면(230b1)은 제21 연장돌기(232c1)와 제22 연장돌기(232d1, 도 20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1 연장돌기(232a)는 제1 바디(210a)의 외부면(210a1, 도 14b 참조)과 상측에 접촉하고, 제12 연장돌기(232b)는 제2 바디(210b)의 외부면(210b1, 도 14b 참조)과 상측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21 연장돌기(232c1)는 제1 바디(210a)의 외부면(210a1, 도 14b 참조)과 하측에 접촉하고, 제22 연장돌기(232d1)는 제2 바디(210b)의 외부면(210b1, 도 14b 참조)과 하측에 접촉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다수의 연장돌기(232a1, 232c1)를 통해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의 일측 또는 타측을 통해 제2 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바디(210a)와 제2 바디(210b)는 바디 체결부(250a) 또는 스페이서 체결부(270a)를 통해 파이프(11)에 고정되는 동안 일정한 간격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클램프 어셈블리(100)를 파이프(11)에 빠르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3에서는 연장돌기(232a1, 232c1)가 스페이서(230)의 상부면(230a1) 또는 하부면(230b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돌기(232a1, 232c1)는 도 3 내지 도 7에 설명한 체결보조부재(170b1,170b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돌기(232a1, 232c1)는 스페이서(230)에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조부재(170b1,170b2)는 연장돌기(232a1, 232c1)를 클램프(210)에 형성된 제1 상측고정홈(211a1), 제1 하측고정홈(211a2), 제2 상측고정홈(211b1) 및 제2 하측고정홈(211b2)에 보다 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스페이서(230)는 연장돌기(232a1, 232c1)가 형성된 체결보조부재(170b1,170b2)를 이용하여 클램프(210)에 보다 쉽게 체결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내진 설계용 장비(SEISMIC ISOLATOR)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파이프(11)를 구조물(10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내진 마운트 장치(1200)를 통해 구조물(1000)에 체결될 수 있다. 내진 마운트 장치(1200)는 입상관 방진기(1210)와 찬넬(12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진 마운트 장치(1200)는 클램프 어셈블리(100)와 구조물 (10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입상관 방진기(1210)는 클램프 어셈블리(1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찬넬(1220)은 입상관 방진기(1210)와 구조물 (10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찬넬(1220)은 입상관 방진기(1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입상관 방진기(1210)의 하부는 찬넬(1220)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상관 방진기(1210)와 찬넬(1220)은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물(1000)에 체결되는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내진 마운트 장치(1200)와 함께 파이프(11)를 구조물(1000)에 결합할 수 있다.
클램프 어셈블리(100)가 입상관 방진기(1210)를 이용하여 구조물(1000)에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상관 방진기(1210)는 방진 마운트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입상관 방진기(1210)없이 직접 구조물(10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조물(1000)에 고정된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지진발생시 파이프(11)와 함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다. 클램프 어셈블리(100)가 전후좌우로 흔들리더라도, 스페이서(130, 도 3 참조)의 마찰력에 의해 제1 바디(110a, 도 3 참조)와 제2 바디(110b, 도 3 참조)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바디 체결부(150a, 도 3 참조) 또는 스페이서 체결부(170a, 도 3 참조)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조물(1000)에 고정된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지진발생시 구조물(1000)과 함께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으로 흔들리도록 설계됨에 따라, 파이프(11)와 구조물(1000) 간에 일정한 간격(WH)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클램프 어셈블리(100)는 지진이 발생하는 동안 파이프(11)와 구조물(1000)의 거리(W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클램프 어셈블리(100, 도 3 참조)와 종래의 클램프(10, 도 1 참조)에 대한 슬립(slip)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5에 도시된 그래프는 클램프에 가해지는 하중 그리고 클램프와 파이프 간에 수평방향으로 슬립된 거리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의 세로는 하중(LOAD)를 나타낸 것이다.
하중은 Y1 내지 Y4로 표현될 수 있다. 하중은 Y1에서 Y4로 진행할수록 커질 수 있다. Y1 내지 Y4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그래프의 가로는 슬립된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슬립된 거리는 X1 내지 X6으로 표현될 수 있다. 슬립된 거리는 X1에서 X6으로 진행할수록 길어질 수 있다. X1 내지 X6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종래의 클램프(10, 도 1 참조)는 외부로부터 대략 Y2의 하중(LOAD)을 받을 때, 파이프(11, 도 1 참조)와 대략 X4.5가 넘게 슬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클램프 어셈블리(100, 도 3 참조)는 대략 Y2의 하중(LOAD)을 받을 때 파이프(11, 도 3 참조)와 X1보다 짧게 슬립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클램프 어셈블리(100, 도 3 참조)는 Y2의 하중(LOAD)보다 두 배가 넘는 Y3.5의 하중(LOAD)을 받더라도 X1.5보다 짧게 슬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 어셈블리(100, 도 3 참조)는 제1 바디(110a, 도 3 참조)와 제2 바디(110b, 도 3 참조) 사이에 스페이서(130, 도 3 참조)를 배치함으로써, 클램프(110, 도 3 참조)와 스페이서(130, 도 3 참조) 사이에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종래의 클램프(10, 도 1 참조)보다 현저하게 큰 체결력을 가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 파이프 110: 클램프
110a: 제1 바디 110b: 제2 바디
130: 스페이서 150a: 바디 체결부
170a: 스페이서 체결부 170b1,170b2: 체결보조부재

Claims (17)

  1.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는 제1 굴곡면과 상기 제1 굴곡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굴곡면에 대향되고,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되는 제2 굴곡면과 상기 제2 굴곡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를 구비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각각에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를 상기 제2 바디 쪽으로 조이는 바디 체결부;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 그리고 다수의 바디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 그리고 상기 제1,2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체결보조부재; 및,
    상기 체결보조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스페이서 체결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면과 상기 제2 굴곡면 사이에는 입상관(stand pipe)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입상관 및 상기 스페이서를 동시에 접촉하는 클램프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바디는 상측 또는 하측 각각에 다수의 고정홈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홈은
    상기 제1,2 날개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 고정홈; 그리고,
    상기 제1,2 날개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측 고정홈;을 포함하는 클램프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체결부는
    상기 스페이서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체결보조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 그리고, 상기 제1,2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페이서 체결부를 통해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와 상기 제1,2 바디의 상측에 동시에 접하거나,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와 상기 제1,2 바디의 하측에 동시에 접하 클램프 어셈블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체결부는
    상기 스페이서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체결보조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 그리고, 상기 제1,2 바디의 하측 고정홈에 배치되어,
    상기 스페이서 체결부를 통해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에 접하면서 상기 상측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측 고정홈에 삽입되는 클램프 어셈블리.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체결보조부재의 너비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간의 이격된 거리보다 큰 클램프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제1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대향되는 제2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연결하는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제1 평판, 상기 제2 평판 및 상기 평판본체 중 적어도 둘 이상을 관통하는 관통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제1 평판의 너비 또는 상기 제2 평판의 너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간의 이격 거리보다 큰 클램프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제1 평판의 너비 또는 상기 제2 평판의 너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평판본체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큰 클램프 어셈블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판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제2 평판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돌기가 형성되는 클램프 어셈블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판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제1 평판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돌기가 형성되는 클램프 어셈블리.
  11. 삭제
  12. 삭제
  13. 제1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대향되는 제2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연결하는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평판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 평판 또는 상기 제2 평판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평판본체는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연결하면서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면서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2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면; 그리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3면에 대향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판본체는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중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3면은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제2 평판 사이에 개방되고,
    상기 제4 면은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개방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제2 평판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서.
  14. 제1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대향되는 제2 평판;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연결하는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평판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 평판 또는 상기 제2 평판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평판본체는
    상기 제1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을 연결하면서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면서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2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면; 그리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3면에 대향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판본체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3 면 또는 상기 제4 면이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
  15. 제14 항에 있어서,
    구부러진 상기 제3 면 또는 상기 제4 면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경사관통홀이 형성되는 스페이서.
  16. 제11 평판;
    상기 제11 평판과 대향되는 제12 평판;
    상기 제11 평판과 상기 제12 평판을 연결하되, 4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이 개방되는 제1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제11 평판과 상기 제12 평판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스페이서;와
    제21 평판;
    상기 제21 평판과 대향되는 제22 평판;
    상기 제21 평판과 상기 제22 평판을 연결하되, 4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이 개방되는 제2 평판본체; 그리고,
    상기 제21 평판과 상기 제22 평판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는 상기 제2 스페이서에 적층되는 스페이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평판의 상부면은 상기 제21 평판의 하부면과 접하도록 적층되는 스페이서.
KR1020170041777A 2017-03-31 2017-03-31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 KR10184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77A KR101843160B1 (ko) 2017-03-31 2017-03-31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77A KR101843160B1 (ko) 2017-03-31 2017-03-31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160B1 true KR101843160B1 (ko) 2018-03-30

Family

ID=6189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777A KR101843160B1 (ko) 2017-03-31 2017-03-31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050B1 (ko) * 2019-02-13 2019-10-01 송우정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217A (ja) * 2001-08-21 2003-02-28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用支持装置
KR200413506Y1 (ko) * 2006-01-12 2006-04-07 (주)엔에스브이 입상배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217A (ja) * 2001-08-21 2003-02-28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用支持装置
KR200413506Y1 (ko) * 2006-01-12 2006-04-07 (주)엔에스브이 입상배관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050B1 (ko) * 2019-02-13 2019-10-01 송우정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5909B1 (en) Half-butterfly type connecting card and construction steel frame node structure
US20090110473A1 (en) Connection Hardware for Wooden Building
CN108138458B (zh) 帽型钢板桩的竖接结构、竖接帽型钢板桩单元以及钢制壁
KR101843160B1 (ko)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클램프 어셈블리
US6629678B1 (en) Seismic adapter
JP2021095920A (ja) パイプ取り付け用クランプ
JP2015017413A (ja) 制振構造
JP7244268B2 (ja) 鋼材どうしの接合構造
CN115362301B (zh) 钢筋固定件
JP7340253B2 (ja) 屋根用雪止め装置
JP6664169B2 (ja) 壁パネル取付補助具及びそれを用いた壁構造
US20090175679A1 (en) Joint configuration for metal tubes
KR20120095182A (ko) 미끄럼방지 요철이 구비된 체결용 평판부재
JP2019127703A (ja) 固定金具及び床版の固定構造
CN1105090A (zh) 具有边缘部件的模板
JP3229948U (ja) 連結金具
JP7276852B2 (ja) 木材の接合構造
JP7210247B2 (ja) 補強対象物の補強構造
JP5759927B2 (ja) 接合金物
JP5759928B2 (ja) 接合金物
JPH08158540A (ja) 鉄筋用継手装置
JP6955380B2 (ja) 組み付け金物
EP1734261B1 (en) Anchoring system between profiles
JP5322540B2 (ja) フレーム
JP4030376B2 (ja) 登り梁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