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661B1 - 연마체 - Google Patents

연마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661B1
KR101842661B1 KR1020137022110A KR20137022110A KR101842661B1 KR 101842661 B1 KR101842661 B1 KR 101842661B1 KR 1020137022110 A KR1020137022110 A KR 1020137022110A KR 20137022110 A KR20137022110 A KR 20137022110A KR 101842661 B1 KR101842661 B1 KR 10184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polishing body
polishing
edge reg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256A (ko
Inventor
요하네스 타크
Original Assignee
루트. 슈타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110381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1103815A1/de
Application filed by 루트. 슈타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루트. 슈타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2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34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additives enhancing special physical properties, e.g. wear resistance, electric conductivity, self-cleaning properties
    • B24D3/346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additives enhancing special physical properties, e.g. wear resistance, electric conductivity, self-cleaning properties utilised during polishing, or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지지재(5)와 지지재에 접착방식으로 적용된 마모재(2)로 구성된 연마체(1)에 있어서, 연마체(1)는 마모재(2)의 활성영역의 횡방향 경계를 정하는 마모재 없는 가장자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체는 플라스터를 적용함에 의해, 연마체의 연마재 표면 구조는 가장자리 영역이 덮이므로 중앙의 연마재 부위만이 여전히 재료를 마멸시킬 수 있다. 처리가 이어지며, 그 결과 후처리 시간이 상당히 줄어든다. 연마체는 특히 이미 존재하는 연마체에 평활재가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Description

연마체{GRINDING BODY}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지지재와 그 지지재에 접착 방식으로 적용된 연마재를 포함하는 평면 연마체에 관한 것이다.
이런 연마체는 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연마 디스크 또는 에머리포(emery cloth)로서 알려져 있으며, 크게 변화하는 표면을 처리하기 위해 로타리 샌더, 진동 샌더, 러버 블록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예를 들어 락카처리면의 결함을 후처리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입자들의 연마재를 갖는 연마체가 사용되는데, 이들 연마체는 면평행(plan-parallel) 기계 또는 표면상에서의 수동 실행 동작에 의해 높이차를 마모시킨다. 이 마모 처리는 건조한 상태 또는 물 같은 액체를 첨가하여 실시된다. 그 후 후처리된 락카면은 회전하는 폴리싱 플레이트 및 폴리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고광택으로 폴리싱된다.
이런 후처리의 목표는 락카처리된 표면이 나중에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재에 완전히 면평행하게 연장되게 하지만 광택과 표면구조에서는 처리되지 않은 인접 락카면과 전혀 다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처리될 표면이 오목하게 설계된 경우에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처리될 표면 주위의 마모재의 외측가장자리를 통하여 원형링 표면 형태 또는 초승달 형태의 대면적 연마자국 및 마멸이 생기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면적이 매우 작다.
게다가, 편평한 표면을 기계 가공하는 동안, 정확히 면평행이 아닌 표면상에서의 연마체의 배치 및 여기 연결된 연마체 가장자리의 노출 마멸에 의해 초승달 형상이나 직선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국 이는 상당한 후처리 비용으로 이어진다.
로타리 샌더용 연마 플레이트 및 연마 디스크로 만들어진 복합체가 특허문헌 1에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인접한 중앙 영역에서보다 외측의 링형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더 탄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르지 않은 외형에 잘 적용될 수 있는 능력이 얻어진다. 그러나 바람직하지 못한 배치시에 연마 디스크 가장자리가 좋지 않은 방식으로 락카 표면을 파고들 것이다.
특허문헌 2는 배면에 가요성 재료의 강화층이 마련되어, 바람직하게는 샌드페이퍼의 가장자리를 넘어서 돌출하며 샌드페이퍼의 가장자리에 의한 홈에서의 연마를 보호하는 샌드페이퍼를 개시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예를 들어 가요성 재료가 굽어지는 경우 이런 장치에 의해서도 홈 형성을 확실하게 피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연마체가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 탄성재로 만들어진 구역이 마련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은 연마 입자 응집체나 개개의 연마 입자들이 연마체 가장자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허문헌 1: 독일공개특허 DE 103 05 189 A1 (2004.02.26) 특허문헌 2: 독일공개특허 DE 28 05 288 A1 (1979.08.16) 특허문헌 3: 독일공개특허 DE 44 40 034 A1 (1995.05.11)
본 발명의 목적은 원치 않는 홈의 형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연마체를 종류에 따라서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개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연마체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형태들과 개량형태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체의 마모재 없는 가장자리 영역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가장자리 영역에 마모재가 없게 지지재를 구성하는 것, 즉 가장자리 영역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내측 부위에 마모재를 적용하여 표면이 매끈한 지지재에 의해 횡방향으로 마모재 없는 가장자리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아이디어에 따르면, 마모재의 구조를 매끈하게 하는 재료에 의해 마모재 없는 가장자리 영역이 제공된다.
어떤 경우라도, 굴곡면의 경우 또는 처리될 표면상에 연마체가 균등하게 놓이는 경우에 연마체의 외측 가장자리는 이 표면에 파고들 수 없다. 신규한 연마체의 경우에 재료의 마멸은 내측에서 가장자리와 인접한 연마체의 중앙 영역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마모재 구조를 매끈하게 하는 것은 가장자리 영역에서 재료가 마모재를 완전히 덮거나 마모재의 입자 사이의 공극을 채우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처리된 영역에서 연마 효과는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경우에, 이 재료는 광물 재료 또는 폴리머 재료다. 광물 재료로서는 플라스터가 특히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반면, 폴리머 재료로서는 2성분 락커 또는 2성분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근본적으로 재료의 선택에서는 그 재료가 연마 공정중에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현상을 견뎌야 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활재의 바람직한 층 두께는 30 - 40 μm다. 마모재의 입경에 따라서, 이런 층 두께의 경우에는 마모재의 개개 입자들이 완전히 코팅되거나 또는 적어도 개별 입자 사이의 공극이 채워져야 한다. 이 방식에서 연마체는 처리된 가장자리 영역에서 연마 효과를 상실한다.
마모재의 구조를 매끈하게 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스크린 프린팅, 패드 프린팅, 스프레이 락커링, 스탬핑, 브러시 도포, 침지 또는 접착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근본적으로 평활재를 연마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떤 방법이라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마체의 지지재로서는 직물, 종이, 플라스틱 필름, 또는 지지 플레이트가 사용된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로 만들어진 필름이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마모재는 바람직하게는 결합재에 의해 각각의 지지재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마모재의 반대측을 향하는 지지재의 측면에는 연마체를 연마장치, 예를 들어 로타리 샌더 또는 진동 샌더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적용된다. 이를 위해, 연결 수단은 예를 들어 사용중에 연마체에 커버 필름이 제공되는 경우라면 접착제가 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연마체는 또한 후크 스트립과 루프 스트립으로 구성된 후크 및 루프 부착구의 도움으로 연마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체의 마모재는 바람직하게는 2500 - 7000 범위의 그레인,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그레인을 갖는다. 이 범위의 그레인은 결함 및 락커처리 표면, 예를 들어 차체의 후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체의 지지재는 30 - 70 μm의 두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μm의 두께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에머리포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연마체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연마체의 단면도.
도 1 및 도 2는 예를 들어 결함 및 락카 표면을 후처리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되는 것 같이 전체적으로 1로 지시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체를 보여준다. 연마체(1)는 파형 가장자리(corrugated edge)를 갖는 에머리포(emery cloth)로서 이루어진다. 서로 다른 곡률의 표면 사이의 천이부는 유리하게는 이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연마체(1)는 상측면(10), 바닥측면(11) 및 가장자리(100)를 갖는다.
연마체(1)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지지재(5, carrier material)가 중앙에 배치되는데, 이는 직물로 구성된다. 지지재에는 결합제(4, binding agent)의 도움으로 3000 그레인의 연마재(2)가 접착방식으로 적용된다.
지지재(5)의 아래에는 연마체(1)를 연마 공구(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로타리 샌더 또는 진동 샌더에 견고하게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6)가 위치한다. 보호를 위해 접착제에는 처음에 커버 필름(7)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연마체(1)를 연마 공구에 부착하기 전에 제거된다.
연마체(1)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연마재의 구조를 매끈하게 하는 재료(3)가 커버로서 적용된다. 이 경우, 이것은 플라스터(plaster)인데, 이는 연마체(1)의 연마재측 상측면(10)상의 가장자리(100) 및 가장자리(100)에 바로 인접하는 영역에 브러시에 의해 적용된다.
플라스터를 적용함에 의해, 연마체의 연마재 표면 구조는 가장자리 영역이 덮이므로 중앙의 연마재 부위만이 여전히 재료를 마멸시킬 수 있다. 처리가 이어지며, 그 결과 후처리 시간이 상당히 줄어든다.
연마체(1)는 특히 이미 존재하는 연마체(1)에 평활재(3)가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Claims (13)

  1. 지지재; 및 상기 지지재에 접착방식으로 적용된 마모재로 구성된 연마체에 있어서,
    상기 연마체는 상기 마모재의 활성영역의 횡방향 경계를 정하는 마모재 없는 가장자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마모재 없는 가장자리 영역은 적용재(applied material)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적용재는 상기 연마체 상측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마모재를 완전히 덮어 상기 연마체 상측의 가장자리 영역을 매끈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재는 광물재 또는 폴리머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재로서는 플라스터(plaster)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재로서는 2성분 락커(two-component lacquer)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재로서는 2성분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7. 제 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재는 30 내지 40 μm의 두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8. 제 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재는 스크린 프린팅, 패드 프린팅, 스프레이 락커링, 스탬핑, 브러시 도포, 침지 또는 접착에 의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로서 직물, 종이, 플라스틱 필름, 또는 지지 플레이트(carrier plate)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재는 결합제에 의해 상기 지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재의 반대측으로 향하는 상기 지지재의 측면에는 상기 연마체를 연마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6, connecting means)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12. 삭제
  13. 제 1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는 30 μm - 70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체.
KR1020137022110A 2011-01-22 2012-01-17 연마체 KR101842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9164.5 2011-01-22
DE102011009164 2011-01-22
DE102011103815.2 2011-06-01
DE102011103815A DE102011103815A1 (de) 2011-06-01 2011-06-01 Schleifkörper
PCT/EP2012/050621 WO2012098104A1 (de) 2011-01-22 2012-01-17 Schleifkör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256A KR20140020256A (ko) 2014-02-18
KR101842661B1 true KR101842661B1 (ko) 2018-03-27

Family

ID=4550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110A KR101842661B1 (ko) 2011-01-22 2012-01-17 연마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30295827A1 (ko)
EP (1) EP2665583B1 (ko)
KR (1) KR101842661B1 (ko)
CN (1) CN103370175B (ko)
BR (1) BR112013017967A2 (ko)
ES (1) ES2603637T3 (ko)
MX (1) MX342789B (ko)
PL (1) PL2665583T3 (ko)
RU (1) RU2590749C2 (ko)
WO (1) WO2012098104A1 (ko)
ZA (1) ZA2013047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6921C2 (ru) * 2016-08-10 2022-03-16 Клингспор Аг Обдирочный шлифовальный диск с несущим слое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5372A (ja) * 2002-06-26 2004-01-29 Disco Abrasive Syst Ltd 研磨砥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127A (en) * 1874-06-16 Improvement in sand and emery paper for polishing-machines
US3394502A (en) * 1964-03-30 1968-07-30 Mid West Abrasive Co Solid abrasiv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honing elements therefrom
DE2805288A1 (de) 1978-02-08 1979-08-16 Miksa Marton Schleifblatt
SU1407781A1 (ru) * 1986-04-28 1988-07-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495 Гибк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 абразивной обработки
US5203881A (en) * 1990-02-02 1993-04-20 Wiand Ronald C Abrasive sheet and method
DE4440034A1 (de) * 1993-11-10 1995-05-11 Dirk Ruebenstrunk Verfahren zum Seitenschleifen mit feinschleifbereichversehenen Schleifkörpern
US6234875B1 (en) * 1999-06-09 2001-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odifying a surface
US6857943B2 (en) * 2000-06-28 2005-02-22 Michael Kapgan Burr removal apparatus
US6609947B1 (en) * 2000-08-30 2003-08-26 Micron Technology, Inc. Planarizing machines and control systems for mechanical and/or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of micro electronic substrates
US7160173B2 (en) * 2002-04-03 2007-0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and use of same
DE10305189A1 (de) 2003-02-08 2004-02-26 Daimlerchrysler Ag Schleifteller mit Schleifscheibe für eine Rotationsschleifmaschine
US7026085B2 (en) * 2003-03-20 2006-04-11 Fuji Xerox Co., Ltd. Dry toner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er, developer and image forming method
US20070066186A1 (en) * 2005-09-22 2007-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70212985A1 (en) * 2006-03-07 2007-09-13 Boler Lewyn B Jr Wet sanding spong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using same
JP4942409B2 (ja) * 2006-07-07 2012-05-30 優一郎 新崎 ブラシ毛
US8808412B2 (en) * 2006-09-15 2014-08-19 Saint-Gobain Abrasives, Inc. Microfiber reinforcement for abrasive tools
US20080233845A1 (en) * 2007-03-21 2008-09-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s, rotationally reciprocating tools, and methods
US8662962B2 (en) * 2008-06-30 2014-03-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andpaper with non-slip coating layer and method of using
CN102039555B (zh) * 2009-10-26 2013-01-2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研磨头装置
TWI510328B (zh) * 2010-05-03 2015-12-01 Iv Technologies Co Ltd 基底層、包括此基底層的研磨墊及研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5372A (ja) * 2002-06-26 2004-01-29 Disco Abrasive Syst Ltd 研磨砥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0175B (zh) 2016-12-07
MX342789B (es) 2016-10-12
ZA201304798B (en) 2014-02-26
RU2590749C2 (ru) 2016-07-10
PL2665583T3 (pl) 2017-01-31
ES2603637T3 (es) 2017-02-28
BR112013017967A2 (pt) 2020-10-27
US20130295827A1 (en) 2013-11-07
EP2665583B1 (de) 2016-08-17
RU2013138300A (ru) 2015-02-27
KR20140020256A (ko) 2014-02-18
MX2013008366A (es) 2013-08-12
WO2012098104A1 (de) 2012-07-26
CN103370175A (zh) 2013-10-23
EP2665583A1 (de)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24021A1 (en) Diamond impregnated polishing pad with diamond pucks
EP2292379B1 (en) A method for cleaning a polished hard floor surface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US3959935A (en) Abrasive pad for grinding lenses
US20110300784A1 (en) Flexible and interchangeable multi-head floor polishing disk assembly
CA2546320C (en) Sanding element
JP4445383B2 (ja) 頑丈な密封された縁を有するサブパッド
TWI521587B (zh) 利用同時雙面拋光來拋光半導體晶圓的方法
TWI535526B (zh) 研磨物件、固定研磨物件及拋光工件表面之方法
US20170297171A1 (en) Abrasive article and related methods
KR20070085816A (ko) 연마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2661B1 (ko) 연마체
JP2007181884A (ja) 研磨布紙及びその製造法
US11185959B2 (en) Flocking sanding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70252892A1 (en) Polishing pad
US8808065B2 (en) Surface treating device
US2196079A (en) Polishing pad
JP6693768B2 (ja) 研磨方法
JP2004223684A (ja) ウェーハノッチ研磨用パッド
CN212330742U (zh) 一种柔软干湿两用打磨砂布及其安装结构
KR20120002146A (ko) 연마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549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ipping and/or Finishing Wood Surfaces
JP5276747B1 (ja) 回転砥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60633B2 (ko)
KR101019492B1 (ko) 샌딩우레탄폼
CN104416486A (zh) 打磨砂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