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277B1 - 주차지원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지원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277B1
KR101842277B1 KR1020110101578A KR20110101578A KR101842277B1 KR 101842277 B1 KR101842277 B1 KR 101842277B1 KR 1020110101578 A KR1020110101578 A KR 1020110101578A KR 20110101578 A KR20110101578 A KR 20110101578A KR 101842277 B1 KR101842277 B1 KR 10184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target area
display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273A (ko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2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aiding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보조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되며, 이 방법은 차량의 주차 시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주차목표영역을 차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지원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FOR DISPLAYING REAR VIEW TO ASSIST PARKING}
본 발명은 주차를 보조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후방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하여 주차를 보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동차의 동력 성능에 대한 소비자 만족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예로써 주차 보조를 위한 전/후방 카메라와 자동차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다. 운전자는 전방 또는 후방 주차시에 차량의 전/후방 센서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볼 수 있고,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종래에는 주차시의 이러한 장애물 인식을 위해 단순히 전방 또는 후방 장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단순한 거리 표시만을 제공하는, 제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비해 더 직관적이고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주차 보조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직관적이고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주차 보조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차량의 주차 시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주차목표영역을 차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주차목표영역까지의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구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대응시켜 복수의 다각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주차목표영역까지의 경로에 복수의 다각형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각형 각각은 일정한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보조표시기의 점멸을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목표영역에 도달하면, 정지경고표시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목표영역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각형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목표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각형에 새로운 다각형을 순차적으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멸되는 주차보조표시기에 따라 사용자의 주차를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주차보조표시기가 점멸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주차 보조 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제 주차 진행에 따라 주차보조표시기가 순차적으로 제거/추가되므로 실제와 동일하게 주차를 위한 주행 궤적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 또는 후방의 주차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10);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를 센싱하기 위한 거리측정센서(120);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검출하기 위한 TAS(Torque Angle Sensor, 130); 전방 또는 후방의 주차영역과 주차 보조를 위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40); 및 상기 카메라, 거리측정센서 또는 TAS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1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카메라(110)는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일 수 있고, 야간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일 수도 있다. 카메라(11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장면 또는 주차영역을 촬영하여 차량내의 디스플레이(140)로 제공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12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차량의 범퍼에 실장되며,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120)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120)가 측정한 거리 정보는 제어부(150)로 제공되어, 제어부(150)는 거리 정보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TAS(13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센싱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공받은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조향각을 후술할 주차보조표시기와 결합하여 차량의 주행 궤적을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차량 내에 탑재된 모니터의 일종으로 차량의 상태 또는 운행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내비게이션 또는 오디오 시스템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터치 센서가 내장되어, 운전자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110), 거리측정센서(120) 및 TAS(130)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110), 거리측정센서(120) 및 TAS(130)로부터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공받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카메라(110)가 촬영 또는 획득한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140)가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획득한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은 차량이 주차하려는 주차목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목표영역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흰색으로 표시된 주차구역 바닥면의 영역이며, 별도의 색깔 표시는 없을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촬영 또는 획득된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의 주차목표영역과 함께 또는 이와 중첩하여 주차보조표시기를 표시할 수 있다. 주차보조표시기는 차량으로부터 주차목표영역까지의 경로 또는 거리를 표시하는 가상의 표시이다. 이는 제어부에서 생성한 데이터에 해당하며, 주차보조표시기는 주차목표영역까지의 거리나 장애물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그 크기, 개수, 모양 또는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차량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영상(200)을 나타낸다. 상기 영상(200)은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획득한 주차목표영역(210)과 제어부(150)에서 생성한 주차보조표시기(220)를 나타낸 모습이다. 차량의 제어부(150)는 차량 내에 내장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차량의 제어부(150)가 사용자가 주차를 하려고 한다는 것을 인지하면,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140)에 상기 영상(20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차를 하려고 한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후진 기어로 기어를 변경했거나 사용자가 차량 내에 주차를 위한 입력 버튼 등을 누르는 동작 등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주차목표영역(210)은 주차장 바닥에 그려진 영역과 그 주변의 공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주차보조표시기(220)는 차량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주차목표영역(210)까지의 경로를 복수 개의 다각형(① 내지 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복수 개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주차보조표시기(220)는 반복적으로 점멸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다. 만약에,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여 주차목표영역(210)으로 다가가면, 해당 영역만큼의 다각형이 제거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여 주차목표영역(210)으로부터 멀어지면, 해당 영역만큼의 다각형이 추가 또는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차량 주차 의도를 인지하면, 디스플레이에 복수 개의 다각형(① 내지 ⑥)으로 구성된 주차보조표시기(220)가 표시될 수 있다. 주차가 진행되면, 다시 말하면 차량이 주차목표영역(210)으로 접근하면 차량에서 가까운 주차보조표시기(220)부터 차례대로 제거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순서대로 복수 개의 다각형 ① 부터 ⑥ 까지 제거 또는 삭제되며, 마지막 다각형인 ⑥ 까지 모두 제거 또는 삭제되고 나면, 정지경고표시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지경고표시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정지경고소리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킴에 따라, TAS(130)에 의해 감지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정보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의 회전 정보는 상기 주차보조표시기(220)와 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티어링 휠의 회전 정보에 따른 차량의 경로 또는 주행 궤적을 주차보조표시기(220)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의 경로 또는 주행 궤적을 예상할 수 있도록 주차보조표시기(220)를 스티어링 휠의 회전 정보에 따라 굴곡지게 또는 구부러지게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주차를 위해 진행하는 차량 궤적에 따라 주차보조표시기(220)를 제거 또는 추가하므로, 실제 차량이 운행되는 것과 동일하게 주차 보조를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차량의 주차 시도를 인식하는 단계(S310);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주차목표영역을 차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320);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S330); 및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주차 시도를 인식하는 단계(S310)는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시킬 것인지를 인식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후진(P) 기어로 기어변경을 하면, 이를 제어부(150)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차량에 탑재된 주차보조시스템(PAS) 등에서 이용되는 주차 구역 인식을 위한 입력 버튼을 활성화시키면, 이를 제어부(150)가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주차목표영역을 차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320)는 상기 단계(S310)에서 주차 시도가 인식되면 사용자의 주차를 보조하기 위해 차량 전방 또는 후방 카메라로 촬영한 주차목표영역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주차목표영역은 주차 구획선 등을 포함하는 차량 전방 또는 후방의 장면을 의미한다.
이어서,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S330)가 수행될 수 있다. 주차보조표시기를 표시하는 것은 도 2에서 도시하였다.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는 복수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차량으로부터 주차목표영역까지의 거리와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주차보조표시기를 나타내는 방법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주차목표영역까지의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구간마다 하나의 다각형을 대응시켜 복수의 다각형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다각형은 원근법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되어,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점점 크기가 줄어들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표시하는 단계는 차량의 TAS에 의해 획득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정보가 반영된 주차보조표시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보조표시기는 차량의 예상 운행 경로 또는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340)가 이어지며, 차량이 주차목표영역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주차보조표시기의 복수의 다각형을 차량으로부터 가까운 것부터 순차적으로 제거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주차목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표시된 복수의 다각형에 새로운 다각형을 추가 또는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실시예들은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인식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수정 등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110: 카메라 120: 거리측정센서
130: TAS(Torque Angle Sensor) 140: 디스플레이
150: 제어부

Claims (6)

  1. 차량의 주차 시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주차목표영역을 차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정지경고표시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스피커를 통해 정지경고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주차목표영역까지의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구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대응시켜 복수의 다각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주차목표영역에 주차보조표시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보조표시기의 점멸을 반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목표영역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각형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보조 디스플레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목표영역에 도달하면, 정지경고표시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보조 디스플레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보조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차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각형에 새로운 다각형을 순차적으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보조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10101578A 2011-10-06 2011-10-06 주차지원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4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78A KR101842277B1 (ko) 2011-10-06 2011-10-06 주차지원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78A KR101842277B1 (ko) 2011-10-06 2011-10-06 주차지원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73A KR20130037273A (ko) 2013-04-16
KR101842277B1 true KR101842277B1 (ko) 2018-03-26

Family

ID=4843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78A KR101842277B1 (ko) 2011-10-06 2011-10-06 주차지원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619B1 (ko) 2015-09-21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안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097A (ja) * 1999-06-25 2001-01-12 Fujitsu Ten Ltd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2001055099A (ja) * 1999-08-12 2001-02-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並列駐車時の操舵支援装置
KR100576280B1 (ko) * 2003-01-29 2006-05-0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주차지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097A (ja) * 1999-06-25 2001-01-12 Fujitsu Ten Ltd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2001055099A (ja) * 1999-08-12 2001-02-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並列駐車時の操舵支援装置
KR100576280B1 (ko) * 2003-01-29 2006-05-0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주차지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73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8445B2 (ja) 駐車支援装置
JP5187369B2 (ja) 車両用の後退駐車支援装置および後退駐車支援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5454934B2 (ja) 運転支援装置
KR101340738B1 (ko) 주차 보조 시스템
JP4682809B2 (ja) 駐車支援システム
JP5182137B2 (ja) 車両周辺表示装置
JP2007116377A (ja) 駐車支援方法及び駐車支援装置
JP4536889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WO2006016433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CN104512337A (zh) 车辆周围显示装置
JP5991112B2 (ja) 駐車支援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67169B2 (ja) 車両用駐車支援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5099195B2 (ja) 車両用の後退駐車支援装置および後退駐車支援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2023063327A (ja) 表示装置
JP2010205078A (ja) 駐車支援装置
KR101278064B1 (ko) 차량의 주차 보조 영상 제공 방법 및 그의 제공 시스템
WO2007037049A1 (ja) 車両後退運転支援装置
KR101329467B1 (ko) 주차 보조 시스템
KR101842277B1 (ko) 주차지원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CN114537521A (zh) 停车辅助设备和方法
JP5408482B2 (ja) 周辺認知支援装置
JP4457664B2 (ja) 駐車支援装置
JP5703192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4682936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6130625B2 (ja) 車両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