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350B1 -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 Google Patents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350B1
KR101841350B1 KR1020160084631A KR20160084631A KR101841350B1 KR 101841350 B1 KR101841350 B1 KR 101841350B1 KR 1020160084631 A KR1020160084631 A KR 1020160084631A KR 20160084631 A KR20160084631 A KR 20160084631A KR 101841350 B1 KR101841350 B1 KR 10184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obesity
fabp4
adipocyte
fabp5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918A (ko
Inventor
김용희
김형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350B1/ko
Priority to CN201780054163.XA priority patent/CN109844122B/zh
Priority to PCT/KR2017/006963 priority patent/WO2018008903A1/ko
Priority to EP17824459.6A priority patent/EP3483275B1/en
Priority to US16/315,346 priority patent/US10940215B2/en
Publication of KR2018000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0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 A61K48/002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wherein the non-active part clearly interacts with the delivered nucle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0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 A61K48/0016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wherein the nucleic acid is delivered as a 'naked' nucleic acid, i.e. not combined with an entity such as a cationic lip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30Chemical structure
    • C12N2310/35Nature of the modification
    • C12N2310/351Conjugate
    • C12N2310/3513Protein; 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20/00Applications; Uses
    • C12N2320/30Spe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 C12N2320/31Combination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30/00Production
    • C12N2330/50Biochemical production, i.e. in a transformed host cell
    • C12N2330/51Specially adapted v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10/00Vectors comprising a targeting moiety
    • C12N2810/50Vectors comprising as targeting moiety peptide derived from defined protein
    • C12N2810/80Vectors comprising as targeting moiety peptide derived from defined protein from vertebrates
    • C12N2810/85Vectors comprising as targeting moiety peptide derived from defined protein from vertebrates mammalia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30/00Vector systems having a special element relevant for transcri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30/00Vector systems having a special element relevant for transcription
    • C12N2830/20Vector systems having a special element relevant for transcription transcription of more than one cistron

Abstract

본 발명은 sh(FABP4 + FABP5)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방세포 표적 서열; R9 (아르기닌) 펩타이드; 및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를 포함하는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로서,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는 FABP4 유전자 및 FABP5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염기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만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FABP4 유전자 및 FABP5 유전자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지방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하는 소정 전달체에 결합시켜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제공함으로써, 지방세포만을 대상으로 세포 독성 없이 우수한 비만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Adipocyte targeting non-viral gene delivery composite comprising dual plasmid vector}
본 발명은 sh(FABP4 + FABP5)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단백질 치료의 대안으로서 다양한 유전자 치료 기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해결해야 하는 여러 문제점들이 존재하는 바, 그 중 하나는 최소 세포독성을 가지고 원형질막 (동물세포) 및 핵막을 통한 효율적인 유전자 유입 (influx)을 달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유전자 치료 시스템은 크게 바이러스성 벡터-매개 시스템 및 비바이러스성 벡터-매개 시스템으로 분류될 수 있다. 레트로바이러스 (retrovirus) 또는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등을 이용하여 만든 바이러스성 벡터는 세포 내로의 높은 형질 주입 (트랜스펙션, transfection) 효율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in vivo에서 면역원성의 문제 및 유전자 재조합과 같은 내재적 문제점 등을 갖는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벡터의 안정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중합체성 유전자 전달 시스템이 전통적인 바이러스성 벡터-기재 유전자 전달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중합체성 벡터는 엔도좀 탈출 (endosomal escape) 및 핵 편재화 (nuclear localization)와 같은 세포내 트래피킹 (trafficking) 장벽을 갖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성 벡터의 경우 면역반응, 자가복제, 체내 안정성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일반적인 중합체성 고분자 벡터의 경우 생체 적합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세포 및 생체 독성이 크고 핵산 전달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합성 펩타이드에 기초한 유전자 전달 시스템은, 낮은 pH에서 엔도좀 막 내에서의 누출을 야기시킴으로써 DNA를 응축시키고, 또한 엔도좀 탈출을 촉진하므로 중합체성 유전자 전달 시스템과 관련된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합성 펩타이드가 in vitro에서 여러 세포주에서의 유전자 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역시 in vivo 적용에 있어서 독성 및 혈청 불안정성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짧은 양이온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벡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 경우 세포외 공간에서 DNA가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DNA와의 복합체의 안정성 및 유전자 발현의 수준 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 특정 세포로의 타겟팅 능력을 보유하여 DNA의 표적 세포 내로의 유입 및 복합체로부터의 DNA의 유리를 원활히 하여 목적 유전자 발현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특정 세포 특이적인 유전자 전달 벡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표적 세포가 지방세포, 특히 성숙된 비만 지방세포인 경우에는, 이러한 세포가 최종적으로 분화된 세포이므로 형질주입 (트랜스펙션)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지방세포에 대한 형질주입을 위해서 전기천공법을 사용한 연구도 보고된 바 있으나, 트랜스펙션 효율은 겨우 약 10% 정도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in vivo 유전자 전달 시스템에서의 상기 방법은 지방 조직 선택적 표적 전달이 시도된 바 없다.
관련해서, 본 발명자들은 지방세포 표적 서열 (adipocyte targeting sequence, ATS) 및 특정 펩타이드 서열의 복합체가 성숙 지방 세포 내에서 발현되어 있는 프로히비틴과 결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지방세포로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비바이러스성 지방세포 표적 유전자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고한 바 있다 (특허문헌 1). 예를 들어, 상기 문헌에서는, ATS 서열 및 R9 서열의 복합체에 지방산 결합 단백질 (fatty acid binding protein, FABP)을 암호화하는 FABP4 유전자를 shRNA의 형태로 결합시킨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서술하고 있다.
관련하여, 현재까지 9종의 FABP 유전자들이 보고된 바 있으며, 그 중에서도 FABP4는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산의 반입 및 저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술한 특허문헌 1에서도 shFABP4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지방세포 내에서 FABP4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비만 치료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였으나, 충분한 체중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비바이러스성 지방세포 표적 유전자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비만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90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방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를 사용하여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용 유전자를 전달함으로써 비만 관련 질환을 치료함에 있어서, 세포 독성 없이 우수한 비만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방세포 표적 서열; R9 (아르기닌) 펩타이드; 및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를 포함하는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로서,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는 FABP4 유전자 및 FABP5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염기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염기 서열은 DNA 또는 RNAi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RNAi는 siRNA 또는 shRN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 :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 및 상기 R9 펩타이드의 중량비는 1:1 내지 1: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 :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 및 상기 R9 펩타이드의 중량비는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서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R9 (아르기닌) 펩타이드는 Cys-(D-R)9-Cys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방세포는 분화된 성숙 비만 지방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만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FABP4 유전자 및 FABP5 유전자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지방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하는 소정 전달체에 결합시켜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제공함으로써, 지방세포만을 대상으로 세포 독성 없이 우수한 비만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sh(FABP4 + FABP5) 플라스미드와 ATS-9R의 중량비에 따른 겔 저지 분석 결과 및 복합체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GAPDH에 대한 상대적인 FABP4 mRNA와 FABP5 mRNA 수준을 RT-PCR을 통해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C57BL6/6N 마우스에 shFABP4/ATS9R, shFABP5/ATS9R, shFABP4/ATS9R + shFABP5/ATS9R 및 sh(FABP4/FABP5)/ATS9R를 투여한 다음, 각 투여군 별로 시간에 따른 몸무게를 관찰한 그래프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3b는 마우스의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독성 및 염증반응을 웨스턴블랏을 통해서 검사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의는 하기와 같다.
"유전자"는 단백질 코딩 또는 전사시에 또는 다른 유전자 발현의 조절시에 기능적 역할을 갖는 임의의 핵산 서열 또는 그의 일부를 의미한다. 유전자는 기능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모든 핵산 또는 단백질을 코딩 또는 발현하는 핵산의 일부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핵산 서열은 엑손, 인트론, 개시 또는 종료 영역, 프로모터 서열, 다른 조절 서열 또는 유전자에 인접한 특유한 서열 내에 유전자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 (polynucleotide)" 또는 "핵산 (nucleic acid)"이라는 용어는 리보뉴클레오티드 뿐만 아니라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등 온갖 길이의 뉴클레오티드 중합체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분자의 1차적 구조만을 의미하고, 따라서 이중 또는 단일 사슬의 DNA 또는 RNA를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변형의 알려진 유형, 예를 들어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표지 (label), 메틸화, "caps", 유사체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자연 발생의 뉴클레오티드 치환, 탈결합 (예: methyl phosphonate, phosphotriester, phosphoamidate, carbarnate 등)과 결합 (예: phosphorothioate, phosphorodithioate 등), 단백질 (예: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신호 펩티드(signal peptide), poly-Llysine 등) 등의 부속물을 포함하는 것, 삽입물 (예: 아크리딘, Psolalen 등)을 가지는 것, 킬레이트 (예: 금속원소, 방사성 금속원소, 붕소, 산화 금속원소 등)를 가지는 것, 알킬 화합물을 가지는 것, 변형된 결합 (예: alpha anomeric 핵산 등)을 가지는 것, 또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비변형을 포함한 뉴클레오티드간 변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핵산 부분은 게놈 (genome)의 파편과 짧은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결합자 또는 일련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 오페론 (operon)이나 진핵세포 유전자로부터 유도된 조절인자 (regulatory element)를 포함하는 재조합 전사 단위로 발현될 수 있는 합성 핵산을 제공하는 특유의 뉴클레오티드들로 뭉쳐질 것이다.
"벡터 (vector)"라는 용어는 다른 핵산을 그것이 연관된 곳으로 운반할 수 있는 핵산 분자를 의미한다. "발현 벡터 (expression vector)"라는 용어는 벡터에 의해 운반된 각각의 재조합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cosmid) 또는 파지 (phage)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벡터는 연관된 핵산의 자가복제와 발현이 가능한 것이다.
"트랜스펙션 (transfection)"은 배양동물 세포에 핵산 (DNA, PNA 등)을 직접 도입하여 세포 내에서 유전형질을 발현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대상이 식물 세포일 때는 세포벽을 제거하고 원형질체로 도입하는 경우도 많다. 도입한 핵산은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등의 매개체에 넣어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도입한 유전자가 세포에서 안정화된 경우는 염색체에 끼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핵산을 도입한 세포를 형질 도입체라고 한다. 형질주입 효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을 개발되었는 바, 그 중에서도 인산칼슘공침법, DEAE-텍스트란처리법. 전기천공법, 재분포법 (리포솜이라는 인공막과 DNA복합체를 만들게 하는 세포와 융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잔기"는 천연 아미노산, 비천연 아미노산, 및 변형된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아미노산에 대한 모든 언급은, 일반적으로 또는 명칭에 따라 특이적으로, D 및 L 입체이성질체 (구조가 이같은 입체이성질체 형태를 허용하는 경우) 양쪽 모두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천연 아미노산에는 알라닌 (Ala), 아르기닌 (Arg), 아스파라긴 (Asn), 아스파르트산 (Asp), 시스테인 (Cys), 글루타민 (Gln), 글루탐산 (Glu), 글리신 (Gly), 히스티딘 (His), 이소류신 (Ile), 류신 (Leu), 라이신 (Lys), 메티오닌 (Met), 페닐알라닌 (Phe), 프롤린 (Pro), 세린 (Ser), 트레오닌 (Thr), 트립토판 (Trp), 타이로신 (Tyr) 및 발린(Val)이 포함된다. 비천연 아미노산에는 N-말단 아미노기 또는 측쇄기 상에서 화학적으로 변형된, 또는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화학적으로 차단된 변형 아미노산 잔기, 예를 들어, N-메틸화 D 및 L 아미노산 또는 측쇄 관능기가 또 다른 관능기로 화학적으로 변형된 잔기가 포함된다.
"담체, 캐리어 (carrier) 또는 전달체"는, 생물체 내에 있는 활성물질이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존재하는 경우, 또는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인 운반체 수송을 담당하는 고분자 물질을 총칭한다. 담체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산과 같은 완충제,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 저분자량 폴리펩티드 (약 10 잔기 미만),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단백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폴리머,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 단당류, 이당류 및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다른 탄수화물, EDTA와 같은 킬레이트화제,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당알코올, 나트륨과 같은 염-형성 반대이온 (salt-forming counterion), 및/또는 TWEEN,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및 PLURONICS 같은 무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치료"는 임상 결과를 포함하여 이로운 또는 원하는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접근법이다.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 또는 "완화"는, 장애를 치료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병태, 장애 또는 질환 상태의 정도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 징후가 적어지고/적어지거나 경시적인 진행 추이가 느려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비만 치료에서, 체중 감소, 예를 들어, 적어도 5%의 체중 감소는 바람직한 치료 결과의 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 결과는, 검출가능 또는 검출불능 여부와 상관없이, 1 가지 이상의 증상의 경감 또는 개선, 질환 정도의 축소, 질환의 안정화된 (즉, 악화되지 않는) 상태,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감속, 질환 상태의 개선 또는 완화, 및 진정 (부분적 또는 전체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에 예상되는 생존과 비교하여 생존을 연장시키는 것을 또한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치료는 1회 용량의 투여에 의해 발생할 필요가 없고, 일련의 용량의 투여 시에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치료상 유효량, 완화에 충분한 양, 또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에 충분한 양이 1회 이상의 투여로 투여될 수 있다.
"질환 (disorder)"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유전자도입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동정되는 분자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어떤 상태이다. 이것은 포유류를 의문의 질환에 걸리기 쉽게 하는 병리학적 조건들을 포함한 만성과 급성 질환들 또는 질병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루어질 질병들의 예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비만, 대사 증후군 증상 등이다.
"치료상 유효량"은 치료될 장애의 증상의 경감이 포함되는,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학자에 의해 추구되는 조직, 시스템, 대상 또는 인간에서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응답을 도출할 조성물 내의 활성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예방적 유효량"은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장애, 병태 또는 질환 위험이 있는 대상에서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장애, 병태 또는 질환의 발병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학자에 의해 추구되는, 조직, 시스템, 대상 또는 인간에서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응답을 도출할 조성물 내의 활성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유전자 치료 (gene therapy)"는 돌연변이를 일으킨 유전자를 정정하여 유전병을 치료하거나, 유전자 혹은 RNAi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즉, 환자의 세포에 외부에서 정상 유전자를 이식하여 그 세포의 표현형을 변화시킴으로써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유전자 치료에는 체내에 유전자를 이입하는 유전자 벡터, 시스템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제시된 단계 또는 원소, 또는 단계 또는 원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원소, 또는 단계 또는 원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 비만 관련 질병에 대한 치료제의 만족스럽지 못한 치료 효과를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보고된 바 있는 ATS 서열, R9 서열 및 shFABP4 유전자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유전자 전달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즉, 상기 지방세포 표적 유전자 전달 시스템에 의해서 표적 지방세포에서 FABP4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만족스러운 수준의 비만 치료 효과가 관찰되지는 못하였는 바,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결과가 표적 지방세포에서의 보상 효과 (compensation effect)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 전달 시스템에 의해서 표적 지방세포에 shFABP4 유전자가 전달되면, 표적 지방세포 내의 FABP4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서 세포 내 FABP4 단백질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지방세포 내로 지방산을 반입하고 저장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FABP4 단백질의 감소로 인해서 비만 치료 효과가 달성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예상한 만큼 만족스런 수준의 비만 치료 효과가 달성되지는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FABP4와 더불어 비만 유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FABP5 유전자의 발현량이 FABP4 유전자의 발현량 감소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는 바,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인 비만 치료를 위해서는 FABP4 유전자 및 FABP5 유전자의 발현량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밝혀 내었다.
한편, 기존 유전자 전달 시스템은 하나의 유전자만을 전달하는 유전자 전달 시스템인 관계로, 두 가지 유전자를 동시에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유전자들에 대해서 두 배의 유전자 전달체를 필요한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특정 유전자들의 전달을 위해서 유전자 전달체의 양을 증가시킬 경우, 세포 독성 야기의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 (dual plasmid vector)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억제 대상이 되는 두 가지 유전자를 하나의 플라스미드 내에 삽입하여 해당 플라스미드를 대상 세포에 전달하는 경우, 두 가지 유전자의 억제가 동시에 달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방세포 표적 서열; R9 (아르기닌) 펩타이드; 및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를 포함하는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로서,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는 FABP4 유전자 및 FABP5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염기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제공한다.
하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사용하여 FABP4 유전자 및 FABP5 유전자를 동시에 억제함으로써, 단일 유전자 억제에 의한 것보다 더욱 탁월한 비만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었으며, 비만 조직 내의 염증 감소 효과도 거둘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 (adipocyte targeting sequence, ATS) 및 R9 (아르기닌) 펩타이드는 치료 유전자를 지방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는 ATS 및 폴리(올리고-아르기닌), 특히 R9 (아르기닌)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로서, 상기 ATS-R9 서열은 지방 세포 내의 프로히비틴 (prohibitin)과 결합함으로써 지방 세포에 특이적으로 치료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의 구성 성분들 중, 상기 ATS 및 R9 (아르기닌) 펩타이드에 관련된 세부내용들은 본 발명자들에 의한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1402호에 그 내용이 상세히 서술되어 있으며, 해당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발명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가 전달하는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로는 표적이 되는 지방 세포 내에서 발현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임의의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고, DNA와 RNA 및 이들의 합성동종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폴리펩타이드 (효소, 호르몬,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 리셉터, 구조 단백질 등), 안티센스 RNA, 리보자임, 디코이, RNA 간섭을 일으키는 RNA 등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gDNA, cDNA, pDNA, mRNA, tRNA, rRNA, siRNA, miRNA, 안티고미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자연에 존재하거나 합성될 수 있으며, 크기에 있어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서 크로모좀까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유전자는 인간, 동물, 식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기원된다. 이들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폴리펩타이드에는 각종 호르몬, 조직접합성 항원, 세포 부착 단백질, 사이토카인, 각종 항체, 세포 수용체, 세포 내 또는 세포 외 효소 및 이들의 절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만 및 비만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 발현 조절 인자, 예를 들면 전사 프로모터, 인헨서, 사일렌서, 오퍼레이터, 터미네이터, 어테뉴에이터 및 기타 발현조절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로는 바람직하게는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 증후군의 치료 또는 진단과 관련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한다. 특히,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는 비만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효과를 가지는 RNA 간섭 (RNAi)인 것이 바람직하다.
RNA 간섭 (RNAi)은 이중 나선의 짧은 간섭 RNA (siRNA)에 의해 대상 유전자의 발현을 특이적으로 하향 조절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자연적인 기작이다. RNAi를 매개하는 RNAi 시약의 타입에 대한 예로는 예를 들어, siRNA 또는 miRNA (마이크로RNA) 또는 소형 헤어핀 RNA (shRNA)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hRNA로는, FABP4 유전자 및 FABP5의 유전자의 발현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sh(FABP4+FABP5)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RNAi의 투여에 효과적인 투여량 및 계획은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당업자가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단일 또는 다중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 성분, 즉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 및 상기 R9 펩타이드의 중량비 역시 비만 치료의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 :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 및 상기 R9 펩타이드의 중량비는 1:1 내지 1:4,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일 수 있다.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 및 상기 R9 펩타이드의 중량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와 잘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체의 크기가 너무 커져서 세포 내로의 유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는 ATS 및 R9 (아르기닌)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바, 이는 R9 (아르기닌)이 지방세포 표적 서열(ATS)과 결합하고 있는 구조이다 (ATS-R9). 지방세포 표적 서열 (adipocyte targeting sequence, ATS)은 공지의 ATS 서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Nature medicine, 2004 June], 바람직하게는 하기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열번호 2: CKGGRAKDC
본 발명자들에 의한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1402호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ATS-R9은 지방 세포 내 프로히비틴 (prohibitin)과 결합하는 바, 프로히비틴은 지방세포를 지지하는 혈관의 내피세포에서 과발현되는 수용체로서, 성숙 지방세포 및 전구 지방세포 모두에 존재하는 ATS 수용체이다. 프로히비틴은 특히 비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지방 조직 혈관에서 높게 발현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분화 전과 비교하여 핵 및 마이토콘드리아에서 원형질막으로 이동하여 분포하는 특성은 프로히비틴이 비만에 대한 잠재적인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기 프로히비틴은 전구 지방세포에서 원형질막에 적게 분포하며 상대적으로 핵 및 마이토콘드리아에 높게 위치하지만, 분화된 지방세포에서는 핵 및 마이토콘드리아에 위치하던 프로히비틴이 원형질막으로 이동하여 높게 발현된다. 즉, 프로히비틴은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과발현된다. 본 발명의 ATS-R9는 프로히비틴-매개 메커니즘을 통해 지방 세포 내로 위치하게 된다. 즉, 지방세포 타겟팅에서는 ATS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목적 유전자 발현 정도는 지방세포 내에서의 프로히비틴 발현 수준에 의존적이다.
특히, 상기 프로히비틴은 분화 전 지방세포보다 분화 후 성숙 지방세포에서 과다 발현되므로, 본 발명의 ATS-R9는 분화된 성숙 비만 지방세포를 직접적으로 타겟팅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분화 개시 9 내지 11일 된 성숙된 비만 지방세포에 대한 타겟팅능이 가장 우수하며, 본 발명에서 "성숙 지방세포"와 "비만 지방세포"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R9 (아르기닌) 펩타이드는 Cys-(D-R)9-Cys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ATS-R9 복합체는 i) 지방 세포에 내재하는 프로히비틴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우수한 트랜스펙션 및 유전자 발현 효율을 나타내고; ii) 전달된 유전자의 발현 효율 (transgene expression efficiency)을 향상시키며; iii) DNA와 결합하여 나노 크기의 복합체를 형성하면서 양의 제타 포텐셜 값을 갖는 바, 용이하게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iv) 매우 낮은 세포 독성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세포 배양, 펩타이드 준비, 세포 염색, 공초점 현미경 관찰, 경쟁 분석, 겔 지연 분석, 제타 포텐셜 및 크기 측정, in vitro 트랜스펙션 효율 측정, in vitro 세포독성 분석, 마우스 모델에서의 비만 유도, in vivo 지방 표적화, 전구 지방 세포의 분화, 지방세포로의 내재화 능력 평가, 분화 정도에 따른 지방세포 표적화능의 확인, 다양한 세포들에서의 프로히비틴 발현 확인, 및 제조된 올리고-펩토플렉스의 물리적 및 생물학적 특성 측정 등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1402호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하였으며, 상기 특허출원의 내용은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실시예 1. sh ( FABP4 + FABP5 )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의 제작
sh(FABP4 + FABP5)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제작하기 위해서, 두 가지 shRNA들의 발현을 위한 이중 RNA PolIII 카세트 벡터인 psiRNA-DUO (InvivoGen, USA)를 사용하였으며, 구체적 제작 과정은 하기와 같다.
동결된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튜브를 회전시켜서 DNA를 침전시켰으며, 1 ㎍/㎕의 플라스미드 용액을 얻기 위해서 상기 얻어진 DNA를 20 ㎕의 살균수에 재현탁하였고, 재현탁된 플라스미드를 -20 ℃에서 저장하였다.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재현탁된 E. coli에 형질전환시킴으로써 플라스미드 증폭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psiRNA-DUO 플라스미드를 제한효소인 Bbs I (NEB, 2 units enzyme/μg plasmid DNA)으로 처리하고, 0.7% 저융점 아가로오스 겔을 사용하여 큰 단편 (3180 bp)을 용리시킨 다음, 정제된 DNA 단편을 희석시켜 0.1 ㎍/㎕의 용액을 수득하였다 (Gus 카세트). 또한, psiRNA-DUO 플라스미드를 Acc 65I 및 Hind III (with NEB 효소, NEBuffer 2 + BSA 사용)로 처리하고, 큰 단편 (3150 bp)을 0.7% 저융점 아가로오스 겔을 사용하여 용리시킨 다음, 정제된 DNA 단편을 희석시켜 0.1 ㎍/㎕의 용액을 수득하였다 (LacZ 카세트).
psiRNA-DUO 내로 sh(FABP4 + FABP5)를 클로닝하기 위해서는 psiRNA-DUO를 Acc65 I, Hind III 및 Bbs I으로 동시에 처리하고, 두 가지 psiRNA-DUO 절편들 (Hind III/Bbs I 및 Bbs I/Acc65 I)과 두 가지 shRNA 인써어트들과 함께 라이게이션하는 1 스텝 과정을 사용하거나, 또는 첫 번째 shRNA 인써어트를 클로닝한 다음, 나머지 두 번째 shRNA 인써어트를 클로닝하는 2 스텝 과정을 사용하였다. 클로닝 상세과정은 InvivoGen사로부터의 psiRNA-DUO 사용 매뉴얼을 참고할 수 있다 (Catalog # ksirna4-gz3).
실시예 2. sh ( FABP4 + FABP5 ) 플라스미드와 ATS-9R의 함량비 최적화
sh(FABP4 + FABP5) 플라스미드와 ATS-9R의 함량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겔 저지 분석방법 (gel retardation assay)을 사용하였는 바, 1 ㎍의 DNA, 탈이온수 및 ATS-9R을 다양한 중량비로 30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하여 올리고-펩토플렉스 (oligo-peptoplex)를 제작하였다. 상기 올리고-펩토플렉스의 평균 직경 및 표면 제타 포텐셜을 Zetasizer-Nano ZS(Malven Instruments,UK) DL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a 및 1b에는 sh(FABP4 + FABP5) 플라스미드와 ATS-9R의 중량비에 따른 겔 저지 분석 결과 및 복합체의 크기를 도시하였으며, 도 1b를 참조하면, sh(FABP4 + FABP5) 플라스미드 : ATS-9R의 중량비가 1:2인 경우에 최적의 크기가 도출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가 트랜스펙션된 지방 세포의 FABP4 및 FABP5 발현량 확인
마우스 유래 비만 세포인 3T3-L1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킨 다음, 분화된 지방세포에 scrambled shFABP4+ATS9R, shFABP4+ATS9R, shFABP5+ATS9R, sh(FABP4/FABP5)+ATS9R를 처리하고 48 시간 후에 세포에서 RNA만을 RNeasy Lipid tissue Mini 키트 (Qiagen)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cDNA를 합성하였다. 그 후, Cyber premix EX taq RT-PCR 키트를 이용하여 내생 대조군 (endogenous control)인 GAPDH에 대한 상대적인 FABP4, FABP5 mRNA 수준을 RT-PCR을 통해서 측정하였다. 도 2a 및 2b에는 측정 결과를 도시하였으며,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인 비트로 실험을 통한 성숙 지방세포에서 실제적으로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인 sh(FABP4/FABP5)+ATS9R을 처리하였을 때 FABP4, FABP5의 mRNA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ABP4를 감소시켰을 때 (shFABP4+ATS9R)군에서 FABP5 mRNA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바, 최적의 비만 억제 치료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FABP4 및 FABP5를 동시에 억제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동물 실험을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의 비만 치료 효과 확인
C57BL6/6N 마우스를 60 kcal 고지방 다이어트 사료를 먹이고 2~3달 정도 사육한 후, 몸무게가 45g 이상 나가는 마우스만 선별하여 일주일에 2번씩 IP 주사법으로 shFABP4/ATS9R, shFABP5/ATS9R, shFABP4/ATS9R + shFABP5/ATS9R 및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인 sh(FABP4/FABP5)/ATS9R를 투여하였다. 도 3a에는 각 투여군 별로 시간에 따른 몸무게를 관찰한 그래프를 도시하였으며, 도 3a를 참조하면 나머지 군들에서는 체중 감소 효과가 크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투여한 군의 경우에는 8주 후에 약 20%의 몸무게 감소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의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독성 및 염증반응을 웨스턴블랏을 통해서 검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pH 8.0의 10 mM Tris-HCl, 1 mM EDTA, 140 mM NaCl, 0.1% SDS, 0.1%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 Triton X-100 및 프로테아제 저해제 칵테일을 포함하는 RIPA 완충용액에 용균을 진행하고, 그 후 15분 동안 4 ℃에서 배양한 다음, 4 ℃에서 원심분리를 14,000 g 속도로 15분 동안 진행한 뒤 상층액을 샘플로 사용하였다. 샘플은 SDS-PAGE로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PVDF)에 옮겨서 웨스턴블랏을 진행하였다.
도 3b에는 웨스턴블랏 결과를 도시하였으며, 도 3b를 참조하면, 다른 군들에 비해서 sh(FABP4/FABP5)+ATS9R을 처리한 군에서 염증 지표인 TNF-α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120> Adipocyte targeting non-viral gene delivery composite comprising dual plasmid vector <130> JKP-0382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60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Vector <400> 1 cctgcaggcg ttacataact tacggtaaat ggcccgcctg gctgaccgcc caacgacccc 60 cgcccattga cgtcaataat gacgtatgtt cccatagtaa cgccaatagg gactttccat 120 tgacgtcaat gggtggagta tttacggtaa actgcccact tggcagtaca tcaagtgtat 180 catatgccaa gtacgccccc tattgacgtc aatgacggta aatggcccgc ctggcattat 240 gcccagtaca tgaccttatg ggactttcct acttggcagt acatctacgt attagtcatc 300 gctattacca tgatgatgcg gttttggcag tacatcaatg ggcgtggata gcggtttgac 360 tcacggggat ttccaagtct ccaccccatt gacgtcaatg ggagtttgtt ttgactagta 420 aatcaacggg actttccaaa atgtcgtaac aactccgccc cattgacgca aatgggcggt 480 aggcgtgtac ggtgggaggt ctatataagc agagctcgtt tagtgaaccg tcagatcagc 540 ttcgaggggc tcgcatctct ccttcacgcg cccgccgccc tacctgaggc cgccatccac 600 gccggttgag tcgcgttctg ccgcctcccg cctgtggtgc ctcctgaact gcgtccgccg 660 tctaggtaag tttaaagctc aggtcgagac cgggcctttg tccggcgctc ccttggagcc 720 tacctagact cagccggctc tccacgcttt gcctgaccct gcttgctcaa ctctacgtct 780 ttgtttcgtt ttctgttctg cgccgttaca gatccaagcc accatggttt ctaagggaga 840 agaactcttt actggtgttg tcccaattct ggttgagctg gatggtgatg tgaatggcca 900 caaattctct gtgtctggtg aaggtgaagg agatgcaact tatggaaagc tgactctgaa 960 gttcatttgt acaacaggaa agctgccagt gccttggcca actctggtga ccaccctgac 1020 ttatggtgtt caatgtttca gcagataccc tgaccacatg aagcagcatg acttctttaa 1080 atctgcaatg ccagaaggtt atgttcagga gaggacaatc ttctttaagg atgatggaaa 1140 ttataagaca agggcagaag tgaagtttga aggtgataca ctggttaaca gaattgagct 1200 gaaaggcatt gattttaagg aagatggaaa cattctgggt cacaagctgg agtacaacta 1260 taattctcac aatgtttaca ttatggcaga taagcagagg aatggaatta aggctaattt 1320 caagattaga cacaacattg aggatggatc tgtccaactg gcagaccatt accagcagaa 1380 cacccctatt ggtgatggcc cagttctcct cccagataat cactatctca gcactcaatc 1440 tgctctgtcc aaagacccta atgagaaaag agaccacatg gtcctcctgg agtttgtgac 1500 agcagcagga attactctgg gaatggatga gctgtacaag ggtaagtcac tgactgtcta 1560 tgcctgggaa agggtgggca ggagatgggg cagtgcagga aaagtggcac tatgaaccca 1620 ctagtttgac aattaatcat aagcatagta taatacaact cactatagca attgtactaa 1680 ccttcttctc tttcctctcc tgacaggagg agccatcatg gccaaactca cttctgcagt 1740 cccagtcctc acagcaaggg atgttgcagg ggctgtagag ttctggactg acagattagg 1800 attctccaga gactttgttg aagatgattt tgctggtgtt gtcagagatg atgtcaccct 1860 cttcatctca gcagttcagg accaagttgt ccctgacaac acccttgctt gggtctgggt 1920 cagaggccta gatgagcttt atgcagaatg gtcagaagta gtcagcacaa atttcaggga 1980 tgcctctggc ccagccatga cagaaattgg tgaacaacct tggggaaggg aatttgccct 2040 cagagaccct gctggaaatt gtgtccattt tgtagctgag gaacaggact aaagctagaa 2100 gctcgctttc ttgctgtcca atttctatta aaggttcctt tgttccctaa gtccaactac 2160 taaactgggg gatattatga agggccttga gcatctggat tctgcctaat aaaaaacatt 2220 tattttcatt gcaatgatgt atttaaatta tttctgaata ttttactaaa aagggaatgt 2280 gggaggtcag tgcatttaaa acataaagaa atgaagagct agttcaaacc ttgggaaaat 2340 acactatatc ttaaactcca tgaaagaagg tgaggctgca aacagctaat gcacattggc 2400 aacagcccct gatgcctatg ccttattcat ccctcagaaa aggattcaag tagaggcttg 2460 atttggaggt taaagttttg ctatgctgta ttttaattaa cgttctgcag tatttagcat 2520 gccccaccca tctgcaaggc attctggata gtgtcaaaac agctggaaat caagtctgtt 2580 tatctcaaac tttagcattt tgggaataaa tgatatttgc tatgctggtt aaattagatt 2640 ttagttaaat ttcctgctga agctctagta tgataagtaa cttgacctaa gtgtaaagtt 2700 gagatttcct tcaggtttat atagtcccta tcagtgatag agacctcggt cttcacctga 2760 ggtttttcaa aagtagttga caattaatca tcggcatagt atatcggcat agtataatac 2820 gactcactat aggagggcca ccatggtccg tcctgtagaa accccaaccc gtgaaatcaa 2880 aaaactcgac ggcctgtggg cattcagtct ggatcgcgaa aactgtggaa ttgatcagcg 2940 ttggtgggaa agcgcgttac aagaaagccg ggcaattgct gtgccaggca gttttaacga 3000 tcagttcgcc gatgcagata ttcgtaatta tgcgggcaac gtctggtatc agcgcgaagt 3060 ctttataccg aaaggttggg caggccagcg tatcgtgctg cgtttcgatg cggtcactca 3120 ttacggcaaa gtgtgggtca ataatcagga agtgatggag catcagggcg gctatacgcc 3180 atttgaagcc gatgtcacgc cgtatgttat tgccgggaaa agtgtacgta tcaccgtttg 3240 tgtgaacaac gaactgaact ggcagactat cccgccggga atggtgatta ccgacgaaaa 3300 cggcaagaaa aagcagtctt acttccatga tttctttaac tatgccggaa tccatcgcag 3360 cgtaatgctc tacaccacgc cgaacacctg ggtggacgat atcaccgtgg tgacgcatgt 3420 cgcgcaagac tgtaaccacg cgtctgttga ctggcaggtg gtggccaatg gtgatgtcag 3480 cgttgaactg cgtgatgcgg atcaacaggt ggttgcaact ggacaaggca ctagcgggac 3540 tttgcaagtg gtgaatccgc acctctggca accgggtgaa ggttatctct atgaactgtg 3600 cgtcacagcc aaaagccaga cagagtgtga tatctacccg cttcgcgtcg gcatccggtc 3660 agtggcagtg aagggcgaac agttcctgat taaccacaaa ccgttctact ttactggctt 3720 tggtcgtcat gaagatgcgg acttacgtgg caaaggattc gataacgtgc tgatggtgca 3780 cgaccacgca ttaatggact ggattggggc caactcctac cgtacctcgc attaccctta 3840 cgctgaagag atgctcgact gggcagatga acatggcatc gtggtgattg atgaaactgc 3900 tgctgtcggc tttaacctct ctttaggcat tggtttcgaa gcgggcaaca agccgaaaga 3960 actgtacagc gaagaggcag tcaacgggga aactcagcaa gcgcacttac aggcgattaa 4020 agagctgata gcgcgtgaca aaaaccaccc aagcgtggtg atgtggagta ttgccaacga 4080 accggatacc cgtccgcaag gtgcacggga atatttcgcg ccactggcgg aagcaacgcg 4140 taaactcgac ccgacgcgtc cgatcacctg cgtcaatgta atgttctgcg acgctcacac 4200 cgataccatc agcgatctct ttgatgtgct gtgcctgaac cgttattacg gatggtatgt 4260 ccaaagcggc gatttggaaa cggcagagaa ggtactggaa aaagaacttc tggcctggca 4320 ggagaaactg catcagccga ttatcatcac cgaatacggc gtggatacgt tagccgggct 4380 gcactcaatg tacaccgaca tgtggagtga agagtatcag tgtgcatggc tggatatgta 4440 tcaccgcgtc tttgatcgcg tcagcgccgt cgtcggtgaa caggtatgga atttcgccga 4500 ttttgcgacc tcgcaaggca tattgcgcgt tggcggtaac aagaaaggga tcttcactcg 4560 cgaccgcaaa ccgaagtcgg cggcttttct gctgcaaaaa cgctggactg gcatgaactt 4620 cggtgaaaaa ccgcagcagg gaggcaaaca ataatagcta gaggaagact ttttggaaaa 4680 gattaaaaac ccgcttcggc gggttttttt atgcatgtga gcaaaaggcc agcaaaaggc 4740 caggaaccgt aaaaaggccg cgttgctggc gtttttccat aggctccgcc cccctgacga 4800 gcatcacaaa aatcgacgct caagtcagag gtggcgaaac ccgacaggac tataaagata 4860 ccaggcgttt ccccctggaa gctccctcgt gcgctctcct gttccgaccc tgccgcttac 4920 cggatacctg tccgcctttc tcccttcggg aagcgtggcg ctttctcata gctcacgctg 4980 taggtatctc agttcggtgt aggtcgttcg ctccaagctg ggctgtgtgc acgaaccccc 5040 cgttcagccc gaccgctgcg ccttatccgg taactatcgt cttgagtcca acccggtaag 5100 acacgactta tcgccactgg cagcagccac tggtaacagg attagcagag cgaggtatgt 5160 aggcggtgct acagagttct tgaagtggtg gcctaactac ggctacacta gaagaacagt 5220 atttggtatc tgcgctctgc tgaagccagt taccttcgga aaaagagttg gtagctcttg 5280 atccggcaaa caaaccaccg ctggtagcgg tggttttttt gtttgcaagc agcagattac 5340 gcgcagaaaa aaaggatctc aagaagatcc tttgatcttt tctacggggt ctgacgctca 5400 gtggaacgaa aactcacgtt aagggatttt ggtcatgttc ttaatcgata ctagtgctgc 5460 agtatttagc atgccccacc catctgcaag gcattctgga tagtgtcaaa acagccggaa 5520 atcaagtccg tttatctcaa actttagcat tttgggaata aatgatattt gctatgctgg 5580 ttaaattaga ttttagttaa atttcctgct gaagctctag tacgataagt aacttgacct 5640 aagtgtaaag ttgagatttc cttcaggttt atatagcttg tgcgccgcct gggtacctga 5700 ggtttttcaa aagtagttga caattaatca tcggcatagt atatcggcat agtataatac 5760 gactcactat aggagggcca ccatggaccc tgttgtgctg caaaggagag actgggagaa 5820 ccctggagtg acccagctca acagactggc tgcccaccct ccctttgcct cttggaggaa 5880 ctctgaggaa gccaggacag acaggcccag ccagcagctc aggtctctca atggagagtg 5940 gaggtttgcc tggttccctg cccctgaagc tgtgcctgag tcttggctgg agtgtgacct 6000 cccagaggct gacactgtgt aaccctaagc ttctagactt aattaa 6046 <210> 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Sequence <400> 2 Cys Lys Gly Gly Arg Ala Lys Asp Cys 1 5

Claims (9)

  1. 지방세포 표적 서열; R9 (아르기닌) 펩타이드; 및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를 모두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로서,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는 FABP4 유전자 및 FABP5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염기 서열이고,
    상기 플라스미드 벡터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 서열은 DNA 또는 RNA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NAi는 siRNA 또는 sh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 :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 및 상기 R9 펩타이드의 중량비는 1:1 내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및 비만 유래 대사증후군 치료 유전자 :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 및 상기 R9 펩타이드의 중량비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세포 표적 서열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9 (아르기닌) 펩타이드는 Cys-(D-R)9-Cys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세포는 분화된 성숙 비만 지방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 복합체.
KR1020160084631A 2016-07-05 2016-07-05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KR10184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31A KR101841350B1 (ko) 2016-07-05 2016-07-05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CN201780054163.XA CN109844122B (zh) 2016-07-05 2017-06-30 包括双质粒载体的靶向脂肪细胞的非病毒性基因递送复合物
PCT/KR2017/006963 WO2018008903A1 (ko) 2016-07-05 2017-06-30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복합체
EP17824459.6A EP3483275B1 (en) 2016-07-05 2017-06-30 Adipocyte-targeting non-viral gene delivery complex comprising dual plasmid vector
US16/315,346 US10940215B2 (en) 2016-07-05 2017-06-30 Adipocyte-targeting non-viral gene delivery complex comprising dual plasmid v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31A KR101841350B1 (ko) 2016-07-05 2016-07-05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18A KR20180004918A (ko) 2018-01-15
KR101841350B1 true KR101841350B1 (ko) 2018-03-22

Family

ID=6091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631A KR101841350B1 (ko) 2016-07-05 2016-07-05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40215B2 (ko)
EP (1) EP3483275B1 (ko)
KR (1) KR101841350B1 (ko)
CN (1) CN109844122B (ko)
WO (1) WO20180089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295A (ko) * 2018-03-29 2019-10-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유래 2형 당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내장지방 대식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전달체 복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9468B (zh) * 2020-03-18 2022-06-24 湖南大学 一种脂肪细胞靶向的dna纳米药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394392B (zh) * 2020-03-24 2022-03-29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脂肪细胞靶向阳离子基因载体、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4681428B (zh) * 2020-12-31 2024-03-12 南京大学人工智能生物医药技术研究院 一种靶向抑制egfr的递送系统及其应用
WO2024010344A1 (ko) * 2022-07-04 2024-0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및 지방세포 표적 유전자 전달체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 유래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마이크로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01B1 (ko) * 2013-04-16 2014-10-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09598B2 (en) * 2003-02-10 2009-08-06 Enzon Pharmaceuticals, Inc. Oligomeric compounds for the modulation of survivin expression
US20060122118A1 (en) 2004-12-03 2006-06-08 Ho Siew P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035364B1 (ko) 2008-05-21 2011-05-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핵산 전달용 세포내 환원성 폴리(올리고-아르기닌)
US8748470B2 (en) * 2011-03-17 2014-06-10 The University Of Chicago Methods for treating ovarian cancer by inhibiting fatty acid binding protei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01B1 (ko) * 2013-04-16 2014-10-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abetes. 52(2):300-7 (2003.0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295A (ko) * 2018-03-29 2019-10-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유래 2형 당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내장지방 대식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전달체 복합체
KR102510154B1 (ko) * 2018-03-29 2023-03-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유래 2형 당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내장지방 대식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전달체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18A (ko) 2018-01-15
CN109844122B (zh) 2022-12-20
US20190307898A1 (en) 2019-10-10
US10940215B2 (en) 2021-03-09
CN109844122A (zh) 2019-06-04
EP3483275A4 (en) 2020-01-01
WO2018008903A1 (ko) 2018-01-11
EP3483275A1 (en) 2019-05-15
EP3483275B1 (en)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350B1 (ko) 이중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는 지방세포 표적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복합체
AU2020260485B2 (en) Gene therapies for lysosomal disorders
KR101222628B1 (ko) CpG 함량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유전자 발현을조절하는 방법
KR102382295B1 (ko)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 적용을 위한 비독성 hsv 벡터 및 이의 생산을 위한 보완 세포
US9737620B2 (en) Vectors and methods for genetic immunization
CN112980840A (zh) 用于癌症治疗的多靶向siRNA
US20230174958A1 (en) Crispr-inhibition for 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KR20210149702A (ko) 비바이러스성 dna 벡터 및 페닐알라닌 히드록실라아제(pah) 치료제 발현을 위한 이의 용도
US20230383275A1 (en) Sgrna targeting aqp1 rna, and vector and use thereof
KR20200027551A (ko) Cea muc1 및 tert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R20240005606A (ko) 유전자 및 지방세포 표적 유전자 전달체 복합체를 포함하는비만 및 비만 유래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마이크로구조체
RU2720521C1 (ru) Ген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ДНК-вектор на основе ген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ДНК-вектора VTvaf17, несущий целевой ген, выбранный из группы генов BMP-2, BMP-7, LMP-1, NELL-1 для повышения уровня экспрессии этих целевых генов,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штамм Escherichia coli SCS110-AF/VTvaf17-BMP-2, или Escherichia coli SCS110-AF/VTvaf17-BMP-7, или Escherichia coli SCS110-AF/VTvaf17-LMP-1, или Escherichia coli SCS110-AF/VTvaf17-NELL-1, несущий ген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ДНК-вектор,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 промышленных масштабах ген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ДНК-вектора
KR101793269B1 (ko)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5443154A (zh) 用于基因上调的miRNA-485抑制剂
KR20210150487A (ko) 리소좀 장애를 위한 유전자 요법
TW202233830A (zh) 使用下一代工程化t細胞療法治療癌症之組合物及方法
TW202229554A (zh) 用於降低血管收縮素轉化酶2(ace2)之表現的寡核苷酸及其用於治療病毒感染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