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70B1 -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670B1
KR101840670B1 KR1020160175714A KR20160175714A KR101840670B1 KR 101840670 B1 KR101840670 B1 KR 101840670B1 KR 1020160175714 A KR1020160175714 A KR 1020160175714A KR 20160175714 A KR20160175714 A KR 20160175714A KR 101840670 B1 KR101840670 B1 KR 10184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ort
fire
unit
information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방선배
이기연
김재현
박광묵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16017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7/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구현 예에 따르면 신속한 초동보고가 필요한 화재현장에서 모바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보고서를 작성 및 기안하고 현장결재가 가능하며, 현장조사보고서를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통합관리하여 화재에 대한 원인분석 및 예방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Fire Forensic Report System}
본 발명은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설비에 의한 전기화재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통계에 따르면 전기화재가 화재원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화재현장 조사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조사체계는 화재현장에서 사진을 찍고 사무실로 복귀하여 다시 문서작업을 하고 결재를 올려야 하는 구조이다. 보고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따져봤을 때 비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화재조사 보고서는 각 개인 또는 사업소별로 보관하고 있는 실정으로 보고서의 통합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화재조사 보고서를 통한 화재원인의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예방대책 수립이 가능한데 현재는 데이터 통합관리가 되지 않아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화재조사에 관련 통합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환경이 필요하며, 화재현장 조사자가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3131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속한 초동보고가 필요한 화재현장에서 모바일을 이용하여 보고서를 기안하고 현장결재가 가능하며 현장조사보고서를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통합관리하여 화재에 대한 원인분석 및 예방대책을 수립하게 하는 화재 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 도면 및 현장사진을 입력 받아 화재감식 보고서를 작성하는 보고서 작성부; 및 상기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 도면 및 현장사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 및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는, 준비된 화재감식에 관한 도면 기호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현장의 건물배치도 또는 전기배선도를 작성하도록 하여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현장도면 입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저장된 현장사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에 대해 발화지점 및 연속확대 경로의 편집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원 클릭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화재감식 보고서 내에 링크를 설정하는 현장사진 편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는,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의해 작성되는 화재현장에 대한 화재감식 보고서를 식별하기 위한 감식번호를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의 저장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감식번호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화재발생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화재발생 장소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화재 발생 장소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조사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조사 일시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조사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조사자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수전설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수전설비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피해상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피해상황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건물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발화건물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요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발화요인 입력부; 및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발화관련기기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 및 조사 일시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달력이 나타나며 상기 달력에서 특정일자를 선택시 시계 타이머가 나타나 시간 정보 입력이 원클릭으로 가능한 것이고, 상기 화재발생 장소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주소 입력 시스템과 연동되어 주소 찾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조사자 입력부는, 상기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조사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수전설비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수전설비의 용도에 관한 목록, 수전전압에 관한 목록 또는 수전용량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판이 나타나 상기 수전설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피해상황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인명 피해 정도에 관한 목록, 인원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판이 나타나 상기 피해상황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발화건물 입력부는, 발화건물에 관한 항목을 상하위로 세분화하여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상위 항목 목록에서 상위 항목 정보를 지정시 이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 목록이 나타나 상기 발화건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발화관련기기 입력부는,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항목을 상하위로 세분화하여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상위 항목 목록에서 상위 항목 정보를 지정시 이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 목록이 나타나 상기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현장도면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면 작성 화면으로 전환되어 도면 작성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성된 상기 화재감식 보고서에 대해 결재선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결재권자를 선택하게 하여 결재상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화재감식 보고서를 결재권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재권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결재상신에 대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결재권자가 모바일 또는 웹을 통해 결재를 완료하면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해 결과를 통보 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보고서 결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화재감식 보고서에 대하여 상기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를 검색조건으로 하여 검색된 검색결과를 출력하는 보고서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의 변조와 전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을 거쳐 상기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저장하는 것이고, 상기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의 형식을 하나의 통일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통합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공유하는 보고서 공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고서 공유부는, 새로운 화재감식 보고서가 입력될 경우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알람기능을 이용하여 인식이 가능하고, 목록에서 열람하고자 하는 화재감식 보고서를 선택하면 일정한 보고서 형식으로 화면에 출력하여 열람이 가능하며, 화재감식 보고서에 관한 댓글을 입력하여 공유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항에 따른 보고서 결재부; 제6항에 따른 보고서 검색부; 및 상기 제8항에 따른 보고서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한 초동보고가 필요한 화재현장에서 모바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보고서를 작성 및 기안하고 현장결재가 가능하며, 현장조사보고서를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통합관리하여 화재에 대한 원인분석 및 예방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의 바람직한 이용형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5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의 일시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 장소 입력부의 주소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입력부의 수전설비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해상황 입력부의 피해상황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건물 입력부의 발화건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요인 입력부의 발화요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관련기기 입력부의 발화관련기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도면 입력부의 현장도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사진 편집부의 현장사진 편집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사진 편집부의 현장 사진 링크 편집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결재부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검색부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공유부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공유부의 보고서 출력 형식을 도시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의 바람직한 이용형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예를 들면, 화재현장에서 사고조사자 A는 PDF 형식으로 자료를 전송하고, 사고조사자 B는 HWP 형식으로 자료를 전송하고, 사고조사자 C는 EXCEL 형식으로 화재감식 보고서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클라우드 환경은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사고조사자 등의 클라우드 서버와 모바일 단말기 등을 연결하는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말하며, 클라우드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는 화재감식 보고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재감식 보고서를 전송하는 사고조사자 내지 화재감식 보고서를 결재하는 결재권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아이콘이라고 함은 그림, 칸, 단어 등의 클릭시 일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일체의 화면 상의 일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고조사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화재감식 보고서 전송시 인증절차를 거친다. 인증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전송 데이터의 변조와 전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클라우드 서버로 자료를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사고조사자 A, B, C가 전송한 자료의 형식을 하나의 형태의 형식으로 변형하여 통합한다. 또한, 서버에서는 각각의 사고조사자가 기록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통합관리 한다.
사고조사자 D, E, F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사고현장과 유사한 사건을 조회한다. 클라우드 서버에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사사건 조회를 통해 신속한 현장조사가 가능하여 현장조사시 범할 수 있는 오류를 배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고서 작성부(100),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보고서 결재부(400), 보고서 검색부(500), 보고서 공유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고서 작성부(100)는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 도면 및 현장사진을 입력 받아 화재감식 보고서를 작성한다.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는 상기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 도면 및 현장사진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는 보고서 작성부(100)에 의해 작성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는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의 변조와 전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을 거쳐 상기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의 형식을 하나의 통일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통합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화재감식 보고서 작성 등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보고서 작성부(100),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성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클라우드 환경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보고서 작성부(100)가 클라우드 서버에 위치하고,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된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되어 클라우드 데이터 베이스부(300)에 저장됨에 따라 화재감식 결과 보고가 이루어지는 실시예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는 감식번호 입력부(2001),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2003), 화재발생 장소 입력부(2005), 조사 일시 입력부(2007), 조사자 입력부(2009), 수전설비 입력부(2011), 피해상황 입력부(2013), 발화건물 입력부(2015), 발화요인 입력부(2017), 발화관련기기 입력부(2019), 현장도면 입력부(2021), 현장사진 편집부(20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감식번호 입력부(2001)는 보고서 작성부(100)에 의해 작성되는 화재현장에 대한 화재감식 보고서를 식별하기 위한 감식번호를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의 저장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하여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2003)는 상기 화재현장의 화재발생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화재발생 장소 입력부(2005)는 상기 화재현장의 화재발생 장소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조사 일시 입력부(2007)는 상기 화재현장의 조사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조사자 입력부(2009)는 상기 화재현장의 조사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수전설비 입력부(2011)는 상기 화재현장의 수전설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피해상황 입력부(2013)는 상기 화재현장의 피해상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발화건물 입력부(2015)는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건물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발화요인 입력부(2017)는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요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발화관련기기 입력부(2017)는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현장도면 입력부(2021)는 준비된 화재감식에 관한 도면 기호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현장의 건물배치도 또는 전기배선도를 작성하도록 하여 보고서 작성부(100)에 입력한다.
현장사진 편집부(2023)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저장된 현장사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에 대해 발화지점 및 연속확대 경로의 편집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원 클릭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화재감식 보고서 내에 링크를 설정한다.
이때,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2003) 및 조사일시 입력부(2007)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달력이 나타나며 상기 달력에서 특정일자를 선택시 시계 타이머가 나타나 시간 정보 입력이 원클릭으로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화재발생 장소 입력부(2005)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주소 입력 시스템과 연동되어 주소 찾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조사자 입력부(2009)는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조사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수전설비 입력부(2011)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수전설비의 용도에 관한 목록, 수전전압에 관한 목록 또는 수전용량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판이 나타나 상기 수전설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피해상황 입력부(2013)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인명 피해 정도에 관한 목록, 인원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판이 나타나 상기 피해상황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발화건물 입력부(2015)는 발화건물에 관한 항목을 상하위로 세분화하여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상위 항목 목록에서 상위 항목 정보를 지정시 이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 목록이 나타나 상기 발화건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발화관련기기 입력부(2019)는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항목을 상하위로 세분화하여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상위 항목 목록에서 상위 항목 정보를 지정시 이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 목록이 나타나 상기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현장도면 입력부(2021)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면 작성 화면으로 전환되어 도면 작성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보고서 결재부(400)는 작성된 상기 화재감식 보고서에 대해 결재선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결재권자를 선택하게 함에 따라 결재상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화재감식 보고서를 결재권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재권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결재상신에 대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결재권자가 모바일 또는 웹을 통해 결재를 완료하면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해 결과를 통보 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보고서 검색부(500)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화재감식 보고서에 대하여 상기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를 검색조건으로 하여 검색된 검색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보고서 검색부(500)는 화면에 표시할 항목을 선택하여 검색결과인 검색목록에 표시되는 항목 정보를 선택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보고서 공유부(600)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공유한다. 또한, 보고서 공유부(600)는 새로운 화재감식 보고서가 입력될 경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알람기능을 이용하여 인식이 가능하고, 목록에서 열람하고자 하는 화재감식 보고서를 선택하면 일정한 보고서 형식으로 형식으로 화면에 출력하여 열람이 가능하며, 화재감식 보고서에 관한 댓글을 입력하여 공유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10)을 구현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아이콘을 터치 등의 수단으로 클릭하여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1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한 예로 ‘발생일시를 클릭하면’이라 함은 ‘발생일시에 해당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아이콘 내지 입력칸을 터치 등의 수단으로 클릭하면’등과 같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환경설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사용자 프로필, 계정관리, 알람기능, 결재선 설정, 글씨크기, 사진 및 동영상 첨부파일 설정, 로그아웃, 서비스 탈퇴 등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화면 인터페이스는 현장조사, 자료검색, 사건공유, 감식기술 아이콘을 표시한다.
현장조사 클릭시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를 이용하여 화재감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고, 자료검색 클릭시 보고서 검색부(500)를 이용하여 자료를 검색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고, 사건공유 클릭시 보고서 공유부(600)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공유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된다. 감식기술 클릭시 화재감식 매뉴얼 및 동영상의 링크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우기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결과입력이 잘못되거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지우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체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저장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200)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결과를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식번호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순서로 자동 생성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2003)의 일시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발생일시를 클릭하면 달력이 나타나며 특정일자를 선택시 타이머가 나타나 시간입력이 원클릭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한편, 조사 일시 입력부(2007) 또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 장소 입력부(2005)의 주소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에 따르면, 발생장소 클릭시 주소 입력 시스템과 연동되어 주소 찾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설비 입력부(2011)의 수전설비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설비를 클릭시 체크박스 및 숫자판이 나오며 클릭을 하여 해당사항을 선택하여 입력이 가능하다. 체크박스의 목록은 수전설비 정보를 간편하게 원클릭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수전설비 용도, 상용되는 수전 설비의 전압으로 준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해상황 입력부(2013)의 피해상황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될 수 있는 체크박스와 숫자판을 이용하여 입력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건물 입력부(2015)의 발화건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화건물을 클릭하면 발화건물을 대, 중, 소로 세분화하여 입력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대 항목을 지정시 이에 해당하는 준비된 하위 항목이 나타나고, 중 항목 지정시 이에 해당하는 준비된 하위 항목이 나타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요인 입력부(2017)의 발화요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화요인을 클릭하면 전기적, 기계적, 가스누출 등의 목록이 포함된 체크 박스가 나타날 수 있으며 클릭시 그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체크 박스가 나타날 수 있으며 하위 항목을 클릭하여 발화요인을 편리하게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관련기기 입력부(2019)의 발화관련기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분류,중분류,소분류로 상하위 항목을 분류하여 대분류에서 체크박스 클릭시 하위항목이 나타나 입력을 할 수 있고, 또한 마찬가지로 항목을 클릭하여 세부 하위 항목을 입력해 나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도면 입력부(2021)의 현장도면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배치도 또는 전기배선도를 클릭시 도면화면으로 전환이 가능하여 준비된 도면 이미지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면작성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사진 편집부(2023)의 현장사진 편집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건물 내외부상황 항목을 클릭하여 사진촬영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현장사진의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사진이 화면상에 보이는 목록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선택된 사진에 대한 전구 아이콘과 같은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간단한 편집이 가능하여 발화지점 및 연속확대 경로의 표시를 위한 편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발화지점 및 연소확대경로를 클릭시 상기 특정 아이콘으로 선택되어 발화지점 및 연소확대경로의 편집이 이루어진 사진이 화재감식 보고서 내에 링크되도록 편집이 가능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결재부(400)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보고서 결재부(400)는 입력이 완료되어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된 문서에 대해 결재권자에게 결재를 상신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재상신을 클릭하면 조직도와 결재선 목록이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결재선을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됨에 따라 결재를 상신할 결재권자를 편리하게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검색부(500)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고서 검색부(500)는 돋보기를 클릭하여 검색조건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고, 검색조건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화재감식 결과에 대한 검색조건에 따라 해당하는 화재감식 보고서 목록의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고서 검색부(500)는 표시항목을 클릭하여 화면에 표시할 항목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감식 보고서 목록에 필요로 하는 항목 정보가 선택적으로 나타나도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공유부(600)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고서 열람시 현장조사 입력 사항이 PDF, 한글 등의 문서형식으로 화면 출력이 가능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고서에 대한 댓글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보고서 공유부(600)는 사업소, 재해관리부, 전기안전연구원, 소방서 등 클라우드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 모두 화재감식결과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화재감식 보고서가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입력될 경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알람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에 따르면 화재조사자가 현장에서 화재감식 후 그 결과를 사무실에서 다시 서면으로 작성하여 보고하는 기존 형태의 신속성과 효율성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화재와 관련된 사업소와 소방서간 1:1 방식의 업무 처리로 타 사업소 및 기관과 관련 내용의 공유가 불가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업소별 화재감식 보고서 양식이 달라 보고서의 통일성이 결여되었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구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향후 화재예방시스템 개발에 활용함으로써 전기화재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100 보고서 작성부
200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
300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
400 보고서 결재부
500 보고서 검색부
600 보고서 공유부
2001 감식번호 입력부
2003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
2005 화재발생 장소 입력부
2009 조사자 입력부
2011 수전설비 입력부
2013 피해상황 입력부
2015 발화건물 입력부
2017 발화요인 입력부
2019 발화관련기기 입력부
2021 현장도면 입력부
2023 현장사진 입력부

Claims (11)

  1.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 도면 및 현장사진을 입력 받아 화재감식 보고서를 작성하는 보고서 작성부; 및
    상기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 도면 및 현장사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
    작성된 상기 화재감식 보고서에 대해 결재선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결재권자를 선택하게 하여 결재상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화재감식 보고서를 결재권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재권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결재상신에 대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결재권자가 모바일 또는 웹을 통해 결재를 완료하면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해 결과를 통보 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보고서 결재부;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화재감식 보고서에 대하여 상기 화재감식에 관한 항목의 정보를 검색조건으로 하여 검색된 검색결과를 출력하고, 화면에 표시할 항목을 선택하여 검색결과인 검색목록에 표시되는 항목 정보를 선택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보고서 검색부; 및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공유하고, 새로운 화재감식 보고서가 입력될 경우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알람기능을 이용하여 인식이 가능하고, 목록에서 열람하고자 하는 화재감식 보고서를 선택하면 일정한 보고서 형식으로 화면에 출력하여 열람이 가능하며, 화재감식 보고서에 관한 댓글을 입력하여 공유가 가능한 보고서 공유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는,
    준비된 화재감식에 관한 도면 기호 목록을 이용하여 화재현장의 건물배치도 또는 전기배선도를 작성하도록 하여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현장도면 입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저장된 현장사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에 대해 발화지점 및 연속확대 경로의 편집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원 클릭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화재감식 보고서 내에 링크를 설정하는 현장사진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식 정보 입력부는,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의해 작성되는 화재현장에 대한 화재감식 보고서를 식별하기 위한 감식번호를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의 저장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감식번호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화재발생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화재발생 장소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화재 발생 장소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조사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조사 일시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조사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조사자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수전설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수전설비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피해상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피해상황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건물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발화건물 입력부;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요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발화요인 입력부; 및
    상기 화재현장의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보고서 작성부에 입력하는 발화관련기기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 일시 입력부 및 조사 일시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달력이 나타나며 상기 달력에서 특정일자를 선택시 시계 타이머가 나타나 시간 정보 입력이 원클릭으로 가능한 것이고,
    상기 화재발생 장소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주소 입력 시스템과 연동되어 주소 찾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조사자 입력부는,
    상기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조사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수전설비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수전설비의 용도에 관한 목록, 수전전압에 관한 목록 또는 수전용량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판이 나타나 상기 수전설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피해상황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인명 피해 정도에 관한 목록, 인원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판이 나타나 상기 피해상황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발화건물 입력부는,
    발화건물에 관한 항목을 상하위로 세분화하여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상위 항목 목록에서 상위 항목 정보를 지정시 이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 목록이 나타나 상기 발화건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발화관련기기 입력부는,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항목을 상하위로 세분화하여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상위 항목 목록에서 상위 항목 정보를 지정시 이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 목록이 나타나 상기 발화관련기기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현장도면 입력부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면 작성 화면으로 전환되어 도면 작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의 변조와 전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을 거쳐 상기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를 저장하는 것이고,
    상기 전송된 화재감식 보고서의 형식을 하나의 통일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식결과 보고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75714A 2016-12-21 2016-12-21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KR10184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14A KR101840670B1 (ko) 2016-12-21 2016-12-21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14A KR101840670B1 (ko) 2016-12-21 2016-12-21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670B1 true KR101840670B1 (ko) 2018-03-21

Family

ID=6190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714A KR101840670B1 (ko) 2016-12-21 2016-12-21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683B1 (ko) * 2019-09-23 2021-01-22 한국공항공사 상황 보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6024A (ja) * 2007-12-12 2009-07-02 Hitachi Ltd 現場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現場情報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6024A (ja) * 2007-12-12 2009-07-02 Hitachi Ltd 現場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現場情報管理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보고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683B1 (ko) * 2019-09-23 2021-01-22 한국공항공사 상황 보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223B2 (en) Media management system
CN105493121B (zh) 用于控制电子通信的系统和方法
US201201097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certified contractor
US201400062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titive solicitation and bidding
KR20130012430A (ko)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7237B1 (ko) 방사성폐기물 처분연구를 위한 인터넷 기반의 통합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처분종합성능평가 방법
JP6585748B2 (ja) 電子契約による不動産賃貸契約支援システム
JP2007018438A (ja) 認証画像付き報告書作成システム
KR20200017605A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JP6842025B1 (ja) ノード、取引システム、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
KR101335706B1 (ko)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CN115392718A (zh) 流程模型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281338B1 (ko)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40670B1 (ko) 화재감식 결과 보고 시스템.
CN107103447A (zh) 页面配置方法和装置
Thomas et al. Use of spatial data and geographic technologies in response to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KR20170005249A (ko) 원 클릭 플랫폼 기반의 지능형 통합 민원 창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4027200A1 (zh) 化学品生产作业流程系统
KR20120124931A (ko) 사용자가 정의 가능한 업무 절차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1600125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planning management
US20210003983A1 (en) Inspection Support Method, Inspection Support Apparatus, and Inspection Support Program
KR101421666B1 (ko) 파일 에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
JP6487408B2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1724113B1 (ko) 민원 발급 중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민원 발급 중계 방법
CN112950438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