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338B1 -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338B1
KR102281338B1 KR1020190113326A KR20190113326A KR102281338B1 KR 102281338 B1 KR102281338 B1 KR 102281338B1 KR 1020190113326 A KR1020190113326 A KR 1020190113326A KR 20190113326 A KR20190113326 A KR 20190113326A KR 102281338 B1 KR102281338 B1 KR 102281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ertification
safety information
information
produc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078A (ko
Inventor
김성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어넷
Priority to KR102019011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공급업체에 의해 관리되는 제1단말부; 서비스제공업체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제1단말부로부터 제품에 대한 인증서 또는 시험서에 대한 정보인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1서버부; 제품판매업체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제1서버부로부터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1서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말부; 및 제품에 대한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 또는 상기 인증기관에 대한 정보 조회가 가능한 조회기관에 의해 관리되고,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 실시 결과인 결과정보가 저장되는 제2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안전정보는,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제조공장 및 제품사진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제2서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단말부로부터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서버부로부터 상기 결과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결과정보와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호 매칭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결과정보와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호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알람메세지를 상기 제1단말부로 전달하고, 기입력된 상기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에 대한 인증 또는 시험을 상기 인증기관이 자동으로 접수하게 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제품공급업체와 상기 제품판매업체가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하거나,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제품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단말부에서 복수개의 상기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및 제조공장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품공급업체가 상기 제품판매업체에게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전자메일로 발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말부로 메일발송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기 전자메일에 자동으로 첨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품공급업체 또는 상기 제품판매업체가 상기 제품에 대한 내부품질관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말부 또는 상기 제2단말부로 내부품질관리생성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기관에서 발행되는 여러 종류의 인증서 및 시험서 등의 제품안전정보를 다수의 제품공급업체와 제품판매업체 사이에서 통합적으로 상호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MENAGEMENT SYSTEM OF PRODUCT SAFETY INFORMATION}
본 발명은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기관에서 발행되는 여러 종류의 인증서 및 시험서 등의 제품안전정보를 다수의 제품공급업체와 제품판매업체 사이에서 통합적으로 상호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마트, 백화점 등에서 수많은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제품이 합법적으로 판매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각종 인증 및 시험이 필요하며, 제품이 인증 및 시험을 정상적으로 거치는 경우, 해당기관에서는 해당 제품에 대한 인증서 및 시험서를 발급한다. 따라서, 대형 마트 백화점 등은 제품의 판매전에 제품의 공급업체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인증서 및 시험서를 전달받아 확인하는 작업을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제품공급업체 뿐만 아니라, 대형 마트, 백화점 등의 제품판매업체에서는 각 제품에 대한 인증서 및 시험서를 항상 관리해야 하는데, 이러한 인증서 및 시험서의 관리는 일반적으로 엑셀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관리되고 있다.
인증 및 시험을 실시하는 기관은 제품별로 상이하고, 해당 법률도 수시로 개정되기 때문에, 제한된 인원이 엑셀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인증서 및 시험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는 매우 까다로운 일이다.
더욱이, 이러한 인증서 및 시험서는 유효기간이 존재하며, 유효기간 이전에 갱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으로 각 제품에 대한 인증서 및 시험서의 관리하는 것은 더욱 힘들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기관에서 발행되는 여러 종류의 인증서 및 시험서 등의 제품안전정보를 다수의 제품공급업체와 제품판매업체 사이에서 통합적으로 상호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품공급업체에 의해 관리되는 제1단말부; 서비스제공업체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제1단말부로부터 제품에 대한 인증서 또는 시험서에 대한 정보인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1서버부; 제품판매업체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제1서버부로부터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1서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말부; 및 제품에 대한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 또는 상기 인증기관에 대한 정보 조회가 가능한 조회기관에 의해 관리되고,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 실시 결과인 결과정보가 저장되는 제2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안전정보는,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제조공장 및 제품사진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제2서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단말부로부터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서버부로부터 상기 결과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결과정보와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호 매칭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결과정보와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호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알람메세지를 상기 제1단말부로 전달하고, 기입력된 상기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에 대한 인증 또는 시험을 상기 인증기관이 자동으로 접수하게 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제품공급업체와 상기 제품판매업체가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하거나,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제품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단말부에서 복수개의 상기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및 제조공장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품공급업체가 상기 제품판매업체에게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전자메일로 발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말부로 메일발송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기 전자메일에 자동으로 첨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품공급업체 또는 상기 제품판매업체가 상기 제품에 대한 내부품질관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말부 또는 상기 제2단말부로 내부품질관리생성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효기간에 따른 알림메세지를 상기 제1단말부 또는 상기 제2단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기관에서 발행되는 여러 종류의 인증서 및 시험서 등의 제품안전정보를 다수의 제품공급업체와 제품판매업체 사이에서 통합적으로 상호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서 또는 시험서가 제품의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 또는 그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조회기관으로 부터 검증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증서 또는 시험서에 대한 신뢰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메인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등록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발신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수신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1서버부의 정보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의 순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제품안전정보 검증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제품안전정보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메일발송매뉴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1단말부와 제1서버부와 제2단말부 사이에서의 상호인증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메인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등록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발신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수신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1서버부의 정보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의 순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제품안전정보 검증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제품안전정보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메일발송매뉴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1단말부와 제1서버부와 제2단말부 사이에서의 상호인증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제1단말부(110)와, 제1서버부(120)와, 제2단말부(130)와, 제2서버부(140)와, 제3단말부(150)를 포함한다.
제1단말부(110)는 제품공급업체에 의해 관리되는 단말로서, 제품에 대한 인증서 또는 시험서에 대한 정보인 제품안전정보를 후술하는 제1서버부(12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서버부(120)로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단말부(110)는 제품공급업체(제조업체, 수입업체)에 의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인터페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제1단말부(110)의 조작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제품공급업체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품에 대한 일반 정보을 입력할 수 있고, 해당 제품에 대한 인증서, 해당 제품에 대한 시험서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입력된 정보는 후술하는 제1서버부(120)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된다.
이때, 입력되는 시험서 또는 인증서의 하위정보, 증,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제조공장 등에 대한 정보는 인터페이스의 제공하는 입력창에 제1단말부(110)를 조작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고, 인증서, 시험서 자체는 이미지 파일, PDF 파일 등 파일을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업로드창에 첨부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입력된 정보는 제1서버부(120)에 전달된 후, 제1단말부(110)의 조작에 따라 다시 조회될 수 있는데, 도 3에는 담당자 별로 등록된 건수와 발송건 등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메인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해당 담당자가 제1단말부(110)를 이용하여 입력시킨 제품안전정보가 조회된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단말부(110)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어 제1서버부(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제품안전정보는 제품공급업체 측, 즉, 후술하는 제2단말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1단말부(110)의 조작에 따라 제2단말부(130)로 전달된 제품안전정보가 조회된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1단말부(1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에 대한 정보, 제품에 대한 인증서, 시험서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여기서, 전용 프로그램은 반드시 제1단말부(110)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인터넷 익스플로워 등의 브라우저에서 제1단말부(110)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제1서버부(120)가 네트워크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1서버부(120)는 제1단말부로부터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제1단말부(110)와 후술하는 제2단말부(130), 제2서버부(140), 제3단말부(150)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서버부(120)는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를 실시하는 업체인 서비스제공업체에 의해 관리, 운영되는 것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 또는 수집할 수 있는 일반적인 서버(Server)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서버부(120)는 제품공급업체와 제품판매업체가 제품안전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하거나, 제품안전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제1단말부(110), 제2단말부(130)에 설치되는 전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제1단말부(110) 및 제2단말부(130)는 제1서버부(12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1서버부(120)는 후술하는 제2서버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다.
즉, 제1서버부(120)는 제1단말부(110)로 부터 제품안전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2서버부(140)로부터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 실시 결과인 결과정보 전달받고, 결과정보와 제품안전정보가 상호 매칭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상기 검증을 통해 두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만 제1서버부(120)는 제1단말부(110)로 부터 입력되는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서버부(120)의 기능에 따르면, 인증서 또는 시험서가 제품의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으로 부터 검증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서버부(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증서 또는 시험서에 대한 신뢰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서버부(120)는 상기 검증 결과, 두 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1단말부(110)로 즉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제2서버부(140)에 연결하여 제1서버부(120)에 제1단말부(110)가 미리 입력하였던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품에 대한 인증 또는 시험을 자동적으로 접수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제품안전정보 검증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공급업체가 제1단말부(110)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연결] 버튼을 누르게 되면, 미인증되었던 인증서 또는 시험서가 인증절차를 거치면서 제1서버부(120)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1서버부(120)는 제1단말부(110)의 전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아 제품안전정보로 부터 하위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데, 데이터베이스화의 과정은 보다 상세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추출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의 추출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서버부(120)는 시험서 또는 인증서의 이미지 파일이나 PDF 파일로부터 문자를 인식한 후, 하위 정보(즉,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제조공장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 다음, 데이터베이스 및 인덱싱 함으로써, 상기 하위 정보들이 제1단말부(110)에서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제2단말부(130)에서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제3단말부(150)에서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게 한다.
상술한 과정에 따른 정보의 추출에 의하면, 인증서, 시험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1서버부(120)에 수작업으로 입력시키는 수고로운 절차가 생략되므로,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를 실시하는 업체의 인력부담 및 비용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제1서버부(120)는 제1단말부(110)로부터 정보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제1단말부(110)에서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하며, 제2단말부(130)로부터 정보조회의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제2단말부(130)에서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하며, 제3단말부(150)로부터 정보조회의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제3단말부(150)에서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제1서버부(120)는 제1단말부(110)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제품에 대한 인증서, 시험서를 제2단말부(130)로 전달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화된 해당 정보를 제2단말부(130)로 전달하는데, 제1서버부(120)는 이러한 과정이 실시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제1서버부(120)는 해당 제품의 인증서의 유효기간 정보 또는 시험서의 유효기간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기간이 임박하는 경우, 알림메세지를 생성하여 제1단말부(110) 또는 제2단말부(130)로 전송하는데, 제1서버부(120)는 이러한 과정이 실시되기 위한 자동 프로그램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제1서버부는(120)는 제품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단말부(110)에서 복수개의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리스트는 제품안전정보를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제조공장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제품안전정보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공급업체는 제1단말부(110)를 통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복수개의 제품에 대한 제품안전정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서버부(120)는 제품공급업체 또는 제품판매업체가 자체적으로 내부적인 품질관리 매뉴를 신설할 수 있도록 내부품질관리 생성 매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품질관리 생성 매뉴는 도 9의 좌측 상단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제1단말부(110) 또는 제2단말부(130)를 통해 클릭하는 경우 활성화되는 것으로,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따르면, 제품공급업체와 제품판매업체간에 특정 제품에 대한 내부품질관리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제1서버부(120)는 제품공급업체가 제품판매업체에게 제품안전정보를 전자메일로 발송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단말부(110)로 메일발송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메일발송매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공급업체가 제1단말부(110)를 통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복수개의 제품에 대한 제품안전정보 리스트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메일발송메뉴창이 생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메일발송메뉴창을 이용하면, 제품공급업체가 제품판매업체로 제품안전정보를 용이하게 메일링할 수 있다. 한편, 메일발송매뉴에는 제품안전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제품안전정보가 메일에 자동적으로 메일에 첨부되는 기능이 포함되며, 별도의 발신내용도 기재할 수 있는 발신내용기재란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서버부(120)에 따르면, 제품공급업체에서 해당 제품의 인증서 또는 시험서의 유효기간 갱신 및 재인증을 빠짐없이 실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판매업체에서는 제품을 계속해서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일반 수요자 입장에서는 안심하고 제품을 계속해서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제2단말부(130)는 상술한 제1서버부(120)로부터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는 것으로써, 제1서버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단말부(130)는 제품판매업체(대형마트, 백화점 등)에 의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써, 제1단말부(110)와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제2단말부(130)의 조작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제품공급업체에서는 상술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품안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제1단말부(110)에서 제1서버부(120)로 제품안전정보를 입력하게되면, 입력된 정보는 검증과정을 거쳐 데이터베이스화되며, 이후, 제1서버부(120)가 정보전달명령을 전달받으면, 제2단말부(130)는 제1서버부(120)로 부터 제품안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제2단말부(130)로 전달된 제품안전정보가 화면에 표시된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2단말부(13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에 대한 정보, 제품에 대한 제품안전정보를 제1서버부(12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여기서, 전용 프로그램은 반드시 제2단말부(130)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인터넷 익스플로워 등의 브라우저에서 제2단말부(130)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제1서버부(120)가 네트워크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제1단말부(110)와 제1서버부(120)와 제2단말부(130) 간의 통신이 무선으로 실시되는 경우,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특성상 도청, 위치추적, 재전송공격, 스푸핑 공격 등이 시도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단말부(110)와 제1서버부(120)와 제2단말부(130) 간의 통신에는 상호인증 및 해시기반의 암호화 기법이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해시기반의 암호화 기법은 해시 함수의 일방향성 특징을 이용하여 정보를 보호하는 기법이다.
제1단말부(110)와 제1서버부(120)와 제2단말부(130) 간의 상호인증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실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부(110)가 전송한 H(IDt∥Rr)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1
Rr과 제2단말부(130)에서 생성한 H(IDdb∥Rr)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2
Rr를 비교하여 같으면 제1단말부(110)의 데이터를 인증한다. 제1단말부(110)의 데이터 인증 후 제2단말부(130)는 IDdb, H(IDdb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3
Rdb)를 제1서버부(120)에게 전송하고 제1서버부(120)는 H(IDdb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4
Rdb)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5
Rr를 제1단말부(110)에게 전송한다. 제1서버부(120)로부터 전송받은 H(IDdb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6
Rdb)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7
Rr와 제1단말부(110)가 생성한 H(IDt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8
Rdb)
Figure 112019094042160-pat00009
Rr를 비교하여 같으면 인증이 통과하고 다음 과정을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단말부(110)와 제1서버부(120)와 제2단말부(130) 사이에서의 상호인증 과정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의 보안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제2서버부(140)는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 실시 결과인 결과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 또는 수집할 수 있는 일반적인 서버(Server)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서버부(140)는 제품에 대한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 또는 상기 인증기관에 대한 정보 조회가 가능한 조회기관 의해서 관리된다. 즉, 제품공급업체가 인증기관에 의뢰하여 제품에 대한 인증, 시험을 요청하게되면, 인증기관인 시험을 실시하게 되며, 이때, 제2서버부(140)는 이러한 시험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들면, 제2서버부(140)는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http://www.kcl.re.kr)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고,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과 같은 각종시험연구원에서 실시한 인증정보를 통합적으로 조회, 검색 가능한 제품안전정보센터(http://www.safetykorea.kr)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서버부(120)는 제2서버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전에,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다.
즉, 제1서버부(120)는 제1단말부(110)로 부터 제품안전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2서버부(140)로부터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 실시 결과인 결과정보 전달받고, 결과정보와 제품안전정보가 상호 매칭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상기 검증을 통해 두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만 제1서버부(120)는 제1단말부(110)로 부터 입력되는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서버부(140)에 따르면, 인증서 또는 시험서가 제품의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 또는 조회기관으로 부터 검증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서버부(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증서 또는 시험서에 대한 신뢰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제3단말부(150)는 제2단말부(130)와 유사하게, 상술한 제1서버부(120)로부터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는 것으로써, 제1서버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3단말부(150)는 일반 소비자에 의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써,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에 접속하기 위해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제3단말부(150)의 조작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일반 소비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품안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3단말부(150)에 제공되는 전용 프로그램은 제1단말부(110) 또는 제2단말부(130)에 제공되는 전용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제품판매업체에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품에 한해서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전용 프로그램은 반드시 제3단말부(150)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인터넷 익스플로워 등의 브라우저에서 제3단말부(150)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제1서버부(120)가 네트워크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단말부(110)와, 제1서버부(120)와, 제2단말부(130)와, 제2서버부(140)와, 제3단말부(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따르면, 각종기관에서 발행되는 여러 종류의 인증서 및 시험서가 제품공급업체, 제품판매업체 별로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따르면, 각종기관에서 발행되는 여러 종류의 인증서 및 시험서 등의 제품안전정보를 다수의 제품공급업체와 제품판매업체 사이에서 통합적으로 상호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따르면, 인증서 또는 시험서가 제품의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 또는 그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조회기관으로 부터 검증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인증서 또는 시험서에 대한 신뢰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따르면, 제품판매업체가 제품에 대한 인증서 및 시험서를 즉각적이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따르면, 제품의 일반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인증서 및 시험서를 즉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110 : 제1단말부
120 : 제1서버부
130 : 제2단말부
140 : 제2서버부
150 : 제3단말부

Claims (6)

  1. 제품공급업체에 의해 관리되는 제1단말부;
    서비스제공업체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제1단말부로부터 제품에 대한 인증서 또는 시험서에 대한 정보인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1서버부;
    제품판매업체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제1서버부로부터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1서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말부; 및
    제품에 대한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 또는 상기 인증기관에 대한 정보 조회가 가능한 조회기관에 의해 관리되고, 시험인증 또는 안전인증 실시 결과인 결과정보가 저장되는 제2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안전정보는,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제조공장 및 제품사진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제2서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단말부로부터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서버부로부터 상기 결과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결과정보와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호 매칭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결과정보와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호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알람메세지를 상기 제1단말부로 전달하고, 기입력된 상기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에 대한 인증 또는 시험을 상기 인증기관이 자동으로 접수하게 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상기 제품공급업체와 상기 제품판매업체가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하거나,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서버부는,
    제품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단말부에서 복수개의 상기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일자, 유효기간, 인증상태, 인증구분,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제조국, 수입업체 및 제조공장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품공급업체가 상기 제품판매업체에게 상기 제품안전정보를 전자메일로 발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말부로 메일발송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제품안전정보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제품안전정보가 상기 전자메일에 자동으로 첨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품공급업체 또는 상기 제품판매업체가 상기 제품에 대한 내부품질관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말부 또는 상기 제2단말부로 내부품질관리생성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효기간에 따른 알림메세지를 상기 제1단말부 또는 상기 제2단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13326A 2019-09-16 2019-09-16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KR102281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26A KR102281338B1 (ko) 2019-09-16 2019-09-16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26A KR102281338B1 (ko) 2019-09-16 2019-09-16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78A KR20210032078A (ko) 2021-03-24
KR102281338B1 true KR102281338B1 (ko) 2021-07-23

Family

ID=7525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326A KR102281338B1 (ko) 2019-09-16 2019-09-16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39B1 (ko) 2022-07-19 2023-04-11 주식회사 아이씨티컴플라이언스 제품 안전성 검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52B1 (ko) * 2021-05-14 2023-05-17 주식회사 시큐어넷 빅데이터 기반의 시험인증정보 관리 시스템
KR102638764B1 (ko) * 2022-09-21 2024-02-20 주식회사 아이씨티컴플라이언스 제품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63B1 (ko) * 2017-07-18 2018-07-05 주식회사 시큐어넷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63B1 (ko) * 2017-07-18 2018-07-05 주식회사 시큐어넷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ciencetimes. 교정,시험 성적서 위,변조 막는다(2014.12.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39B1 (ko) 2022-07-19 2023-04-11 주식회사 아이씨티컴플라이언스 제품 안전성 검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78A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338B1 (ko)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75163B1 (ko)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759766B1 (ko) 인증 화상 있는 보고서 작성 시스템
US20070162385A1 (en) Relay server, relaying method and payment system
US20150134538A1 (en) Application for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payment terminal, and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system and method
WO2014103663A1 (ja) 電子契約システム
CN111581653A (zh) 合同文签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388096A (zh) 一种多平台的数据标准化处理方法及系统
JP4062206B2 (ja) 署名復号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35851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WO201105500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KR2017002226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계약 체결시스템
US10909264B2 (en) Personal data providing system, personal data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861580B2 (en) System for processing a transaction by a user at a transaction point
JP2016519362A (ja) ビジネスメッセージの変換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193888B1 (ko) 암호화된 디지털청약서류를 이용한 사무자동화 구현방법
CN113660156B (zh) 一种传输文件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523494B1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겸용 모바일 지불 결제 중계 검증 시스템 및 방법
JP2019510326A (ja) インターネットポータルシステムとその使用方法
CN108573004A (zh) 基于保险业务信息处理方法与装置
KR101157876B1 (ko) 전자 계약 체결을 위한 전자적 장치
KR20160011279A (ko) 주문 관리 시스템
KR102605431B1 (ko) 전자 문서 중계자간 연동 방식을 통한 전자 문서의 유통 증명 발급 장치 및 방법
KR101770352B1 (ko)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53783B1 (ko) 명함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