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383B1 -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383B1
KR101840383B1 KR1020170116156A KR20170116156A KR101840383B1 KR 101840383 B1 KR101840383 B1 KR 101840383B1 KR 1020170116156 A KR1020170116156 A KR 1020170116156A KR 20170116156 A KR20170116156 A KR 20170116156A KR 101840383 B1 KR101840383 B1 KR 10184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rame
laminated film
mov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득
Original Assignee
김연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득 filed Critical 김연득
Priority to KR1020170116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29C65/7894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of continuously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32B37/025Transfe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필름을 공급하는 제1원단공급파트; 상기 제1원단공급파트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파트; 상기 제1필름을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 안내하여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키되, 설치공간의 천정부를 따라 전후로 연장 설치된 건조파트; 제2필름을 공급하는 제2원단공급파트;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압접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파트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2원단공급파트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제2필름을 접착시키는 합지파트; 및 상기 합지파트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합지필름을 롤 형태로 권취하여 제품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취출부;를 포함하는, 합지필름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LAMINATED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식품, 포장, 산업용 등의 용도로 2이상의 필름이 다층으로 접합된 합지필름(laminated film)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지필름은 원단 필름의 일면에 수요자의 요구 특성에 따른 적절한 종류 및 규격의 필름을 가압 접착하여 제조되게 되는데, 일반적인 경우 자동화된 제조설비를 통해 제조되고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0514905호는 부직포가 합지된 압연 통기성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는 바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공지된 합지필름의 제조설비는 제조공정의 상당부분을 자동화하여 생산성 등을 개선하고 있으나, 여전히 공정 효율성이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14905호(2005.09.07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합지필름의 제조를 위한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하는 한편, 공정 효율성 및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필름을 공급하는 제1원단공급파트; 상기 제1원단공급파트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파트; 상기 제1필름을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 안내하여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키되, 설치공간의 천정부를 따라 전후로 연장 설치된 건조파트; 제2필름을 공급하는 제2원단공급파트;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압접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파트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2원단공급파트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제2필름을 접착시키는 합지파트; 및 상기 합지파트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합지필름을 롤 형태로 권취하여 제품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취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취출부는, 상하방향의 지그재그형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합지파트로부터 제공되는 합지필름을 이송 안내하는 어큐뮬레이터; 좌우 이동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형성된 엣지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합지필름의 폭방향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정렬부; 및 상기 위치정렬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합지필름이 롤 형태로 권취되는 제품롤;을 포함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롤러;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측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전후로 이격된 상기 고정롤러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고정롤러와 함께 지그재그형 이송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합지필름을 이송 안내하는 이동롤러;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에 장착된 제2브라켓에 나합되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봉;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나선봉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나선봉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승하강 이동을 보조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합지필름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합지필름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1필름의 일면에 제2필름이 접착된 합지필름을 제조하는 합지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지필름 제조장치는 합지필름의 제조를 위한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지필름 제조장치는 좌우 또는 틸팅 구동되는 엣지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제품롤에 권취되는 합지필름의 폭방향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지필름 제조장치는 어큐뮬레이터를 통해 공정 중단을 최소화하고 초기 셋팅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딜레이모듈을 통해 이송경로 연장이나 작업시간의 추가 확보가 가능하여 공정 효율성 및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지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합지필름 제조장치를 사용해 합지필름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지필름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품취출파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큐뮬레이터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큐뮬레이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딜레이모듈을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딜레이모듈을 보여주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딜레이모듈의 장착형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딜레이모듈의 장착형태를 보여주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딜레이모듈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지필름 제조장치(S)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합지필름 제조장치(이하, 제조장치(S)로 약칭함)는 제1필름(F1)을 공급하는 제1원단공급파트(100) 및 제2필름(F2)을 공급하는 제2원단공급파트(400)를 포함하고, 제1필름(F1)의 일면에 제2필름(F2)을 점착 또는 접착시켜 합지필름(F3)을 제조할 수 있다. 가공 완료된 합지필름(F3)은 제품취출파트(600)를 통해 제조장치(S)로부터 취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S)는 이와 같은 합지필름(F3)의 제조를 위한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수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조장치(S)의 각 파트에 대해 부연하면,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S)는 제1원단공급파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원단공급파트(100)는 제1원단롤(110)을 구비하고 이에 권취되어 있는 제1필름(F1)을 후속 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원단공급파트(100)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제1필름(F1)의 이송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S)는 접착제파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파트(200)는 제1필름(F1)의 일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이하, 접착제로 통칭함)를 도포하는 것으로, 제1원단공급파트(1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착제파트(200)는 제1원단공급파트(100)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있다. 제1원단롤(110)로부터 공급된 제1필름(F1)은 본 접착제파트(200)를 거치면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S)는 건조파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파트(300)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제1필름(F1)을 이송 안내하여 제1필름(F1)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건조파트(300)는 설치공간의 천정부에 배치되어 제1필름(F1)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의 건조를 위한 충분한 이동경로 내지 시간을 확보하고, 설치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S)는 제2원단공급파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원단공급파트(400)는 제2필름(F2)이 권취된 제2원단롤(410)을 구비하고, 제1필름(F1)의 일면에 접착될 제2필름(F2)을 제공하게 된다. 제1, 2원단공급파트(100, 400)는 천정부를 통해 전후로 연장된 건조파트(300)를 중심으로 각각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건조파트(300)의 전단 부근에는 제1원단공급파트(100), 후단 부근에는 제2원단공급파트(400)가 배치되고 있다. 제2원단공급파트(400)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통해 제2필름(F2)을 후술할 합지파트(500)로 제공하게 되며, 제2필름(F2)은 합지파트(500)에서 제1필름(F1) 일면에 접촉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S)는 합지파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합지파트(500)는 건조파트(300)의 후단 부위에서 제2원단공급파트(4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건조파트(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필름(F1)과 제2원단공급파트(400)를 통해 제공되는 제2필름(F2)을 접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필름(F1)은 접착제파트(200) 및 건조파트(300)를 거쳐 제공되는 것으로, 합지파트(500)의 상측에 배치된 건조파트(300)로부터 하측을 향해 이송 안내되어 합지파트(5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S)는 제품취출파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취출파트(600)는 제1, 2필름(F1,F2)이 접착되어 가공 완료된 합지필름(F3)을 제품롤(630)에 권취하여 제조장치(S)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품취출파트(600)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합지파트(500)는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압접롤러(510)를 구비하고, 한 쌍의 압접롤러(510) 사이로 제1필름(F1) 및 제2필름(F2)을 통과시켜 접착제가 도포된 제1필름(F1) 일면에 제2필름(F2)을 접착시키게 된다. 또한, 제1, 2필름(F1,F2)이 접착된 합지필름(F3)은 다시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통해 안내되어 제품취출파트(600)로 이송될 수 있다.
제품취출파트(600)는 다시 어큐뮬레이터(610), 위치정렬부(620) 및 제품롤(6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합지파트(500)에서 제공되는 합지필름(F3)은 이와 같은 어큐뮬레이터(610) 및 위치정렬부(620)를 거쳐 제품롤(630)에 권취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610)는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지그재그 형태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큐뮬레이터(610)는 제품롤(630)에 권취된 제품을 취출하고 새로운 제품롤을 셋팅시 공정이 중단되지 않도록 합지필름(F3)의 이송경로를 연장하고 소정의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게 된다.
어큐뮬레이터(610)를 거친 합지필름(F3)은 위치정렬부(620)로 이송될 수 있다. 위치정렬부(620)는 좌우 이동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형성된 엣지컨트롤러(621)를 구비하고, 합지필름(F3)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엣지컨트롤러(621)는 상하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621a)를 구비하고 합지필름(F3)을 이송 안내하는 한편, 위치센서(622)로부터 측정된 합지필름(F3)의 좌우방향(폭방향)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 또는 틸팅되어 합지필름(F3)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치정렬부(620) 일측에 마련된 위치센서(622)가 합지필름(F3)의 폭방향 단부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엣지컨트롤러(621)가 좌우로 이동되어나 틸팅되어 좌우 오차값을 보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엣지컨트롤러(621) 내지 위치정렬부(620)는 합지필름(F3)이 좌우방향(폭방향)으로 어긋남 없이 제품롤(630)에 고르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품롤(630)은 위치정렬부(620)로부터 이송 안내되는 합지필름(F3)을 제품 취출하기 위해 롤(roll) 형태로 권취시킬 수 있다. 롤 형태로 권취된 합지필름(F3)은 소정 규격에 다다르면, 컷팅위치(C)에서 컷팅되어 제품 취출되게 되며, 다시 새로운 롤이 셋팅되게 된다. 전술한 어큐뮬레이터(610)는 이와 같은 컷팅 작업이나 새로운 롤의 셋팅시 합지필름(F3)의 이송경로를 연장하여 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큐뮬레이터(610)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큐뮬레이터(610)의 정면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4는 어큐뮬레이터(610)의 주요 구성만을 도시하고 나머지 일부 구성에 대하여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어큐뮬레이터(610)는 설치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611)과, 베이스프레임(611)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롤러(61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롤러(612)는 좌우방향(합지필름(F3)의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양단이 베이스프레임(6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롤러(61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611)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610)는 베이스프레임(611) 상측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613)과, 이동프레임(613)에 장착되는 복수의 이동롤러(6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롤러(614)는 좌우방향(합지필름(F3)의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양단이 베이스프레임(6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동롤러(614) 또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이동롤러(614)는 이동프레임(613)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롤러(614)는 하측에 전후로 이격 배치된 고정롤러(6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합지필름(F3)은 전후로 배치된 고정롤러(612) 및 이동롤러(614)를 순차적으로 거쳐 대략 지그재그 형태의 이송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어큐뮬레이터(610)는 나선봉(615)을 구비할 수 있다. 나선봉(615)은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봉 형태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나선봉(615) 상단은 천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나선봉(615) 하단은 베이스프레임(611) 하부에 배치된 구동모터(616)에 연결될 수 있다. 나선봉(615)은 구동모터(616)에 의해 길이방향(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611)은 제1브라켓(615a)을 통해 나선봉(615)과 체결될 수 있다. 제1브라켓(615a)은 베이스프레임(611) 측면에 장착되어 나선봉(615)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나선봉(615)과 체결될 수 있다. 나선봉(615)은 제1브라켓(615a)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613)은 제2브라켓(615b)을 통해 나선봉(615)과 체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615b)은 이동프레임(613) 측면에 장착되어 나선봉(615)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나선봉(615)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브라켓(615b)은 나선봉(615)에 나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나선봉(615)이 회전되면, 제2브라켓(615b)은 승강 또는 하강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이동프레임(613) 및 이동롤러(614)가 승강 또는 하강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어큐뮬레이터(610)는 나선봉(615) 하단에 연결되어 나선봉(615)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16)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모터(616)는 베이스프레임(611)에 장착 지지되어 나선봉(615)을 길이방향을 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이동프레임(613)를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610)는 가이드봉(617)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봉(617)은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상단이 천정부에 장착되고, 하단이 베이스프레임(611)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단, 가이드봉(617)은 이동프레임(613)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나선봉(615)과 같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필요는 없다. 즉, 가이드봉(617)은 상하단이 각각 천정부 또는 베이스프레임(611)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613)은 가이드봉(617)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가이드봉(617)과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프레임(613)의 승하강 이동은 가이드봉(617)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봉(617)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봉(617)은 이동프레임(613)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과 같이 가이드봉(617)이 이동프레임(613)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나선봉(615) 및 가이드봉(61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나선봉(615)은 도 4와 같이 좌우 한 쌍이 구비되어 총 2개로 구성되고, 가이드봉(617)은 도 3과 같이 전후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봉(617)이 도 4와 같이 좌우로 한 쌍 배치되어 총 4개로 구성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나선봉(615)이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전술한 제1, 2브라켓(615a, 615b) 및 구동모터(616)는 이에 대응되도록 좌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어큐뮬레이터(610)는 컷팅 작업이나 새로운 롤의 셋팅 작업시 합지필름(F3)의 이송경로를 연장하여 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작업을 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613)이 고정롤러(612)에 인접한 최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컷팅 작업 등이 개시되면, 합지필름(F3)의 이송속도에 대응하여 이동프레임(613)이 승강 이동되게 된다. 이동프레임(613)의 승강은 전술한 구동모터(616)가 나선봉(615)을 회전시켜 이뤄지게 되며, 전후좌우로 배치된 가이드봉(617)은 이동프레임(613)의 승강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프레임(613)이 승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지필름(F3)의 이송경로가 서서히 연장되며, 전공정(합지파트(500))에서 합지필름(F3)이 계속 이송되더라도, 작업 중인 후공정(위치정렬부(620) 및 제품롤(63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어큐뮬레이터(610)는 이동프레임(613)의 최대 승강 높이가 제한됨에 따라 이송경로의 연장이나 작업시간의 확보에 한계가 있게 된다. 즉, 어큐뮬레이터(610)는 이동프레임(613)이 승강되면서 이송경로를 연장하게 되므로, 이동프레임(613)이 천정부에 인접한 나선봉(615) 상단까지 이동되게 되면, 그 이상의 이송경로 연장이나 시간 확보가 어렵게 된다. 물론, 이는 천정부를 높여 나선봉(615)의 길이를 좀 더 연장시킴으로써 일부 해결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경우 이러한 설치공간은 제한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큐뮬레이터(610) 상측의 천정부에는 건조파트(30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많은 제약이 있게 된다. 특히, 기 설치된 제조장치(S)의 경우, 이와 같은 천정부의 높이 변경은 건조파트(300)을 비롯한 전체 제조장치(S)의 재설계 및 설치가 요구되어, 과다한 시간이나 비용이 요구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S)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딜레이모듈(700, 도 5 내지 9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딜레이모듈(700)은 기 설치된 어큐뮬레이터(610)에 장착되어 합지필름(F3)의 이송경로를 추가적으로 연장해줌으로써, 컷팅 등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좀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딜레이모듈(700)은 기 설치된 제조장치(S)나 어큐뮬레이터(610)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어큐뮬레이터(610)에 장착 또는 탈거시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딜레이모듈(700)을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딜레이모듈(700)을 보여주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딜레이모듈(700)은 보조프레임(710)과, 보조프레임(710)에 장착되는 복수의 보조롤러(720)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롤러(720)는 좌우 양단이 보조프레임(7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지지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 보조롤러(720)는 전술한 고정롤러(612) 및 이동롤러(614)에 의해 이송 안내되는 합지필름(F3)의 일면을 접촉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보조프레임(710) 하단에는 스토퍼플레이트(711)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플레이트(711)는 베이스프레임(611) 상단에 접촉되어 초기상태에서 보조프레임(710)이 베이스프레임(611) 에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딜레이모듈(700)은 보조프레임(710)을 이동프레임(613)에 현수 설치하기 위한 제1와이어(7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와이어(730)는 일단이 윈치브라켓(731)을 통해 보조프레임(710)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윈치브라켓(731)은 보조프레임(710)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내부에 토션스프링을 구비하고 감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730)는 윈치브라켓(731)에 감겨지거나 윈치브라켓(731)으로부터 풀려나와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제1와이어(730)의 타단은 고정브라켓(732)을 통해 이동프레임(613)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732)은 이동프레임(613)의 내측 측면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필요에 따라 이동프레임(613)에 장착되거나 이동프레임(613)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프레임(613)이 소정 높이 이상 승강되면, 전술한 보조프레임(710)은 제1와이어(730)에 의해 이동프레임(613) 하방에 현수된 형태로 장착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와이어(7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와이어(730)를 보조프레임(710)의 전후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710) 전후로 한 쌍의 제1와이어(730)가 구비되고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전후 한 쌍의 제1와이어(730)가 다시 좌우로 한 쌍 배치되어, 총 4개의 제1와이어(730)가 구비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제1와이어(730)가 구비되는 경우, 제1와이어(730)의 각 단부를 보조프레임(710) 또는 이동프레임(613)에 장착시키기 위한 윈치브라켓(731) 및 고정브라켓(732)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딜레이모듈(700)은 보조프레임(7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740)와, 제2와이어(740)에 연결되어 제2와이어(740)를 출납시키는 구동윈치(7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와이어(740)는 일단이 보조프레임(7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마련된 연결고리(712)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와이어(740)가 보조프레임(710) 후단에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단, 제2와이어(740)의 전후 연결위치는 설치공간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2와이어(740)의 타단은 구동윈치(7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윈치(750)는 제2와이어(740)를 당기거나 풀어 보조프레임(7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제2와이어(740)가 보조프레임(710) 후단에 연결된 경우, 구동윈치(750)는 제2와이어(740)를 통해 보조프레임(710)을 당겨 후방(도 5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하면,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윈치(750)는 소정의 설치브라켓을 통해 천정부 등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딜레이모듈(700)의 장착형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8은 도6에 도시된 딜레이모듈(700)의 장착형태를 보여주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딜레이모듈(700)은 고정브라켓(732)이 이동프레임(613)의 내측 측면에 볼팅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어큐뮬레이터(610)에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613)이 하부의 베이스프레임(611)과 인접하도록 초기위치에 배치된 경우, 딜레이모듈(700)은 보조프레임(710)이 베이스프레임(611) 상단에 안착된 형태로 지지되게 된다.
이동프레임(613)이 소정 높이 승강되면, 윈치브라켓(731)으로부터 제1와이어(730)가 풀려나오면서 보조프레임(710) 내지 딜레이모듈(700)은 상기와 같은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이동프레임(613)이 소정 높이 이상 승강되기 전까지는 보조프레임(710)은 베이스프레임(611)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와이어(730)만이 윈치브라켓(731)으로부터 풀려나오게 된다.
이동프레임(613)이 제1와이어(730)의 최대 길이 이상 승강되면, 보조프레임(710)은 제1와이어(730)에 현수되어 이동프레임(613)과 함께 승강 이동되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1와이어(730)의 최대 길이는 이동롤러(614)와 고정롤러(612)의 최대 간격에 대해 절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이동프레임(613)이 최대 높이의 절반 이상으로 승강되면, 보조프레임(710)이 제1와이어(730)에 현수되어 이동프레임(613)과 함께 승강되기 시작한다.
한편, 각 보조롤러(720)는 상측의 이동롤러(614)와 하측의 고정롤러(612)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합지필름(F3)의 일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단,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치상태에서 보조롤러(720)는 합지필름(F3) 일면에 단순 접촉될 뿐이며, 합지필름(F3)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데는 관여하지 않는다. 합지필름(F3)은 상하의 이동롤러(614) 및 고정롤러(612)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이송경로를 형성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딜레이모듈(700)의 작동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딜레이모듈(700)은 이동프레임(613)이 최대 높이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다시 합지필름(F3)의 이송경로를 연장함으로써, 추가적인 이송경로의 연장이나 작업시간의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딜레이모듈(700)은 기 설치 및 사용 중인 어큐뮬레이터(610)에도 용이하게 설치 및 적용 가능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613)이 최대 높이의 절반 이상 승강되면, 보조프레임(710)은 제1와이어(730)에 의해 현수되어 이동프레임(613)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보조프레임(710)은 이동프레임(613)에 현수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이동프레임(613)이 최대 높이까지 이동되면, 구동윈치(750)가 작동되어 제2와이어(740)를 서서히 당기게 된다. 구동윈치(750)의 당김 속도는 이동프레임(613)의 승강 속도와 마찬가지로 합지필름(F3)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동윈치(750)가 제2와이어(740)를 당김에 따라, 보조프레임(7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제2와이어(740)가 보조프레임(710) 후단에 연결된 경우, 보조프레임(710)은 구동윈치(750)의 당김 속도에 따라 서서히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프레임(710)이 이동되면, 보조롤러(720)가 접촉된 합지필름(F3)의 일면을 밀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합지필름(F3)의 이송경로를 추가적으로 연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이송경로 연장을 통해 추가적인 작업시간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S)는 합지필름(F3)의 제조를 위한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좌우 또는 틸팅 구동되는 엣지컨트롤러(621)를 구비하고 제품롤(630)에 권취되는 합지필름(F3)의 폭방향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한편, 어큐뮬레이터(610)를 통해 공정 중단을 최소화하고 초기 셋팅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딜레이모듈(700)을 통해 이송경로 연장이나 작업시간의 추가 확보가 가능하여 공정 효율성 및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조장치(S)를 사용한 합지필름(F3)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조장치(S)를 통해 제1필름(F1) 및 제2필름(F2)을 접착하여 합지필름(F3)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제조장치(S)를 통해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합지필름 제조장치 100: 제1원단공급파트
200: 접착제파트 300: 건조파트
400: 제2원단공급파트 500: 합지파트
600: 제품취출파트

Claims (4)

  1. 제1필름(F1)을 공급하는 제1원단공급파트(100);
    상기 제1원단공급파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필름(F1)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파트(200);
    상기 제1필름(F1)을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 안내하여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키되, 설치공간의 천정부를 따라 전후로 연장 설치된 건조파트(300);
    제2필름(F2)을 공급하는 제2원단공급파트(400);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압접롤러(510)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파트(30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제1필름(F1)의 일면에 상기 제2원단공급파트(40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제2필름(F2)을 접착시켜 합지필름(F3)을 제작하는 합지파트(500); 및
    상기 합지파트(5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합지필름(F3)을 롤 형태로 권취하여 제품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취출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취출부(600)는,
    상하방향의 지그재그형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합지파트(5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합지필름(F3)을 이송 안내하는 어큐뮬레이터(610);
    좌우 이동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형성된 엣지컨트롤러(621)를 구비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6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합지필름(F3)의 폭방향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정렬부(620); 및
    상기 위치정렬부(6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합지필름(F3)이 롤 형태로 권취되는 제품롤(630);을 포함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61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611);
    상기 베이스프레임(6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롤러(612);
    상기 베이스프레임(611) 상측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613);
    상기 이동프레임(6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전후로 이격된 상기 고정롤러(612)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고정롤러(612)와 함께 지그재그형 이송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합지필름(F3)을 이송 안내하는 이동롤러(614);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613)에 장착된 제2브라켓(615b)에 나합되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봉(615);
    상기 베이스프레임(611)에 배치되어 상기 나선봉(615)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나선봉(615)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프레임(613)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616); 및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동프레임(613)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613)의 승하강 이동을 보조하는 가이드봉(617);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613)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딜레이모듈(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모듈(700)은,
    상측에 상기 이동프레임(613)이 배치되고, 하측에 상기 베이스프레임(611)이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611)과 상기 이동프레임(613)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프레임(710);
    상기 보조프레임(7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합지필름(F3)의 일면을 접촉 지지하되,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 배치되는 보조롤러(720);
    상단이 고정브라켓(732)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613)에 장착되고, 하단이 윈피브라켓(731)을 통해 상기 보조프레임(710)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613)이 소정 높이 이상 승강시 상기 보조프레임(710)을 상기 이동프레임(613)에 현수시키는 제1와이어(730);
    상기 보조프레임(7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2와이어(740); 및
    상기 보조프레임(7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740)를 당겨 상기 보조프레임(7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윈치(750);를 포함하는, 합지필름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730)는,
    상기 고정롤러(612)와 상기 이동롤러(614) 간 최대 간격보다 소정 정도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710)은,
    상기 이동프레임(613)이 상기 제1와이어(730)의 길이에 대응되는 소정 높이 이하에 배치된 경우, 스토퍼플레이트(711)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611) 상단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이동프레임(613)이 상기 소정 높이 이상 승강되면, 상기 제1와이어(730)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613)에 현수 지지되고,
    상기 구동윈치(750)는,
    상기 이동프레임(613)이 최대 높이까지 승강되면, 상기 제2와이어(740)를 소정 속도로 당겨 상기 보조프레임(7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합지필름 제조장치.
  4. 청구항 1 또는 3 중 어느 한 항의 합지필름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1필름(F1)의 일면에 제2필름(F2)이 접착된 합지필름(F3)을 제조하는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70116156A 2017-09-11 2017-09-11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KR10184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56A KR101840383B1 (ko) 2017-09-11 2017-09-11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56A KR101840383B1 (ko) 2017-09-11 2017-09-11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383B1 true KR101840383B1 (ko) 2018-05-04

Family

ID=6219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56A KR101840383B1 (ko) 2017-09-11 2017-09-11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45B1 (ko) * 2020-10-19 2021-04-08 안종호 포장재 필름 합지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45B1 (ko) * 2020-10-19 2021-04-08 안종호 포장재 필름 합지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5549B2 (en) Corrugating roll unit conveyance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corrugating roll unit
JP5738363B2 (ja) コードバンドの重複接合装置
JP2019521019A (ja) 裁断可能な新旧smtスプライシングテープの接着機
KR101840383B1 (ko)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EP3572338B1 (en) Wrapping device and method for wrapping a tire bead wire
WO2007007405A1 (ja) カーカスプライ材の作製方法及び装置
CN204054698U (zh) 在帘线带上敷设覆有橡胶层的带件的敷设装置
KR100711195B1 (ko) 급지 및 절취수단을 갖는 라미네이팅 장치
WO2016165837A1 (en) Web-fed laminator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CN107444955A (zh) 一种防皱收卷纠偏桁架机器人
CN105751554A (zh) 用于对接发粘的带件的拼接装置
KR101433791B1 (ko) 롤 타입의 휴지 제품 제조장치
TWI742116B (zh) 用於轉換兩層式紙巾織物的紙巾轉換機器的饋送單元
JP5976499B2 (ja) シングルフェーサ及び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並びにシングルフェーサの段成形方法
KR20160130607A (ko) 목재판넬용 필름 공급 자동화장치
JP5791483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バッチ分割装置、およびバッチ分割機能を備えたカウンタエジェクタ
KR101415623B1 (ko) 균일 이송 및 연속가공이 가능한 라미네이팅 자동화 장치
JP4281862B2 (ja) 帯状材料の継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41567Y1 (ko) 자동합지장치
JP5980130B2 (ja) シート材の裁断積層装置及びシート材の裁断積層方法
JP2016150822A (ja) 延反装置を用いた延反方法
KR101629196B1 (ko) 타이어용 반제품 압연물 시트의 접합장치
WO2019024685A1 (zh) 废料处理设备及废料处理方法
CN116278403B (zh) 一种应用于包装制品的裁切喷码一体机
CN116588733A (zh) 一种不间断换料的结构及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