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526B1 - 왕복동 정량 펌프 - Google Patents

왕복동 정량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526B1
KR101839526B1 KR1020170133256A KR20170133256A KR101839526B1 KR 101839526 B1 KR101839526 B1 KR 101839526B1 KR 1020170133256 A KR1020170133256 A KR 1020170133256A KR 20170133256 A KR20170133256 A KR 20170133256A KR 101839526 B1 KR101839526 B1 KR 10183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valve
discharge
insertion groov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철
Original Assignee
천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02Bal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2Valves; Arrangement of valves arranged in or on pistons
    • F04B53/125Reciprocating valves
    • F04B53/126Bal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22Arrangements for enabling ready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왕복동 정량 펌프가 개시된다. 왕복동 정량 펌프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작동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며 일측에는 흡입 유로와 연통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토출 유로와 연통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펌프 헤드와 흡입 유로에 연결되며 다이어프램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밸브와 토출 유로에 연결되며 다이어프램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 밸브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부와,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가 각각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펌프 헤드를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에 각각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홈의 내벽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는, 외부면이 가이드부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왕복동 정량 펌프{RECIPROCATING METERING PUMP}
본 발명은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의 오조립이 방지되는 왕복동 정량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량펌프는 낮은 속도에서 높은 압력을 낼 수 있고, 캠 샤프트 등을 통하여 피스톤, 다이어프램 등을 왕복 운동시켜 단위 시간당 유량을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는 펌프를 말한다.
이러한 정량펌프는 압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을 정량적으로 신뢰성 있게 공급해 주어야 한다.
한편, 정량 펌프에는 다이어프램의 작동 상태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밸브장치가 설치된다.
밸브장치는, 다이어프램의 전면에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펌프헤드와, 펌프 헤드의 상부에 기밀하게 체결되는 토출 밸브와, 펌프 헤드의 하부에 기밀하게 체결되는 흡입 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토출 밸브와 흡입 밸브는 서로간에 동일한 외형과 크기로 형성되는 바, 작업자가 펌프헤드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토출 밸브와 흡입 밸브를 혼동하여 오조립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토출 밸브와 흡입 밸브가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왕복동 정량 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작동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며 일측에는 흡입 유로와 연통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토출 유로와 연통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펌프 헤드와 흡입 유로에 연결되며 다이어프램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밸브와 토출 유로에 연결되며 다이어프램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 밸브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부와,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가 각각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펌프 헤드를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에 각각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한다.
안착홈의 내벽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는, 외부면이 가이드부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조인트부는, 펌프 헤드를 흡입 유로에 연결하는 제1 조인트와, 펌프 헤드를 상기 토출 유로에 연결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은, 제1 조인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흡입 밸브가 설치되는 제1 홈과, 제2 조인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 밸브가 설치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1 홈의 내벽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제1 가이더와, 펌프 헤드의 제2 삽입홈의 저면에서 제2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더는 제1 홈의 내벽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제2 가이더는 제2 삽입홈의 저면에서 제2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일 수 있다.
가이드 돌기는 제2 삽입홈의 저면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는 제2 삽입홈의 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경사면은 제1 홈의 내벽면의 모서리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흡입 밸브는, 제1 홈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이동 공간이 형성된 볼 가이드 바디와, 이동 공간에 삽입되는 체크볼과, 볼 가이드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는 체크볼이 안착되며 타측에는 가이드 돌기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볼 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는, 제2 홈에 삽입되며 외표면의 일측에는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토출 밸브 바디와, 토출 밸브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크볼과, 토출 밸브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는 체크볼이 안착되며 타측에는 삽입홈이 토출 밸브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 볼 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는 동일 크기와 동일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형상과 동일 크기로 형성되는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를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오조립 상태에서 제1 홈의 경사면과 제2 홈의 가이드 돌기에 의해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43)의 외표면의 일부가 제1 홈 또는 제2 홈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의 오조립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여 조립 불량을 방지하는 바,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소비자들의 불만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정량 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왕복동 정량 펌프의 제1 조인트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왕복동 정량 펌프의 제2 조인트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조인트의 내부에 흡입 밸브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2 조인트의 내부에 토출 밸브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흡입 밸브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흡입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토출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밸브의 오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의 오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정량 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왕복동 정량 펌프의 제1 조인트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왕복동 정량 펌프의 제2 조인트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조인트의 내부에 흡입 밸브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제2 조인트의 내부에 토출 밸브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정량 펌프(100)는, 구동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10)와, 구동부(10)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다이어프램(19)을 작동시키는 작동부(15, 17)와, 작동부(15, 17)의 측면에 설치되는 펌프 헤드(20)와, 펌프 헤드(20)를 흡입 유로(21)와 토출 유로(23)에 각각 연결하는 조인트부(30)를 포함한다.
구동부(10)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와, 구동모터(11)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웜 기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웜 기어(13)는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 구동력은 작동부를 구성하는 등속도 캠(15)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작동부는 등속도 캠(15)과 슬라이더 샤프트(17)를 포함할 수 있다.
등속도 캠(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등속도 캠(15)에는 슬라이더 샤프트(17)가 회전 접촉될 수 있다.
슬라이더 샤프트(17)는 일측에 캠 팔로워 베어링(17a)이 설치되어 등속도 캠(15)의 외표면에 회전 접촉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 샤프트(17)는 그 내면에 부속되어 있는 캠 팔로워 베어링(17a)이 등속도 캠(15)과 밀착되어 등속도 캠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바, 구동 모터(11)의 회전 구동력이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되어 왕복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 샤프트(17)의 타측에는 다이어프램(19)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다이어프램(19)은 슬라이더 샤프트(17)의 슬라이딩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펌프 헤드(20)에 형성된 흡입 유로(21)와 토출 유로(23)를 통해 유체의 흡입 및 토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펌프 헤드(20)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유로(21)와 토출 유로(2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펌프 헤드(20)의 일 방향에는 흡입 유로(21)가 연결되어 흡입하고자 하는 유체를 흡입한다. 그리고 펌프 헤드(20)의 다른 방향에는 토출 유로(23)가 연결되어 흡입된 유체의 토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펌프 헤드(20)에는 제1 삽입홈(22)과 제2 삽입홈(2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홈(22)은 펌프 헤드(20)의 일 측에서 흡입 유로(21)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삽입홈(24)은 펌프 헤드(20)의 타측에서 토출 유로(23)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삽입홈(22)과 제2 삽입홈(24)이 펌프 헤드(20)에 형성되는 것은 조인트부(30)의 일부분이 체크 밸브부(40)가 설치된 상태로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조인트부(30)는 제1 삽입홈(22)과 제2 삽입홈(24)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흡입 밸브(41)와 토출 밸브(43)가 각각 삽입되는 안착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인트부(30)는 펌프 헤드(20)를 사이에 두고 제1 삽입홈(22)과 제2 삽입홈(24)의 내부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부(30)는 펌프 헤드(20)를 흡입 유로(21)와 토출 유로(23)에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부(30)는, 펌프 헤드(20)를 흡입 유로(21)에 연결하는 제1 조인트(31)와, 펌프 헤드(20)를 토출 유로(23)에 연결하는 제2 조인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인트(31)와 제2 조인트(33)는 각각 펌프 헤드(20)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인트(31)와 제2 조인트(33)의 각각에는 흡입 밸브(41)와 토출 밸브(43)가 삽입 고정되는 안착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35)은 제1 조인트(31)의 내부에 형성되어 흡입 밸브(41)가 설치되는 제1 홈(35a)과, 제2 조인트(33)의 내부에 형성되어 토출 밸브(43)가 설치되는 제2 홈(3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조인트(31)와 제2 조인트(33)의 각각에는 제1 홈(35a)과 제2 홈(35b)이 형성되는 바, 조인트부(30)는 흡입 밸브(41)와 토출 밸브(43)가 삽입된 상태로 펌프 헤드(20)를 흡입 유로(21)와 토출 유로(23)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체크 밸브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삽입홈(22)에 제1 조인트(31)에 설치된 상태로 삽입되어 흡입 유로(21)에 연결되며 다이어프램(19)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밸브(41)와, 제2 삽입홈(24)에 제2 조인트(33)에 설치된 상태로 삽입되어 토출 유로(23)에 연결되며 다이어프램(19)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 밸브(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착홈(35)의 내벽면에는 체크 밸브부(40)가 바르게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0)는, 제1 홈(35a)의 내벽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제1 가이더(51)와, 펌프 헤드(20)의 제2 삽입홈(24)의 저면에서 제2 홈(35b)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가이더(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더(51)는, 제1 홈(35a)의 내벽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가이더(51)와 경사면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제2 가이더(53)는 제2 삽입홈(24)의 저면에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 가이더와 가이드 돌기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가이드 돌기(53)는 제2 삽입홈(24)의 저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53)가 제2 삽입홈(24)의 저면에서 제2 홈(35b)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은, 후술하는 토출 밸브(43)를 바르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토출 밸브(43)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경사면(51)이 제1 홈(35a)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것은, 흡입 밸브(41)가 바르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흡입 밸브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흡입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밸브(41)는, 제1 홈(35a)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이동 공간이 형성되며 외표면의 일측에는 경사면(51)에 접촉되는 경사부(41e)가 형성된 볼 가이드 바디(41a)와, 이동 공간에 삽입되는 체크볼(41b)과, 볼 가이드 바디(41a)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는 체크볼(41b)이 안착되는 볼 씨트(41c)를 포함할 수 있다.
볼 가이드 바디(41a)는, 제1 홈(35a)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 홈(35a)의 내부에 바르게 삽입된 상태에서 외표면의 상측에는 경사면(51)에 접촉되는 경사부(41e)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볼 가이드 바디(41a)는 볼 가이드 바디(43a)와 동일 형상으로 제1 홈(35a)과 제2 홈(35b)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밸브(41)가 제1 홈(35a)에 뒤집어져 부정확한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 볼 가이드 바디(41a)의 외표면이 제1 홈(35a)의 내벽면에 형성된 경사면(51)에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밸브(41)의 일부분은 제1 홈(35a)의 외부로 돌출되는 바, 작업자는 흡입 밸브(41)가 제1 홈(35a)에 오조립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볼 가이드 바디(41a)의 내부에는 체크볼(41b)이 삽입된다.
체크볼(41b)은 볼 가이드 바디(41a)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볼 가이드 바디(41a)의 내부에는 볼 씨트(41c)가 설치될 수 있다.
볼 씨트(41c)는 일측은 볼 가이드 바디(41a)의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표면은 체크볼(41b)이 안착되는 편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 씨트(41c)의 타측은 볼 가이드 바디(41a)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입 밸브(41)는 펌프 헤드(20)의 측면에서 흡입 유로(21)에 연결된 상태로 외표면이 제1 홈(35a)의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토출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밸브(43)는, 제2 홈(35b)에 삽입되는 볼 가이드 바디(43a)와, 볼 가이드 바디(43a)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크볼(43b)과, 볼 가이드 바디(43a)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는 체크볼(43b)이 안착되며 타측에는 가이드 돌기(53)가 삽입되는 삽입홈(43d)이 볼 가이드 바디(43a)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 볼 씨트(43c)를 포함할 수 있다.
볼 가이드 바디(43a)는 외표면에 경사부(43e)가 형성된다.
이러한 볼 가이드 바디(43a)의 내부에는 체크볼(43b)이 삽입된다.
체크볼(43b)은 볼 가이드 바디(43a)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볼 가이드 바디(43a)의 내부에는 볼 씨트(43c)가 설치될 수 있다.
볼 씨트(43c)는 일측은 볼 가이드 바디(43a)의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표면은 체크볼(43b)이 안착되는 편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 씨트(43c)의 타측은 볼 가이드 바디(43a)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볼 씨트(43c)의 타측에는 삽입홈(43d)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43d)에는 제2 삽입홈(24)의 저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53)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밸브(43)는 가이드 돌기(53)가 볼 가이드 바디(43a)에 형성된 삽입홈(43d)에 삽입되는 바, 제2 홈(35b)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53)는 제2 삽입홈(24)의 저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바, 삽입홈(43d)은 가이드 돌기(53)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하여 볼 씨트(43c)의 저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입 밸브(41)는 펌프 헤드(20)의 측면에서 흡입 유로(21)에 연결된 상태로 외표면이 제1 홈(35a)의 경사면(51)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토출 밸브(43)는 펌프 헤드(20)의 측면에서 토출 유로(23)에 연결된 상태로 볼 씨트(43c)의 삽입홈(43d)에 가이드 돌기(53)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밸브의 오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의 오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형상과 동일 크기로 형성되는 흡입 밸브(41)와 토출 밸브(43)를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오조립 상태에서 제1 홈(35a)의 경사면(51)과 제2 삽입홈(24)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53)에 의해 흡입 밸브(41)와 토출 밸브(43)의 외표면의 일부가 제1 홈(35a) 또는 제2 홈(35b)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밸브(41)와 토출 밸브(43)의 오조립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여 조립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바,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측면에 있어서도 소비자들의 불만 해소는 물론 조립성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구동부 11...구동모터
13...웜 기어 15...등속도 캠
17...슬라이더 샤프트 17a..캠 팔로워 베어링
19...다이어프램 20...펌프 헤드
21...흡입 유로 22...제1 삽입홈
23...토출 유로 24...제2 삽입홈
30...조인트부 31...제1 조인트
33...제2 조인트 35...안착홈
35a..제1 홈 35b..제2 홈
40...체크 밸브부 41...흡입 밸브
41a..볼 가이드 바디 41b..체크볼
41c..볼 씨트 41d..삽입홈
41e..경사부 43...토출 밸브
43a..토출 밸브 바디 43b..체크볼
43c..볼 씨트 43d..삽입홈
43e..경사부 50...가이드부
51...제1 가이더, 경사면 53...제2 가이더, 가이드 돌기

Claims (12)

  1.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토출 유로와 연통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펌프 헤드와, 상기 흡입 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밸브와 상기 토출 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 밸브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부; 및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입 밸브와 상기 토출 밸브가 각각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 헤드를 상기 흡입 유로와 상기 토출 유로에 각각 연결하는 조인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의 내벽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 밸브와 상기 토출 밸브는, 외부면이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펌프 헤드를 상기 흡입 유로에 연결하는 제1 조인트 및 상기 펌프 헤드를 상기 토출 유로에 연결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조인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밸브가 설치되는 제1 홈과, 상기 제2 조인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 밸브가 설치되는 제2 홈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홈의 내벽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제1 가이더와, 상기 펌프 헤드의 상기 제2 삽입홈의 저면에서 상기 제2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가이더를 포함하는 왕복동 정량 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더는 상기 제1 홈의 내벽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인 왕복동 정량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더는 상기 제2 삽입홈의 저면에서 상기 제2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인 왕복동 정량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삽입홈의 저면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왕복동 정량 펌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삽입홈의 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왕복동 정량 펌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홈의 내벽면의 모서리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왕복동 정량 펌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이동 공간이 형성된 볼 가이드 바디;
    상기 이동 공간에 삽입되는 체크볼; 및
    상기 볼 가이드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는 상기 체크볼이 안착되며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볼 씨트;
    를 포함하는 왕복동 정량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며 외표면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토출 밸브 바디;
    상기 토출 밸브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크볼; 및
    상기 토출 밸브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는 상기 체크볼이 안착되며 타측에는 삽입홈이 상기 토출 밸브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 볼 씨트;
    를 포함하는 왕복동 정량 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밸브와 상기 토출 밸브는 동일 크기와 동일 형상인 왕복동 정량 펌프.
KR1020170133256A 2017-10-13 2017-10-13 왕복동 정량 펌프 KR10183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56A KR101839526B1 (ko) 2017-10-13 2017-10-13 왕복동 정량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56A KR101839526B1 (ko) 2017-10-13 2017-10-13 왕복동 정량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526B1 true KR101839526B1 (ko) 2018-03-16

Family

ID=6191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56A KR101839526B1 (ko) 2017-10-13 2017-10-13 왕복동 정량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5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868A (ja) * 1999-07-05 2001-01-23 Iwaki Co Ltd ベローズ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868A (ja) * 1999-07-05 2001-01-23 Iwaki Co Ltd ベローズポ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476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alve stop assembly in a reciprocating pump
TWI660123B (zh) Diaphragm pump
KR20170070016A (ko) 왕복동 펌프
KR102368278B1 (ko) 편심 구동 베인을 구비한 진공 펌프 (편심 펌프 디자인)
KR101839526B1 (ko) 왕복동 정량 펌프
US9644618B2 (en) Portable working machine
US20150292493A1 (en) Fluid-pressure pump
JP6145392B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2945651B2 (ja) 潤滑油ポンプの送油機構
KR20070028168A (ko)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 흡입구조
CN111255664B (zh) 隔膜泵
US4813139A (en) Chain saw
WO2018207626A1 (ja) カートリッジ式ベーンポンプ、及びポンプ装置
KR10185639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JP6154032B2 (ja) 内接型ギヤポンプ
CN111852805A (zh) 可变容量型液压泵和建筑机械
EP0639713A1 (en) Plunger pump
CN218479907U (zh) 冲牙器的泵头装置及冲牙器
JP5915601B2 (ja) ピストンポンプ
KR10032452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장착구조
EP3194723B1 (en) Rotary pump
CN109268236B (zh) 微型气泵
CN110385637B (zh) 装配于机械手臂上的研磨套件
CN111852840A (zh) 柱塞泵及冲洗设备
WO2015076044A1 (ja)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