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139B1 -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139B1
KR101839139B1 KR1020120118613A KR20120118613A KR101839139B1 KR 101839139 B1 KR101839139 B1 KR 101839139B1 KR 1020120118613 A KR1020120118613 A KR 1020120118613A KR 20120118613 A KR20120118613 A KR 20120118613A KR 101839139 B1 KR101839139 B1 KR 10183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ever
door
shaf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492A (ko
Inventor
강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13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충돌 충격에 의한 도어의 열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그립으로부터 핸들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된 누름편과 접촉하고 일측에 스트링이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고정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른 스트링의 회동에 따라서 그 내부 공간부에 설치된 피스톤이 상하로 이동되고 피스톤에는 그 천정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의 천정면에 부착되어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견인되거나 이완하면서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Apparatus for door outside handle of a car in order for prevention of opening caused by collis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충돌 충격에 의한 도어의 열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그립으로부터 핸들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된 누름편과 접촉하고 일측에 스트링이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고정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른 스트링의 회동에 따라서 그 내부 공간부에 설치된 피스톤이 상하로 이동되고 피스톤에는 그 천정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의 천정면에 부착되어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견인되거나 이완하면서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의 외측에는 도어를 개폐하는 핸들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사시도 및 도 2 는 도 1 의 핸들장치에 이용되는 레버(3)의 상세도로서, 사용자가 도어의 그립(1)을 도어의 외측 방향인 A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그립(1)의 몸체가 핸들 프레임(4)의 일측에 부설된 힌지축(2)을 중심으로 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립(1)으로부터 핸들 프레임(4)의 내측으로 연장된 누름편(7)을 그립(1)과 동일한 A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작동을 한다.
또한, 상기 핸들 프레임(4)의 타측의 레버고정부(5)에 도어의 개폐 제어용 케이블(미도시)를 조절하는 레버(3)가 설치되되, 이 레버(3)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상기 핸들 프레림(4)의 누름편(7)과 접촉되는 접점보스(bose)(34)가 형성되고, 접점보스(34)는 상부에 축(33)과 연결되며, 상기 축(33)의 상부에는 축(33)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암(32)의 말단에 부착되며 소정의 중량을 가진 균형추(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33)은 축의 일측에 결합된 스프링(35) 및 스프링(35) 말단의 걸쇠(36)에 의한 걸림 구조에 의하여 하부에 연결된 접점보스(34)가 상기 누름편(7)에 의하여 눌려져 E 방향으로 회동되면 축(33)이 B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접점보스(34)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축(33)은 스프링(35)의 반발력에 의하여 D 방향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축(33)의 회전에 의하여 축(33)의 상단에 형성된 균형추(31)도 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균형추(31)의 하단에 형성되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케이블(미도시)과 직결되는 케이블 연결편(37)도 균형추(31)를 따라서 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이에 직결된 케이블(미도시)를 견인하거나 케이블을 이완시키면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는 도어의 측면으로 강한 충격력이 전달되었을 경우에도 자동차 내부에 탑승한 인원의 안전을 위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작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측면 충돌시 관성에 의하여 그립(1)은 제자리에 멈추어 있을려고 하며,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된 핸들프레임(4)은 충격에 의하여 C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상기 그립(1)과 핸들프레임(4)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그립(1)에는 도어 외측인 A 방향으로의 급격한 가속도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립(1)과 핸들프레임(4)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그립(1)에 발생되는 도어 외측인 A 방향으로의 급격한 가속도는 누름편(7)에 전달되어 누름편(7)과 접촉되는 레버(3)의 접점보스(34)에 E 방향으로의 급격한 가속도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어의 측면 충돌시 상기 레버(3)의 균형추(31)에는 관성에 의하여 제자리에 멈추어 있을려고 하나,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된 핸들프레임(4)은 충격에 의하여 C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상기 균형추(31)와 핸들프레임(4)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접점보스(34)에는 D 방향으로의 급격한 가속도도 함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의 접점보스(34)에는 E 방향 및 D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동시에 작용되어 상호간에 가속도의 힘의 방향의 상쇄작용을 일으키게 되므로, 레버(3)의 축(33)이 회동되지 않게되면서 이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도 열려지지 않게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의 속도 또는 레버(3)의 균형추(31)의 중량 또는 충돌후 반동 등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의 열림방지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나아가, 측면의 충격력으로 인하여 상기 레버(3)에 직결되는 케이블이 핸들 베이스(미도시)로부터 이탈하면서 도어가 열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의 열림방지 구조가 예측 불가의 상태하에서 효과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도어의 열림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구성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그립으로부터 핸들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된 누름편과 접촉하고 일측에 스트링이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고정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른 스트링의 회동에 따라서 그 내부 공간부에 설치된 피스톤이 상하로 이동되고 피스톤에는 그 천정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의 천정면에 부착되어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견인되거나 이완하면서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레버와 연결된 실린더 내부의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케이블의 견인방향으로의 이동이 방해되는 작동을 하게 되므로, 종래의 충돌시 도어 열림을 일으키는 요인인 측면 충돌시의 속도 및 레버의 균형추의 중량, 충돌후 반동 현상 등에 상관없이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며, 나아가 케이블이 핸들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수득하게 되었다.
도 1 은 일반적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핸들장치에 이용되는 레버의 상세도,
도 3 은 본 발명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사시도 및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사시도 및 상세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100)는, 핸들프레임(4)의 타측에 위치하는 레버고정부(110)에 설치된 레버(130)와, 상기 레버(130)의 회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되 몸체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속도에 따라서 이동속도가 가변되는 피스톤(142)을 가진 실린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 핸들장치(100)는, 그립을 고정시키는 힌지축을 형성한 핸들프레임(4)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핸들프레임(4)의 타측에 위치하는 레버고정부(110)에 설치되되 상기 그립로부터 핸들 프레임(4)의 내측으로 연장된 누름편(150)과 접촉하고 일측에 스트링(121)이 결합된 레버(130); 상기 레버고정부(110)에 설치되되 상기 레버(130)의 회동에 따른 스트링(121)의 회동에 따라서 그 내부 공간부(145)에 설치된 피스톤(142)이 상하로 이동되고, 피스톤(142)에는 그 천정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실린더(140); 상기 실린더(140)의 피스톤(142)의 천정면에 부착되어 피스톤(142)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견인되거나 이완하면서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케이블(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핸들프레임(4)의 일측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립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2)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프레임(4)의 타측에는 상기 그립의 누름편(150)에 접촉하는 균형추(131)를 형성한 레버(130)를 설치하는 레버고정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고정부(110)는 거치대(113)에 의하여 상부실(112) 및 하부실(111)의 2 개의 공간부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고정부(110)의 상부실(112)의 거치대(113)에 상기 레버(130)에 직결하는 스트링(string)(121)이 내삽되는 실린더(140)가 거치되며, 사기 레버고정부(110)의 하부실(111)에 상기 레버(130)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130)는 도면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실(111)의 내부 공간에서 축(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13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암(132)의 말단에 상기 핸들프레임(4)의 누름편(150)과 접촉하는 균형추(131)가 형성되고, 상기 축(133)에는 스프링(135)이 결합되되 스프링(135)의 말단의 걸쇠(136)의 일측은 상기 축(133) 하단의 걸게 보스(bose)(134)에 걸려지고, 스프링(135)의 걸쇠(136)의 타측은 상기 하부실(111)의 벽면에 걸려진다.
또한, 상기 레버(130)의 축(133)의 일측 측면에 상기 실린더(140)와 연결되는 스트링(121)이 결합되는 연결편(137)이 형성된다.
또한,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고정부(110)의 거치대(113)에 거치되어 상부실(112)에 위치하는 실린더(140)는 원통 형상의 외부 하우징(14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는 피스톤(142)이 하우징(141)의 내부 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되, 상기 피스톤(142)의 하부 바닥면에는 상기 레버(130)의 연결편(137)에 연결된 스트링(121)이 부착되고, 상기 피스톤(142)의 상부 천정면에는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케이블(120)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42)의 일측에는 피스톤(142)의 천정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협소한 관로인 제 1 오리피스(orifice)(14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오리피스(143)의 피스톤(142)의 바닥면측 개구는 제 1 마개(143a)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42)의 타측에는 피스톤(142)의 천정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협소한 관로인 제 2 오리피스(orifice)(14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리피스(144)의 피스톤(142)의 천정면측 개구는 제 2 마개(144a)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142)에 형성된 제 1 오리피스(143) 및 제 2 오리피스(144)는 실린더(140)의 내부의 공간부(145) 내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도어의 측면 충돌시 본 발명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가 도어를 열리지 않도록 작동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 의 상부 좌우측의 (a) 및 (b)는 자동차의 측면으로의 충돌이 없는 평상시의 작동상태로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사용자가 힌지축(2)에 결합된 그립(1)(도 1 참조)을 도어의 외측인 A 방향(도 1 참조)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그립(1)의 몸체가 핸들프레임(4)의 일측에 부설된 힌지축(2)을 중심으로 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립(1)으로부터 핸들프레임(4)의 내측으로 연장된 누름편(150)을 그립(1)과 동일하게 F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F 방향으로 회동되는 누름편(150)이 레버(130)의 균형추(131)을 밀면서 이 미는 힘이 균형추(131)와 결합하는 축(133)에 전달되고, 상기 축(133)은 그에 결합된 스프링(135) 및 스프링(135) 말단의 걸쇠(136)에 의한 걸림 구조에 의하여 탄성력이 걸린 상태로 G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축(133)이 G 방향으로 회전되면 축(133)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 연결편(137)도 G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고, 이 연결편(137)에 결선된 스트링(121)은 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137)의 회동을 따라서 하방향으로 견인된다.
그러면, 상기 스트링(121)의 하방향으로의 견인력에 의하여 스트링(121)과 결합한 피스톤(142)이 실린더(140)의 공간부(145) 내부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며, 이때, 피스톤(142)의 하부의 공간부(145)에 존재하는 공기가 피스톤(142)의 제 2 오리피스(144)로 유입되고, 제 2 오리피스(144)의 좁은 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가속됨에 따라서 제 2 오리피스(144)의 제 2 마개(144a)가 개방되므로, 피스톤(142)은 실린더(140)의 내부 공간부(145)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한 반발력이 없이 원활하게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142)의 천정면에 부착된 케이블(120)을 하방으로 견인하고, 이러한 케이블(120)의 하방 견인 작용에 의하여 자동차의 도어가 열려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도어가 열려져 사용자가 도어의 그립(1)을 놓게 되면, 도어의 그립(1)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서 그립(1)의 누름편(150)에 작용하던 힘이 해제되고, 나아가 레버(130)의 축(133)이 그에 결합된 스프링(135) 및 스프링(135) 말단의 걸쇠(136)에 의한 걸림 구조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G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자리로 복귀되고, 축(133)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 연결편(137)도 축(133)과 함께 G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직결된 스트링(121)을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이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트링(121)의 상방향으로의 이완력에 의하여 스트링(121)과 결합한 피스톤(142)이 실린더(140)의 공간부(145) 내부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며, 이때, 피스톤(142)의 상부의 공간부(145)에 존재하는 공기가 피스톤(142)의 제 1 오리피스(143)로 유입되고, 제 1 오리피스(143)의 좁은 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가속됨에 따라서 제 1 오리피스(142)의 제 1 마개(143a)가 개방되므로, 피스톤(142)은 실린더(140)의 내부 공간부(145)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한 반발력이 없이 원활하게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142)의 천정면에 부착된 케이블(120)을 상방으로 이완되면서 피스톤(142)이 실린더(140)의 내부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반면에, 도 4 의 하단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측면 충돌에 의하여 도어에 급격하게 충격력이 전달되면, 도 1 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의 측면 충돌시 관성에 의하여 그립(1)은 제자리에 멈추어 있을려고 하며,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된 핸들프레임(4)은 충격에 의하여 도 1 의 C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상기 그립(1)과 핸들프레임(4)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그립(1)에는 도어 외측인 도 1 의 A 방향으로의 급격한 가속도가 발생하게 되면서, 그립(1)의 누름편(150)이 그립(1)과 동일한 방향인 F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동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F 방향으로 회동되는 누름편(150)이 레버(130)의 균형추(131)을 밀면서 축(133)이 G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되며, 레버(130)의 연결편(137)에 결선된 스트링(121)도 연결편(137)의 회동을 따라서 하방향으로 급격하게 견인된다.
그러면, 상기 스트링(121)의 하방향으로의 급격한 견인력에 의하여 스트링(121)과 결합한 피스톤(142)이 실린더(140)의 공간부(145) 내부에서 하방으로 강하게 당겨지면서 이동된다.
이때, 피스톤(142)의 하부의 공간부(145)에 존재하는 공기가 피스톤(142)의 제 2 오리피스(144)로 급격하게 유입되고, 급격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제 2 오리피스(144)의 피스톤(142)의 바닥면 입구에는 공기가 순간적으로 집중되고 집중된 공기가 상기 제 2 오리피스(144)를 통하여 단시간내에 통과될 수 없는 일종의 병목 현상이 발생되게 되고, 제 2 오리피스(144)를 통과하지 못한 공기는 피스톤(142)의 하부의 실린더(140)의 내부 공간부(145)에 잔존하면서 스트링(121)의 견인에 의한 피스톤(142)의 하강 작동을 방해한다.
부연하면, 자동차 충돌시에 충격력이 가해지는 시간은 대략 0.3 초 정도로서, 빠르게 하강되는 피스톤(142)의 이동을 따라서 실린더(14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도 순간적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되나, 제 2 오리피스(144)의 병목현상으로 인하여 피스톤(142)의 천정면 상부의 내부 공간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없게 되는 것으로서, 마치 튜브에서 바람을 뺄 경우 순간적으로 큰 힘을 튜브에 가하여도 공기의 유출량이 크게 변동하지 않는 현상과 동일한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충돌시의 스트링(121)의 급격한 하강에도 불구하고, 제 2 오리피스(144)를 통과하지 못한 공기가 피스톤(142)의 하부의 실린더(140)의 내부 공간부(145)에 잔존하면서 피스톤(142)의 하강 작동을 방해하게 되므로, 피스톤(142)의 천정면에 부착된 케이블(120)의 하방으로의 견인력의 작용을 차단시키고 이로 인하여 측면의 충격시에도 도어의 열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그립
2; 그립 힌지축
4; 핸들 프레임
100; 본 발명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110; 레버 고정부
111; 하부실 112; 상부실
113; 거치대
120; 케이블 121; 스트링
130; 레버
131; 균형추 132; 암
133; 축 134; 접점 보스
135; 스프링 136; 걸쇠
137; 케이블 연결편
140; 실린더
141; 하우징 142; 피스톤
143; 제 1 오리피스 143a; 제 1 마개
144; 제 2 오리피스 144a; 제 2 마개
145; 공간부

Claims (5)

  1. 핸들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는 레버고정부에 설치된 레버;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되 몸체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속도에 따라서 이동속도가 가변되는 피스톤을 가진 실린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핸들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된 누름편과 접촉하고 일측에 스트링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의 천정면에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케이블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고정부는 거치대에 의하여 상부실 및 하부실의 2 개의 공간부로 구획되고,
    상기 레버는 하부실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는 거치대에 거치되어 상부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하부실의 내부 공간에서 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암의 말단에 상기 핸들프레임의 누름편과 접촉하는 균형추가 형성되고,
    상기 축에는 스프링이 결합되되 스프링의 말단의 걸쇠의 일측은 상기 축 하단의 걸게 보스에 걸려지고,
    상기 레버의 축의 일측 측면에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스트링이 결합되는 연결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피스톤의 하부 바닥면에 상기 레버의 스트링이 부착되고,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는 피스톤의 천정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 1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오리피스의 피스톤의 바닥면측 개구는 제 1 마개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는 피스톤의 천정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 2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리피스의 피스톤의 천정면측 개구는 제 2 마개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1020120118613A 2012-10-24 2012-10-24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10183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613A KR101839139B1 (ko) 2012-10-24 2012-10-24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613A KR101839139B1 (ko) 2012-10-24 2012-10-24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492A KR20140052492A (ko) 2014-05-07
KR101839139B1 true KR101839139B1 (ko) 2018-04-27

Family

ID=5088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613A KR101839139B1 (ko) 2012-10-24 2012-10-24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43B1 (ko) * 2018-07-27 2019-04-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KR101983664B1 (ko) * 2018-07-27 2019-05-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565B1 (ko) * 2014-10-17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6580B2 (ja) 2004-05-13 2010-09-01 株式会社ニフコ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6580B2 (ja) 2004-05-13 2010-09-01 株式会社ニフコ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43B1 (ko) * 2018-07-27 2019-04-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KR101983664B1 (ko) * 2018-07-27 2019-05-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492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20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39139B1 (ko) 충돌열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JP5324892B2 (ja) 建設機械用エンジンルームフードステー装置
US20090243307A1 (en) Delay apparatus for opening of vehicle door
JP4711764B2 (ja) 掘削機キャブ内の安全レバーシステム
JP4900395B2 (ja) 洗濯機の蓋構造
CN108265476B (zh) 一种阻尼器及洗衣机
KR101481309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CN102605992B (zh) 车辆门把手装置及车辆
JP4713309B2 (ja) パチンコ遊技機
KR100811714B1 (ko)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아웃사이드핸들 구조
JP5734432B2 (ja) フットドアオープナ
KR101595331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후드래치 장치
KR101163784B1 (ko) 상하 열림각도 조정이 가능한 특수차량의 해치 개폐장치
WO2013099758A1 (ja) 車両用ドア
JP5926106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5880240B2 (ja) 両開き収納ボックス
KR100946481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JP6940867B2 (ja) ポンプ車用吸水管ブラケット
KR100744767B1 (ko)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JP5848221B2 (ja) 消火栓装置
JP7019334B2 (ja) ベルクランク装置及びベルクランクユニット
KR200484353Y1 (ko) 공기유압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닫힘 장치
JP2007077593A (ja) キャブの天窓開閉装置
KR200337407Y1 (ko)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