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156B1 -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156B1
KR101838156B1 KR1020170018013A KR20170018013A KR101838156B1 KR 101838156 B1 KR101838156 B1 KR 101838156B1 KR 1020170018013 A KR1020170018013 A KR 1020170018013A KR 20170018013 A KR20170018013 A KR 20170018013A KR 101838156 B1 KR101838156 B1 KR 10183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healing
extract
leaf
composition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789A (ko
Inventor
임윤숙
김윤미
박지은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2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QUAMOCLIT ANGULATA FOR WOUND HEALING}
본 발명은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큰 기관이며 환경과 우리의 내부 생물학 사이의 계면이다. 피부는 피부의 가장 바깥쪽 층인 표피 및 표피 바로 아래에 있는 진피 두 개의 주요 층으로 구성된다. 각질 형성 세포(keratinocyte)가 피부의 주된 세포이며, 표피의 95%를 구성한다.
초기 각질 형성 세포는 세라미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를 포함하는, 단백질 및 지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화학적으로 및 물리학적으로 저항성인 각질층으로 분화된다. 각질화된 상피의 최상층의 자연적 또는 강제적 제거는 손상된 또는 손실된 세포를 대체하기 위해 근본적인 세포에 의한 턴오버(turnover)를 자극할 수 있다.
각질화된 층은 신체와 환경 사이에서 보호적 및 물-장벽(water-barrier) 기능을 제공한다. 각질 형성 세포의 주요 기능은 화학적, 물리학적 및 기계적 위험, 미생물에 의한 침입, 열, UV 복사 및 수분 손실에 대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다(Proksch et al., 2008). 각질 형성 세포는 또한 표피와 계속적인 점막 조직의 주요 구성요소이다(Presland and Dale, 2000).
상처는 피부 상피의 온전함의 붕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정상적인 상처회복과정은 염증 반응, 육아조직의 형성, 신생 상피세포와 신생혈관 형성 등 3가지 단계를 거치며, 이 기전들이 적절히 이루어졌을 때 완전한 치유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처회복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전개되는 경우 상처회복이 지연될 수 있고,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상기 기전에 장애가 있어 정상인들보다 혈관생성이나 육아조직의 형성이 현저히 느리다.
한편, 성장 인자(Growth factor)는 다양한 세포들의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악성 또는 만성의 상처 치료에 있어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성장 인자는 치료과정에서 세포의 분열과 이동, 신생혈관생성 등 세포활성에 필요한 많은 요소들을 조절한다. 이러한 과정에 관련된 성장 인자들로는 EGF(epidermal growth factor),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FGF(fibroblast growth factor), KGF(keratinocyte growth factor),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G-CSF(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들이 있다.
정상적인 상처치유는 세포의 이동과 증식,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침착 유도와 같이 순차적인 과정을 밟으며 복합적인 조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하면 만성적인 상처로 진행하여 병적인 염증반응이 지속될 수 있다. 만성 궤양의 흔한 원인으로 허혈, 당뇨병, 정맥울혈, 상처부위에 가해지는 불필요한 압력 등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원인들이 동시에 작용할 수도 있다.
상처치유 과정은 염증매개인자,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등 다양한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상처치유에 있어서 염증반응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염증 반응은 상처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염증 반응에 작용하는 다양한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상처치유 과정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과도한 염증반응에 의한 상처치유 장애를 개선하고자 부작용이 적은 천연 생약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이 초기 염증성 인자를 조절하여 상처치유 과정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천연 추출물의 의학적, 식품학적 용도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상처치유 촉진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상처치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40 내지 70%(v/v) 농도의 에탄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초기 염증성 인자를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NF-α(tumor necrosis factor α) 및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상처치유 장애 개선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연물인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식품 내지 약학 조성물로 이용함으로써 화학물질 등 인공적인 소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처치유를 현저히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당뇨병 유도모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의 상처치유 효과를 관찰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의 투여에 따라 상처치유와 연관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도 3 및 4는 정상모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의 상처치유 효과를 관찰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되고,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당뇨성 상처치유 장애 개선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는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덩굴성 한해살이 풀로서 능조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는 특징이 있다. 상기 둥근잎유홍초는 다양한 약리활성을 보유하며 본 발명자들은 상기 둥근잎유홍초의 상처치유 촉진 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식품 또는 의학 소재로서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기 상처치유는 염증, 새로운 조직 형성 및 조직 리모델링을 포함하는, 복합적이고 역동적이지만 잘 조율된 일련의 현상을 수반할 수 있다. 상기 상처치유는 조직이 손상되는 순간 개시되고 상피화(epithelialization) 및 피부 회복의 정밀한 협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것들 중에서 상피화 과정은 궁극적으로 각질 형성 세포의 이동, 증식, 및 분화 능력에 의존적이다(Singer and Clark, 1999).
상피화 과정에서 상처 주변에 위치한 각질 형성 세포는 이동하고 증식하여 상처 위에 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손상된 조직이 본래의 구조와 기능을 복구하는 상처치유 과정은 염증매개인자,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물리적 힘 등의 정상적인 세포 반응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상처치유 과정은 크게 염증단계, 증식단계, 재형성단계로 구성되며, 염증단계에서 PDGF(platelet divided growth factor),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및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와 같은 성장인자들이 분비되고 상처치유의 개시 과정에 관여한다.
염증단계에서 분비되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 α)와 같은 염증성 인자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NF-κB(nuclear factor kappa B)를 활성화시키고 염증 반응 관련 인자의 발현에 관여한다.
상처치유에 있어서 염증반응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염증 반응은 상처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특히, 인슐린의 분비 결함 또는 인슐린 작용의 결함에서 기인한 만성 고혈당증(hyperglycemia)의 특징을 나타내는 당뇨병(diabetes)은 만성적인 대사장에 및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상처 및 허혈성 조직손상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상적인 혈관신생 또는 다양한 염증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적절히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정상 상처에서 'MMP의 조직억제자'라고 불리우는 비특이적 단백분해 억제자 d2 고분자글로불린이 MMP-8 및 중성구 유래 엘라스타아제(elastase) 등의 과발현을 억제할 수 있으나, 당뇨병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균형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처의 손상이 지속될 수 있다.
또한, 당뇨병에 의한 과도한 염증 세포로 인해 TNF-α와 같은 염증 사이토카인들이 증가하고, 증식 단계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PDGF 및 기질 침착에 관여하는 TGF-β 등이 감소하므로 증식 단계의 진행이 억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과도한 초기 염증성 인자를 억제 또는 조절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TNF-α(tumor necrosis factor α) 및 IL-1β와 기타 다른 성장요인들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초기 염증성 인자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영향을 미쳐 상처치유를 현저히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당뇨에 의해 지연되는 상처치유 장애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처치유를 촉진하고 당뇨성 상처치유 장애를 개선하고자, 상기 둥근잎유홍초의 식품 또는 의학 소재로서의 용도를 발굴하였다.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은 제조가 쉽고, 캡슐 등의 다양한 가공 방법으로 취식이 용이하다. 또한, 당뇨병 환자와 같이 상처치유가 지연되는 대상자에게 둥근잎유홍초를 활용하는 경우 상처치유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상처치유용”은 상처의 개선 또는 상처 치유 촉진을 위한 용도로서, 상기 상처치유는 병리학적 현상의 완화속도 증진, 병리학적 세포의 발생 또는 세포의 손상, 소실의 정도의 감소를 의미한다. 즉, 상기 약학 조성물을 사용할 때 통상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처치유 또는 회복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 상기 상처의 개선 또는 상처치유 촉진은 상처 부위의 회복 속도를 증진시키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료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뇨성 상처치유 장애 개선용”은 상처치유와 관련된 기작에 영향을 미쳐 당뇨병에 의한 상처치유 지연 현상을 완화하고 상처치유 속도를 촉진하기 위한 용도를 의미한다.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은 화학물질 등과 달리 천연물 유래의 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므로 섭취 내지 투여에 따른 치명적인 부작용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재료를 특정 조건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재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추출물은 산호초에 대한 추출 공정에 의해 원료 내의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공정에 있어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은 파쇄한 둥근잎유홍초를 물, 알코올, 알코올 수용액, 유기용매 또는 혼합용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초음파 추출기로 매2시간 마다 15분씩 2 내지 3일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온에서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한 후 추출된 잔사를 동결 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된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은 활성탄이 충진된 컬럼에 통과시켜 둥근잎유홍초의 유효성분을 흡착시키고, 활성탄이 충진된 컬럼을 증류수로 세척하여 비 흡착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비 흡착성분이 제거된 활성탄 충진 컬럼에 10 내지 70%(v/v) 에탄올 등 유기용매를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공급하여 활성탄에 흡착된 둥근잎유홍초의 유효성분을 용출시켜 분리정제한 후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수득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v/v)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 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생약재의 생리 활성 물질의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상처치유 촉진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식품이나 의약품의 소재로서 사용하기 적합하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공정 관리와 같은 비용 증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경제적 효과 역시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여,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적의 상처치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0%(v/v)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40%(v/v) 미만이면 상처치유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용매의 농도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적 전달, 비경구적 전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전신 또는 국소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이 치료제로서 투여되는 경우, 적절한 투여 형태를 제공하도록 적합한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상기 고형제제는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은 육류, 스낵류, 낙농제품, 음료수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상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품목은 예컨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처치유 촉진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대상의 상처치유 촉진을 목적으로,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10.0 중량%의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이 1.0 중량% 미만이면 상처치유 촉진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중량% 초과이면 제품 본연의 품질이 구현되지 않거나 비용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대상의 상처치유 촉진을 목적으로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 형태의 식품 조성물은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 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식품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고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상기 캅셀 형태의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솔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환 형태의 식품 조성물은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상기 과립형태의 식품 조성물은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고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고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서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을 자명하다.
제조예 :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의 제조
둥근잎유홍초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쇄물을 100g 수득하였다.
둥근잎유홍초 분쇄물 100g에 대해 10배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50% 질량농도)를 용매로 하여 5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침적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필터에 의해 여과되었으며, 잔여 원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3회씩 반복 추출하여 추출물을 완성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30℃에서 감압 농축되었으며 동결 건조되어 고형으로 수득하였다.
실험예 1 :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상처치유 속도 평가(당뇨병 유도모델)
ICR 마우스에 염류용액(saline)에 용해시킨 알록산(Alloxan) 150mg/kg를 복강 내 주입하였고 1주 경과 후 공복 혈당 250mg/dL 이상이면 당뇨로 판정하였다.
제조예 1의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10mg을 살균된 3차 증류수 1kg에 용해시켰으며, 4주간 당뇨가 유도된 마우스에 일정량을 경구 투여하였다.
마지막 투여 후 마취한 쥐의 등을 제모하고 견갑골 아래 피부에 직경 4mm의 상처를 형성하였다. 매일 같은 시간에 상처 부위를 촬영하고 상처 면적을 계산함으로써 상처치유 속도를 분석하였다.
이 때, 당뇨가 유발되지 않은 시험군을 정상군(NC)으로, 당뇨가 유발된 시험군을 당뇨균(DMC)으로 하였으며, 당뇨가 유발된 시험군에 둥군잎유홍초 추춤루을 투여한 시험군을 둥근잎유홍초 투여군(DM+QL)으로 규정하여 상기 추출물의 약리적 효과를 시험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둥근잎유홍초 투여군(DM+QL)의 경우 정상군(NC) 및 당뇨군(DMC)과 비교하여 상처가 현저히 빠른 속도로 회복되었다.
즉, 통상적으로 성처치유가 지연되는 당뇨군의 경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상처치유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상군과 비교할 때에도 상처 부위가 더 빠르게 회복되었다.
상기 결과는 천연물 유래의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이 상처치유를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성 상처치유 장애에 대한 개선효과가 뛰어남을 시사한다.
실험예 2 :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염증성 인자의 발현 측정
정상군(NC) 및 당뇨군(DMC)에 증류수를 투여하고, 당뇨군 중 일부(DM+QL)에는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4주 동안 투여하였다.
마우스의 피부에 상처를 형성하고 상처가 회복된 후 그 상처 조직을 추출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상기 웨스턴 블랏을 통해 상처부위의 염증 관련 TNF-α(tumor necrosis factor α) 및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둥근잎유홍초 투여군(DM+QL)의 경우 정상군(NC) 및 당뇨군(DMC)과 비교하여 TNF-α와 COX-2의 발현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즉,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은 염증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활성을 하향 조절하고 상처치유 말기까지 과도한 염증이 지속되는 상태를 완화시켜 상처치유를 효과적으로 개선 및 촉진할 수 있으며, 상기 결과는 상기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이 상처치유의 개선의 용도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3 : 둥근잎유홍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상처치유 속도 평가(정상모델)
마우스의 피부에 상처를 형성하였으며, 정상 투여군(Q)에 둥근잎 유홍초 추출물을 정상 대조군(NC)에 증류수를 14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처 치유 속도를 비교하였으며, 상처 크기의 비율은 상처를 형성한 날의 상처 크기를 1로 간주하여 상대적인 감소비를 산출하였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둥근잎 유홍초 추출물을 투여한 정상 투여군에서 상처치유 속도가 현저히 증대되었다.
상기 결과는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이 당뇨병이 유발된 모델뿐만 아니라 정상모델에서도 상처의 회복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상처치유 장애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40 내지 70%(v/v) 농도의 에탄올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초기 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factor)를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TNF-α(tumor necrosis factor α) 및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6.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Boj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상처치유 장애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삭제
KR1020170018013A 2016-09-01 2017-02-09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KR101838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594 2016-09-01
KR20160112594 2016-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89A KR20180025789A (ko) 2018-03-09
KR101838156B1 true KR101838156B1 (ko) 2018-03-13

Family

ID=6166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013A KR101838156B1 (ko) 2016-09-01 2017-02-09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5556A (ja) 2020-11-06 2022-05-18 住友化学株式会社 塩、酸発生剤、レジスト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
JP2022077982A (ja) 2020-11-12 2022-05-24 住友化学株式会社 塩、酸発生剤、レジスト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89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750B1 (ko) 무궁화의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CN103462025A (zh) 辅助降血脂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640555A (zh) 用于治疗代谢综合征的新的洋蓟(Cynara Scolymus)、咖啡属(Coffea spp.)和油橄榄(Olea Europaea)的提取物
KR101838156B1 (ko)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KR102331317B1 (ko)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CN108570116B (zh) 黄绿卷毛菇多糖及制备方法和在防治糖尿病中的医用用途
CN109689064B (zh) 含有Uldavioside A化合物的伤口治疗用组合物
KR102033073B1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2585880B1 (ko) 피부 유익균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6822338B (zh) 降血糖降血脂、预防和/或治疗糖尿病及其并发症的复方组合物及其用途
KR20190059860A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925948B (zh) 生姜总提取物或其活性成分的用途、药物组合物和制法
KR102234860B1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08104A (ko) 한인진 및 울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845634B (zh) 香茅属植物提取物作为胰岛素增敏药物的用途
CN112603978A (zh) 一种治疗2型糖尿病合并冠心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875350B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组合物
KR101862032B1 (ko) 향부자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스키르푸신 a와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및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87174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67125B1 (ko) 카우레노산 및 콘티넨탈산의 함량이 증대된 독활 추출물의 제조 방법
CN101366731B (zh) 蜂胶黄酮及其制备方法和在治疗糖尿病中的用途
KR102088476B1 (ko)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증대된 오디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778142B1 (ko) 항당뇨 활성이 강화된 장생도라지 복합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265793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EP4353246A1 (en) Use of bletilla formosana (hayata) schltr. extract for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moting chronic wound he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