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136B1 - 용매 조성물 및 와이어 코팅 매체 - Google Patents

용매 조성물 및 와이어 코팅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136B1
KR101838136B1 KR1020127005585A KR20127005585A KR101838136B1 KR 101838136 B1 KR101838136 B1 KR 101838136B1 KR 1020127005585 A KR1020127005585 A KR 1020127005585A KR 20127005585 A KR20127005585 A KR 20127005585A KR 101838136 B1 KR101838136 B1 KR 10183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namel
solvent
boiling
wire
solv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9260A (ko
Inventor
지안카를로 손치니
클라우스-빌헬름 리네르트
Original Assignee
엘란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란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란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8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6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에탄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고-비점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 조성물,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며 상기 용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Description

용매 조성물 및 와이어 코팅 매체{SOLVENT COMPOSITION AND WIRE COATING MEDIUM}
본 출원은 DE 10 2009 026 343.8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우선권 문헌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에 인용된 모든 문헌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특정 용매 조성물, 바인더로서의 폴리비닐 포르말 및 용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와이어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코팅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경우 상업적인 탄화수소 희석제와 조합한, 예컨대 크레졸 용매 중의 폴리비닐 포르말,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이미드 및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표준 바인더의 용액이다.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코팅 조성물은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바인더는 알데하이드와 반응하여 폴리비닐 포르말을 형성하는 폴리비닐 알코올로 구성되어 있다. 폴리머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에서 폴리비닐 알코올로의 가수분해로부터 남은 에스터기와, 또한 알데하이드와 반응하지 않은 유리 OH 기들을 함유한다. 다른 수지들의 도움으로, 이들 OH 기들에 의해, 구리 와이어 상에 열경화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가교결합이 일어난다.
GB 578 882는 멜라민 수지와 조합한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로 구성된 와이어 에나멜을 기재하고 있다.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와 페놀 수지의 조합물은 GB 810 359 및 GB 862 165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와 블럭화된 이소시아네이트의 가교결합은 GB 938 119의 주제이다.
열거된 모든 가교제들의 조합물은 GB 975 455 및 GB 1 112 186에 기재되어 있다.
20% 내지 30%의 범위의 와이어 에나멜의 낮은 고체 함량은 모든 폴리비닐 포르말 와이어 에나멜에 공통적이다. 용매 조성물은 흔히, 보통 1:1 비율의 크레졸과 솔벤트 나프타(solvent naphtha)이다. 크레졸 용매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크레졸 및 크실레놀 이성질체들(페놀도 포함될 수 있음)의 특수한(technical) 혼합물이다. 사용되는 희석제들에는 자일렌, 솔벤트 나프타, 톨루엔, 에틸벤젠, 큐멘, 중질의(heavy) 벤젠, 다양한 솔베소(Solvesso) 및 셸솔(Shellsol) 등급, 및 또한 데아솔(Deasol)이 포함된다. 20-22%의 고체 함량에서, 이들 와이어 에나멜은 흔히 3,000-6,000mPas 범위의 점도를 갖는다. 고체 함량의 증가는 점도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할 것이며, 에나멜이 더 이상 코팅에 의해 적용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크레졸은 유독성이며, 이에 따라 환경 및 가동상의 이유에서 불리하다.
추가적으로,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공지된 와이어 코팅 조성물들의 불리한 점은, 이들이 낮은 고체 함량 및 높은 점도를 가지며, 또한 다량의 크레졸을 용매로서 함유한다는 점이다.
무-크레졸(cresol-free) 와이어 에나멜은 실제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DE 41 33 161 및 US 7,521,498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의 경우가 아니다. 상기 문헌은 흔히 대안적인 용매로서, 디메틸 글라이콜, 에틸 글라이콜, 이소프로필 글라이콜, 부틸 글라이콜, 메틸 다이글라이콜, 에틸 다이글라이콜 및 부틸 다이글라이콜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고려되는 것은 글라이콜 에테르 에스터, 예컨대 메틸 글라이콜 아세테이트, 에틸 글라이콜 아세테이트, 부틸 글라이콜 아세테이트 및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이다. 추가의 예들에는 사이클릭 카보네이트,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사이클릭 에스터, 감마-부티로락톤,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및 N-메틸피롤리돈이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은, 원하는 경우 전술한 용매들과 조합하여, 방향족 용매, 벤질 알코올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 27 40 215 A1은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를 기반으로 하며 반드시 용매 성분으로서 특정한 글라이콜 에테르를 포함하는 와이어 에나멜을 개시하고 있다.
지금까지 선행 기술은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에 대한 최적의 용매를 개시하지 않아왔다.
문제점: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문제점은 전술한 단점들을 갖지 않고, 작동 원리에 어떠한 결과적인 역효과도 없이 크레졸 없이 제조될 수 있는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은 특히 우수한 특성, 보다 특히 매우 낮은 유독성을 가지며, 코팅 물질, 보다 특히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을 용해시키는 뛰어난 능력을 갖는 혁신적인 용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책:
상기 문제점은 특정한 용매 조성물에 의해, 또한 특정한 용매 조성물, 즉 에탄올을 포함하는 용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에 의해 해결된다.
정의:
본 발명의 문맥에서, 모든 수량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에 의한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실온"은 23℃의 온도를 나타낸다. 온도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섭씨온도(℃)이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기술된 반응 및 방법 단계들은 표준/대기압에서, 즉 1013mbar에서 수행된다.
표현 (메트)아크릴-은 본 발명의 문맥에서 메타크릴-뿐만 아니라 아크릴- 및 둘 모두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여기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고체 함량은 경화 후의 결과적인 생성물에서 고체 물질을 구성하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구성 성분들의 합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높은 비등점을 갖는 용매/고-비점 용매는 (1013mbar의 압력 하에서) 비등점이 160℃ 이상인 용매이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기에 관한 것이다:
- 에탄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고-비점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 조성물,
- 상기 용매 조성물의 용도,
- 상기 용매 조성물을 포함하며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
- 상기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을 제조하는 방법, 및
- 상기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용도.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은 하기 구성 성분들로 구성된다:
- 5-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2-25중량부의 에탄올,
- 10-5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4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8-40중량부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 0-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4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8-35중량부의 고-비점 용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용매 조성물은 상기 세 개의 기술된 구성 성분들(에탄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및 고-비점 용매) 및 부가적으로 0-3중량부의 추가의 용매, 예컨대 다양한 크레졸 및 크실레놀 이성질체들(페놀도 포함될 수 있음)의 특수한 혼합물일 수 있는 크레졸 용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용매 조성물은 상기 세 개의 기술된 구성 성분들(에탄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및 고-비점 용매) 및 부가적으로 0-5중량부의 추가의 용매, 예컨대 다양한 크레졸 및 크실레놀 이성질체들(페놀도 포함될 수 있음)의 특수한 혼합물일 수 있는 크레졸 용매로 구성된다.
적합한 방향족 탄화수소에는 보다 특히 톨루엔, 및 자일렌, 솔벤트 나프타, 톨루엔, 에틸벤젠, 큐멘, 중질의 벤젠, 다양한 솔베소 및 셸솔 등급, 및 데아솔을 포함한 특수한 방향족-함유 탄화수소 컷(cuts)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매우 바람직한 것은 톨루엔이다.
높은 비등점을 갖는 것으로 규명된 용매에는 디아세톤 알코올 및 벤질 알코올을 포함한, 고-비점 알코올이 포함된다. 또한,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아디페이트, 디메틸 숙시네이트 및 디메틸 글루타레이트를 포함한 고-비점 에스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틸 글라이콜 아세테이트 및 에틸 다이글라이콜 아세테이트를 포함한 글라이콜 에스터는, 마찬가지로 그들 자신을 높은 보일러(boilers)로서 확립하였으며,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사용되는 높은 비등점을 갖는 용매들에는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아디페이트, 디메틸 숙시네이트 및 디메틸 글루타레이트를 포함한 고-비점 에스터가 있다.
또한, 기술된 고-비점 에스터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매우 바람직한 것은 디메틸 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에탄올, 톨루엔 및 디메틸 프탈레이트의 용매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사용되는 에탄올은 바이오에탄올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O2 균형을 추가로 개선시키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의 환경적인 이점이 개선된다.
환경, 작동 및 안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은 크레졸-함유 용매보다 훨씬 더 우수한데, 이는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이 크레졸과 대조적으로 (유해 물질 분류의 측면에서) 유독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은 매우 다양한 바인더 및 가교제를 용해시킬 수 있다.
이는 놀랍게도, 코팅 물질, 특히 와이어 에나멜, 보다 특히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 조성물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코팅 물질에 대해, 더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에나멜에 대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 조성물에 대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은 그 자체로는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이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을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선행기술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인더는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모든 바인더들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것은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를 기반으로 한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업적으로 일반적인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는 분자량, OH 수 및 에스터기 함량이 상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시중에 나와 있는 입수 가능한 모든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들과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순수한 바인더 이외에도, 가교제 또한 본 발명의 문맥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블럭화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등이며, 보다 특히 블럭화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사용되는 가교제는 크레졸-블럭화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페놀 수지 및 멜라민 수지의 조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트리메틸롤프로판-분지된 것으로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알킬화된 레졸을 기반으로 하는 페놀 수지 또한 사용할 수 있으며, OH 폴리에스터를 경화하기 위한 이의 사용은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멜라민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마찬가지로 OH 폴리에스터의 가교결합에 대해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바인더, 가교제 및 용매 이외에, 본 발명의 와이어 에나멜은 염료, 흐름 제어 보조제(assistants) 및 제제(agents), 촉매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구성 성분들 역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우수한 특성을 갖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은 하기의 구성을 갖는다:
- 5중량%-40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3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2중량%-25중량%의 에탄올,
- 10중량%-55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4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8중량%-40중량%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 0중량%-50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4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8중량%-35중량%의 고-비점 용매,
- 10중량%-4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3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30중량%의 바인더 및 가교제,
상기 수치들은 각각의 경우 100중량%를 나타내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총 중량을 기초로 한 것이며, 수치들의 합은 100중량%가 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은 상기 네 개의 기술된 구성 성분들(에탄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고-비점 용매, 및 바인더 + 가교제) 및 부가적으로 0-3중량부의 추가의 용매, 예컨대 다양한 크레졸 및 크실레놀 이성질체들(페놀도 포함될 수 있음)의 특수한 혼합물일 수 있는 크레졸 용매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수치는 각각의 경우 100중량%를 나타내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총 중량을 기초로 하며, 수치들의 합은 100중량%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은 상기 네 개의 기술된 구성 성분들(에탄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고-비점 용매, 및 바인더 + 가교제) 및 부가적으로 0-5중량부의 추가의 용매, 예컨대 다양한 크레졸 및 크실레놀 이성질체들(페놀도 포함될 수 있음)의 특수한 혼합물일 수 있는 크레졸 용매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수치는 각각의 경우 100중량%를 나타내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총 중량을 기초로 하며, 수치들의 합은 100중량%가 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은 와인딩(winding) 와이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은 놀랍게도, 특히 바람직한 에탄올, 톨루엔 및 디메틸 프탈레이트의 용매 조성물에 의해 갖게 되는 특히 우수한 적합성을 지녀, 전술한 와이어 에나멜 조성물에 대해 최적의 용매인 것으로 밝혀졌다.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용매 조성물이 주입되고,
b)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가 상승 온도에서 그 안에서 용해되며,
c) 용액이 냉각되고 잔존하는 성분들이 추가되며,
d) 와이어 에나멜이 균질화되고 임의적으로 여과된다.
여기에 원하는 적용 점도로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추가의 희석이 이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용매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d)에서, 비록 다른 균질화 기술들, 예컨대 초음파에 의해서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교반에 의해 균질화가 완수된다.
단계 d)에서 여과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5-10my의 여과기를 통해 일어난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포르말 와이어 에나멜은 통상의 와이어 에나멜링 기계에 의해 적용되고 경화될 수 있다. 각각의 특정한 경우에 필요한 에나멜 필름 두께는 1 내지 10번의 개별적인 적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에나멜의 각각의 개별적인 적용은 그 다음의 에나멜의 적용에 앞서 버블이 없는 상태로 경화된다. 일반적인 에나멜링 기계는 코팅될 와이어의 두께에 따라 5 내지 180m/분의 테이크-오프 속도로 작동한다. 일반적인 오븐 온도는 300 내지 550℃에 놓인다.
하기 여러 종속항들의 구현예들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예컨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하기의 비제한적인 예들을 참조로 하여 예시된다.
실시예 1- PU 가교제 :
29.5g의 m,p-크레졸 및 27.8g의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교반기, 환류 냉각기, 질소 인렛 튜브를 갖추고 있는 3구 플라스크(three-necked flask)에서 110℃에서 반응시켰다. 30분 후에, 5.5g의 트리메틸롤프로판 및 0.01g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고 배치(batch)를 2시간 동안 130℃에서 유지시켰다. 배치를 18.0g의 m,p-크레졸 및 20g의 솔베소 100으로 희석시켰다. 가교제는 6,280mPas의 점도를 갖고 40.3%의 고체 함량을 가졌다.
실시예 2-폴리비닐 포르말 이어 에나멜 1: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질소 인렛 튜브를 갖추고 있는 3구 플라스크를 29.0g의 톨루엔, 20.0g의 에탄올 및 19.5g의 디메틸 프탈레이트로 채우고, 이러한 초기 충전물을 75℃로 가열시켰다. 75℃에서, 13.5g의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Vinylec®)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에, 배치를 60℃로 냉각시켰다. 배치를 실시예 1로부터의 3.9g의 PU 가교제, 8.6g의 상업적인 레졸(부탄올 내에서 80% 강도)(Phenodur® PR612) 및 0.5g의 상업적인 멜라민 수지(Priam® RMF 7960)와 혼합시켰다. 5.0g의 톨루엔을 사용하여 점도를 2,800mPas로 조절하였다. 고체 함량의 측정으로 21.0%의 수치를 얻었다.
실시예 3-폴리비닐 포르말 와이어 에나멜 2: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질소 인렛 튜브를 갖추고 있는 3구 플라스크를 34.9g의 톨루엔, 23.0g의 에탄올 및 10.3g의 디메틸 프탈레이트로 채우고, 이러한 초기 충전물을 75℃로 가열시켰다. 75℃에서, 13.5g의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Vinylec®)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에, 배치를 60℃로 냉각시켰다. 배치를 실시예 1로부터의 3.9g의 PU 가교제, 8.6g의 상업적인 레졸(부탄올 내에서 80% 강도)(Phenodur® PR612) 및 0.5g의 상업적인 멜라민 수지(Priam® RMF 7960)와 혼합시켰다. 5.0g의 톨루엔을 사용하여 점도를 2,450mPas로 조절하였다. 고체 함량의 측정으로 20.7%의 수치를 얻었다.
실시예 4-폴리비닐 포르말 와이어 에나멜 3: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질소 인렛 튜브를 갖추고 있는 3구 플라스크를 20.5g의 톨루엔, 13.7g의 에탄올 및 34.3g의 디메틸 프탈레이트로 채우고, 이러한 초기 충전물을 75℃로 가열시켰다. 75℃에서, 13.5g의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Vinylec®)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에, 배치를 60℃로 냉각시켰다. 배치를 실시예 1로부터의 3.9g의 PU 가교제, 8.6g의 상업적인 레졸(부탄올 내에서 80% 강도)(Phenodur® PR612) 및 0.5g의 상업적인 멜라민 수지(Priam® RMF 7960)와 혼합시켰다. 5.0g의 톨루엔을 사용하여 점도를 3,480mPas로 조절하였다. 고체 함량의 측정으로 21.2%의 수치를 얻었다.
실시예 5- 비교예 : 크레졸 폴리비닐 포르말 와이어 에나멜: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질소 인렛 튜브를 갖추고 있는 3구 플라스크를 30g의 m,p-크레졸로 채우고, 이러한 초기 충전물을 75℃로 가열시켰다. 75℃에서, 13.5g의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Vinylec®)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에, 배치를 60℃로 냉각시켰다. 배치를 실시예 1로부터의 3.9g의 PU 가교제, 8.6g의 상업적인 레졸(80% 강도)(Phenodur® PR612) 및 0.5g의 상업적인 멜라민 수지(Priam® RMF 7960)와 혼합시켰다. 44.0g의 솔베소 100을 사용하여 점도를 6,500mPas로 조절하였다. 고체 함량은 20.8%였다.
실시예 6- 에나멜링 결과:
폴리비닐 포르말 와이어 에나멜 1을 하기 에나멜링 조건 하에서 표준 산업 버티컬 에나멜링 기계상에 적용하였다:
와이어 직경: 4.124㎜
직경 증가: 0.097㎜
통과 횟수: 10
IEC 851에 따라 시험을 하였다.
파단시 연신율: 37%
파괴 전압: 14,300 V
외부 섬유 연신율: 39% + 3xd
열충격(30% + 1xd): 200℃/30분에서 양호함.
핀 홀: 없음
폴리비닐 포르말 에나멜 2 및 3과 크레졸 에나멜 역시 동일한 에나멜링 결과가 나왔다.

Claims (8)

  1. 하기 구성을 갖는, 폴리비닐 포르말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
    - 5-40중량%의 에탄올,
    - 10-55중량%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 0중량% 초과 및 50중량% 이하의 고-비점 용매,
    - 10-40중량%의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바인더 및 가교제,
    상기 수치들은 각각의 경우 100중량%를 나타내는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총 중량을 기초로 한 것으로, 수치들의 합은 100중량%가 되며,
    상기 고-비점 용매는 160℃ 이상의 비등점을 갖는 고-비점 알코올, 고-비점 에스터 또는 글라이콜 에스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가 톨루엔인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점 용매가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아디페이트, 디메틸 숙시네이트 및/또는 디메틸 글루타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고-비점 에스터인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점 용매가 디메틸 프탈레이트인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인딩(winding) 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어 에나멜 포뮬레이션의 제조방법으로서,
    a) 용매 조성물이 주입되고,
    b) 상승 온도에서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가 용매 조성물에 첨가되고, 그 안에서 용해되어 용액을 형성하고,
    c) 용액이 냉각되고 잔존하는 성분들이 추가되고,
    d) 와이어 에나멜이 균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a) 용매 조성물이 주입되고,
    b) 상승 온도에서 폴리비닐 포르말 수지가 용매 조성물에 첨가되고, 그 안에서 용해되어 용액을 형성하고,
    c) 용액이 냉각되고 잔존하는 성분들이 추가되고,
    d) 와이어 에나멜이 균질화되고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용매 조성물은 에탄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 혼합물, 및 고-비점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잔존하는 성분들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27005585A 2009-08-06 2010-07-19 용매 조성물 및 와이어 코팅 매체 KR101838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6343A DE102009026343A1 (de) 2009-08-06 2009-08-06 Lösemittelzusammensetzung und Drahtbeschichtungsmittel
DE102009026343.8 2009-08-06
PCT/EP2010/060428 WO2011015447A1 (de) 2009-08-06 2010-07-19 Lösemittelzusammensetzung und drahtbeschichtungsmitt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260A KR20120089260A (ko) 2012-08-09
KR101838136B1 true KR101838136B1 (ko) 2018-03-13

Family

ID=4306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585A KR101838136B1 (ko) 2009-08-06 2010-07-19 용매 조성물 및 와이어 코팅 매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921469B2 (ko)
EP (1) EP2462201B1 (ko)
JP (1) JP5714011B2 (ko)
KR (1) KR101838136B1 (ko)
CN (1) CN102471628B (ko)
DE (1) DE102009026343A1 (ko)
ES (1) ES2436185T3 (ko)
IN (1) IN2012DN00308A (ko)
RU (1) RU2548094C2 (ko)
TW (1) TWI485209B (ko)
WO (1) WO2011015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6343A1 (de) 2009-08-06 2011-02-17 Elantas Gmbh Lösemittelzusammensetzung und Drahtbeschichtungsmittel
CN105088789A (zh) * 2015-09-22 2015-11-25 浙江新达经编有限公司 一种高强耐腐蚀面料及其制备方法
CN110382556B (zh) * 2017-03-09 2021-10-15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聚合抑制剂组合物
DE102019216245B3 (de) 2019-10-22 2020-11-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etektion von Lackresten auf einer Oberfläche
CA3204078A1 (en) 2020-12-11 2022-06-16 Asta Energy Solutions Gmbh Photonic lacquering of wir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7729A (en) * 1938-04-29 1940-10-15 Commercial Solven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cess for applying cellulose derivative lacquers
GB578882A (en) 1942-01-08 1946-07-16 British Insulated Cables Ltd Improved resinous lacquers or enamels and products therefrom
US2917416A (en) 1955-10-25 1959-12-15 Shawinigan Resins Corp Polyvinyl acetal-phenol aldehyde resin wire enamel and method of using same
US2917482A (en) 1956-10-12 1959-12-15 Shawinigan Resins Corp Electrical insulation comprising polyvinyl acetal-phenol aldehydes cured with oxacids of phosphorus
BE592373A (ko) 1959-06-29
US3104236A (en) 1960-02-01 1963-09-17 Shawinigan Resins Corp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vinyl acetal, a phenol-aldehyde resin, a melamine-aldehyde resin and a polyurethane, and electrical conductor coated therewith
US3342893A (en) * 1963-11-29 1967-09-19 Rohm & Haas Alkylated condensate of formaldehyde and a diamide of an m-phenylene dicarboxylic acid
US3400172A (en) 1965-04-30 1968-09-03 Gen Electric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mixture of:(1) a phenol-formaldehyde resin, (2) a melamine-aldehyde resin, (3) a polyisocyanate and, (4) a blend of high and low molecular weight polyvinyl formal resins
BE754692A (fr) 1969-08-12 1971-02-11 Scott Paper Co Plaque d'impression planographique a sec et sa methode de preparation
SU380680A1 (ru) * 1970-03-06 1973-05-15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ый лак
US4126597A (en) * 1977-03-21 1978-11-21 Schenectady Chemicals, Inc. Solutions of polyvinyl acetals
US4448622A (en) 1982-04-26 1984-05-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omposite polymeric film and method for its use in installing a very thin polymeric film in a device
JPH0813891B2 (ja) 1990-06-01 1996-02-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グラフト共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被覆組成物
DE4133161A1 (de) 1991-10-07 1993-04-08 Wiedeking Gmbh D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 nicht phenolischen loesungsmitteln loeslichen harzen
DE10206781A1 (de) 2002-02-19 2003-09-04 Altana Elec Insulation Gmbh Kresolfreie bzw. kresolarme Drahtlacke
US20070031672A1 (en) 2005-08-08 2007-02-08 Frank-Rainer Boehm Wire-coating composition based on new polyester amide imides and polyester amides
DE102009026343A1 (de) 2009-08-06 2011-02-17 Elantas Gmbh Lösemittelzusammensetzung und Drahtbeschichtungs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2201A1 (de) 2012-06-13
IN2012DN00308A (ko) 2015-05-08
DE102009026343A1 (de) 2011-02-17
CN102471628A (zh) 2012-05-23
KR20120089260A (ko) 2012-08-09
CN102471628B (zh) 2016-02-10
TWI485209B (zh) 2015-05-21
WO2011015447A1 (de) 2011-02-10
RU2548094C2 (ru) 2015-04-10
RU2012108167A (ru) 2013-09-20
EP2462201B1 (de) 2013-10-16
US8921469B2 (en) 2014-12-30
TW201113338A (en) 2011-04-16
US20120196964A1 (en) 2012-08-02
ES2436185T3 (es) 2013-12-27
JP2013501329A (ja) 2013-01-10
JP5714011B2 (ja)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136B1 (ko) 용매 조성물 및 와이어 코팅 매체
DE60125040T2 (de) Wässrige Harzzusammensetzung
DE102009020211A1 (de) Verwendung eines Polyesters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mit einem niedrigen Gehalt an extrahierbaren Verbindungen
DE102004050775A1 (de) Wässrige, strahlenhärtbare Harz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WO1991007469A1 (de) Drahtlacke sowie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beschichten von drähten
EP0476323A2 (de) Bindemittelkombinationen und ihre Verwendung in Beschichtungsmitteln und Dichtmassen
DE102005037754A1 (de) Verbesserte Fahrweise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n
US10731050B2 (en) Coating composition
EP4166583A1 (en) Dispersion composition
KR102135512B1 (ko) 폴리올레핀계 이형 코팅제 조성물
EP1247823B1 (de) Niedermolekulare Polyesteracrylat-Bindemittel
EP0473999A1 (de) Bindemittelkombinationen und ihre Verwendung in Beschichtungsmitteln und Dichtmassen
EP0519186A1 (de) Pulverlacke
CN110591536A (zh) 一种高软化击穿聚氨酯漆包线漆及其制备方法
DE1982408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atgruppenhaltigen Prepolymeren
US1216266A (en) Insulating composition.
WO2020019225A1 (en) Aqueous dispersion of modified resins
EP0893477A2 (d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verbesserter Chemikalienresistenz
DE202015000810U1 (de) Härtbare Zusammensetzung enthaltend (Meth)acrylate von C17-Alkoholgemischen
DE202013008301U1 (de) Härtbare Beschichtung hergestellt mit einem aus (Meth)acrylaten von Polyalkoxygruppen enthaltenden Alkoholen aufgebauten Copolymer
DE202016000452U1 (de) Härtbare Zusammensetzung enthaltend (Meth)acrylate von C9-Alkoholgemis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