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985B1 -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985B1
KR101837985B1 KR1020120003921A KR20120003921A KR101837985B1 KR 101837985 B1 KR101837985 B1 KR 101837985B1 KR 1020120003921 A KR1020120003921 A KR 1020120003921A KR 20120003921 A KR20120003921 A KR 20120003921A KR 101837985 B1 KR101837985 B1 KR 10183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valve member
pressur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51A (ko
Inventor
강태호
백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2000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9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5Flow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의 냉매 토출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및 이 압축기로부터 냉매 토출 유동압력의 변화율을 줄임으로써 기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밸브부재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량을 조절함으로써 냉매배관의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인한 기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REFRIGERATING CYCLE FOR REDUCING NOISE 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량을 조절함으로써 냉매배관의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인한 기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에 공급할 냉기를 얻기 위해 냉매를 순환시키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냉매를 고도로 압축 이송시키는 압축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압축기는 강력한 전동기를 동력원으로 하는데 그 운전 중에 상당한 기계적 및 유체적 소음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초래하는가 하면, 그 소음이 냉장고의 본체와 각 부품으로 전달됨으로써 그 소음을 증폭시키는 것은 물론 그 수명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정숙운전을 위해 소음을 억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냉동실 및 냉장실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압축기가 작동되고, 이때 고도로 압축된 냉매는 토출관을 통해 드라이어를 경유한 다음, 모세관을 통하여 증발기를 순환하며, 이어서 수액기를 지나서 흡입관을 통해 압축기로 다시 유입되며, 이때 그 흡입관 중에 설치된 머플러를 경유하게 된다.
머플러는 압축기가 작동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 그에 연결되어 있는 토출관과 흡입관을 통해 냉장고 본체로 전달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를 흐르는 냉매가 팽창 및 압축되게 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 소음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7466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기존에는 저장고의 기동 소음 개선할 수 있도록 압력 제어를 위해 압축기 토출배관에 머플러가 장착되었지만, 기동 소음 개선에 한계가 있고, 압력 강하 실패시 기동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량을 조절함으로써 냉매배관의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인한 기동 소음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는: 압축기의 냉매 토출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 토출 유동압력의 변화율을 줄임으로써 기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부재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기동 전(前)에 상기 밸브부재가 닫히도록 제어 후 상기 압축기가 기동시 상기 밸브부재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는 종래 기술과 달리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량을 조절함으로써 냉매배관의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인한 기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냉장고용 냉동사이클은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증발기(40), 밸브부재(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압축기(10)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응축기(20)는 압축기(10)에서 변화된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팽창밸브(30)는 응축기(2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증발기(40)는 팽창밸브(30)에서 변화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압축기(10)에서 프레온 가스 등과 같은 냉매가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되어 제 1냉매배관(1)과 제 2냉매배관(2)으로 공급된다. 냉매배관(1,2)은 압축기(10)와 응축기(20)를 연결한다. 그래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20)로 유입된다. 그래서, 고온고압의 냉매는 응축기(20)를 거치게 되면서 저온상태로 냉각됨에 따라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상변화하게 된다.
이 후, 응축기(20)를 거친 액체냉매는 제 3냉매배관(3)을 통해 팽창밸브(30)로 유입된다. 즉, 저온 고압의 냉매는 모세관 형태로 되어 있는 팽창밸브(30)에 유입된다. 팽창밸브(30)에서 냉매는 고압에서 저압으로 급격히 단열 팽창되어 저온 저압 상태로 되며 약 -30 ℃ 정도로 온도가 저하된다.
팽창밸브(30)에 의해 저온저압 상태로 된 액체냉매는 제 4냉매배관(4)을 통해 증발기(40)로 유입된다. 증발기(40)로 유입된 액체냉매는 급격하게 기화되어 주위의 공기로부터 온도를 빼앗음으로써 복합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증발기(40)를 거친 기체냉매는 제 5냉매배관(5)을 통해 압축기(10)로 회수된다.
한편, 압축기(10)와 응축기(20) 사이에는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 밸브부재(100)가 구비된다. 즉, 밸브부재(100)는 압축기(10)의 냉매 토출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제 1냉매배관(1)은 압축기(10)와 밸브부재(100)를 연결하고, 제 2냉매배관(2)은 밸브부재(100)와 응축기(20)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10)를 통과하며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는 제 1냉매배관(1)을 통해 유동하게 되며, 밸브부재(100)의 개방시 제 2냉매배관(2)을 통해 응축기(20)로 유입된다.
특히, 밸브부재(100)는 냉매의 역류를 막을 수 있는 종류의 밸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밸브부재(100)는 평상시 항상 개방되어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가 평압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냉매는 압축기(10)를 거치면서 고온 고압 상태가 된 후 제 1냉매배관(1)과 개방된 밸브부재(100)를 거친 후 제 2냉매배관(2)으로 토출된다. 그래서, 제 1냉매배관(1)과 제 2냉매배관(2)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급격한 압력 상승으로 인해 기동 소음을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제어부(200)가 밸브부재(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200)는 압축기(10)로부터 냉매 토출 유동압력의 변화율을 줄임으로써 기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밸브부재(100)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밸브부재(100)가 평상시에 개방된 상태에서, 제어부(200)는 압축기(10)의 기동 전(前) 수 초 내에 밸브부재(100)를 닫도록 제어하고, 압축기(10)의 기동시와 함께 밸브부재(100)를 서서히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수 초'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가 평압을 유지하도록 최대한 단시간에 밸브부재(100)가 닫힘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10)가 운전시, 밸브부재(100)가 조금씩 개방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제 2냉매배관(2)은 내부 압력의 급격한 증가를 막게 된다. 이로 인해, 압축기(10)의 기동소음이 줄어들게 되고, 냉매는 가속화되지 않아 유음(流音)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때, 밸브부재(100)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제 1냉매배관(1)도 내부 압력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압축기 20: 응축기
30: 팽창밸브 40: 증발기
100: 밸브부재 200: 제어부

Claims (2)

  1. 압축기의 냉매 토출측에 구비되어 응축기 측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 토출 유동압력의 변화율을 줄임으로써 기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부재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기동 전(前)에 개방된 상태의 상기 밸브부재가 닫히도록 제어 후 상기 압축기가 기동시 상기 밸브부재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압축기가 운전시, 상기 밸브부재가 서서히 개방되면서, 상기 밸브부재 이후의 냉매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는 해당 냉매배관에서 내부 압력의 급격한 증가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
  2. 삭제
KR1020120003921A 2012-01-12 2012-01-12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 KR10183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21A KR101837985B1 (ko) 2012-01-12 2012-01-12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21A KR101837985B1 (ko) 2012-01-12 2012-01-12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51A KR20130083251A (ko) 2013-07-22
KR101837985B1 true KR101837985B1 (ko) 2018-03-14

Family

ID=4899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921A KR101837985B1 (ko) 2012-01-12 2012-01-12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901B1 (ko) * 2018-12-17 2019-08-28 윤근진 초절전 인버터형 초저온 냉동고
KR20210088081A (ko) * 2020-01-06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181B2 (ja) * 1991-05-17 2000-10-03 堯彬 川添 顎関節部軟組織の力学特性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181B2 (ja) * 1991-05-17 2000-10-03 堯彬 川添 顎関節部軟組織の力学特性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51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2641B2 (ja) 蒸気圧縮式冷凍機
JP2000146328A (ja) 冷凍空調装置
JP4665601B2 (ja) エジェクタを用いたサイクル
KR101837985B1 (ko) 소음저감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복합냉장고
JP2005351529A (ja) 圧力制御弁と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US7263849B2 (en) Refrigerating system for refrigerator
JP2016090102A (ja) 冷凍サイクルの制御装置、冷凍サイクル、及び冷凍サイクルの制御方法
JP3714348B2 (ja) 冷凍装置
CN110168295B (zh) 流路切换装置、制冷循环回路及冰箱
US10202018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heating startup expansion valve control
KR101314620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JP2007046903A (ja) 冷蔵庫
JP4984770B2 (ja) 冷蔵庫
JP6288942B2 (ja) 冷凍装置
JP2002081825A (ja) 冷凍冷蔵庫
JP2008121913A (ja)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JP3735338B2 (ja) 車両用冷凍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859203B2 (ja) 冷凍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2002005557A (ja) 冷蔵庫
EP3872419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6385739B2 (ja) 極低温まで冷却可能な冷却庫の冷凍回路
KR102386158B1 (ko) 냉동기
KR20070107858A (ko) 냉장고
JP2002107034A (ja) 冷蔵庫
JPH06313636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