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912B1 -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 Google Patents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912B1
KR101837912B1 KR1020170127042A KR20170127042A KR101837912B1 KR 101837912 B1 KR101837912 B1 KR 101837912B1 KR 1020170127042 A KR1020170127042 A KR 1020170127042A KR 20170127042 A KR20170127042 A KR 20170127042A KR 101837912 B1 KR101837912 B1 KR 10183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protrusion
cap
projection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102017012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가 개시된다. 개시된 향기 디퓨져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제1 돌출부가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고형의 방향제; 상부캡 몸체의 하측면 중앙에 상기 상부캡 몸체 보다 작은 직경으로 중공부를 가진 파이프 형상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부 몸체에 결합되는 상부캡; 하부캡 몸체의 상측면 중앙에 상기 하부캡 몸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 형상의 제3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캡;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내주면은 상기 제2 돌출부와 접촉되며 외주면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 또는 하부 몸체의 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향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향제 표면을 경유하여 유동함으로써 상기 향기 배출구로 향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Perfume diffuser applied by fidget spinner structure}
본 발명은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료함을 달래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피젯 스피너에 방향제를 내장시켜 향기 치료 효과를 부여하고, 회전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발광하는 엘이디 조명으로 인해 평정심을 되찾도록 하는 한편, 휴대폰 등의 휴대기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하여 피젯 스피너와 디퓨져로 동시에 활용이 가능한 향기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젯 스피너(fidget spinner)는 베어링이 삽입된 본체의 중앙부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 회전식 놀이기구의 일종으로서, 집중도 향상과 무료한 시간을 달래기 위한 놀이기구로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들에도 크게 각광받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피젯 스피너는 기본적으로 본체와, 본체의 무게 중심부에 결합된 베어링을 포함한다. 이때, 본체는 일자형 바(bar) 구조 이외에 다양한 구조, 예를 들면, 삼각형, 원형 등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피젯 스피너의 동작방법은, 사용자가 손가락, 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또는 엄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베어링을 파지한 후 본체를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를 회전시키면 본체가 베어링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피젯 스피너는 본체가 베어링을 축으로 회전됨으로써 일정 부분 무료한 시간을 달래는 한편 집중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단순히 본체의 회전운동만을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 또는 반복적인 사용시에 사용자가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젯 스피너는 다른 용도로 사용이 불가하여, 다소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추가함과 동시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피젯 스피너의 개발이 요청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16537호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는 향기 치료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는 회전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발광하는 엘이디 조명으로 인해 평정심을 되찾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는 휴대폰 등의 휴대기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제1 돌출부가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고형의 방향제; 상부캡 몸체의 하측면 중앙에 상기 상부캡 몸체 보다 작은 외경으로 중공부를 가진 파이프 형상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부 몸체에 결합되는 상부캡; 하부캡 몸체의 상측면 중앙에 상기 하부캡 몸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 형상의 제3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캡;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내주면은 상기 제2 돌출부와 접촉되며 외주면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 또는 하부 몸체의 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향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향제 표면을 경유하여 유동함으로써 상기 향기 배출구로 향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제1 끼움 슬롯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방향제가 안착되는 방향제 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제에는 상기 제1 끼움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끼움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4 돌출부가 상기 제1 및 제2 끼움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방향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향제 지지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방향제를 보호하고 방향제가 방향제 지지패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공기 유입구의 방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방향제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향기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향기 배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캡의 하측면에는 금속판 또는 자석으로 형성된 제1 부착재가 내장되며, 상기 하부캡을 고정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면 상에 자석으로 형성된 제2 부착재가 내장되고, 고정부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공기 유입구가 구비된 고정부 몸체; 및 상기 고정부 몸체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집게는 복수의 집게 사이에 고정대상 물체를 개재(介在)한 상태에서 집게의 탄성력으로 고정대상 물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몸체에 결합되는 엘이디 램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및 상기 엘이디 램프 및 타이머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엘이디 램프 및 타이머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타이머로부터 주기적인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엘이디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엘이디 램프가 점멸하도록 제어하여 규칙적인 엘이디의 점멸로 인해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캡은 상기 상부캡 몸체의 상부에 상부캡 몸체 보다 큰 직경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는 자석으로 형성된 제3 부착재가 내장되며,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는 방향전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 결합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하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4 부착재가 삽입되며, 상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5 부착재가 내장되고, 상기 거치대를 관통하여 원호 형상의 방향전환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슬롯의 내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돌기는 상기 고정돌기와 방향전환슬롯의 가장자리 내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캡은 상기 상부캡 몸체의 상부에 상부캡 몸체 보다 큰 직경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는 방향전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 결합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하부면에는 상기 플랜지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5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6 부착재가 내장되고, 상기 거치대를 관통하여 원호 형상의 방향전환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슬롯의 내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돌기는 상기 고정돌기와 방향전환슬롯의 가장자리 내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는 향기 치료를 통한 정서적 안정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는 평정심을 되찾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는 휴대폰 등의 휴대기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몸체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와 상부캡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과 거치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와 상부캡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과 거치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1)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1)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몸체(30)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1)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기 디퓨져(1)는 상부 몸체(30), 하부 몸체(40), 방향제(50), 상부캡(10), 하부캡(20), 베어링(80)을 포함한다.
상부 몸체(3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몸체(30)의 중앙에는 제1 관통공(3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300)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제1 돌출부(310)가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 몸체(40)는 상부 몸체(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몸체(40)의 중앙에는 제2 관통공(40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 공기 유입구(410)가 형성된다.
상부 몸체(30)와 하부 몸체(40)는 서로 대칭되도록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결합된다.
상부 몸체(30) 또는 하부 몸체(40)의 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향기 배출구(320,430)가 형성된다.
방향제(50)는 고체이며, 상부 몸체(30)와 하부 몸체(40) 사이에 배치되어 향기를 발산한다.
상부 몸체(3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가이드가 향기 배출구(320,430) 근방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향기 배출구(320,430)로 유도하여 향기의 배출 효율을 높인다.
제1 공기 유입구(410)는 상.하부 몸체(40)에 대하여 방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방향제(50)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향기 증발량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디퓨져는 제1 공기 유입구(410)로 유입된 공기가 방향제(50) 표면을 경유하도록 하여 향기 배출구(320,430)로 향기를 배출한다.
상부 몸체(30)의 상부에는 상부캡(10)이 결합된다.
상부캡 몸체(110)의 하측면 중앙에는 상기 상부캡 몸체(110) 보다 작은 외경으로 중공부를 가진 파이프 형상의 제2 돌출부(100)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100)는 상기 제1 관통공(300)에 삽입되어 상부 몸체(30)에 결합된다.
하부 몸체(40)의 하부에는 하부캡(20)이 결합된다.
하부캡(20) 몸체의 상측면 중앙에는 상기 하부캡(20) 몸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 형상의 제3 돌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3 돌출부(210)는 상기 제2 관통공(400)을 경유하여 상기 제2 돌출부(10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부 몸체(30)와 하부 몸체(40) 사이에는 베어링(80)이 배치된다.
베어링(80)의 내주면은 제2 돌출부(100)와 접촉되며 외주면은 제1 돌출부(310)와 접촉되어, 상기 상부 몸체(30) 및 하부 몸체(40)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1)는 상.하부 몸체(40)가 베어링(8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회전시 유입된 공기는 방향제(50) 표면을 스쳐 지나면서 향기를 머금은 채 향기 배출구(320,430)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1)는 정지 상태에서는 향기를 미량씩 배출하여 통상적인 디퓨져로서 작동한다. 그러나 상.하부 몸체(40)를 회전시키면 향기가 정지 상태일 때보다 많이 배출되어, 기분전환과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향기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기 디퓨져(1)는 방향제 지지패드(60)가 구비된다.
방향제 지지패드(60)는 방향제(5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제1 끼움 슬롯(600)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방향제(50)가 안착된다.
이와 더불어 방향제(50)에는 상기 제1 끼움 슬롯(6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끼움 슬롯(500)이 형성된다.
하부 몸체(40)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 슬롯(5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 돌출부(420)가 형성된다.
제4 돌출부(420)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 슬롯(500)에 삽입되어 방향제(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방향제 지지패드(6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방향제 지지패드(6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방향제(50)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온도 상승 등으로 인해 방향제(50)가 방향제 지지패드(6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1)는 평평한 면에 놓여져 사용될 수도 있으나, 차량의 에어컨 등에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부착재(200)와 고정부재(70)가 구비된다.
제1 부착재(200)는 금속판 또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하부캡(20)의 하측면에 내장된다.
고정부재(70)는 고정부 몸체(700)와 복수의 집게(730)를 포함한다.
고정부 몸체(700)는 상부면 상에 자석으로 형성된 제2 부착재(710)가 내장되고, 고정부 몸체(7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공기 유입구(720)가 구비된다.
제2 부착재(710)는 제1 부착재(200)와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자석은 부착력이 강한 네오디움 자석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제2 공기 유입구(720)는 에어컨 등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고정부재(70)를 원활히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집게(730)는 고정부 몸체(700) 하부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복수의 집게(730)는 복수의 집게(730) 사이에 고정대상 물체를 개재(介在)한 상태에서 집게(730)의 탄성력으로 고정대상 물체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디퓨져(1)가 차량의 에어컨에 고정되어 사용될 때, 에어컨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소정의 유속을 가지고 디퓨져에 유입되므로, 정지 상태의 경우 보다 한층 향기 배출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1)를 설명한다.
반복적인 동작은 이를 바라보는 관찰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피젯 스피너는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제공하여 이를 관찰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 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디퓨져의 회전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발광하는 엘이디 조명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평정심을 되찾도록 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는 이후 제3 및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식을 취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는 엘이디 램프(900), 타이머(903), 배터리(905), 스위치(907), 제어부(도면미도시)를 포함한다.
엘이디 램프(900)는 상부 몸체(30)에 결합되어 발광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빛을 인식할 수 있는 곳이면 어느 위치라도 무방하다.
타이머(903)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주기적인 엘이디 발광을 위한 구성이다.
배터리(905)는 엘이디 램프(900) 및 타이머(903)에 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치(907)는 엘이디 램프(900) 및 타이머(903)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타이머(903)로부터 주기적인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엘이디 램프(9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엘이디 램프(900)가 점멸하도록 제어하여 규칙적인 엘이디의 점멸로 인해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 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0)와 상부캡(1100)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0)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1100)과 거치대(1000)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향기 디퓨져(1)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는 휴대폰 등의 휴대기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디퓨져가 피젯 시피너와 디퓨져의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기기의 거치대(1000)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그 활용도가 향상된다고 하겠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1100)은 상부캡 몸체(1120)의 상부에 상부캡 몸체(1120) 보다 큰 직경으로 플랜지(1140)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140) 상부면에는 자석으로 형성된 제3 부착재(1130)가 내장되며, 그리고 방향전환돌기(1110)가 형성된다.
제3 실시예는 플랜지(1140) 상부면에 결합되는 거치대(1000)를 더 포함한다.
거치대(1000)는 하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4 부착재(1010)가 삽입되며, 상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5 부착재(1020)가 내장된다.
제3 부착재(1130)는 제4 부착재(1010)와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제5 부착재(1020)는 휴대기기에 결합된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부착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이 가능하다.
거치대(1000)는 거치대(1000)를 관통하여 원호 형상의 방향전환슬롯(1040)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슬롯(1040)의 내측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030)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돌기(1110)는 상기 고정돌기(1030)와 방향전환슬롯(1040)의 가장자리 내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휴대기기를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며, 고정돌기(1030)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휴대기기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200)와 상부캡(1300)의 분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1300)과 거치대(1200)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 보다 부착재의 개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구조가 특징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1300)은 상부캡 몸체(1320)의 상부에 상부캡 몸체(1320) 보다 큰 직경으로 플랜지(1340)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340) 상부면에는 삽입홈(1330)이 형성되며, 그리고 방향전환돌기(1310)가 형성된다.
상기 방향전환돌기(1310)의 단부는 방향전환슬롯(1240)의 폭 보다 큰 직경의 구형으로 형성된다.
제4 실시예는 플랜지(1340) 상부면에 결합되는 거치대(1200)를 더 포함한다.
거치대(1200)는 하부면에는 상기 플랜지(1340)의 삽입홈(1330)에 삽입되는 제5 돌출부(1210)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6 부착재(1220)가 내장된다.
거치대(1200)는 거치대(1200)를 관통하여 원호 형상의 방향전환슬롯(1240)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슬롯(1240)의 내측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230)가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돌기(1310)는 상기 고정돌기(1230)와 방향전환슬롯(1240)의 가장자리 내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방향전환돌기(1310)의 단부는 방향전환슬롯(1240)의 폭 보다 큰 직경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향전환슬롯(12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부착재의 개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향기 디퓨져 1
상부캡 10
제2 돌출부 100 상부캡 몸체 110
하부캡 20
제1 부착재 200 제3 돌출부 210
상부 몸체 30 제1 관통공 300
제1 돌출부 310 향기 배출구 320
하부 몸체 40
제2 관통공 400 제1 공기 유입구 410
제4 돌출부 420 향기 배출구 430
방향제 50 제2 끼움 슬롯 500
방향제 지지패드 60 제1 끼움 슬롯 600
고정부재 70
고정부 몸체 700 제2 부착재 710
제2 공기 유입구 720 집게 730
베어링 80
엘이디 램프 900
타이머 903 배터리 905
스위치 907 제어부(도면미도시)
거치대 1000
제4 부착재 1010 제5 부착재 1020
고정돌기 1030 방향전환슬롯 1040
상부캡 1100
방향전환돌기 1110 상부캡 몸체 1120
제3 부착재 1130 플랜지 1140
거치대 1200
제5 돌출부 1210 제6 부착재 1220
고정돌기 1230 방향전환슬롯 1240
상부캡 1300
방향전환돌기 1310 상부캡 몸체 1320
삽입홈 1330 플랜지 1340

Claims (10)

  1. 하부가 개방되며 중앙에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에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고형의 방향제;
    상부캡 몸체의 하측면 중앙에 중공부를 가진 파이프 형상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부 몸체에 결합되는 상부캡;
    하부캡 몸체의 상측면 중앙에 원기둥 형상의 제3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캡;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제1 공기 유입구 및 향기 배출구가 상기 상부 몸체 또는 하부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향제 표면을 경유하여 유동함으로써 상기 향기 배출구로 향기를 배출하며,
    하나 이상의 제1 끼움 슬롯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방향제가 안착되는 방향제 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제에는 상기 제1 끼움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끼움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4 돌출부가 상기 제1 및 제2 끼움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방향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의 제1 돌출부가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상기 제1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상부캡 몸체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하부캡 몸체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은 상기 제2 돌출부와 접촉되며 외주면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향기 배출구는 상기 상부 몸체 또는 하부 몸체의 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지지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방향제를 보호하고 방향제가 방향제 지지패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유입구의 방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방향제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향기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향기 배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향기 디퓨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하측면에는 금속판 또는 자석으로 형성된 제1 부착재가 내장되며,
    상기 하부캡을 고정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면 상에 자석으로 형성된 제2 부착재가 내장되고, 고정부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공기 유입구가 구비된 고정부 몸체; 및
    상기 고정부 몸체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집게는 복수의 집게 사이에 고정대상 물체를 개재(介在)한 상태에서 집게의 탄성력으로 고정대상 물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
  8. 제1항에 있어서,
    엘이디 램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및
    상기 엘이디 램프 및 타이머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엘이디 램프 및 타이머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타이머로부터 주기적인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엘이디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엘이디 램프가 점멸하도록 제어하여 규칙적인 엘이디의 점멸로 인해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상부캡 몸체의 상부에 상부캡 몸체 보다 큰 직경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는 자석으로 형성된 제3 부착재가 내장되며,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는 방향전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 결합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하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4 부착재가 삽입되며, 상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5 부착재가 내장되고, 상기 거치대를 관통하여 원호 형상의 방향전환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슬롯의 내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돌기는 상기 고정돌기와 방향전환슬롯의 가장자리 내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상부캡 몸체의 상부에 상부캡 몸체 보다 큰 직경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는 방향전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상부면에 결합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하부면에는 상기 플랜지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5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6 부착재가 내장되고, 상기 거치대를 관통하여 원호 형상의 방향전환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슬롯의 내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돌기는 상기 고정돌기와 방향전환슬롯의 가장자리 내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디퓨져.
KR1020170127042A 2017-09-29 2017-09-29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KR10183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42A KR101837912B1 (ko) 2017-09-29 2017-09-29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42A KR101837912B1 (ko) 2017-09-29 2017-09-29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912B1 true KR101837912B1 (ko) 2018-03-12

Family

ID=6172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42A KR101837912B1 (ko) 2017-09-29 2017-09-29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91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04B1 (ko) * 2018-08-01 2019-04-29 이동원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200489128Y1 (ko) * 2018-07-23 2019-05-03 이병준 차량핸들용 스피너
US10485890B1 (en) * 2016-11-03 2019-11-26 Chera Sabankaya Method for selectively inducing various emotional states in a vehicle with multiple aromatherapy compositions
KR102165341B1 (ko) * 2020-02-10 2020-10-14 주식회사 빅케이스테크놀러지코리아 턴테이블형 차량용 방향제
KR20210083514A (ko) * 2019-12-27 2021-07-07 박유진 방향제 거치대
US11376496B1 (en) 2021-10-21 2022-07-05 Donald Wayne Brandt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accessory on controller
KR102504651B1 (ko) 2022-12-12 2023-03-02 주식회사 마인드디저트 차량용 디퓨저 홀더
US11865856B2 (en) 2020-09-30 2024-01-09 Isabella Sofia Correas Anti-fidgeting spinn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074B2 (ja) * 1992-10-06 2001-08-13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光学式速度検出装置
KR200315567Y1 (ko) 2003-03-19 2003-06-09 이창훈 휴대폰 어깨 거치대
KR101516537B1 (ko) 2015-02-17 2015-05-04 전상필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US9272064B2 (en) 2014-02-06 2016-03-01 Millefiori S.R.L. Perfume dispenser for motor vehicles
KR101661882B1 (ko) 2016-05-24 2016-10-04 정종문 차량용 방향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074B2 (ja) * 1992-10-06 2001-08-13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光学式速度検出装置
KR200315567Y1 (ko) 2003-03-19 2003-06-09 이창훈 휴대폰 어깨 거치대
US9272064B2 (en) 2014-02-06 2016-03-01 Millefiori S.R.L. Perfume dispenser for motor vehicles
KR101516537B1 (ko) 2015-02-17 2015-05-04 전상필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101661882B1 (ko) 2016-05-24 2016-10-04 정종문 차량용 방향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5890B1 (en) * 2016-11-03 2019-11-26 Chera Sabankaya Method for selectively inducing various emotional states in a vehicle with multiple aromatherapy compositions
KR200489128Y1 (ko) * 2018-07-23 2019-05-03 이병준 차량핸들용 스피너
KR101973904B1 (ko) * 2018-08-01 2019-04-29 이동원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20210083514A (ko) * 2019-12-27 2021-07-07 박유진 방향제 거치대
KR102368431B1 (ko) * 2019-12-27 2022-02-25 박유진 방향제 거치대
KR102165341B1 (ko) * 2020-02-10 2020-10-14 주식회사 빅케이스테크놀러지코리아 턴테이블형 차량용 방향제
US11865856B2 (en) 2020-09-30 2024-01-09 Isabella Sofia Correas Anti-fidgeting spinning device
US11376496B1 (en) 2021-10-21 2022-07-05 Donald Wayne Brandt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accessory on controller
KR102504651B1 (ko) 2022-12-12 2023-03-02 주식회사 마인드디저트 차량용 디퓨저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912B1 (ko)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EP2841208B1 (en) Atomiser system
JP5620491B2 (ja) ウェアラブルケミカルディスペンサ
JP4661893B2 (ja) ミスト発生装置
KR101516537B1 (ko)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US9149031B2 (en) Portable area repellent device
CA2427690A1 (en) Fan type chemical diffusing apparatus
JP2009232941A (ja) ミスト発生装置
JP2016523773A (ja) 持ち運び可能な揮発性物質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中で炎を模倣する方法
KR101877707B1 (ko) 스마트 디퓨저
US7059544B2 (en) Vortex generator for dispensing actives
JP2021069975A (ja) 香りカートリッジ、及び香りディスプレイへの香り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WO2020035244A1 (en) Intelligent scent diffuser
JP2009232937A (ja) 芳香発生装置及びミスト発生装置
JP6366453B2 (ja)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JP2010187765A (ja) 美容装置
JP4306528B2 (ja) 加熱送風装置
WO2011072209A1 (en) Wearable device for dispensing scents and other vapors
WO2007136477A2 (en) Gyro power starter
US20190209805A1 (en) Therapeutic Device
KR101973331B1 (ko) 조명 기구
JP2019208727A (ja) 液体蒸散装置
WO2017175307A1 (ja)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US10378558B2 (en) Air treatment chemical dispenser having angled dispersion of chemicals
WO2019053989A1 (ja) 香料保持構造体、香料保持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香り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