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537B1 -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537B1
KR101516537B1 KR1020150024414A KR20150024414A KR101516537B1 KR 101516537 B1 KR101516537 B1 KR 101516537B1 KR 1020150024414 A KR1020150024414 A KR 1020150024414A KR 20150024414 A KR20150024414 A KR 20150024414A KR 101516537 B1 KR101516537 B1 KR 101516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trusion
fragrance
colum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필
Original Assignee
전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필 filed Critical 전상필
Priority to KR102015002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공개된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는 시각적 효과를 높이도록 단순히 움직이는 장식구와 내부에 방향제가 내장된 케이스를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종래의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구조는 차량에 바로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차량이 정지되어 흔들림이 제공되지 않을 시 케이스 내부의 방향제가 멀리 퍼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고, 또한 탄성부재의 의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장신구는 방향제의 확산에 도움이 되지 않고 단순히 시각적인 효과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 방향제의 확산에 대한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방향제가 내장된 케이스를 차량의 운행 중 흔들리는 힘이 전달된 진동수단에 의해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여 내장된 방향제의 향기가 확산하도록 하는 동시에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케이스에 의해 보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Air freshener case}
본 발명은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방향제가 내장된 케이스를 차량의 운행 중 흔들리는 힘이 전달된 진동수단에 의해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여 내장된 방향제의 향기가 확산하도록 하는 동시에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케이스에 의해 보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란 차량 또는 건물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불쾌한 냄새를 없애주며 좋은 향기를 제공하도록 하고, 특히 차량의 탑승자에게 신선하면서도 향긋한 향기를 제공하여 졸음운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집중력을 높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여 많은 운전자가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제는 대체로 케이스 내부에 내장하고, 그 케이스를 차량의 대시보드 상면에 부착시켜 차량의 운전 중 노면과 바퀴의 접촉으로 전달되는 흔들림에 의해 외부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내부의 향기를 외부로 발산시켜 방향제의 향기가 실내로 퍼지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차량이 정지하여 흔들림이 제공되지 않으면 외부 공기의 진입이 어려워 방향제의 향기가 확산하지 못하고 케이스 주변에 머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방향제 케이스는 차량 탑승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시켜 심미감을 유발하도록 제공하고 있으며, 그 일례로 특허등록 제0928306호(명칭: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가 공개되었다.
상기 종래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이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방향제가 안치된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 및 그 고정캡에 고정된 장신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신구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차량에 부착 고정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케이스와 결합하는 고정캡에 시각적 효과를 얻도록 하는 장신구를 설치시킨 것으로서,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 장신구가 불규칙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는 차량에 바로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차량이 정지되어 흔들림이 제공되지 않을 시 케이스 내부의 방향제가 멀리 퍼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고, 또한 탄성부재의 의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장신구는 방향제의 확산에 도움이 되지 않고 단순히 시각적인 효과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 방향제의 확산에 대한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에 내장된 방향제의 향기가 차량의 주행 및 정지시 발생하는 관성을 전달받은 케이스가 자유자재로 움직여 방향제의 향기가 확산하도록 하고, 또한 방향제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케이스의 형상적 구조에 따라 안내되어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게 외부로 확산하도록 하고, 또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케이스에 의해 탑승자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다수의 관통된 상부통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된 하부통공이 형성되며, 내면 바닥에는 방향제안착부가 형성되고, 외하측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형성된 하부돌출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방향제안착부에 삽입 고정되는 방향제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적정한 거리로 이격되고,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접착테이프가 구비되어, 설치대상물에 부착 고정되는 받침대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돌출부와 받침대의 상부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대상물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상,하부케이스에 전달하여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은 코일형 스프링을 일수도 있고, 또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승,하강 뿐만 아니라 기울기를 갖는 회전도 가능한 자유자재의 움직임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독창적인 디자인적 형상으로 형성된 상,하부케이스를 받치는 진동수단에 의해 차량의 주행 및 정지시 상,하부케에스가 관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려 방향제의 향기가 상,하부케이스에 유입된 공기를 타고 차량 실내로 확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상,후부통공에 의해 방향제 케이스가 자유자재로 움직이더라도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방으로 향기가 확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상,하부케이스가 전후좌우 및 상하로 움직여 내장된 방향제의 향기가 실내로 확산하는 효과와 더불어 케이스의 움직임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는, 진동수단을 같은 극으로 배열되는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척력에 의해 상,하부케이스가 적정한 위치에서 승,하강함으로써, 방향제 향기를 확산하는 효과와 더불어 방향제 케이스를 흔드는 탄성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적으로 일체감을 부여하여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진동수단의 기둥 및 커버를 곡면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척력에 의해서 승강 및 회전을 포함한 자유자재로 움직여 방향제의 확산효과 및 시각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진동수단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례의 진동수단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전단면도
도 6은 도 5의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레의 진동수단이 도시된 전단면도
도 8은 도 7의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향제 케이스(1)는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3과 같이, 크게 상,하부케이스(10)(20)와 그 상,하부케이스(10)(20)에 내장되는 방향제(30)와 하부케이스(20)의 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받침대(40)와 상기 하부케이스(20)와 받침대(40)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수단(50)(60)(7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0)는 중앙이 상부로 돌출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반원형상의 단부에서 큰 외경을 갖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반원형상 또는 완만한 곡면에는 다수의 상부통공(1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케이스(20)는 상부케이스(10)의 최외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케이스(10)와 결합시켜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다수의 하부통공(21)이 형성되며, 내면 바닥에는 방향제(30)가 삽입되어 수용하는 방향제안착부(22)가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하측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2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통공(11)과 하부통공(21)은 방향제(30)의 향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진동수단(50)(60)(70)에 의해서 방향제 케이스(1)가 자유자재로 움직일 때, 어느 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다른 방향으로 향기가 공기를 타고 빠져나오는 구조를 이루어져 방향제(30)의 향기가 사방으로 지속적으로 퍼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케이스(10)의 중앙을 상부로 돌출된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하부케이스(20)의 직하부에 배치될 수 있는 방향제안착부(22)가 상부로 돌출형성됨으로써, 방향제(30)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통공(11)과 하부통공(21)의 형성 위치는 동일하게 형성시켜 연통시킬 수 있고, 또는 상부통공(11)과 하부통공(21)의 위치를 달리 형성시켜 상방향이나 하방향에서 유입된 공기가 바로 빠져나가지 않고, 방향제 케이스(1) 수용공간에서 들어오는 공기와 나가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통해 충분히 방향제(30)의 향기와 접촉시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부통공(11)은 반원형 부분에 형성하고, 그 상부통공(11)이 형성된 위치에서 넓게 벗어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상,하부케이스(10)(20)의 전체 형상은 원형의 비행접시인 UFO(미확인 비행물체)를 모티브로 형성시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원형의 UFO 형상은 사방의 형상이 동일함으로써, 설치시 또는 진동수단(50)(60)(70)에 의해 자유자재로 움직이더라도 전,후방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방향제(30)는 일반적으로 많이 애용하고 있는 허브 등의 천연재료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하부케이스(20) 내면 바닥에 형성된 방향제안착홈(22)에 끼워 고정된다.
상기 받침대(40)는 진동수단(50)(60)(70)을 매개로 하부케이스(20)에서 적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대상물 예를 들어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그 상면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41)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접착테이프(42)가 끼워 고정되는 요홈(42a)이 형성된다.
상기 진동수단(50)(60)(70)은 하부케이스(20)와 받침대(40) 사이에 개재되어 방향제 케이스(1)가 설치대상물로부터 적정한 거리로 이격되게 하는 동시에, 차량의 흔들림이 전달되면 방향제 케이스(1)에 진동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방향제의 향기를 확산하고, 방향제 케이스(1)의 움직임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3가지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50)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코일형 스프링(51)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51)은 상단이 하부케이스(20) 하면에 형성된 하부돌출부(23)를 수용한 상태로 끼움 고정되고, 하단은 받침대(40)의 상부돌출부(41)를 수용한 상태로 끼움 고정되어, 방향제 케이스(1)가 코일형 스프링(51)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방향제 케이스(1)는 차량의 주행 또는 정시시 발생하는 흔들림이 코일형 스프링(51)에 전달되면 자체탄성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여 방향제(30)의 향기를 확산시키고, 방향제 케이스(1)는 자유자재로 움직여 시각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고정수단(60)은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자석의 같은 극에 의해 서로 밀어내는 척력(척력(斥力)을 이용하여 방향제 케이스(1)가 승,하강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기둥(61)과 제1,2자석(62)(63) 및 커버(64)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61)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하부돌출부(23)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23a)과 상단이 나사체결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삽입구멍(61a)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큰 외경으로 돌출된 걸림턱(61b)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자석(62)은 기둥(61)의 삽입구멍(61a)으로 삽입되어 기둥(61)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자석(63)은 받침대(40)에 형성된 상부돌출부(41)의 외주연에 나사산(41a)이 형성되고, 그 상부돌출부(41)의 상부 중앙에 삽입홈(43)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43)에 제2자석(63)이 끼움 고정되며, 상기 커버(64)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기둥(61)을 수용한 상태로 하단이 상부돌출부(41)와 나사결합하고, 상면에는 기둥(61)의 걸림턱(61b)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이동구멍(64a)을 형성시켜 걸림턱(61b)이 걸려 기둥(6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석(62)과 제2자석(63)은 척력이 발생하도록 서로 동일한 극을 바라보도록 배치시켜 기둥(61)이 받침대(40)로부터 적정하게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흔들림이 전달되면 방향제 케이스(1)와 결합한 기둥(61)이 관성에 의해서 승,하강이 되어 진동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진동수단(60)에는 척력의 세기를 감하는 무게추(65)를 설치하여 제1자석(62)이 적정한 높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무게추(65)는 기둥(61)에 형성된 삽입구멍(61a)에 삽입되어 제1자석(62)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 재질은 자력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물질로 형성시켜, 제2자석(63)에 의해 기둥(61)이 받침대(40) 방향으로 당겨지지 않고 적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3실시예의 고정수단(70)은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방향제 케이스(1)가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으로서, 기둥(71)과 제1,2자석(72)(73)과 커버(74)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71)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하부돌출부(23)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23a)과 상단이 나사체결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삽입구멍(71a)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큰 외경으로 외방향으로 돌출되고, 곡면으로 형성되는 걸림곡면턱(71b)이 구성되며, 상기 제1자석(72)은 기둥(71)의 삽입구멍(71a)으로 삽입되어 기둥(71)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자석(73)은 받침대(40)에 형성된 상부돌출부(41)의 외주연에 나사산(41a)이 형성되고, 그 상부돌출부(41)의 상부 중앙에 삽입홈(43)이 형성되어, 그 삽입홈(43)에 제2자석(73)이 끼움 고정되며, 상기 커버(74)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기둥(71)을 수용한 상태로 하단이 상부돌출부(41)와 나사결합하고, 상부 내면은 기둥(71)의 걸림곡면턱(71b)과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그 걸림곡면턱(71b)의 외경에 근접한 내경으로 형성된 이동회전구멍(74b)이 형성된 걸림곡면부(74a)를 구성시켜, 그 걸림곡면부(74a)에 걸림곡면턱(71b)이 걸려 기둥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동회전구멍(74b)의 내경을 걸림곡면턱(71b)이 이탈되지 않는 정도로 형성시킴으로써, 외경이 작은 기둥이 걸림곡면턱(71b)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원활한 회전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림곡면턱(71b)과 걸림곡면부(74a)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실시예의 진동수단(6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자석(72)과 제2자석(73)은 척력이 발생하도록 서로 동일한 극을 바라보도록 배치시켜, 차량의 흔들림이 전달되면 방향제 케이스(1)와 결합한 기둥(71)이 관성에 의해서 승,하강 및 걸림곡면턱(71b)의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동시에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으로서, 방향제 케이스(1)가 불규칙한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7과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20)에 무게추(52)(75)를 설치하여, 코일형 스프링(51)의 탄성력 또는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척력의 세기를 감하도록 하중을 가하는 동시에, 진동수단(50)(70)에 의해 원형의 방향제 케이스(1)가 순간적으로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다른 방향의 무게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속도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무게추(52)(75)는 하부케이스(20)의 중앙을 벗어난 내면 바닥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추안착홈(24)을 형성하여 그 추안착홈(24)에 무게추(52)(75)가 안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추안착홈(24)이 하부케이스(20) 중앙에 벗어나게 형성됨으로써, 방향제 케이스(1)를 기울게 하는 하중이 크게 발생하도록 한 것이고, 따라서 큰 하중을 발생하도록 추안착홈(24)은 하부케이스(20)의 외곽방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추안착홈(24)의 형성 갯 수는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이, 무게 중심을 맞추고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 타방향에서 동시에 하중을 가하여 기울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3개의 추안착홈(24)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방향제 케이스(1)는 기존에 공개되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에서 케이스가 고정된 것과 달리 차량의 주행 및 정지시 발생하는 흔들림이 진동수단(50)(60)(70)에 전달되면서 방향제 케이스(1)가 지속적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여 방향제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내부의 향기를 상,하방향으로 확산하도록 밀어내어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효과와, 또한 진동수단(50)(60)(70)의 진동에 의해 독특한 형상으로 형성된 방향제 케이스(1)가 움직이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주 유용한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방향제 케이스: 1 상부케이스: 10
상부통공: 11 하부케이스: 20
하부통공: 21 방향제안착부: 22
하부돌출부: 23 나사선: 23a
추안착홈: 24 방향제: 30
받침대: 40 상부돌출부: 41
나사선: 41a 접착테이프: 42
삽입홈: 43 진동수단: 50,60,70
코일형 스프링: 51 기둥: 61,71
삽입구멍: 61a,71a 걸림턱: 61b
제1,2자석: 62,63,72,73 커버: 64,74
이동구멍: 64a 무게추: 52,65,75
걸림곡면턱: 71b 걸림곡면부: 74a
이동회전구멍: 74b

Claims (4)

  1. 다수의 관통된 상부통공(11)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된 하부통공(21)이 형성되며, 내면 바닥에는 방향제안착부(22)가 형성되고, 외하측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형성된 하부돌출부(23)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0);
    상기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방향제안착부(23)에 삽입 고정되는 방향제(30);
    상기 하부케이스(20)와 적정한 거리로 이격되고,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41)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접착테이프(42)가 구비되어, 설치대상물에 부착 고정되는 받침대(40); 및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하부돌출부(23)와 받침대(40)의 상부돌출부(41)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대상물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상,하부케이스(10)(20)에 전달하여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수단은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하부돌출부(23)의 외주연에 나사산(23a)을 형성하고, 그 나사산(23a)과 상단이 나사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삽입구멍(61a)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외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61b)이 형성된 기둥(61);
    상기 기둥(61)의 삽입구멍(61a)으로 삽입되어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1자석(62);
    받침대(40)에 형성된 상부돌출부(41)의 외주연에 나사산(41a)이 형성되고, 그 상부돌추부(41)의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홈(43)에 끼움 고정되는 제2자석(63); 및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받침대(40)의 상부돌출부(41)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기둥(61)을 수용하고 상면에는 기둥(61)의 걸림턱(61b)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이동구멍(64a)이 마련된 커버(64);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자석(62)과 제2자석(63)은 서로 마주보는 극이 동일한 극으로 배치되어 척력에 의해 기둥(61)이 승,하강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61)의 삽입구멍(61a)에는 제1,2자석(62)(63)에 의해 발생하는 척력의 세기를 감하도록 하중을 가하여 기둥(61)이 커버(64) 내부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무게추(65)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3. 다수의 관통된 상부통공(11)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된 하부통공(21)이 형성되며, 내면 바닥에는 방향제안착부(22)가 형성되고, 외하측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형성된 하부돌출부(23)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0);
    상기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방향제안착부(23)에 삽입 고정되는 방향제(30);
    상기 하부케이스(20)와 적정한 거리로 이격되고,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41)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접착테이프(42)가 구비되어, 설치대상물에 부착 고정되는 받침대(40); 및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하부돌출부(23)와 받침대(40)의 상부돌출부(41)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대상물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상,하부케이스(10)(20)에 전달하여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수단은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하부돌출부(23)의 외주연에 나사산(23a)을 형성하고, 그 나사산(23a)과 상단이 나사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삽입구멍(71a)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외방향으로 돌출되며, 곡면으로 형성된 걸림곡면턱(71b)이 구비된 기둥(71);
    상기 기둥(71)의 삽입구멍(71a)으로 삽입되어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1자석(72);
    받침대(40)에 형성된 상부돌출부(41)의 외주연에 나사산(41a)이 형성되고, 그 상부돌추부(41)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43)에 끼움 고정되는 제2자석(73); 및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상부돌출부(41)와 하단이 나사결합된 상태로 기둥(71)을 수용하고, 상부의 내면은 기둥의 걸림곡면턱(71b)과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그 걸림곡면턱(71b)의 외경에 근접한 내경으로 형성된 이동회전구멍(74b)이 형성된 걸림곡면부(74a)가 구비된 커버(74);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자석(72)과 제2자석(73)은 서로 마주보는 극이 동일한 극으로 배치되어 척력에 의해 기둥(71)의 걸림곡면턱(71b)이 커버(74)의 걸림곡면부(74a)와 이동회전구멍(74b)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하부케이스가 승,하강 및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0)에서 중앙을 벗어난 내면 바닥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추안착홈(24)을 형성하고, 그 추안착홈(24)에는 무게중심의 불균형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무게추(52)(75)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1020150024414A 2015-02-17 2015-02-17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101516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14A KR101516537B1 (ko) 2015-02-17 2015-02-17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14A KR101516537B1 (ko) 2015-02-17 2015-02-17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326 Division 2013-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537B1 true KR101516537B1 (ko) 2015-05-04

Family

ID=5339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414A KR101516537B1 (ko) 2015-02-17 2015-02-17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537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82B1 (ko) 2016-05-24 2016-10-04 정종문 차량용 방향제
KR101828748B1 (ko) * 2017-05-31 2018-02-13 김진석 자성을 이용한 기능성 부유 장치
KR101837912B1 (ko) 2017-09-29 2018-03-12 이승규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RU184221U1 (ru) * 2018-09-17 2018-10-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ственностью "Стартплюс" Автомобильный ароматизатор воздуха
KR101921243B1 (ko) 2018-09-12 2018-11-22 에이씨케이(주) 공중부양형 방향제 분사 장치
KR101940628B1 (ko) 2018-11-30 2019-01-21 주식회사 아이디어스 차량용 방향제
CN109331210A (zh) * 2018-11-14 2019-02-15 广州比格工艺制品有限公司 一种熏香装置
KR101973904B1 (ko) * 2018-08-01 2019-04-29 이동원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20190047842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영공방 차량용 다방향 움직임 액세서리
CN109823144A (zh) * 2019-03-15 2019-05-31 南京沿途汽车用品有限公司 多兼容的固定式车载散香结构
KR20200065279A (ko) * 2018-11-30 2020-06-09 안소라 방향제 제품
KR102179425B1 (ko) * 2020-05-19 2020-11-16 안광민 방향제의 제조 방법
KR20210000460U (ko) 2019-08-19 2021-03-02 변동수 방향제 용기 교체수납이 용이하고 균일한 방향효과를 나타내도록 한 차량용 방향봉제인형
WO2021047692A1 (es) * 2019-09-12 2021-03-18 Ramiro Pinto Castellanos Pinza resorte para ambientadores
KR102455934B1 (ko) * 2021-06-01 2022-10-21 박종우 향기모듈이 구비된 부착형 스티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556A (ko) * 1999-10-01 2001-05-07 박일근 향 발산 장치
KR200243615Y1 (ko) * 2001-05-09 2001-10-15 백봉기 방향제 용기
KR20110010109U (ko) * 2010-04-20 2011-10-26 남철환 프리져브드플라워가 구비된 방향제
KR20130022137A (ko) * 2011-08-25 2013-03-06 박종우 방향제팩의 교체가 가능한 케이스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556A (ko) * 1999-10-01 2001-05-07 박일근 향 발산 장치
KR200243615Y1 (ko) * 2001-05-09 2001-10-15 백봉기 방향제 용기
KR20110010109U (ko) * 2010-04-20 2011-10-26 남철환 프리져브드플라워가 구비된 방향제
KR20130022137A (ko) * 2011-08-25 2013-03-06 박종우 방향제팩의 교체가 가능한 케이스 구조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82B1 (ko) 2016-05-24 2016-10-04 정종문 차량용 방향제
KR101828748B1 (ko) * 2017-05-31 2018-02-13 김진석 자성을 이용한 기능성 부유 장치
KR101837912B1 (ko) 2017-09-29 2018-03-12 이승규 피젯 스피너 구조가 적용된 향기 디퓨져
KR102006223B1 (ko) * 2017-10-30 2019-08-02 주식회사 영공방 차량용 다방향 움직임 액세서리
KR20190047842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영공방 차량용 다방향 움직임 액세서리
KR101973904B1 (ko) * 2018-08-01 2019-04-29 이동원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101921243B1 (ko) 2018-09-12 2018-11-22 에이씨케이(주) 공중부양형 방향제 분사 장치
RU184221U1 (ru) * 2018-09-17 2018-10-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ственностью "Стартплюс" Автомобильный ароматизатор воздуха
CN109331210A (zh) * 2018-11-14 2019-02-15 广州比格工艺制品有限公司 一种熏香装置
KR101940628B1 (ko) 2018-11-30 2019-01-21 주식회사 아이디어스 차량용 방향제
KR20200065279A (ko) * 2018-11-30 2020-06-09 안소라 방향제 제품
KR102233716B1 (ko) 2018-11-30 2021-03-31 안소라 방향제 제품
CN109823144A (zh) * 2019-03-15 2019-05-31 南京沿途汽车用品有限公司 多兼容的固定式车载散香结构
KR20210000460U (ko) 2019-08-19 2021-03-02 변동수 방향제 용기 교체수납이 용이하고 균일한 방향효과를 나타내도록 한 차량용 방향봉제인형
WO2021047692A1 (es) * 2019-09-12 2021-03-18 Ramiro Pinto Castellanos Pinza resorte para ambientadores
KR102179425B1 (ko) * 2020-05-19 2020-11-16 안광민 방향제의 제조 방법
KR102455934B1 (ko) * 2021-06-01 2022-10-21 박종우 향기모듈이 구비된 부착형 스티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537B1 (ko)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CN106090819B (zh) 火焰片摇摆机构及电子蜡烛
US9664349B1 (en) Artificial candle with flame simulator
KR101661882B1 (ko) 차량용 방향제
CA3105766C (en) Flameless candle with floating flame element
US20190063703A1 (en) Artificial candle with flame simulator
KR102159612B1 (ko) 조명 겸용 방향 장치
US10557604B2 (en) Imitation candle devices with moving lights
JP2019536568A (ja) 臭気中和構造体を形成する壁レールセクション及びそのような壁レールセクションを備える擬似壁
KR101544575B1 (ko) 유아용 모빌
KR102337126B1 (ko) 다기능 디퓨저 장치
US10561757B2 (en) Scent diffuser with interactive body portion
JP3231785U (ja) 光拡散装飾装置
KR101623307B1 (ko) 가구용 옷걸이 걸이대의 지지 브래킷
GB2503453A (en) Baby rocking and multifunctional device
US20160324355A1 (en)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an illuminated cross
CN211863409U (zh) 香薰装置
JP3050583U (ja) スイング式芳香箱
CN218187394U (zh) 一种基于钟摆原理的扩香器
JP3199669U (ja) 芳香具
WO200003549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ng an air modifying agent
CN210873211U (zh) 一种太阳能旋转香薰座
CN210502066U (zh) 一种双环旋转支架
CN216659523U (zh) 一种具有动态变化图案的车载出风组件
JPS63302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