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331B1 -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331B1
KR101973331B1 KR1020180099070A KR20180099070A KR101973331B1 KR 101973331 B1 KR101973331 B1 KR 101973331B1 KR 1020180099070 A KR1020180099070 A KR 1020180099070A KR 20180099070 A KR20180099070 A KR 20180099070A KR 101973331 B1 KR101973331 B1 KR 10197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ole
light emitting
outer cap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영
Original Assignee
이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영 filed Critical 이화영
Priority to KR102018009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기구는, 향료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덮으며,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 레일이 형성된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의 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면에 상기 레일에 대향되는 홀이 형성된 외부캡과; 하단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은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외부캡과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다.

Description

조명 기구{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디퓨저(Diffuser) 기능을 가지는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퓨저는 체취를 향기롭게 하기 위해 쓰이던 향수에서 발전했다. 중세시대 유럽에서 디퓨저가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귀족 계층은 허브나 꽃에서 추출한 아로마오일을 나무스틱으로 만든 리드를 이용해 실내에 은은하게 발향시켰다. 현대에 오면서 실내 인테리어와 쾌적한 환경조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퓨저의 대중적인 사용이 시작되었다.
디퓨저는 사무실, 집 등 자신의 생활공간을 은은한 향으로 채워줌으로써 만족감을 느끼게 해준다. 오랫동안 향이 유지되고 다양한 스틱 모양을 사용해 인테리어 효과도 줄 수 있다.
또한 천연재료와 아로마오일을 이용한 디퓨저의 경우 향기와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재료에 따라 목과 코를 시원하게 뚫어주어 편안한 호흡을 유도해 호흡기 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디퓨저도 있고, 불면증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향을 사용해 숙면 효과를 높이는 디퓨저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무드 등 등의 조명은 인테리어 용으로 현대 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퓨저 및 무드등 등의 조명은 같은 실내에 제공되는 경우, 서로 인접한 위치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디퓨저 및 무드등이 함께 놓이게 되는 경우, 그 외의 물품이 놓일 공간을 디퓨저 및 무드등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퓨저 및 조명 기능을 함께 가지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놓이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쉽게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조명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명 기구는, 향료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덮으며,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 레일이 형성된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의 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면에 상기 레일에 대향되는 홀이 형성된 외부캡과; 하단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은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외부캡과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다.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캡의 상기 상면에 대한 각도는 일단 및 타단 간에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캡의 상기 상면에 대한 각도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캡의 상기 상면에 대한 각도는 상기 타단의 저면이 상기 일단의 저면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상기 일단의 깊이와 상기 타단의 깊이는 서로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꽃잎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내부캡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홀은 상기 외부캡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향료를 흡수하여 외부로 확산시키는 디퓨저 스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캡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내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캡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내부 홀 및 외부가 연통되도록 외부 홀이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 스틱은 상기 내부 홀 및 상기 외부 홀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부 내로 삽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홀은 상기 내부캡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상기 외부 홀은 상기 외부캡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기구는 디퓨저 및 조명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기구는 놓이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기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쉽게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기구의 발광부가 제 1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기구의 발광부가 제 2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외부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발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위치에서 발광부가 홀을 관통하여 레일에 삽입된 모습을 발광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위치에서 발광부가 홀을 관통하여 레일에 삽입된 모습을 발광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레일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레일을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부가 크레들을 포함하는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기구(10)의 발광부(400)가 제 1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기구(10)의 발광부(400)가 제 2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명 기구(10)는 용기부(100), 내부캡(200), 외부캡(300), 발광부(400), 전원부(500) 및 디퓨저 스틱(600)을 포함한다.
용기부(100) 내에는 향료(20)가 수용된다. 용기부(100)의 입구는 위를 향해 개방되도록 제공된다. 용기부(100)의 재질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향료(20) 자체의 색상을 외부로 나타낼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투명한 고분자 물질의 투명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용기부(100)의 재질은 이하 설명될 발광부(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자체의 색상을 가지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내부캡(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캡(200)은 용기부(100)의 입구를 덮는다. 내부캡(200)은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 레일(210)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일(210)은 내부캡(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도 4는 도 1의 외부캡(3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캡(300)은 내부캡(200)의 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외부캡(300)의 상면에는 레일(210)에 대향되는 홀(310)이 형성된다. 홀(310)은 외부캡(300)이 회전함에 따라 레일(210)을 따라 이동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홀(310)은 외부캡(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레일(210)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제공된다.
도 5는 도 1의 발광부(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위치에서 발광부(400)가 홀(310)을 관통하여 레일(210)에 삽입된 모습을 발광부(400)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위치에서 발광부(400)가 홀(310)을 관통하여 레일(210)에 삽입된 모습을 발광부(400)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발광부(400)는 하단이 홀(310)을 관통하여 레일(210)에 삽입된다. 발광부(400)는 외부캡(300)이 회전함에 따라 레일(2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외부캡(300)과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부(400)는 외부캡(300)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수록 상단이 외측을 향하고, 하단이 내측을 향하도록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위치는 발광부(400)의 하단이 레일(210)의 일단(211)에 위치된 위치이고, 제 2 위치는 발광부(400)의 하단이 레일(210)의 타단(212)에 위치된 위치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10) 및 홀(310)이 원주를 따라 곡선 형태로 제공된 경우, 일단(211)은 레일(210)의 반시계 방향의 끝단이고, 타단(212)은 레일(210)의 시계 방향 끝단일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레일(210)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레일(210)을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일(210)의 외부캡(300)의 상면에 대한 각도는 일단(211) 및 타단(212) 간에 상이하게 제공된다. 레일(210)의 외부캡(300)의 상면에 대한 각도는 일단(211) 및 타단(212)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일(210)의 외부캡(300)의 상면에 대한 각도는 타단(212)의 저면이 일단(211)의 저면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10) 및 홀(310)이 제 1 위치에서는 서로 연직 방향으로 나란한 형상이 되고, 제 2 위치에서는 레일(210)이 홀(310)에 대해 경사지게 제공됨으로써, 발광부(400)의 각도 변화를 유도한다. 이 경우, 홀(310)은 각도 변경시 발광부(400)의 축 및 지지 역할을 한다. 이와 달리, 레일(210) 및 홀(310)은 외부캡(300)의 회전에 의해 발광부(400)의 각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레일(210)의 일단(211)의 깊이와 타단(212)의 깊이는 필요에 따라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아래에 설명될 단자(520, 530) 간의 접속 등을 위해 발광부(400)의 하단이 레일(210)의 저면의 일부 영역과 접촉되어야 하며, 발광부(400)가 레일(21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때 발광부(400)의 하단이 레일(210)의 저면에 계속 접촉되어 있는 것이 갑작스러운 하강 등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발광부(400)의 각도가 변함에 따라 발광부(400)가 레일(210)에 삽입되는 길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발광부(400)의 하단이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며 레일(210)의 저면에 계속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서 레일(210)의 일단(211)의 깊이와 타단(212)의 깊이는 서로 상이하게 제공되고, 레일(210) 깊이는 레일(210)의 일단(211) 및 타단(212) 간에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부(400)는 꽃잎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부(400)는 레일(210) 및 홀(310)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부(400)가 복수개의 레일(210) 및 홀(31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제공되고, 발광부(400)가 꽃잎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외부캡(300)의 회전에 따라 발광부(400)의 각도가 변경되는 모습은 꽃이 개화하는 모습과 유사하도록 보일 수 있다.
발광부(400)에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가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부재는 LED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부(400)는 단수 또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부(400)의 LED가 설치되는 위치 및 배열 형태는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는 발광부(400)의 내측면에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원부(500)는 발광부(4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부(5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 단자(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단자(51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충전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호환되는 스마트폰 충전기를 이용하여 조명 기구(10)의 내부에 제공된 충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단자(510) 내부캡(200)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10)의 저면 및 발광부(400)의 하단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단자(520, 530)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520)는 레일(210)의 일단(211)의 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400)가 제 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발광부(400) 각각의 내부에 제공된 충전지를 충전하고, 발광부(400)가 제 1 위치를 이탈하여 단자(520, 530) 간의 연결이 끊기는 경우 자동으로 발광부(400)에 제공된 LED가 빛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충전지는 내부캡(200)에 제공되고, 단자(520)는 레일(210)의 타단(212)에 제공되어, 발광부(400)는 제 2 위치에 위치된 경우, 단자(520, 530)를 통해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캡(300)을 회전함에 따라 발광부(4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부(500)가 크레들(540)을 포함하는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부(500)는 크레들(54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레들(540)은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크레들(540) 상에는 조명 기구(10) 전체가 놓여 조명 기구(10)의 저면 및 크레들(540)의 상면 간에 전기적 연결 구성이 제공되어 조명 기구(10) 내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크레들(540) 상에는 조명 기구(10)의 용기부(100)를 제외한 구성이 놓여 내부캡(200)의 하단 및 크레들(540)의 상면 간에 전기적 연결 구성이 제공되어 조명 기구(10) 내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크레들(540)은 무선으로 조명 기구(10)의 충전지를 충전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은 스마트 폰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퓨저 스틱(600)은 용기부(100)에 수용된 향료(20)를 흡수하여 외부로 확산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캡(200)의 상면에는 용기부(100)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내부 홀(220)이 형성되고, 외부캡(300)의 상기 상면에는 내부 홀(220) 및 외부가 연통되도록 외부 홀(320)이 형성된다. 디퓨저 스틱(600)은 내부 홀(220) 및 외부 홀(320)을 관통하여 용기부(100) 내로 삽입된다. 내부 홀(220)은 내부캡(200)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고, 외부 홀(320)은 내부 홀(220)과 대향되도록 외부캡(300)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디퓨저 스틱(600)의 상단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부(400)가 꽃잎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디퓨저 스틱(600)의 상단은 발광부(400)의 꽃잎 형상과 유사한 꽃잎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꽃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기구(10)는 디퓨저 및 조명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조명 기구(10)는 놓이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기구는 외부캡(300)의 회전에 의해 쉽게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고, 쉽게 발광부(4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명 기구 20: 향료
100: 용기부 200: 내부캡
210: 레일 220: 내부 홀
300: 외부캡 310: 홀
320: 외부 홀 400: 발광부
500: 전원부 540: 크레들
600: 디퓨저 스틱

Claims (9)

  1. 향료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덮으며,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 레일이 형성된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의 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면에 상기 레일에 대향되는 홀이 형성된 외부캡과;
    하단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은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외부캡과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되,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캡의 상기 상면에 대한 각도는 일단 및 타단 간에 상이한 조명 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캡의 상기 상면에 대한 각도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변하는 조명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캡의 상기 상면에 대한 각도는 상기 타단의 저면이 상기 일단의 저면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되는 조명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일단의 깊이와 상기 타단의 깊이는 서로 상이하게 제공되는 조명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꽃잎 형상으로 제공되는 조명 기구.
  7. 향료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덮으며,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 레일이 형성된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의 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면에 상기 레일에 대향되는 홀이 형성된 외부캡과;
    하단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은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외부캡과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되,
    상기 레일은 상기 내부캡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홀은 상기 외부캡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제공되는 조명 기구.
  8. 향료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덮으며,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 레일이 형성된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의 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면에 상기 레일에 대향되는 홀이 형성된 외부캡과;
    하단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은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외부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외부캡과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되,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향료를 흡수하여 외부로 확산시키는 디퓨저 스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캡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내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캡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내부 홀 및 외부가 연통되도록 외부 홀이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 스틱은 상기 내부 홀 및 상기 외부 홀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부 내로 삽입되는 조명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은 상기 내부캡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상기 외부 홀은 상기 외부캡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조명 기구.
KR1020180099070A 2018-08-24 2018-08-24 조명 기구 KR10197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70A KR101973331B1 (ko) 2018-08-24 2018-08-24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70A KR101973331B1 (ko) 2018-08-24 2018-08-24 조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331B1 true KR101973331B1 (ko) 2019-04-26

Family

ID=6628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070A KR101973331B1 (ko) 2018-08-24 2018-08-24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126B1 (ko) * 2021-09-27 2021-12-09 주식회사 에이로마플라붐 다기능 디퓨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069Y2 (ja) * 1991-09-24 1997-09-24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芳香剤容器の蓋の構造
KR200324155Y1 (ko) * 2003-05-16 2003-08-21 배한기 방향제의 결합부재
KR20050078254A (ko) * 2005-07-19 2005-08-04 신기문 광섬유를 이용한 꽃장식 포장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069Y2 (ja) * 1991-09-24 1997-09-24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芳香剤容器の蓋の構造
KR200324155Y1 (ko) * 2003-05-16 2003-08-21 배한기 방향제의 결합부재
KR20050078254A (ko) * 2005-07-19 2005-08-04 신기문 광섬유를 이용한 꽃장식 포장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126B1 (ko) * 2021-09-27 2021-12-09 주식회사 에이로마플라붐 다기능 디퓨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5980B1 (en) Scented electronic candle device
ES2400816T3 (es) Estructura para dispositivos luminosos de colores cambiantes
EP3640528B1 (en) Aroma candle lamp with 3d swinging lamp
US20080150453A1 (en) Candle emulation device with aerosol-based fragrance release mechanism
US20070127249A1 (en) Candle emulation device with fragrance release mechanism
US8845166B2 (en) Washable rechargeable electronic candle
US20140104820A1 (en) Colored Lens LED Simulated Wick Flameless Candle
US20170184300A1 (en) Atomizing fragrance lamp
WO2018174356A1 (ko) 방향 디퓨져기능을 가지는 스노우글로브
KR101973331B1 (ko) 조명 기구
WO2011126208A2 (ko) 향발산장치
KR102212706B1 (ko) 다기능 향초 워머
US20200009284A1 (en) Fragrance Discharge Apparatus
ES2928405T3 (es) Dispositivo de ayuda para dormir
KR20100037438A (ko) 자동 회전이 가능한 다종류 일체형 방향제 장치
CN107191883A (zh) 一种电子蜡烛
CN207112615U (zh) 一种可无线充电的便携式折叠台灯
JP2011054509A (ja) ランプ芳香器
KR102002353B1 (ko) 실시간 날씨정보 기반 조명 및 음향제어 시스템
KR200250915Y1 (ko) 훈증기
KR20130005612U (ko) 가습기능을 구비한 도자기
KR20200022922A (ko) 휴대 및 도킹 사용 가능한 디퓨저 어셈블리
US10187962B1 (en) Floral lighting system
KR20200079593A (ko) 조명을 구비한 지구본
KR20200017990A (ko) 무드 조명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