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348B1 - 커피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커피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348B1
KR101837348B1 KR1020170093460A KR20170093460A KR101837348B1 KR 101837348 B1 KR101837348 B1 KR 101837348B1 KR 1020170093460 A KR1020170093460 A KR 1020170093460A KR 20170093460 A KR20170093460 A KR 20170093460A KR 101837348 B1 KR101837348 B1 KR 10183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offee
unit
cup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점채
이상훈
안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0878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373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9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348B1/ko
Priority to CN201880050136.XA priority patent/CN110998677B/zh
Priority to US16/631,301 priority patent/US11517137B2/en
Priority to JP2020504224A priority patent/JP6923740B2/ja
Priority to PCT/KR2018/006922 priority patent/WO2019022384A1/ko
Priority to EP18839323.5A priority patent/EP3644287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42Cartridge magaz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어 액상, 점상 또는 분말류의 음료 원료 특히 커피 원료가 내장된 캡슐에 물 또는 스팀을 가해서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커피를 제조하는 커피 자동판매기가 개시된다. 커피 자동판매기는, 다수의 캡슐을 제1 방향으로 적재하는 격자형 캡슐적재부, 캡슐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캡슐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캡슐공급유닛, 캡슐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어 안착되는 캡슐에 물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추출된 커피가 담긴 컵을 외부와 연통하는 개방구 측으로 이송하는 컵인출부를 포함하며, 커피추출부가, 제1 부분안착부와 제2 부분안착부가 서로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위치할 때 형성된 안착홈에 캡슐을 수납하고, 제1 부분안착부와 제2 부분안착부가 이격될 때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통해 캡슐을 하부측으로 자유낙하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커피 자동판매기{COFFEE VENDING MACHIN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용 커피를 위한 원료가 내장된 캡슐에 물이나 스팀을 가해서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커피를 현장에서 직접 제공하는 커피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사람 없이도 상품을 자동적으로 판매하는 기계로 동전, 지폐 또는 카드를 넣고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거나 모바일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면 사려는 물품이 나온다. 자동판매기는 간단히 자판기라고도 지칭된다. 이러한 자판기는 많은 국가에서 볼 수 있으며, 일본자동판매기공업회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 국내의 자동판매기 대수가 2013년 기준으로 509만4천대 정도로 상당히 많으며 판매 상품도 다양하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일반적으로 분말, 액상 또는 점상의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캡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1918호의 "원두 커피 캡슐 플레이트(CP)(이하, "캡슐"이라 칭한다)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캡슐(CP)은 원두커피분말(미도시)이 저장되는 보관홀(BW)이 형성되는데, 이 캡슐(CP)은 시트지(SH)의 상부면과 캡슐(CP)의 저면으로 각각의 보관홀(BW) 둘레부에 절취홈(CH)이 형성된다. 절취홈(CH)은 각각의 보관홀(BW)에 원두커피분말(미도시)이 보관된 캡슐(CP)이 적정 갯수의 세트화로 절취하기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낱개로 분리된 캡슐을 개봉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캡슐의 경우, 일일이 판매원이 대기하며 판매하여야 함으로 인력의 낭비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로 캡슐을 인출해서 물을 부어 커피를 제조하므로, 커피 제조가 비효율적이고 커피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자동판매기를 사용하여 음료를 판매하는 경우, 사용자는 플라스틱, 캔, 유리 등에 병에 담긴 음료, 혹은 분말이나 액상 원료를 물과 혼합하여 컵에 담은 음료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음료로서의 커피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커피 자판기가 공급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성에 따라 다양한 커피 브렌드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커피 음료의 시장 분위기에 따라 커피 자판기나 커피 자판기를 제조하거나 공급하는 공급자는 다양한 브렌드의 커피를 맛있게 제공해야 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마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1918호(2004.03.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5430호(2016.02.1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력의 낭비없이 액상, 점상 또는 분말 형태의 커피 재료가 내장된 캡슐에 물이나 증기를 가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브렌드 커피를 현장에서 직접 제조하여 판매하는 커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무선통신으로 자동판매기를 관리할 수 있는 커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두커피 재료를 담은 캡슐을 사용하는 커피 자동판매기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두커피 재료를 담은 캡슐을 사용하는 커피 자동판매기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는, 다수의 캡슐을 제1 방향으로 내장하도록 제1 격자형으로 구비되는 캡슐적재부와;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부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캡슐공급유닛과; 상기 캡슐공급유닛에서 공급되고 안착되는 캡슐에 물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커피가 되도록 희석하는 물 공급부와; 상기 물 공급부에서 희석된 커피를 수용하고, 커피가 수용된 컵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판매기 외부로 공급하는 컵 공급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슐적재부는, 상기 캡슐 공급부 상측에 격자형 4개 1조로 상기 자동판매기 내에 적어도 1개조 이상 제1 방향으로 구비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슐공급유닛은, 격자형 4개 1조로 구비된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부 중심에 구비되며, 구동축과 결합된 구동장치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하며 테두리에 구비된 배출구를 통해 캡슐을 배출하는 제 1판재와; 상기 제 1판재의 상측에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구동축에 일단이 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판재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캡슐 상부의 다른 캡슐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제 2판재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2판재의 타단은,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단에 형성된 차단공 내부로 회동하며 삽입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슐공급유닛은, 상기 제 2판재의 상측에 상기 구동축과 축결합되며, 상기 캡슐적재부의 수량만큼 방사상으로 돌기가 형성된 제 3판재와; 상기 제 3판재의 돌기가 소정각도 회동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 1, 2판재가 단속적으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슐공급유닛 하부측에는, 상기 제 3판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1 방향으로 배출되는 캡슐을 제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배출시키는 캡슐공급부 또는 캡슐 이송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슐 이송장치는, 상기 제 3판재에서 배출되는 캡슐을 일측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이송부와; 상기 제 1이송부에서 공급된 캡슐을 자동판매기의 배출구로 이송하도록 상기 제 1이송부의 일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이송부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이송부는, 사각형 외형을 갖춘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1구동부 일측에 캡슐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1열 이상 구비된 제 1이송 레인과, 상기 제 1이송 레인의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 각 제 1이송 레인에 구비되는 캡슐을 일측으로 밀어서 이송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1구동부에 결합된 제 1캡슐 이송구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제 1프레임 일측 길이방향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구동,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 종동풀리에 무한궤도 도르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캡슐 이송구가 결합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중간 길이방향 상측으로 구비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된 육면체 블록형상의 외형을 갖춘 이송블럭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2이송부는, 상기 제 1이송부의 제 1구동부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양단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구동,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 종동풀리에 무한궤도 도르레식으로 결합되며, 제 2캡슐 이송구가 결합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는, 드립 커피(drip coffee)용 커피 재료를 담은 캡슐을 사용하는 커피 자동판매기로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적재되는 다수의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적재부, 캡슐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캡슐적재부에서 캡슐을 선택적으로 낙하시키는 캡슐공급유닛, 캡슐공급유닛에 의해 채널 상에 낙하된 캡슐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캡슐적재부와 병렬로 배치되는 컵적재부, 컵적재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컵적재부의 컵을 상기 이송부의 말단부로부터 안쪽에 선택적으로 낙하시키는 컵공급부, 컵과 캡슐을 정렬시키는 정렬부, 이송부에 의해 안착되고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캡슐에 물이나 증기를 주입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및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가 담긴 컵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는 컵인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립 커피는 볶아서 갈은 커피 콩을 사용하여 제조한 음용 가능한 커피를 지칭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는, 다수의 캡슐을 제1 방향으로 내장하도록 격자형으로 구비되는 캡슐적재부;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부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캡슐공급유닛; 상기 캡슐공급유닛에서 공급되어 안착된 캡슐에 물이나 증기를 주입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및 상기 커피가 수용된 컵을 외부로 반출하는 컵인출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커피추출부는, 제1 부분안착부와 제2 부분안착부가 서로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위치할 때 형성된 안착홈에 캡슐을 수납하고, 상기 제1 부분안착부와 상기 제2 부분안착부가 이격될 때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캡슐을 하부측으로 자유낙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커피추출부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캡슐지지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캡슐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캡슐지지부를 일정 거리 왕복 운동시키는 제3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커피추출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위치한 컵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컵을 수용하기 위한 컵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컵홀더를 일정 거리 왕복 운동시키는 제4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3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캡슐지지부의 안착홈에 안착된 캡슐과 상기 제4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컵은, 가압구조를 포함한 상기 커피추출부의 하부에 실질적으로 수직 라인 상에 걸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4 이송부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컵공급부에서 상기 컵을 받는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구조의 하부로 이동하는 중간에 얼음공급부에 대응하는 중간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하는 벽들 형태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들 상부에서 상기 캡슐지지부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은 상기 캡슐지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접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피 자동판매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개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캡슐지지부로부터 떨어지는 캡슐용기를 배출하는 캡슐용기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슐공급유닛은, 제 1, 2, 3 판재들과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판재는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구동장치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테두리에 캡슐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판재의 중심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는 구동축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축의 상단에는, 구동장치의 출력축이 직결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소정 각도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직류(DC)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판재는 판 부재로서 상기 제 1판재 상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편심 설치되어,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단에 마련된 차단공 상으로 회동하여 연속되는 캡슐 배출을 차단하도록 기능하며; 상기 제 3판재는 상기 제 2판재의 상측에서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축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판재 및 상기 제 2판재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사상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 3판재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돌기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피 자동판매기는 자판기 몸체 및 자판기 전면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자판기 몸체와 전면패널을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피 자동판매기는 자판기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대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피 자동판매기는 자판기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결재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피 자동판매기는 자동판매기의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무선통신으로 자동판매기를 관리 혹은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고장진단모듈, 판매량산출모듈 및 캡슐재고산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력의 낭비 없이 액상, 점상 또는 분말 형태의 커피 재료가 내장된 캡슐에 물이나 증기를 공급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커피를 직접 제조함으로써 자동판매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라면 어디에서든지 원두 커피에 대응하는 브렌드 커피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커피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적재부와 캡슐이송부, 커피추출부, 컵 공급부 및 얼음공급부의 구조 및 배치를 최적화하고, 격자상으로 다수 구비된 캡슐적재부에 의해 자동판매기의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드 결제, 모바일 결제 등을 구비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자동판매기를 관리함으로써 고장유무, 판매량산출, 캡슐재고산출 등의 작업을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실시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측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측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터치 패널의 주요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터치 패널의 주요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전면부에 대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캡슐적재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적재부 하부에 설치되는 캡슐공급유닛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캡슐공급유닛의 제3 판재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캡슐공급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캡슐공급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캡슐공급부의 주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일부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커피 추출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커피 추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커피 추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다른 일부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지지부에 채용할 수 있는 캡슐용기 배출구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캡슐지지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전장부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전장부품에 채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7은 종래 기술의 캡슐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가진다" 등과 관련된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측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측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터치 패널의 주요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터치 패널의 주요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10)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 원두를 담은 캡슐들을 사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브랜드 커피를 자판기가 설치된 장소라면 어디에서든지 현장에서 직접 따뜻하거나 차가운 커피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커피 자동판매기(10)는 자판기 몸체(20), 자판기 전면패널(30), 터치 패널(40), 모바일 결제유닛(50), 카드 결제유닛(52), 컵인출부(60) 및 제어장치(70)를 포함한다.
자판기 몸체(20)와 자판기 전면패널(30)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 재료로 사각 박스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터치 패널(40)은 정전용량 방식 특히 프로젝트 정전용량 방식(projected capative touch, PCT)을 채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터치 패널(40)은 표면 정전용량 방식(surface capacitive touch, SCT), 저항막 방식, 탄성표면파(surface acoustic wave, SAW) 방식, 적외선(IR) 방식, 광학(optical)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결제유닛(50)과 카드 결제유닛(52) 자체는 기존 혹은 앞으로 상용화되는 결재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결제유닛은 본 실시예의 제어장치(70)에 연결되고 제어장치(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커피 자동판매기(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판기몸체(20) 내에 장착되는 캡슐적재부, 캡슐공급부(간략히, 이송부), 캡슐정렬부(간략히, 정렬부), 컵공급부(컵적재부 포함), 물공급부, 커피추출부, 얼음공급부, 커피반출부, 스피커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10)는 캡슐적재부, 이송부, 컵공급부, 커피추출부 등의 구성요소의 구조 및 배치를 최적화하여 배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커피 자동판매기(10)는 원두 커피 자동판매기로서 간략히 자동판매기 또는 자판기로 지칭될 수 있다. 캡슐적재부는 캡슐적재통으로 지칭될 수 있고, 캡슐공급부는 넓은 의미에서 캡슐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캡슐정렬부는 캡슐안착부로 지칭될 수 있고, 얼음공급부는 얼음공급부 또는 제빙부에 대응될 수 있고, 커피반출부는 컵인출부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자판기 전면패널(30)의 전면 상부에는 터치 패널(40)이 배치되어, 자판기(10) 외부의 소비자에게 광고, 커피 메뉴, 커피 제조 과정 안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자판기 전면패널(30)의 중간 일측면에는 자판기 몸체(20)의 전면 개구부를 덮도록 자판기 전면패널(30)을 닫은 채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32)가 구비될 수 있다.
자판기(10)는 수 종류 내지 수십 종류의 원두 커피를 캡슐 형태로 준비하여 소비자의 구매에 따라 즉석에서 커피를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는 모바일 결제 수단이 탑재된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결제 사이트나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모바일 결제유닛(50)에 무선 결제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하여 모바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직불카드, 체크카드, 신용카드 등의 카드 형태의 결제 수단을 카드 결제유닛(52)에 삽입하여 구매한 원두 커피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자판기(10)는 소비자가 선택한 커피의 종류에 따라 1분 내지 1분 30초 내외의 짧은 시간에 커피를 제조하여 컵인출부(60)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장치(70)는 터치 패널(40)의 동작, 결제유닛들의 신호처리, 캡슐 이송, 커피 추출, 커피 인출, 물 공급, 컵 공급, 얼음 공급 등 자판기(1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는 네트워크를 통한 자판기(10)의 제어 또는 관리를 허용하고, 자판기(10)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이나 서버측의 데이터 센터에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가 원두 커피를 주문하기 전에, 자판기(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40)의 화면에서 광고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광고 영상은 원두를 담은 캡슐에 대한 소개이거나, 이러한 캡슐 커피를 즐기는 유명인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광고 영상은 다른 광고주와의 계약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광고일 수 있다.
자판기(10)의 설정에 따라 소비자는 터치 패널(40)을 터치하여 광고 영상 화면에서 원두 커피 메뉴 화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자판기(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커피 원두를 사용하는 브랜드 커피 메뉴(A 내지 F)를 터치 패널(40)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커피 메뉴는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등을 기본으로 활용하여 만드는 커피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 메뉴는 에스프레소, 도피오, 에스프레소 마키야또, 에스프레소 콘파나, 카푸치노, 카페모카, 카라멜 마키야또, 프라푸치노, 헤이즐넛, 카페 브리브, 플랫 화이트 등으로 불리는 커피나 이와 유사한 커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전면부에 대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는 다양한 결제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결제유닛은 모바일 결제유닛(50), 카드 결제유닛(52), 지폐 결제유닛(54) 및 동전 결제유닛(56)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 결제유닛(52)은 카드 투입구를 구비하고, 지폐 결제유닛(54)은 지폐 투입구를 구비하고, 동전 결제유닛(56)은 동전 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비자가 버튼(58)을 누르면, 잔액이 소정의 반환구(미도시)를 통해 반환하도록 자판기(10)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자판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결제와 카드 결제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판기는 터치 패널(40)에 표시되는 결제 안내 화면에서 소비자가 결제 승인 아이콘을 클릭할 때 해당 결제를 관리하거나 승인하는 카드사, 모바일 결제서버 등과의 연동을 통해 소비자의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안내 화면은 결제 종류와 결제 방법 및 결제 금액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캡슐적재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적재부 하부에 설치되는 캡슐공급유닛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캡슐공급유닛의 제3 판재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캡슐공급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캡슐공급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캡슐공급부의 주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10)(이하, “자동판매기”라 한다)는 캡슐적재부(100)과 캡슐공급부(200)와 물 공급부(미도시)와 컵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판매기에는 상기한 지폐투입구 및 동전투입구 이외에 카드단말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자동판매기(10)의 외관 구성, 즉, 동전투입구, 지폐투입구 및 버튼과 인출구 구성과 물 공급부, 컵 공급부의 구성은 공지 구성이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캡슐적재부(100)는, 상, 하 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캡슐(5)의 인출은 용이하되 유동이 방지되도록 단면상 원형이나 다각형 튜브형상으로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자동판매기 내에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캡슐적재부(100)는 4개가 1조로 이루어지며, 제1 방향으로 구비된 하단에 캡슐(5)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 하단 상측에는 차단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슐적재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격자형 튜브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캡슐의 날개 부분만을 고정하도록 캡슐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판형 주면과 캡슐의 날개 부분을 감싸도록 대략 180° 혹은 이보다 어느 정도 작은 각도로 절곡된 양측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배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캡슐은 옆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부 플랜지 부분이 캡슐적재부의 홈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그에 의해 복수의 캡슐들이 비스듬히 세워진 상태에서 캡슐적재부의 수직방향 프레임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상으로 적재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전술한 캡슐적재부(100)의 경우, 제1 방향으로 4개가 제1조로 배치되고, 제1조와 마주하도록 제2조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조 및 제2조의 그룹이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그룹이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각 그룹은 각 프레임의 상부측 말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10, 이하 '상부 지지프레임'이라고도 함)이 설치되고, 각 프레임의 하부측 말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30, 이하 '상부 지지프레임'이라고도 함)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지지프레임(110)은 각 수직 프레임에 캡슐을 삽입하기 위한 홀들을 구비하고, 하부 지지프레임(130)은 캡슐공급유닛(150)의 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에서 캡슐을 배출하기 위한 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차단공(101)은 후술하는 제 2판재(230)가 배출되는 캡슐(5)의 바로 위에 설치되고 캡슐(5)의 배출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4 및 도 10 참조).
캡슐적재부(100)의 하부, 다시 말해서, 4개 1조로 이루어진 하단에는 캡슐공급유닛(150)이 구비된다. 캡슐공급유닛(150)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3 판재(210)(230)(250)와 감지수단(260)으로 이루어진다.
제 1판재(210)는 상기한 캡슐적재부(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구동장치(201)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테두리에 후술하는 작용에서 캡슐(5)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제 1판재(210)의 중심을 지나느 제1 방향으로는 구동축(210a)이 구비되는데, 구동축(210a)의 상단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201)의 출력축(201a)이 직결될 수 있다.
상기한 구동장치(201)는 소정각도 정밀한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직류(DC)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제 1판재(210) 상측에 대략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판재(230)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제 2판재(230)는 일단(231)과 타단(233)으로 이루어진다. 일단(231)은 상기한 구동축(210a)에 축결합되며, 이 일단(231)에 대향하는 부위에 타단(233)이 구비된다. 즉, 제 2 판재(230)는 편심 결합된다. 타단(233)은 제 1판재(210)의 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된 캡슐(5) 상부에 구비되는 다른 캡슐(5)의 연속적인 배출이 방지되도록, 캡슐적재부(100)의 하단에 마련된 차단공(101) 상으로 회동하며 삽입이 용이하도록 호형(弧形)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2판재(230)의 상측으로 제 3판재(250)가 구비된다.
제 3판재(250)는 상기한 구동축(210a)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한 캡슐적재부(100)의 수량만큼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기(251)가 구비된다. 다수의 돌기(251)는 일측에 구비된 센서의 일종인 감지수단(260)의 감지신호에 의해 다음 돌기(251)의 감지가 용이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다수의 돌기(25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 대칭형으로 구비된 4개 1조의 캡슐적재부(100)의 하단에 맞도록 돌기(251)의 두 각도(θ1)(θ2)는 각각 약70도 전후 및 약 110도 전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공급유닛(150)의 하부에는 캡슐공급부(200)가 배치된다. 캡슐공급부(200)는 캡슐 이송장치로도 지칭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 이송장치(200)는, 상술한 캡슐공급유닛(150)의 제 3판재(250) 하측에 구비되어 제1 방향으로 배출되는 캡슐(5)을 제2 방향으로 이동,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1, 2이송부(271)(276)로 이루어진다.
제 1이송부(271)는, 상술한 캡슐공급부(200)에서 배출된 캡슐(5)을 일측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서, 제 1프레임(272)과 제 1구동부(273)와 제 1이송 레인(274)과 제 1캡슐 이송구(275)로 이루어진다.
제 1프레임(272)은, 사각형 외형을 갖추고 있으며, 제 1프레임(272)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제 1구동부(273)가 구비된다. 제 1구동부(273)는, 제 1프레임(272)의 일측 길이방향에 대칭형으로 구동, 종동풀리(273a)(273b)가 각각 구비되고, 구동, 종동풀리(273a)(273b)의 외주에는 무한궤도 도르레식으로 연결부재(273c)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재(273c)는 타이밍벨트(Timming Belt) 또는 V-벨트(V-Belt) 또는 체인(Chain)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해도 무방하다. 구동풀리(273a)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구비된 구동장치(202)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한다.
연결부재(273c)의 일측에는 육면체 블록형상의 외형을 갖춘 이송블럭(273e)이 결합되는데, 이송블럭(273e)은 상기한 구동풀리(273a)의 회전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부재(273c)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송블럭(273e)은, 상기한 연결부재(273c)의 중간 길이방향 상측으로 구비된 가이드레일(273d)이 관통됨으로써, 가이드레일(273d)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상기한 제 1구동부(273)의 일측으로 인출된 캡슐(5)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1열 이상의 제 1이송 레인(274)이 구비되는데, 제 1이송레인(274)는 캡슐(5)의 상부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직선으로 다수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이송블럭(273e)의 일측 제2 방향으로 제 1캡슐 이송구(275)가 구비되어 제 1이송 레인(274)에 안착된 캡슐(5)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제 1캡슐 이송구(275)는 제 1이송 레인(274)의 각 구간마다 하측 방향으로 수직 지지부(275a)가 마련되어 캡슐(5)의 일측 방향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이송부(271)의 일측 직각방향으로 제 2이송부(276)가 마련된다.
제 2이송부(276)는,상기한제 1구동부(273)의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제 1구동부(273)의 직각방향으로 제 2프레임(276a)이 구비되며, 이 제 1프레임(276a)의 양단에 대칭형으로 구동, 종동 풀리(276b)(276c)가 구비되고, 이 구동, 종동풀리(276b)(276c)에 무한궤도 도르레식으로 연결부재(276d)가 결합되며, 이 연결부재(276d)의 일측에 제 2캡슐 이송구(276da)가 결합되는데, 상기한 구동풀리(276b) 하측 제1 방향으로는 구동장치(277)가 직결되어 있다.
제 2이송부(276)의 구성은 1열로 구성된 것 이외에 상술한 제 1이송부(27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캡슐적재부가 캡슐공급부 상측에 격자형으로 4개 1조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1개 이상의 캡슐적재통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1조 이상의 캡슐적재부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10)의 작동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사용자가 자동판매기(미도시)에 구비된 동전투입구 또는 지폐투입구 또는 카드단말기에 카드를 삽입하여 결제과정을 수행한 다음 커피선택 버튼을 누르면, 캡슐공급유닛(150)의 구동장치(201)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201a)에 축결합된 제 1, 2, 3판재(210)(230)(250)가 소정각도 회동한다.
여기서, 제 3판재(250)에 구비된 돌기(251)가 감지수단(260)에 감지되면 회동이 멈추는데, 이 시점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판재(210)의 배출구(211)로 캡슐(5)이 배출되는 시점이다.
이와 같이, 캡슐(5)의 배출이 완료될 때, 제 2판재(230)는 캡슐적재부(100)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차단공(101) 내측으로 삽입되며, 다른 캡슐(5)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동작은 유기적으로 연계되며, 버튼(미도시)을 누를 때 마다 회동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캡슐(5)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캡슐적재부(100)에서 배출된 캡슐(5)은 캡슐 이송장치(270)의 제 1이송부(271)의 제 1이송 레인(274) 중 어느 한 개소에 안착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 종동 풀리(273a)(273b)와 도르레식으로 연결된 연결부재(273c)가 구동, 종동 풀리(273a)(273b)의 회전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연결부재(273c)와 결합된 이송블럭(273e)에 일단이 결합된 제 1캡슐 이송구(275)에 의해 제 1이송 레인(274) 중 어느 한 개소에 안착된 캡슐(5)이 일단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캡슐(5)은 제 2이송부(276)의 제 2프레임(276a)에 안착됨과 동시에 제 2프레임(276a)에 구비된 구동장치(277)에 의해, 구동, 종동풀리(276b)(276c)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276d)가 연동하며, 연결부재(276d)에 결합된 제 2캡슐 이송구(276da)에 의해 캡슐(5)은 일측으로 밀리며 커피 추출부로 이송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커피 추출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커피 추출부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6의 커피 추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커피추출부(500)는, 지지프레임(510), 캡슐지지부(520), 제3 이송부(530), 제4 이송부(540), 컵홀더지지부(550), 서브프레임(560), 가압구조(570) 및 캡슐용기배출부(580)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510) 상부에는 캡슐지지부(520) 및 가압부(570)가 배치되고, 지지프레임(510)의 측면부에는 제3 이송부(530), 제4 이송부(540) 및 컵홀더지지부(550)가 배치되며, 지지프레임(510)의 하부에는 캡슐용기배출부(58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압구조(570)는 지지프레임(510)에 고정되는 서브프레임(560)에 의해 지지프레임(510)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프레임(510)은 베이스 플레이트(511), 제1 프레임(512) 및 제2 프레임(514)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11)는 판 형태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프레임(512)은 플레이트 형태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일면 상에서 폭 방향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514)은 플레이트 형태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일면 상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폭 방향의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하면, 지지프레임(510)은 직각 도랑이나 채널 형태로 상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510)은 상부가 개방된 구조에서 상부측에 캡슐지지부(520)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5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516)는 제3 이송부(530)에 의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512, 524) 상단 모서리상에서 움직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512, 524) 상단 모서리에는 레일 형태의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516)는 캡슐지지부(520)의 동작에 따라 분할되는 구조를 구비하거나, 캡슐지지부(520)의 하부면 혹은 측면의 적어도 일부만을 지지하여 캡슐지지부(520)의 동작에 따라 캡슐이 중력 방향으로 떨어질 때 캡슐의 자유낙하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슐지지부(520)는, 상부 플레이트(516)에 의해 커피추출부(500)의 상부에 지지되고 그 상부면 대략 중앙부에 안착홈(525)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525)은 하나 또는 둘일 수 있다. 두 개의 안착홈(525)은 커피종류 중 일종인 라떼를 추출할 때 실질적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캡슐지지부(520)는 두 개로 분할되는 제1 부분안착부(521)와 제2 부분안착부(5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안착부(521)와 제2 부분안착부(523)는 일측면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서로 분리가능하게 밀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부분안착부(521)는 제2 부분안착부(523)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그 상부측으로 연장하는 반컵 형태의 제1 오목부(522)를 구비하고, 제2 부분안착부(523)는 제1 부분안착부(521)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그 상부측으로 연장하는 반컵 형태의 제2 오목부(5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안착부(521)와 제2 부분안착부(523)가 서로 인접하거나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제1 오목부(522) 및 제2 오목부(524)는 안착홈(525)을 형성하며, 안착홈(525)에는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캡슐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캡슐지지부(520)에서, 제1 부분안착부(521)와 제2 부분안착부(523)는 제1 및 제2 프레임들(512, 514)이 마주하는 방향 또는 이들의 대향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부분안착부(521)와 제2 부분안착부(523) 각각은 상부 플레이트(516)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의 동작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구동수단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이송부(530)는, 제1 프레임(512) 또는 제2 프레임(514)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이송부(530)는 제2 프레임(514)의 일면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롤러(531)와, 구동수단과 롤러(531) 사이에 설치되는 체인이나 벨트(532)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수단의 회전축에는 고리 형태의 체인 또는 벨트(532)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정 이격 거리는 제2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3 이송부(530)의 구성에 의하면, 제3 이송부(530)는 캡슐지지부(520)를 일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캡슐지지부(520)의 안착홈(525)에 안착된 캡슐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이송부의 말단부 또는 캡슐 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고, 제2 위치는 가압구조(570)의 바로 아래일 수 있다.
제4 이송부(540)는, 제1 프레임(512) 또는 제2 프레임(514)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이송부(540)는 제2 프레임(514)의 일면 일측에서 제3 이송부(530)의 구동수단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롤러(541)와, 구동수단과 롤러(541) 사이에 설치되는 체인이나 벨트(542)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수단의 회전축에는 고리 형태의 체인 또는 벨트(542)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정 이격 거리는 지지프레임(510)의 상부에서 컵적재부나 컵공급부로부터 컵홀더(552)에 컵을 공급받는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4 이송부(540)의 구성에 의하면, 제4 이송부(540)는 컵홀더(552)를 일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컵홀더(552)에 안착된 컵은 제3 위치에서 제2B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 반대로 제2B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B 위치는 가압구조(570)의 바로 아래일 수 있고, 제3 위치(CPP)는 컵 배출 위치일 수 있다. 즉, 제3 위치(CPP)는 컵적재부, 컵공급부 또는 컵지지부(CPP) 하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4 이송부(540)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컵공급부와 가압장치(570) 사이에서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공급기 또는 제빙부로부터 컵속으로 얼음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3 위치에서 제2B 위치로 이동할 때 얼음을 받는 제4 위치(ICEP)에서 컵홀더(552)가 머무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빙부는 얼음을 보관하다가 방출하는 구조를 포함하며, 특히 물 등의 액체에서 얼음 등의 고체를 만드는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컵홀더지지부(550)는 제4 이송부(540)의 벨트(542)에 연결되며 제4 이송부(540)의 동작에 의해 움직이는 벨트(542)를 따라 제3 위치와 제2B 위치 사이를 왕복운동할 수 있다. 컵홀더지지부(550)는 제3 위치와 제2B 위치를 따라 직선 채널 형태로 연장하는 제2 프레임(514)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막대 형태를 구비하고, 그 일단이 벨트(542)에 고정되며, 그 타단이 컵홀더(552)의 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컵홀더지지부(550)는 컵홀더(5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560)은 지지프레임(510)의 상부에 캡슐지지부(520)를 게재하고 가압구조(570)를 배열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프레임(510) 상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가압구조(57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서브프레임(560)은 가압구조(570)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561)와, 베이스플레이트(511) 또는 수직 플레이트(512 및/또는 514) 상에 일정 높이로 지지플레이트(561)를 지지하는 기둥프레임(562)을 구비할 수 있다. 가압구조(570)와 캡슐지지부(520)가 제1 방향에서 서로 정렬될 때, 지지플레이트(561)는 가압구조(570)의 말단부, 노즐 또는 압착부가 삽입되거나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도 22 참조).
가압구조(570)는 가압장치와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장치는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과 이 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 공급 장치는 도시수도관 등의 상용 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고, 구현에 따라서 내부 물 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배관의 타단은 압착부의 하면에 노출될 수 있다. 배관의 타단으로 유체가 공급되거나 분사될 수 있다.
가압구조(570)는 서브프레임(560)의 지지플레이트(561) 상에 지지되며, 지지플레이트(561)를 관통하여 캡슐지지부(520)에 안착된 캡슐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유체는 물, 수증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압력 분위기에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압구조(570)는 지지프레임(510)의 베이스 플레이트(511)에 직접 고정되는 서브프레임(560)에 의해 지지되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가압구조(570)가 지지프레임(510)의 수직 프레임(512, 514)에 고정되는 서브프레임(56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가압구조(570)는 상기 프레임들의 조합 구조로 지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캡슐용기배출부(58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중앙에 배치된 개구부에 결합할 수 있다. 캡슐용기배출부(580)는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개구부에 경사면 형태로 결합하는 복수의 측벽 부재(582)와, 측벽 부재들에 의해 대략 사각 깔대기 형태로 모아지는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경사면(584)과, 일부 측벽 부재(582)와 바닥 경사면(584)에 의해 모아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출구(586)를 구비할 수 있다. 캡슐용기배출부(580)의 적어도 일부 수용 공간은 가압구조(570)와 캡슐지지부(520)를 잇는 제1 방향에서의 배열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다른 일부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캡슐(5)이 캡슐지지부(520)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컵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컵(CP)이 컵홀더(552)에 안착된다.
다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지지부(520)는 제3 이송부(530)의 동작에 의해 가압구조(57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고, 컵홀더에 의해 지지된 컵(CP)은 제4 이송부(540)의 동작에 의해 캡슐지지부(5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컵(CP)의 하부에는 캡슐용기배출부(580)의 적어도 일부 수용 공간이 위치할 수 있다.
다음,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구조(570)의 가압장치(PE)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압착부(PA)를 캡슐(5)의 상부에 밀착시키고, 압착부(PA) 하부의 노즐을 통해 고압의 용수를 캡슐(5)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캡슐(5)의 상부로 캡슐(5) 내부에 마련된 음료 가루(5b)를 압착하면서 일측 방향으로 가압된 음료 수용액이 캡슐(5) 하부로 방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음료 가루는 원두커피 분말가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압장치(PE)는 원두커피 분말가루를 압착함과 동시에 노즐이 캡슐(5)의 커버를 뚫고 고압의 용수를 공급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캡슐(5) 내부에 마련된 원두커피 분말가루가 용수에 의해 수용액화되거나 희석되면서 원두커피의 고유의 향과 맛을 구비한 커피로 변형되어 자유낙하하면서 컵(CP)에 담길 수 있다.
다음,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된 커피는, 컵(CP)에 담겨 컵배출부 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컵(CP)이 가압구조(570)의 하부에서 컵배출부로 이동하면, 캡슐지지부(520)의 제1 부분안착부(521)와 제2 부분안착부(523)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르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서로 이격된 부분안착부들 사이의 공간(528)을 통해 캡슐 용기를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내부의 음료재료가 소모된 캡슐 용기는, 캡슐용기배출구(586)를 통해 지지프레임(5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제1 부분안착부(521)와 제2 부분안착부(523)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이격될 때 각 부분안착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동작하여 각 부분안착부의 개구부 내측벽에서 돌출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안착홈에서 캡슐용기가 밀려나와 중력 방향으로 잘 떨어지도록 동작하는 숨김돌출편 또는 숨김돌출부재(529)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지지부에 채용할 수 있는 캡슐용기 배출구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캡슐지지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기 배출구조(590)는 회전 플레이트(592), 및 회전축이 회전 플레이트(592)에 편심 결합하는 모터(594)를 포함한다. 모터(594)는 서브프레임의 지지플레이트(561) 상부면 측에 배치되고, 회전 플레이트(592)는 지지플레이트(561)의 하부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모터(594)의 회전축은 지지플레이트(561)의 개구부나 관통홀을 통해 회전 플레이트(592)의 상부 일측에 편심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캡슐용기 배출구조(590)는 두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제1 배출구조(590a) 및 제2 배출구조(590b)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94)의 회전축(595)은 원판 형태의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592)의 하부면 측에 위치하는 캡슐지지부의 제1 부분안착부(521) 및 제2 부분안착부(523)와 소정의 연결 수단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회전 플레이트(592) 또는 제1 및 제2 부분안착부들의 표면에 오목 구조나 돌출 구조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요철부와, 제1 요철부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부분안착부들 또는 회전 플레이트(592)의 마주하는 표면에 돌출 구조나 오목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는 제1 방향에서 삽입 결합할 수 있고,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플레이트(592)가 편심 운동할 때 제1 및 제2 부분안착부들(521, 523)을 편심 운동하는 제1 평면과 평행하고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이끌어 움직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부분안착부들(521, 523)의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하여 제1 부분안착부(521)에는 가이드바(596)가 결합할 수 있고, 제2 부분안착부(523)에는 다른 가이드바(596)가 결합될 수 있다. 각 가이드바(596)는 대응 부분안착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부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각 가이드바(596)는 구름안내 구조를 구비하고 상하, 좌우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LM 가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각 가이드바(596)는 대응 부분안착부가 제2 방향으로 제1 거리(L1) 또는 제2 거리(L2)를 왕복 운동할 때 그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조(590a)와 제2 배출구조(590b)가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거나 수회 회전 운동할 때, 각 배출 구조와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 제1 및 제2 부분안착부들(521, 523)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L1, L2)만큼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제1 거리(L1) 및 제2 거리(L2)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편심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부분안착부들(521, 52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부분안착부들(521, 523)에 의해 지지되는 캡슐용기를 이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에 채용할 수 있는 전장부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전장부품에 채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판매기는 터치패널(40), 결제 유닛(50), 센서(78) 및 제어장치(70)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패널(40), 결제 유닛(50) 및 센서(78)는 제어장치(70)와 연결되고 신호 및 데이터를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할 수 있다.
결제 유닛(50)은 모바일 결제유닛과 카드 결제유닛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폐 결재유닛, 동전 결제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일부와 대체될 수 있다.
센서(78)는 캡슐적재부 또는 캡슐공급부에 설치되는 캡슐재고 파악용 제1 센서, 컵인출부에 설치되는 판매량 모니터링용 제2 센서, 이송부, 커피추출부, 제빙기 등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3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는 제빙기의 준비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센서(78)는 센싱 데이터 외에 제어장치(70)와 미리 설정된 신호 레벨이나 신호 파형을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78)는 동작감지센서,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70)는 통신부(72), 프로세서(74) 및 메모리(76)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 통신부(72)는 프로세서(74)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세서(74) 또는 제어장치(70)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장치로 설치되고 배선이나 케이블을 통해 프로세서(74)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자판기 관리자 단말이나 자판기 관리자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72)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72)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수신기, RF 송신기, RF 송수신기,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광 송신기, 광 송수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PES(PSTN Emulation Ser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ET-A(LET-Advanced),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WiMax, Wi-Fi(Wireless Fidelity), Bluetoot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고, 중앙처리장치(CPU)는 MCU(micro control unit)와 주변 장치(외부 확장 장치를 위한 집적회로)가 함께 배치되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중앙 처리 장치는 처리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register)와,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연산장치(arithmetic logical unit, ALU)와, 명령어의 해석과 실행을 위해 CPU를 내부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control unit), 및 이들을 연결하는 내부 버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4)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74)와 입출력 시스템 및 여러 다른 주변 장치를 연결하고,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74)와 메모리(76)를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74)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자판기가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4)는 메모리(76)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해당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76)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장진단모듈(762), 판매량산출모듈(764) 및 캡슐재고산출모듈(76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장진단모듈(762)은, 프로세서(74)에 의해 수행될 때,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자판기 구성요소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구성요소의 정상 작동과 고장 상태를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고장진단모듈(762)은 자판기 구성요소의 전기부품에서 발생하는 신호나 출력 파형을 감지하고 이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판매량산출모듈(764)은, 프로세서(74)에 의해 수행될 때, 커피 메뉴에서 선택되거나 결제된 수량을 카운팅하거나, 컵인출부를 통해 인출된 컵의 개수를 카운팅하거나, 컵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컵을 카운팅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캡슐재고산출모듈(766)은, 초기 설정된 캡슐 재고에서 캡슐공급부를 통해 이송부로 이송된 캡슐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센서를 통해 캡슐재고를 산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캡슐재고산출모듈(766)은 캡슐적재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적재 높이를 토대로 캡슐재고를 계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6)는 자판기의 작동과 외부와의 통신 및 데이터 송수신 등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어 집합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고, 운영체제, 스케줄 운영 정책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 그래픽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모듈,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애플리케이션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 또는 프로그램으로 표현될 수 있다.
운영체제는 MS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iOS, 맥 OS, VxWorks, 구글 OS, 안드로이드(android), 바다(삼성 OS), 플랜 9 등과 같은 내장형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메모리(76)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6)는 광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액상, 점상 또는 분말의 원두 커피 재료가 내장된 캡슐을 사용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맞춘 향과 맛을 겸비한 원두 커피를 자판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다.
10 : 커피 자동판매기 100 : 캡슐적재부
101 :차단공 200 : 캡슐공급부
201 : 구동장치 210, 230 : 제 1, 2판재
210a :구동축 231 : 일단
250 : 제 3판재 251 : 돌기
260 : 감지수단 270 : 캡슐 이송장치
271, 276 : 제 1, 2이송부 272 : 제 1프레임
273 : 제 1구동부 273a, 273b : 구동, 종동풀리
273c : 연결부재 273d : 가이드레일
273e : 이송블럭 274 : 제 1이송 레인
275 : 제 1캡슐 이송구 276a : 제 2프레임
276b, 276c : 구동, 종동풀리 276d : 연결부재
276da : 제 2캡슐 이송구 410: 컵 적재부
500 : 커피추출부

Claims (13)

  1. 다수의 캡슐을 제1 방향으로 내장하도록 격자형으로 구비되는 캡슐적재부;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부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캡슐공급유닛;
    상기 캡슐공급유닛에서 공급된 캡슐이 이송되어 안착되며 상기 캡슐에 물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및
    상기 커피가 수용된 컵을 외부로 반출하는 컵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추출부는, 제1 부분안착부 및 제2 부분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안착부는 상기 제2 부분안착부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그 상부측으로 연장하는 반컵 형태의 제1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분안착부는 상기 제1 부분안착부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그 상부측으로 연장하는 반컵 형태의 제2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부분안착부와 상기 제2 부분안착부가 서로 인접하거나 접할 때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캡슐공급유닛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낙하되어 이송되는 상기 캡슐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 부분안착부와 상기 제2 부분안착부가 이격될 때 상기 제1 부분안착부와 상기 제2 부분안착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부측으로 자유낙하되는, 커피 자동판매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추출부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캡슐지지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캡슐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캡슐지지부를 일정 거리 왕복 운동시키는 제3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추출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위치한 컵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컵을 수용하기 위한 컵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컵홀더를 일정 거리 왕복 운동시키는 제4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캡슐지지부의 안착홈에 안착된 캡슐과 상기 제4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컵은 가압구조를 포함한 상기 커피추출부의 하부에 정렬되는, 커피 자동판매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송부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컵공급부에서 상기 컵을 받는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구조의 하부로 이동하는 중간에 얼음공급부에 대응하는 중간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지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하는 벽들 형태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들 상부에서 상기 캡슐지지부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캡슐지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접동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개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캡슐지지부로부터 떨어지는 캡슐용기를 배출하는 캡슐용기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공급유닛는 캡슐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이송장치는, 캡슐적재부에서 배출되는 캡슐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 1이송부에서 공급된 캡슐을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이송부는,
    사각형 외형을 갖춘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1구동부 일측에 캡슐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1열 이상 구비된 제 1이송 레인과,
    상기 제 1이송 레인의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 각 제 1이송 레인에 구비되는 캡슐을 일측으로 밀어서 이송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1구동부에 결합된 제 1캡슐 이송구를 구비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송부는, 상기 제 1이송부의 제 1구동부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양단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구동,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 종동풀리에 무한궤도 도르레식으로 결합되며, 제 2캡슐 이송구가 결합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커피 자동판매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공급유닛은,
    제 1, 2, 3 판재들와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판재는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구동장치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테두리에 캡슐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판재의 중심을 지나는 제1 방향으로는 구동축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축의 상단에는, 구동장치의 출력축이 직결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소정 각도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직류(DC)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판재는 판 부재로서 상기 제 1판재 상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편심 설치되어, 상기 캡슐적재부의 하단에 마련된 차단공 상으로 회동하여 연속되는 캡슐 배출을 차단하도록 기능하며,
    상기 제 3판재는 상기 제 2판재의 상측에서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축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판재 및 상기 제 2판재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사상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 3판재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돌기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적재부, 상기 캡슐적재부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을 이동하는 캡슐공급부, 상기 커피추출부 및 상기 컵인출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우징 전면에 설치되는 결재유닛;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캡슐공급유닛, 상기 캡슐공급부, 상기 커피추출부, 상기 컵인출부, 상기 터치 패널 및 상기 결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고장진단모듈, 판매량산출모듈 및 캡슐재고산출모듈을 구비하는, 커피 자동판매기.
KR1020170093460A 2017-07-24 2017-07-24 커피 자동판매기 KR101837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460A KR101837348B1 (ko) 2017-07-24 2017-07-24 커피 자동판매기
CN201880050136.XA CN110998677B (zh) 2017-07-24 2018-06-19 咖啡自动售货机
US16/631,301 US11517137B2 (en) 2017-07-24 2018-06-19 Coffee vending machine
JP2020504224A JP6923740B2 (ja) 2017-07-24 2018-06-19 コーヒー自動販売機
PCT/KR2018/006922 WO2019022384A1 (ko) 2017-07-24 2018-06-19 커피 자동판매기
EP18839323.5A EP3644287A4 (en) 2017-07-24 2018-06-19 COFFE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460A KR101837348B1 (ko) 2017-07-24 2017-07-24 커피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348B1 true KR101837348B1 (ko) 2018-04-19

Family

ID=6208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460A KR101837348B1 (ko) 2017-07-24 2017-07-24 커피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7137B2 (ko)
EP (1) EP3644287A4 (ko)
JP (1) JP6923740B2 (ko)
KR (1) KR101837348B1 (ko)
CN (1) CN110998677B (ko)
WO (1) WO201902238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483A (ko) * 2020-02-10 2020-02-28 성상일 컵 및 식품캡슐 자판기
CN112884983A (zh) * 2021-01-12 2021-06-01 万梅 一种冲泡饮料无人售货机
KR20220107722A (ko) * 2021-01-26 2022-08-02 김완수 자동 음료 장치
KR102524867B1 (ko) 2022-12-09 2023-04-25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얼음 토출 기능을 갖는 커피 자동판매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225A (zh) * 2019-04-24 2020-10-30 浙江西文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萃饮机的饮料胶囊存放架
CN112785780B (zh) * 2021-03-09 2022-05-24 云南合润天成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竖直下料式胶囊饮品自动售卖机
TWI787894B (zh) * 2021-07-01 2022-12-21 亞東學校財團法人亞東科技大學 個人化飲料膠囊販賣機
CN114360154A (zh) * 2021-12-16 2022-04-15 申宏机(南通)智能终端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现调饮品的无人售卖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7409A1 (en) * 2005-03-17 2008-11-13 Alessandro Magno Capsule Dispensing Apparatus
KR100882580B1 (ko) * 2008-04-07 2009-02-09 게이트마켓 주식회사 원격관리가 가능한 자동판매기와 그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4662B (it) * 1980-06-11 1988-09-22 Giuseppe Stefano Pia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caffe' espresso,cappuccino,te',brodo o di altri infusi,azionata automaticamente,mediante un filtro a perdere,contenente una o piu' dosi di prodotti,introdotto a mo' di gettone
JPH08263744A (ja) * 1995-03-22 1996-10-11 Fuji Electric Co Ltd 飲料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3591235B2 (ja) * 1997-08-28 2004-11-17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シュータ
ATE282353T1 (de) * 2001-04-03 2004-12-15 Nestle Sa Extraktionsvorrichtung mit integrierter kapselzuführeinrichtung
US6786134B2 (en) * 2002-02-07 2004-09-07 The Coca-Cola Company Coffee and tea dispenser
KR20040021918A (ko) 2002-09-05 2004-03-11 명재권 일회용 원두커피캡슐플레이트의 제작장치 및원두커피캡슐플레이트
ITPN20020090A1 (it) * 2002-11-21 2004-05-22 Necta Vending Solutions Spa Apparato di alimentazione di capsule per distributori
US6955116B2 (en) * 2003-06-13 2005-10-18 Robert Hale Beverage dispensing machine including cartridge ejector assembly
ITPN20030025U1 (it) * 2003-07-10 2005-01-11 Necta Vending Solutions Spa Macchina distributrice automatica con dispensatore di capsule integrato
ITTO20040374A1 (it) * 2004-06-04 2004-09-04 Sgl Italia Srl Macchina percolatrice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ITMI20070571A1 (it) * 2007-03-22 2008-09-23 Ricerche E Sviluppo S A S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e l'erogazione di bevande a partire da una polvere contenuta in capsule
ITMI20080563A1 (it) * 2008-04-02 2009-10-03 Francesco Blanchino "dispositivo distributore automatico di capsule orientabili per bevande calde"
JP2011522568A (ja) * 2008-04-28 2011-08-04 タタ ティー リミテッド 温かい飲料を自動的に新鮮に浸出し分注するアセンブリ
DE102010037189A1 (de) * 2010-08-27 2011-03-03 SEVERIN ELEKTROGERÄTE GmbH Brühgruppe für einen Getränkeautomaten
KR101303829B1 (ko) * 2011-09-26 2013-09-05 이지용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
ITTO20120035A1 (it) * 2012-01-19 2013-07-20 N&W Global Vending Spa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capsule
DE102012108653A1 (de) * 2012-08-20 2014-02-20 Eugster/Frismag Ag Elektrohaushaltgeräte Brüh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FR2998463B1 (fr) * 2012-11-23 2015-01-23 Technopool Sarl Dispositif de preparation de boisson par infusion de dosette avec berceau pivotant
KR20150009687A (ko) * 2013-07-17 2015-01-27 최건식 캡슐용 음료 머신을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15083847A1 (ko) * 2013-12-03 2015-06-11 세대산전(주) 캔음료 온장고
KR20160015430A (ko)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화수 캡슐형상 제품의 자판기
CN104433814B (zh) * 2014-10-22 2017-04-12 宁波全景电器技术有限公司 有助于饮料包去除的饮料冲煮设备
WO2016146793A1 (en) * 2015-03-17 2016-09-22 Illycaffe' S.P.A. Con Unico Socio Automated device to prepare beverages from cartridges
KR20160148772A (ko) * 2015-06-16 2016-12-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CN205881035U (zh) * 2015-12-28 2017-01-11 银川方达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转盘式自动售货机
KR101748861B1 (ko) * 2016-11-14 2017-06-19 커피맵(주)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7409A1 (en) * 2005-03-17 2008-11-13 Alessandro Magno Capsule Dispensing Apparatus
KR100882580B1 (ko) * 2008-04-07 2009-02-09 게이트마켓 주식회사 원격관리가 가능한 자동판매기와 그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483A (ko) * 2020-02-10 2020-02-28 성상일 컵 및 식품캡슐 자판기
KR102289621B1 (ko) * 2020-02-10 2021-08-17 성상일 컵 및 식품캡슐 자판기
CN112884983A (zh) * 2021-01-12 2021-06-01 万梅 一种冲泡饮料无人售货机
CN112884983B (zh) * 2021-01-12 2023-05-26 万梅 一种冲泡饮料无人售货机
KR20220107722A (ko) * 2021-01-26 2022-08-02 김완수 자동 음료 장치
KR102463345B1 (ko) * 2021-01-26 2022-11-04 김완수 자동 음료 장치
KR102524867B1 (ko) 2022-12-09 2023-04-25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얼음 토출 기능을 갖는 커피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17137B2 (en) 2022-12-06
CN110998677B (zh) 2022-12-23
EP3644287A4 (en) 2021-04-07
CN110998677A (zh) 2020-04-10
US20200205601A1 (en) 2020-07-02
WO2019022384A1 (ko) 2019-01-31
JP6923740B2 (ja) 2021-08-25
JP2020528798A (ja) 2020-10-01
EP3644287A1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348B1 (ko) 커피 자동판매기
EP318573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ispensing
US20230172388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rranged to share capsule image and machine operation data
US20150158608A1 (en) Custom-content beverage cartridge manufacturing and vending machine
US8893922B2 (en) Automated coffee vending kiosk and associated systems
US20170099981A1 (en) Callisto integrated tablet computer in hot and cold dispensing machine
KR101859595B1 (ko) 끓인 에스프레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0858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a product
US20170099980A1 (en) Integrated tablet computer in hot and cold dispensing machine
WO2015094866A1 (en) Vending machine advertising system
KR101891919B1 (ko) 커피 자동판매기
TWM575132U (zh) Fresh tea vending machine
US9980598B2 (en) Vending machine having integrated, user-accesible, single serve brewer interlocked with authorization unit
US10793374B2 (en) Capsule dispensing device
KR20150009687A (ko) 캡슐용 음료 머신을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136315A (ko) 무인 카페 시스템
CN205451292U (zh) 一种牛奶自动售卖机
US9730548B1 (en) Funnel assembly for a beverage brewer
TW202015601A (zh) 現泡茶飲之自動販賣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138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30407

Effective date: 2024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