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61B1 -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61B1
KR101748861B1 KR1020160151057A KR20160151057A KR101748861B1 KR 101748861 B1 KR101748861 B1 KR 101748861B1 KR 1020160151057 A KR1020160151057 A KR 1020160151057A KR 20160151057 A KR20160151057 A KR 20160151057A KR 101748861 B1 KR101748861 B1 KR 10174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artridge
plate
coffe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관호
Original Assignee
커피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피맵(주) filed Critical 커피맵(주)
Priority to KR102016015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이 개구되어 내부에 커피분말이 충진될 수 있는 카트리지;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상면 중심에 일정간격으로 대칭되게 기립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양측이 놓여질 수 있는 반원홈이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거치부와, 기립된 두 쌍의 고정봉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거치부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제2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고정선반; 상기 제1플레이트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일측에 직수관이 연결되는 직수관연결부; 상기 직수관과 연결되는 압력펌프; 상기 직수관연결부의 타측에 상기 직수관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제1압착부; 상기 제1플레이트 상면 타측 가장자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측에 출수용 코크가 연결되는 출수부; 상기 출수부의 타측에 상기 출수용 코크와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타단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제2압착부; 및 상기 제1·2플레이트 사이에 상하 대칭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 외주면과 제1압착부의 외주면 및 상기 카트리지의 타단 외주면과 제2압착부의 외주면을 각각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HYBRID COFFEE EXTRACTOR}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방식과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방식 각각의 장점을 채택한 것으로서, 커피가루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상온수 또는 냉수를 초고압으로 공급하여 향미가 보존된 커피를 신속히 추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의 추출방법에는 대표적으로 커피가 담긴 여과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커피 추출법과, 포트에 커피를 충전한 다음에 고압상태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법 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커피 추출법을 구분하는 가장 큰 요인인 커피의 용해도는, 커피생두의 로스팅 정도, 그리고 용수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커피 가공과정의 하나인 로스팅은 생두에 일정한 열을 가해서 볶는 과정을 말하며, 로스팅 과정에서 커피 세포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커피의 맛과 향을 내는 성분을 만들어낸다. 가스가 생성되면서 세포가 팽창되고 가스와 수분은 아주 미세한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데, 배전도가 높아질수록 더 큰 구멍이 형성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아지고, 배전도가 약할수록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물의 용해도가 감소한다.
다양한 추출법에 따라 해당 추출법에서 커피의 맛을 가장 좋게 하면서 또한 그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피 생두의 로스팅 강도에 맞는 다양한 물의 온도, 즉 다양한 추출온도가 필요함과 아울러 커피의 분말화 정도에 따라서도 카페인을 포함한 커피성분의 용해 특성이 달라지는 것에 기인한다.
최근에는 다량의 커피분말이 충전된 용기에 소량의 찬물을 장시간 투과시키면서 차가운 상태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더치커피 추출법도 점차 널리 보급되고 있다.
더치커피란 물을 사용하여 3시간 이상 추출한 독특하고 향이 좋은 커피를 일컫는 것으로, 과거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 식민지에서 로브스터종의 커피가 재배되었는데, 커피를 유럽으로 운반하던 선원들이 배에서 커피를 먹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장기간의 항해 기간 동안 커피를 먹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현재의 더치커피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찬물로 커피를 내린 결과, 커피의 쓴맛이 적게 나면서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숙성되어 독특한 맛과 향이 있어서, 네델란드 선원들이 즐겨 먹었다는 것이다.
이후에 이 더치커피는 흔히 콜드 브루(cold brew), 즉 찬물로 내리는 커피로 알려지게 되었고,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면서 그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더치커피 추출법은 드립커피 추출법과 유사하지만 0℃ 내지 30℃ 정도인 낮은 온도의 물(냉수 또는 상온수)이 중력에 의해 분쇄된 커피가루를 장시간에 걸쳐 통과하면서 매우 천천히 용해되는 커피성분을 추출하므로 추출온도와 추출시간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처럼, 기존의 더치커피 추출방법은, 상온에서 한 방울씩 물을 떨어뜨려 추출하는 방식으로 목재나 금속의 프레임 거치대에 유리로 제작한 물탱크, 커피탱크, 원액탱크를 차례로 거치시켜 10 내지 12시간이라는 장시간에 걸쳐 내리게 됨으로 생산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로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에스프레소커피는,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고압의 온수를 가하여 단시간에 추출된 커피를 말한다.
이러한 에스프레소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카트리지와,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보일러 및 상기 커피 원두에 상기 온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에스프레소커피의 향미를 결정하는 요소로서는 커피 원두의 종류와, 커피 원두를 볶은 정도 및 입자의 크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요소들 외에도, 커피 추출 장치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때의 온수의 온도와 압력도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에스프레소커피 추출 장치는 약 90℃의 온도를 갖는 온수와, 8 내지 10기압의 압력을 가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빠른 시간 내에 추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고압의 온수를 사용하여 추출된 에스프레소커피는,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의 수질오염 문제가 있고, 커피 자체에 포함된 성분이 산화 또는 변질되어 추출된 에스프레소커피의 향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9051호, 커피 추출장치 (공고일자: 2015년 07월 23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온수 또는 냉수를 이용해 커피를 신속히 추출하여 더치커피와 같은 향미를 보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는, 양단이 개구되어 내부에 커피분말이 충진될 수 있는 카트리지;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상면 중심에 일정간격으로 대칭되게 기립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양측이 놓여질 수 있는 반원홈이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거치부와, 기립된 두 쌍의 고정봉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거치부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제2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고정선반; 상기 제1플레이트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일측에 직수관이 연결되는 직수관연결부; 상기 직수관과 연결되는 압력펌프; 상기 직수관연결부의 타측에 상기 직수관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제1압착부; 상기 제1플레이트 상면 타측 가장자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측에 출수용 코크가 연결되는 출수부; 상기 출수부의 타측에 상기 출수용 코크와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타단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제2압착부; 및 상기 제1·2플레이트 사이에 상하 대칭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 외주면과 제1압착부의 외주면 및 상기 카트리지의 타단 외주면과 제2압착부의 외주면을 각각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에 의하면, 상온수 또는 냉수를 이용하여 종래의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방식의 압력보다 훨씬 더 높은 초고압으로 커피를 추출함으로써 더치커피와 같은 향미를 보존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커피를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1압착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출수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가이드를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동력전달부를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7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클램프부를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출수부를 우측에서 본 사시도 및
도 12, 13은 도 1의 카트리지가 클램핑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1압착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출수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가이드를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동력전달부를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7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클램프부를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출수부를 우측에서 본 사시도 및 도 12, 13은 도 1의 카트리지가 클램핑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는, 카트리지(110); 고정선반(120); 직수관연결부(130); 압력펌프(140); 제1압착부(150); 출수부(160); 제2압착부(170); 클램프부(180); 동력전달부(19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110)는, 양단이 개구되어 내부에 커피분말이 충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카트리지(110)는, 양단에 망 구조의 필터(115)가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관부(111)와, 상기 관부(111)의 양단 외주면이 외측으로 각각 확장된 한 쌍의 제1·2걸림부(112)(1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선반(120)은, 제1플레이트(121)와,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중심에 일정간격으로 대칭되게 기립되어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110)의 관부(111) 양측이 각각 놓여질 수 있는 복수의 반원홈(122a)이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거치부(122)와, 기립된 두 쌍의 고정봉(123)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121)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거치부(122)를 상기 제1플레이트(121)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제2플레이트(124)와, 상기 제1플레이트(121)의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하단에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바퀴(125-1)가 설치된 이동프레임부(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21)는 대칭된 두 쌍의 연장편(121-1, 도 1)(121-2, 도 2)으로 상기 이동프레임부(125)상에 전후로 갈수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110)가 출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직수관연결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일측(후방) 가장자리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직수관(131)이 밸브(V) 개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펌프(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121)의 측방으로 연장설치되는 연장플레이트(14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직수관(131)의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수압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 공급라인 상에는 직수관(131) 내부의 수압이 일정 수압 이상일 경우 적정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압력유지부(142)가 마련되며, 이 압력유지부(142)는 상기 직수관(131)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센서 및 상기 직수관(131)과 밸브로 연결되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착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수관연결부(130)의 타측에 상기 카트리지(110)의 일단(제1걸림부(112))과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일면 중심으로 상기 직수관(131)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15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150a)의 외측으로 실링(15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압착부(150)의 타면 가장자리에는, 경사면(152, 도 2)이 마련되어 후술할 제1·2수용홈(181a)(182a)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출수부(160)는,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타측(전방) 가장자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카트리지(110)의 타단을 수평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며, 일측에 출수용 코크(165)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110)와 연통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수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타측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61)과, 하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레일(161)이 각각 관통되는 한 쌍의 가이드(162-1)가 장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출수용 코크(165)가 결합되며 상부 타측에 상기 제2압착부(170)가 마련되는 슬라이드(162)와, 상기 각 레일(161)의 선단 양측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타측에 후술할 각 반원홈(162-1a)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볼플런저(16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162-1) 외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플런저(163)의 볼(도면부호 생략)에 대응될 수 있는 반원홈(162-1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162)는 프레임을 기립 설치하여 구성하며, 하부 타측에 슬라이드(162)를 외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핸들(162-2)이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압착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부(160)의 타측에 상기 카트리지(110)의 타단(제2걸림부(113))과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일면 중심으로 상기 출수용 코크(165)와 연통되는 제2관통홀(170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170a)의 외측으로 실링(17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압착부(170)의 타면 가장자리에는, 경사면(172)이 마련되어 후술할 제1·2수용홈(181a)(182a)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램프부(180)는, 상기 제1·2플레이트(121)(124) 사이에 상하 대칭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110)의 일단 외주면과 제1압착부(150)의 외주면 및 상기 카트리지(110)의 타단 외주면과 제2압착부(170)의 외주면을 각각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플레이트(121)(124)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두 쌍의 회전바아(191)와, 상기 제1·2플레이트(121)(124) 중 어느 한 곳에 지지되는 구동모터(192)와, 상기 구동모터(192)의 회전축과 상기 두 쌍의 회전바아(191)의 일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두 쌍의 회전바아(191)를 일체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체인밸트(19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쌍의 회전바아(191)의 일 단부와 상기 구동모터(192)의 회전축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밸트(193)와 맞물리는 톱니(191-1)(19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클램프부(1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한 쌍의 회전바아(191)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각각 관통되어 치합되며 하면에 상기 카트리지(110)의 제1·2걸림부(112)(113) 상면과 제1·2압착부(150)(170)의 상측 외주면이 함께 수용되는 제1수용홈(181a)이 형성된 한 쌍의 상부덮개(181)와, 양측이 한 쌍의 회전바아(191)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각각 관통되어 치합되며 상면에 상기 카트리지(110)의 제1·2걸림부(112)(113) 하면과 제1·2압착부(150)(170)의 하측 외주면이 함께 수용되는 제2수용홈(182a)이 형성된 한 쌍의 하부덮개(182)와, 어느 하나의 고정봉(123)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부덮개(181)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감지센서(183, 도 1 및 도 2)로 구성된다.
어느 하나의 상부덮개(181)에는, 걸림편(181-1)이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이 걸림편(181-1)의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감지센서(183) 사이를 왕복하면서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183)에 접촉됨을 통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구동모터(192) 및 상기 감지센서(1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상·하부덮개(181)(182)의 승·하강을 제어하며, 상기 압력펌프(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직수관(131)으로 공급되는 수압을 설정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의 판넬 상에는, 상기 구동모터(192)를 정역 작동시키기 위한 클램프 및 언클램프 스위치가 각각 마련되고, 직수관(131)에 80 내지 100기압의 초고압을 부여하기 위한 압력조절용 온·오프 스위치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110) 내부의 기압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도시 생략)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커피가루를 원하는 분쇄도에 맞게 분쇄한 후, 카트리지(110)에 충진한다. 즉, 관부(111)의 일단에 결합된 필터(115)는 그대로 유지한 채 타단의 필터(115)를 제거하여 관부(111) 내부에 분쇄된 커피가루를 충진한 후, 타단에 필터(115)를 결합하여 관부(111)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카트리지(110)를 한 쌍의 거치부(122)의 반원홈(122a)에 거치시키고, 도 11의 상태에서 핸들(162-2)을 밀어 슬라이드(162)를 전진시켜 각 가이드(162-1)의 외측에 형성된 반원홈(162-1a)에 한 쌍의 볼플런저(163)의 볼을 안착시킴으로써 슬라이드(162)의 전진상태를 고정시킨다.
이후, 제어부(200)의 클램프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구동모터(192)가 정회전하여 체인밸트(193)를 통해 두 쌍의 회전바아(19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상·하부덮개(181)(182)가 상기 회전바아(191)의 회전에 따라 서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도 12의 화살표 참조)하게 된다.
이때, 카트리지(110)의 양단 외주면과 제1·2압착부(150)(170)의 외주면을 완전히 클램핑하는 시점은, 어느 하나의 상부덮개(181)에 마련된 걸림편(181-1)이 하부의 감지센서(183)에 접촉됨으로써 구동모터(192)의 작동이 자동으로 멈추게 됨으로써 완료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10)에 대한 클램핑이 완료되면, 직수관(131)에 설치된 밸브(V)를 열어 냉수 혹은 상온수의 직수를 3기압으로 카트리지(110)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이후, 직수가 공급된 분쇄된 커피가루를 약 3분가량 그대로 둔 후, 압력조절 스위치를 조절하여 직수관(131)으로 공급되는 냉수 혹은 상온수의 직수를 80 내지 100기압까지 증압하여 공급하게 된다.
제어부(200)의 스크린에 카트리지(110)의 내부 기압이 원하는 압력(80 내지 100기압)으로 증압되면, 출수용 코크(165)를 조작하여 액상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액상커피의 추출이 완료되면, 압력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증가시켰던 압력을 '0'으로 낮추고, 언클램프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구동모터(192)가 역회전하여 체인밸트(193)를 통해 두 쌍의 회전바아(19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상·하부덮개(181)(182)가 상기 회전바아(191)의 회전에 따라 서로 간격이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언클램핑이 완료되는 시점은, 어느 하나의 상부덮개(181)에 마련된 걸림편(181-1)이 상부의 감지센서(183)에 접촉됨으로써 구동모터(192)의 작동이 자동으로 멈추게 됨으로써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에 의하면, 상온수 또는 냉수를 이용하여 종래의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방식의 압력보다 훨씬 더 높은 초고압으로 커피를 추출함으로써 더치커피와 같은 향미를 보존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커피를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카트리지 120: 고정선반
130: 직수관연결부 140: 압력펌프
150: 제1압착부 160: 출수부
170: 제2압착부 180: 클램프부
190: 동력전달부 200: 제어부

Claims (10)

  1. 양단이 개구되어 내부에 커피분말이 충진될 수 있는 카트리지(110);
    제1플레이트(121)와,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중심에 일정간격으로 대칭되게 기립되어 상기 카트리지(110)의 양측이 놓여질 수 있는 반원홈(122a)이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거치부(122)와, 기립된 두 쌍의 고정봉(123)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121)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거치부(122)를 상기 제1플레이트(121)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제2플레이트(124)로 이루어진 고정선반(120);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일측에 직수관(131)이 연결되는 직수관연결부(130);
    상기 직수관(131)과 연결되는 압력펌프(140);
    상기 직수관연결부(130)의 타측에 상기 직수관(131)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150a)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110)의 일단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제1압착부(150);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타측 가장자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측에 출수용 코크(165)가 연결되는 출수부(160);
    상기 출수부(160)의 타측에 상기 출수용 코크(165)와 연통되는 제2관통홀(170a)이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110)의 타단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제2압착부(170); 및
    상기 제1·2플레이트(121)(124) 사이에 상하 대칭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110)의 일단 외주면과 제1압착부(150)의 외주면 및 상기 카트리지(110)의 타단 외주면과 제2압착부(170)의 외주면을 각각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110)는, 양단에 망 구조의 필터(115)가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관부(111)와, 상기 관부(111)의 양단 외주면이 외측으로 각각 확장된 한 쌍의 제1·2걸림부(112)(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플레이트(121)(124)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두 쌍의 회전바아(191)와, 상기 제1·2플레이트(121)(124) 중 어느 한 곳에 지지되는 구동모터(192)와, 상기 구동모터(192)의 회전축과 상기 두 쌍의 회전바아(191)의 일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두 쌍의 회전바아(191)를 일체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체인밸트(193)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190);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180)는,
    양측이 한 쌍의 회전바아(191)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각각 관통되어 치합되며 하면에 상기 카트리지(110)의 제1·2걸림부(112)(113) 상면과 제1·2압착부(150)(170)의 상측 외주면이 함께 수용되는 제1수용홈(181a)이 형성된 한 쌍의 상부덮개(181)와,
    양측이 한 쌍의 회전바아(191)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각각 관통되어 치합되며 상면에 상기 카트리지(110)의 제1·2걸림부(112)(113) 하면과 제1·2압착부(150)(170)의 하측 외주면이 함께 수용되는 제2수용홈(182a)이 형성된 한 쌍의 하부덮개(1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180)는,
    어느 하나의 고정봉(123)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부덮개(181)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감지센서(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92) 및 상기 감지센서(1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하부덮개(181)(182)의 승·하강을 제어하며, 상기 압력펌프(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직수관(131)으로 공급되는 수압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200);
    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160)는,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타측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61)과,
    하부에 상기 한 쌍의 레일(161)이 각각 관통되는 한 쌍의 가이드(162-1)가 장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출수용 코크(165)가 결합되며 상부 타측에 상기 제2압착부(170)가 마련되는 슬라이드(1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162-1) 외측에는, 반원홈(162-1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출수부(160)는,
    상기 각 레일(161)의 선단 양측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121) 상면 타측에 상기 각 반원홈(162-1a)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볼플런저(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상부덮개(181)에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감지센서(183)와 접촉될 수 있는 걸림편(181-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부(150)는, 그 일면 중심으로 상기 제1관통홀(150a)이 형성되고, 그 타면 가장자리에 경사면(152)이 마련되며,
    상기 제2압착부(170)는, 그 일면 중심으로 상기 제2관통홀(170a)이 형성되고, 그 타면 가장자리에 경사면(17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KR1020160151057A 2016-11-14 2016-11-14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KR10174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057A KR101748861B1 (ko) 2016-11-14 2016-11-14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057A KR101748861B1 (ko) 2016-11-14 2016-11-14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861B1 true KR101748861B1 (ko) 2017-06-19

Family

ID=5927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057A KR101748861B1 (ko) 2016-11-14 2016-11-14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9341A (zh) * 2019-04-26 2019-08-30 深圳市道中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即时冲泡饮品智能售卖机
CN110998677A (zh) * 2017-07-24 2020-04-10 海星工程株式会社 咖啡自动售货机
KR102621302B1 (ko) 2023-05-30 2024-01-05 커피맵(주) 콜드 에스프레소 추출 머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53B1 (ko) 2013-09-09 2015-03-24 고영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KR101539051B1 (ko) * 2014-07-07 2015-07-23 고영 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53B1 (ko) 2013-09-09 2015-03-24 고영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KR101539051B1 (ko) * 2014-07-07 2015-07-23 고영 커피 추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8677A (zh) * 2017-07-24 2020-04-10 海星工程株式会社 咖啡自动售货机
EP3644287A4 (en) * 2017-07-24 2021-04-07 Haesung Engineering Co., Ltd. COFFEE MACHINE
CN110179341A (zh) * 2019-04-26 2019-08-30 深圳市道中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即时冲泡饮品智能售卖机
CN110179341B (zh) * 2019-04-26 2024-01-05 深圳市道中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即时冲泡饮品智能售卖机
KR102621302B1 (ko) 2023-05-30 2024-01-05 커피맵(주) 콜드 에스프레소 추출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861B1 (ko) 하이브리드 커피 추출기
KR102188854B1 (ko) 진공 브루잉 방법
RU2380999C2 (ru) Система из кофеварки и порционной капсулы
US8601937B2 (en) Apparatus for making coffee
US20080196593A1 (en) Espresso maker and method
US20080302252A1 (en) Portable Brew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d Operating
US20150374167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20130186280A1 (en) Compressed Coffee Drip Brewer
KR101392410B1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RU2008112051A (ru) Система, включающая машину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порционные капсулы
US20120093990A1 (en) Espresso Maker and Method
WO2008058731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a hot beverage
JPWO2016132412A1 (ja) 飲料供給装置
US20130243919A1 (en) Espresso Maker and Method
KR101703818B1 (ko) 핸드 에스프레소 머신
KR101330206B1 (ko)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KR100920237B1 (ko) 커피 추출 장치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KR20170128694A (ko) 콜드 브루용 캡슐
KR101344359B1 (ko) 캡슐음료 추출장치
KR20230093289A (ko) 추출 셀
JP4013762B2 (ja) コーヒー抽出装置
KR101455150B1 (ko) 커피가루를 다지는 탬퍼 보관용 받침대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용 홀더
KR101297554B1 (ko) 커피 추출장치
US20230345961A1 (en) Extraction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