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722A - 자동 음료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음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722A
KR20220107722A KR1020210010721A KR20210010721A KR20220107722A KR 20220107722 A KR20220107722 A KR 20220107722A KR 1020210010721 A KR1020210010721 A KR 1020210010721A KR 20210010721 A KR20210010721 A KR 20210010721A KR 20220107722 A KR20220107722 A KR 20220107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apsule
coffee
unit
robo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345B1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21001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3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42Cartridge magaz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14Supports for empty beverage containers while not in use, e.g. for storing extra jug or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 음료 장치는, 컵을 제공하는 컵홀더부; 충진한 내용물을 포함한 캡슐을 보관하는 캡슐 보관부; 상기 캡슐 내용물과 물을 혼합시키는 커피 추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음료 장치{Automatic capsule beverage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커피 등의 캡슐을 이용해 자동으로 음료를 제공하는 자동 음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전문점의 커피값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타 음료에 비해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리 준비된 다양한 종류의 커피 캡슐로부터 자동으로 핫 또는 아이스 커피를 컵에 담는 자동 음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음료 장치는, 컵을 제공하는 컵홀더부; 충진한 내용물을 포함한 캡슐을 보관하는 캡슐 보관부; 상기 캡슐 내용물과 물을 혼합시키는 커피 추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컵홀더부에서 컵이 배출되는 위치를 제1 위치, 상기 캡슐 보관부에서 캡슐이 배출되는 위치를 제3 위치,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커피가 배출되는 위치를 제4 위치라고 정의하면, 상기 컵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캡슐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상기 캡슐 내부의 캡슐 내용물이 물과 혼합되며 상기 커피가 상기 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컵의 일단에 돌출된 부위가 마련되고, 상기 컵홀더부에는 상기 컵의 돌출된 부위와 대면하는 제1 그립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그립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컵은 상기 컵홀더부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컵홀더부에는 상기 컵이 적층된 복수의 컵홀이 마련되고, 상기 컵홀더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컵홀 중에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위치에 대면될 수 있다.
상기 캡슐 보관부에는 상기 캡슐이 수직 적층된 캡슐의 수직 배열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캡슐 보관부가 회전하면 상기 수직 배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3 위치에 대면될 수 있다.
상기 얼음 공급부에서 컵에 얼음을 제공하는 위치를 제2 위치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위치의 컵을 상기 제2 위치 또는 제4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에는 컵의 측면을 집는 제2 그립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그립이 상기 컵의 측면을 집은 채로 상기 이송부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컵과 캡슐은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제4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컵과 캡슐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가 상기 제4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제4 위치에서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캡슐 보관부에는, 제1 턴테이블이 마련되고, 상기 캡슐이 적층되는 가이드 판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판에 적층된 상기 캡슐은 상기 제1 턴테이블의 제시 홈으로 자유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컵 또는 상기 캡슐을 이동시키는 로봇암이 마련되고, 상기 로봇암에는 상기 컵을 들어서 이동시키는 제3 그립과 상기 캡슐을 흡입하는 흡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봇암은 상기 컵 또는 상기 캡슐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하 운동과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컵 또는 상기 캡슐을 이동시키는 로봇암이 마련되고, 상기 로봇암은 상기 캡슐을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물과 캡슐 내용물의 혼합이 완료되면, 상기 로봇암은 상기 제4 위치의 컵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컵홀더부의 컵을 상기 커피 추출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캡슐 보관부의 캡슐을 상기 커피 추출부로 이송하는 로봇암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물과 캡슐 내용물의 혼합이 완료되면 상기 로봇암은 상기 컵을 상기 커피 추출부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캡슐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컵이 제공되는 위치를 제1 위치, 얼음이 제공되는 위치를 제2 위치, 캡슐이 제공되는 위치를 제3 위치, 컵에 캡슐과 물이 혼합되는 장소가 제4 위치, 사용자에게 음료가 제공되는 위치를 제6 위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4 위치에서 혼합된 컵은 제5 위치 또는 제4 위치에서 대기하다가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제7 위치는 사용자에게 음료가 제시되기 전에 잠시 대기하거나 제4 위치에서 소모된 캡슐 또는 제6 위치에서 사용된 컵을 폐기할 수 있는 장소일 수 있다.
음료의 혼합에 소정의 시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컵은 제6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제7 위치에서 잠시 대기할 수 있다.
캡슐은 혼합을 위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차가운 음료인 경우에는, 컵은 이송부에 의해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해 얼음을 제공받고, 이송부에 의해 제4 위치로 이동하여 캡슐과 물이 혼합되며, 제4 위치 또는 제5 위치에서 로봇암에 의해, 제7 위치에서 대기한 후 제6 위치에서 사용자에 제시되거나 바로 제6 위치로 이동되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컵은 이송부에 의해서 제1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하여 캡슐과 물이 혼합되며, 제4 위치 또는 제5 위치에서 로봇암에 의해, 제7 위치에서 대기한 후 제6 위치에서 사용자에 제시되거나 바로 제6 위치로 이동되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음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 음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자동 음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컵의 이동 위치와 캡슐의 이동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로봇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는 컵홀더에 적층된 컵의 최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커피 추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캡슐 보관부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캡슐 보관부의 하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 음료 장치는, 컵을 제공하는 컵홀더부; 충진한 내용물을 포함한 캡슐을 보관하는 캡슐 보관부; 상기 캡슐 내용물과 물을 혼합시키는 커피 추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음료 장치(1)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C)을 제공하는 컵홀더부(100); 컵에 얼음을 제공하는 얼음 공급부(200); 캡슐(S) 속의 내용물을 물과 함께 컵(C)에 첨가하는 커피 추출부(400); 컵(C)을 컵홀더부(100)또는 얼음 공급부(200)또는 커피 추출부(400)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500); 캡슐(S)을 보관할 수 있는 캡슐 보관부(300); 캡슐(S)을 로봇암(600)에 제공하는 제1 턴테이블(330); 캡슐(S)과 컵(C)을 다음 단계로 이동시키는 로봇암(600); 소모된 캡슐(S)과 컵(C)이 폐기될 수 있거나 컵(C)에 물과 캡슐(S)이 첨가된 채로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는 제7 위치(P7); 사용자가 음료를 이용할 수 있게 제시하는 제2 턴테이블(800); 상기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상기 구성 요소들이 동작 가능한 장소를 제공하는 테이블(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S)에는 다양한 음료가 제조 가능한 충진 내용물이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커피 제조를 위한 내용물이 구비될 수 있다. 캡슐은 커피, 녹차, 보리차 등을 캡슐 내용물로 담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를 자동으로 마실 수 있다는 장점외에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준비하고 제어부에서 커피 종류를 지정하면 특정 커피를 자동으로 마실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캡슐 보관부에는 제1 커피를 담은 제1 캡슐이 수직 배열된 제1 수직 배열과 제2 커피를 담은 제2 캡슐이 수직 배열된 제2 수직 배열이 마련될 수 있다.
자동 음료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제1 수직 배열에 적층된 커피와 제2 수직 배열에 적층된 커피를 구분할 수 있다. 제1 수직 배열과 제2 수직 배열의 전환은 캡슐 보관부의 회전에 의할 수 있다.
자동 음료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제1 수직 배열에 적층된 커피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수직 배열에 적층된 커피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마시고 싶은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해당 커피의 종류와 매칭되는 수직 배열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수직 배열 또는 제2 수직 배열이 제1 턴테이블의 제시 홈에 일치하도록 캡슐 보관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캡슐 보관부에는, 제1 턴테이블이 마련되고, 캡슐이 적층되는 가이드 판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판에 적층된 캡슐의 수직 배열은 제1 턴테이블의 제시 홈으로 자유 낙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컵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컵홀더부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컵이 적층된 제1 컵 배열과 제2 컵 배열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컵 배열은 대용량의 컵이고, 제2 컵 배열은 소용량의 컵인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커피의 용량을 대용량 또는 소용량 중에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은 별도의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선택된 용량에 대응되는 컵 배열을 회전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1 컵 배열과 제2 컵 배열의 전환은 컵홀더부의 회전에 의할 수 있다.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 음료 장치(1)의 자동화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각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컵(C)이 컵홀더부(100)에 적층된 곳을 제1 위치(P1), 얼음 공급부(200)에 의해 컵(C)에 얼음이 제공되는 곳은 제2 위치(P2)라 정의할 수 있다.
컵(C)에 캡슐(S) 내용물과 물이 투하되는 곳이 제4 위치(P4), 캡슐 보관부(300)로부터 제1 턴테이블(330)에 캡슐(S)이 제공되며, 제1 턴테이블(330)로부터 로봇암(600)이 제4 위치(P4)로 캡슐(S)을 이동시키는 곳이 제3 위치(P3)라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음료가 제시되는 곳을 제6 위치(P6)라고 정의할 수 있다.
캡슐(S)이 투하된 컵(C)이 로봇암(600)에 의해서 픽업되는 곳은 제 4위치(P4) 또는 제5 위치(P5)일 수 있다.
제5 위치(P5)는 제2 위치(P2)와 제4 위치(P4) 사이이거나 제4 위치(P4)를 통과하는 직선 경로에서 제4 위치(P4)를 지난 장소일 수 있다.
컵홀더부(100)에는 적층된 컵(C)이 놓일 수 있는 컵홀(110)이 마련될 수 있다. 컵홀(11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홀(110)은 8개 구비될 수 있다. 컵홀(110) 중의 어느 하나는 제1 위치(P1)일 수 있다.
컵홀더부(100)에는 적층된 컵을 홀딩할 수 있는 제1 그립(1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에서 음료 제공 신호가 컵홀더부(100)에 오면, 제1 위치(P1)에 위치한 컵홀(110)에 구비된 제1 그립(120)이 컵을 그립한 상태에서 언그립 상태로 되고, 최하단의 컵(C)이 하강하며, 하강한 컵(C)은 이송부(500)의 제2 그립(510)에 의해서 그립될 수 있다.
컵홀더부(100)의 최하단 컵(C)이 자유 낙하로 하강한 후에는 인접한 바로 상단의 컵은 다시 회전한 제1 그립(120)에 의해서 그립될 수 있고, 다음 음료 제작을 위해 준비된 상태로 될 수 있다.
컵(C)은 컵홀더에(100)에서 제1 위치로(P1)로 자유 낙하한 후 이송부(500)를 따라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컵(C)의 자유 낙하 방향과 이송부(500)의 직선 경로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제1 그립(120)에는 그립홈(122)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그립(12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컵(C)의 일단에는 컵의 위주면을 따라 돌출된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120)이 컵을 그립한 상태에서는 제1 그립(120)의 그립홈(122)에 상기 컵의 돌출된 부위가 끼워질 수 있다. 제어부에서 신호가 오면, 제1 그립(120)은 하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에 의해 그립홈(122)에 끼워진 컵은 하강할 수 있다. 최하단의 컵이 하강하면, 제1 그립(120)은 다시 상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하강한 컵의 인접한 바로 상단의 컵의 돌출 부위에 다시 그립홀(122)이 끼워져 그립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송부(500)가 컵(C)을 그립한 채로 제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고, 컵은 얼음 공급부(200)로부터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음료가 차가운 경우에는 컵(C)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거쳐 제4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음료가 뜨거운 경우에는 컵(C)은 제1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얼음 공급부(200)에서 얼음이 공급되는 동안, 이송부(500)는 계속 컵을 그립한 상태이거나 언그립하여 얼음이 컵에 담긴후 다시 컵(C)을 그립할 수 있다.
이송부(500)는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동시, 직선 경로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그립(510)은 이송부(500)의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의 경로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컵에 얼음이 공급된 후에는 이송부(500)는 제2 위치(P2)에서 제4 위치(P4)로 이동할 수 있고, 제4 위치(P4)에서 물과 캡슐(S)이 혼합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송부(500)는 제2 위치(P2)를 거쳐 제4 위치(P4)로 컵을 이송시키는 동안 직선 경로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그립(510)은 이송부(500)의 제2 위치(P2)에서 제4 위치(P4)로의 경로와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500)는 제1 위치(P1),제2 위치(P2), 제4 위치(P4)를 순서대로 왕복할 수 있다.
이송부(500)의 직선 왕복 경로의 끝단은 제1 위치(P1) 또는 제4 위치(P4)일 수 있다.
이송부(500)는 제1 위치(P1),제2 위치(P2), 제4 위치(P4)에서 컵(C)을 그립한 채로 소정의 시간 대기할 수 있고, 언그립한 후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음료 제조 공정의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에는 이송부(500)는 컵을 제1 위치(P1), 제2 위치(P2), 제4 위치(P4)에 이동시킨 후 언그립하고 다음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위치에서, 이송부(500)가 컵을 언그립하는 경우에는, 이송부(500)는 컵을 이송시키는 직선 방향(y 방향) 운동에 수직하는 상하 방향 운동이 추가될 수 있다.
캡슐(S)은 캡슐 보관부(300)에 적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캡슐 보관부(300)에는 가이드 판(310)이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 판(310)의 양단에는 캡슐(S)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 홈(312)이 마련될 수 있다.
캡슐(S)이 적층되는 방향(z 방향)과 고정 홈(312)은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 판(310)은 각각의 끝단이 서로 대면하며, 전체 가이드 판(310)을 모두 대면시킨 형상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고정 홈(312)에는 캡슐(S)이 끼워져 적층될 수 있다. 캡슐(S)의 상부에는 돌출된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캡슐(S)이 각 가이드 판(310)의 고정 홈(312)에 끼워진 채로 적층될 수 있고, 상기 적층된 캡슐(S)은 수평으로 누울 수 있다. 즉, 캡슐 보관부(300)에 적층된 캡슐(S)의 상면과 저면의 중앙을 이은 가상의 직선은 적층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캡슐 보관부(300)에 적층된 캡슐(S)의 저면은 캡슐 보관부(300)의 중심을 모두 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캡슐(S)이 적층되기 위해서는, 각 가이드 판(310)의 양단에 위치한 고정 홈(312)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가이드 판(310) 사이에는 연결 부재(320)가 마련될 수 있다.
캡슐(S)은 캡슐 보관부(300)의 상부에서 눕혀진 상태로 고정 홈(312)에 캡슐(S)의 상단에 마련된 돌출 부위를 끼워서 낙하되면, 가이드 판(310)을 슬라이딩하듯이 각 가이드 판(310)에 적층될 수 있다.
제1 턴테이블(330)(2)에는 제시 홈(332)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로부터 음료 제작 신호가 오면, 제1 턴테이블(330)(2)은 회전할 수 있고, 회전에 의해 제1 턴테이블(330)의 홈이 캡슐 보관부(300)의 가이드 판(310) 중의 어느 하나의 수직 위치와 일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판(310)의 적층된 캡슐(S)의 최하단의 캡슐(S)이 제1 턴테이블(330)의 홈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캡슐(S)의 상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 부위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턴테이블(330)(2)의 제시 홈(332)의 직경 크기는 캡슐(S)의 상단에 위치한 돌출 부위의 크기보다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최하단 캡슐(S)의 제1 턴테이블(330)의 홈으로의 하강시에 캡슐(S)의 돌출부위는 제시 홈(332)의 상면에 걸치고, 캡슐(S)의 중력에 의해 캡슐(S)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정위치로 될 수 있다. 상기 하강후, 제1 턴테이블(330)(2)이 다시 회전하면, 하강한 캡슐(S)이 있던 가이드 판(310)의 캡슐(S)들은 모두 하강하여 다음 제어부로의 신호를 준비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시 홈(332)에서 정위치로 수직으로 선 캡슐(S)은 로봇암(600)에 의해서 제3 위치(P3)에서 제4 위치(P4)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캡슐(S)의 종류은 다양하게 준비될 수 있고, 각 가이드 판(310)의 캡슐(S)은 다른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특정 음료를 충진한 가이드 판(310)이 회전하여 제3 위치(P3)로 이동하고, 캡슐(S)은 제1 턴테이블(330)로 자유 낙하할 수 있다.
하강된 제1 턴테이블(330)의 캡슐(S)은 로봇암(600)에 의해서 제3 위치(P3)에서 제4 위치(P4)로 이동할 수 있다.
캡슐(S)을 제3 위치(P3)에서 제4 위치(P4)로 이동시키는 경우, 로봇암(600)은 상하 방향(z 방향) 운동과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로봇암(600)이 최대 회전한 위치는 제4 위치(P4)일 수 있다. 제5 위치(P5)가 이송부(500)의 직선 경로에서 제4 위치(P4)를 지나 연장된 경우에는 로봇암(600)의 최대 회전 위치 제한은 제5 위치(P5)일 수 있다.
제4 위치(P4)에서 캡슐(S)은 컵(C)의 상부에 대면할 수 있다. 컵과 캡슐(S)이 상하 일직선으로 배열되면, 캡슐(S)에서 컵으로 충진된 캡슐 내용물이 투하될 수 있다.
커피 추출부(400)에서, 컵(C)의 상면에 대면하게 캡슐(S)이 수직으로 배열되면, 커피 추출부(400)의 노즐에서 고압의 물로 캡슐(S)상부에서 가압하거나 고온의 물로 드립하는 방식으로, 캡슐(S)속의 내용물과 함께 물이 컵(C)으로 낙하할 수 있다.
캡슐(S)에는 고압, 고온의 물에 의해 타공될 수 있는 타공망 형태의 면이 아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컵과 캡슐(S)이 제4 위치(P4)에 도달하는 시간은 다를 수 있다. 컵과 캡슐 모두가 제4 위치(P4)에 도착할때까지 먼저 도착한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가 제4 위치(P4)에 위치할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물과 캡슐이 첨가된 컵(C)은 이송부(500)에 의해 제5 위치(P5)로 이동할 수 있다.
로봇암(600)이 컵(C)을 그립하기 위해 제5 위치(P5)는 제2 위치(P2) 또는 제4 위치(P4)를 제외한 곳일 수 있다. 제5 위치(P5)는 제2 위치(P2)와 제4 위치(P4)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이송부(500)의 직선 경로중의 어느 위치일 수 있다. 이송부(500)의 왕복 직선 경로(y 방향)의 끝단이 제4 위치(P4)가 아닌 경우에는, 이송부(500)는 제4 위치(P4)를 지나서 제5 위치(P5)에 도달할 수 있다. 제5 위치(P5)가 제2 위치(P2)와 제4 위치(P4) 사이의 장소가 아닌 경우에는, 로봇암(600)이 컵을 제5 위치(P5)에서 제7 위치(P7)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로봇암(600)의 최대 회전 위치는 제5 위치(P5)일 수 있고, 이 경우 제2 제공부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로봇암(600)의 회전 반경과 제2 제공부간에 이격이 필요할 수 있다. 제5 위치(P5)가 제2 위치(P2)와 제4 위치(P4) 사이의 위치인 경우에는, 제5 위치(P5)는 로봇암(600)이 캡슐을 이동시키는 최대 회전 위치인 제4 위치(P4)내의 소정의 위치이기에 로봇암(600)이 더 크게 회전할 필요가 없다.
제7 위치(P7)는 혼합에 소정의 시간이 필요한 경우 컵(C)이 대기하거나 소모된 캡슐(S)이나 컵(C)을 폐기하는 장소일 수 있다.
로봇암(600)은 컵(C)과 캡슐(S)을 이동시킬 수 있다.
로봇암(600)에는 컵을 이동시키는 제3 그립(610)과 캡슐(S)을 이동시키는 흡입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로봇암(600)은 컵과 캡슐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하 운동과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로봇암(600)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캡슐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흡입부(620)에 의해 캡슐(S)은 흡입된채로 이동하여 커피 추출부(400)의 제4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로봇암(600)은 제4 위치 또는 제5 위치에서 다음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3 그립을 사용하여 컵을 그립할 수 있다.
로봇암(600)의 제3 그립과 흡입부는 흡입과 그립을 위해, 서로 이격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회전을 할 수 있다.
흡입부(620)의 흡입을 위해 로봇암에(600)는 진공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물과 캡슐(S)이 첨가된 컵은 제5 위치(P5)에서 로봇암(600)에 의해서 제7 위치(P7)로 이동할 수 있다. 물과 캡슐(S)이 혼합되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비되는 음료인 경우에는, 컵은 제7 위치(P7)의 제7 위치(P7)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위치할 수 있다.
제7 위치(P7)는 제5 위치(P5)와 마찬가지로 최대 회전 위치인 제4 위치(P4)내의 로봇암(600)이 회전하는 반경내의 소정의 위치일 수 있고, 이송부(500)의 직선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일 수 있다.
물과 캡슐(S)이 혼합하는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로봇암(600)은 제7 위치(P7)에서 제6 위치(P6)로 컵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6 위치(P6)는 로봇암(600)의 회전 반경중 제4 위치(P4)와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6 위치(P6)에서 제시된 음료를 음수할 수 있다.
제6 위치(P6)에는 제2 턴테이블(800)이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컵(C)이 제조되는 경우, 제2 턴테이블(800)(2)이 회전하며 제2 턴테이블(800)에 복수의 컵이 구비될 수 있다.
제6 위치(P6)에는 제2 턴테이블(800)이 마련될 수 있고, 제6 위치(P6)로 도달한 혼합된 컵(C)은 제2 턴테이블(800)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고, 사용된 컵(C)은 제6 위치(P6)에 위치하면 로봇암(600)에 의해서 제7 위치(700)로 이동하여 폐기될 수 있다.
음료를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중, 캡슐(S)의 위치는 제3 위치(P3)에서 제4 위치(P4)로 이동할 수 있다.
혼합에 소정의 시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로봇암은 컵을 제4 위치 또는 제5 위치에서 제7 위치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제7 위치에서 제6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혼합이 즉시 완료되는 경우에는, 로봇암은 상기 컵을 제4 위치 또는 제5 위치에서 제6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피 추출부에서 소모된 캡슐은 제4 위치에서 제7 위치로 이동되고, 소모된 컵은 제6 위치에서 제7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1... 자동 음료 장치
2... 테이블 100... 컵홀더부
110... 컵홀 120... 제1 그립
122... 그립홈 200... 얼음 공급부
300... 캡슐 보관부 310... 가이드 판
312... 고정 홈 320... 연결 부재
330... 제1 턴테이블 332... 제시 홈
400... 커피 추출부
500... 이송부 510... 제2 그립
600... 로봇암 610... 제3 그립
620... 흡입부 630... 고정부
800... 제2 턴테이블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P3... 제3 위치 P4... 제4 위치
P5... 제5 위치 P6... 제6 위치
P7... 제7 위치
S... 캡슐 C... 컵

Claims (13)

  1. 컵을 제공하는 컵홀더부;
    충진한 내용물을 포함한 캡슐을 보관하는 캡슐 보관부;
    상기 캡슐 내용물과 물을 혼합시키는 커피 추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컵홀더부에서 컵이 배출되는 위치를 제1 위치, 상기 캡슐 보관부에서 캡슐이 배출되는 위치를 제3 위치,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커피가 배출되는 위치를 제4 위치라고 정의하면,
    상기 컵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캡슐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상기 캡슐 내부의 캡슐 내용물이 물과 혼합되며 상기 커피가 상기 컵으로 배출되는 자동 음료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보관부에는 제1 커피를 담은 제1 캡슐이 수직 배열된 제1 수직 배열과 제2 커피를 담은 제2 캡슐이 수직 배열된 제2 수직 배열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수직 배열과 제2 수직 배열의 전환은 상기 캡슐 보관부의 회전에 의하는 자동 음료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보관부에는 상기 캡슐이 수직 적층된 캡슐의 수직 배열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캡슐 보관부가 회전하면 상기 수직 배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3 위치에 대면되는 자동 음료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보관부에는, 제1 턴테이블이 마련되고, 상기 캡슐이 적층되는 가이드 판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판에 적층된 상기 캡슐은 상기 제1 턴테이블의 제시 홈으로 자유 낙하되는 자동 음료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부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컵이 적층된 제1 컵 배열과 제2 컵 배열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컵 배열과 제2 컵 배열의 전환은 상기 컵홀더부의 회전에 의하는 자동 음료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부에는 상기 컵이 적층된 복수의 컵홀이 마련되고,
    상기 컵홀더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컵홀 중에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위치에 대면되는 자동 음료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의 일단에 돌출된 부위가 마련되고,
    상기 컵홀더부에는 상기 컵의 돌출된 부위와 대면하는 제1 그립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그립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컵은 상기 컵홀더부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자동 음료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에 얼음을 제공하는 얼음 공급부;
    상기 얼음 공급부에서 컵에 얼음을 제공하는 위치를 제2 위치라고 정의하면,
    상기 컵은 얼음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를 거쳐 상기 제4 위치로 이동하는 자동 음료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공급부에서 컵에 얼음을 제공하는 위치를 제2 위치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위치의 컵을 상기 제2 위치 또는 제4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에는 컵의 측면을 집는 제2 그립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그립이 상기 컵의 측면을 집은 채로 상기 이송부가 이동되는 자동 음료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과 캡슐은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제4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컵과 캡슐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가 상기 제4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제4 위치에서 대기하는 자동 음료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또는 상기 캡슐을 이동시키는 로봇암이 마련되고,
    상기 로봇암에는 상기 컵을 들어서 이동시키는 제3 그립과 상기 캡슐을 흡입하는 흡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봇암은 상기 컵 또는 상기 캡슐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하 운동과 회전 운동을 하는 자동 음료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또는 상기 캡슐을 이동시키는 로봇암이 마련되고,
    상기 로봇암은 상기 캡슐을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물과 캡슐 내용물의 혼합이 완료되면, 상기 로봇암은 상기 제4 위치의 컵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자동 음료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부의 컵을 상기 커피 추출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캡슐 보관부의 캡슐을 상기 커피 추출부로 이송하는 로봇암이 마련되고,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물과 캡슐 내용물의 혼합이 완료되면 상기 로봇암은 상기 컵을 상기 커피 추출부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자동 음료 장치.
KR1020210010721A 2021-01-26 2021-01-26 자동 음료 장치 KR10246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21A KR102463345B1 (ko) 2021-01-26 2021-01-26 자동 음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21A KR102463345B1 (ko) 2021-01-26 2021-01-26 자동 음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22A true KR20220107722A (ko) 2022-08-02
KR102463345B1 KR102463345B1 (ko) 2022-11-04

Family

ID=8284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721A KR102463345B1 (ko) 2021-01-26 2021-01-26 자동 음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1719A1 (ko) * 2023-02-27 2024-09-06 주식회사 뉴로메카 컵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867B1 (ko) 2022-12-09 2023-04-25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얼음 토출 기능을 갖는 커피 자동판매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5751A (ja) * 2004-02-09 2007-09-06 エヌ アンド ダブリュー グローバル ベンディング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カップ供給装置を備えた飲料自動販売機
KR20160083165A (ko) * 2014-12-30 2016-07-12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KR20160148778A (ko) * 2015-06-16 2016-12-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이동슬라이드 이송장치
KR101837348B1 (ko) * 2017-07-24 2018-04-19 주식회사 해성엔지니어링 커피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5751A (ja) * 2004-02-09 2007-09-06 エヌ アンド ダブリュー グローバル ベンディング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カップ供給装置を備えた飲料自動販売機
KR20160083165A (ko) * 2014-12-30 2016-07-12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KR20160148778A (ko) * 2015-06-16 2016-12-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이동슬라이드 이송장치
KR101837348B1 (ko) * 2017-07-24 2018-04-19 주식회사 해성엔지니어링 커피 자동판매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1719A1 (ko) * 2023-02-27 2024-09-06 주식회사 뉴로메카 컵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345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345B1 (ko) 자동 음료 장치
US90457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product into a petri dish
US9361746B2 (en) Automatic cater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it
KR102118202B1 (ko) 컵 디스펜서
JP5506541B2 (ja) カップ飲料用トレーサービス装置
CN108922042A (zh) 一种自动落杯或落盖机构及现冲饮品售卖机
CN111717653B (zh) 烹饪装置
CN108821226A (zh) 一种自助售货机专用的液体饮料杯的自动出纸杯子的装置
CN108814306A (zh) 一种全自动自定义口味奶茶调制机
CN216848863U (zh) 一种自助咖啡系统
EP3765398B1 (en) Device for automated beverage dispensing into vessels on a turntabl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10544345A (zh)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EP1923341A2 (en) Station for feeding flat folded tubular blanks to a boxing machine
CN109044102A (zh) 一种全自动自定义口味奶茶调制机的成品出料系统
CN214242396U (zh) 多品种瓶装饮料提取供送系统
CN209015310U (zh) 一种自动落杯或落盖机构及现冲饮品售卖机
CN112849545B (zh) 一种便捷式自助饮料机及其使用方法
KR102352138B1 (ko) 로봇형 음료판매기용 자동 컵디스펜서
JPS59501129A (ja) 特に自動食品ディスペンサ−機用の容器分配装置
CN211324412U (zh) 一种落杯机构
CN210377662U (zh)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KR20220134383A (ko) 컵 디스펜서
JP2583206B2 (ja) 自動包装機に対する貯袋器からの空袋取出し供給方法
CN214610348U (zh) 循环出料装置
CN112489295A (zh) 多品种瓶装饮料提取供送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