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005B1 - 이중 정렬 조임렌치 - Google Patents

이중 정렬 조임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005B1
KR101836005B1 KR1020160157832A KR20160157832A KR101836005B1 KR 101836005 B1 KR101836005 B1 KR 101836005B1 KR 1020160157832 A KR1020160157832 A KR 1020160157832A KR 20160157832 A KR20160157832 A KR 20160157832A KR 101836005 B1 KR101836005 B1 KR 10183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fastening
angle
thin plate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용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이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용 filed Critical 이수용
Priority to KR102016015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8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open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6Spanner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관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에 이음쇠인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서로 체결되면서, 유체관들의 이음부위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의하여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체관의 이음부분은 유체가 새지 않으며 고온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온도 범위 영역에서 내진동 및 내화학적인 저항성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유체가 새지 않고 미리 정해진 압력 영역에 걸쳐 가스가 새지 않을 수 있는 이음부위를 구현하고, 또한 본 발명은 유체관들의 이음부위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의하여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가 새지 않으며 고온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온도 범위 영역에서 내진동 및 내화학적인 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제1렌치와 제2렌치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체결볼트에 제1렌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렌치에 설정된 체결유지 각도 만큼 제2렌치가 체결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유체관들의 이음부위를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이음부위의 결합압에 따른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또한 유체관들의 기계적인 응력 및 공동 형성에 따른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의 체결볼트(3)에 체결너트(4)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조임렌치에서, 조오(11)가 형성된 원주부(12)의 둘레면을 회동제어할 수 있는 박판이동자(30)가 형성된 제1렌치(10)와, 상기 제1렌치(10)의 박판이동자(30)가 원주부(12) 둘레면에서의 회동제어되어 설정된 각도에 따라서, 제1렌치(10)에 대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제2렌치(7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의 체결볼트(3)에 제1렌치(10)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너트(4)에 제2렌치(70)가 결합되어 제1렌치(10)의 설정된 회전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규정된 공차 범위내에서 설정 각도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에 있어서, 상기 제1렌치(10)는, 몸체(20)의 측면에 원주부(12)로부터 손잡이(13)쪽으로 파여진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 이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 관통된 레버이동구멍(23)이 형성되어, 이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 레버이동구멍(23)에 상기 박판이동자(30)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박판이동자(30)에 설정각도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각도표시부(31,32)들이 상기 원주부(1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박판이동자(30)는, 제2렌치(70)의 체결너트(4)를 회전시키기 위한 설정된 각도의 각도표시부(31,32)들로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각도표시부(31,32)들의 대향된 끝단에 레버(33)가 형성되고, 이 박판이동자(30)는 고정이동자수용홈(21)에 고정된 고정자(40)에 유지되어, 레버이동구멍(2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레버(33)의 작동으로, 상기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들이 상기 몸체(20)의 원주부(12)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체결볼트(3)에 체결너트(4)의 체결시, 제2렌치(70)의 기준선(71)에 제1렌치(10)의 각도표시부(31)의 시작점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렌치(10)의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들은, 제1렌치(10)의 원주부(12) 둘레면에서 시작점과 종료점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렌치(10)가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의 체결볼트(3)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 체결볼트(3)에 대응되는 체결너트(4)에 상기 제2렌치(70)가 결합되어서, 제2렌치(70)가 상기 제1렌치(10)의 원주부(12)에 형성된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의 기준눈금의 시작점에서 종료점 방향까지 체결너트(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중 정렬 조임렌치{Dual-head aligning wrech}
본 발명은 가스 등의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관의 이음부위를 조임 고정할 수 있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관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에 이음쇠인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서로 체결되면서, 유체관들의 이음부위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의하여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체관의 이음부분은 유체가 새지 않으며 고온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온도 범위 영역에서 내진동 및 내화학적인 저항성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유체가 새지 않고 미리 정해진 압력 영역에 걸쳐 가스가 새지 않을 수 있는 이음부위를 구현하기 위한 이중 정렬 조임렌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체관들의 이음부위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의하여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가 새지 않으며 고온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온도 범위 영역에서 내진동 및 내화학적인 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제1렌치와 제2렌치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체결볼트에 제1렌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렌치에 설정된 체결유지 각도 만큼 제2렌치가 체결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유체관들의 이음부위를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이음부위의 결합압에 따른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또한 유체관들의 기계적인 응력 및 공동 형성에 따른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임 공구의 종류는 공기압 및 전동모터의 구동력을 변환하여 공구의 일부분에 회전을 주어 볼트나 너트를 조이는 전동공구와, 또한 몽키 스패너 및 복스 스패너와 스패너 등과 같이 사람의 악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임 공구로 구분된다.
특히, 수동 조임 공구 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렌치이다. 이러한 렌치는 몽키 스패너나 복수 렌치로 작업하기 어려운 비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볼트와 너트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서 렌치 및 스패너의 크기도 동일한 치수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가스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도, 두 개의 파이프 사이 또는 파이프와 연결구 사이를 연결용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스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너트의 형상은 육각 또는 팔각 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규격화 되어 있고, 가스관의 직경과 연결너트의 직경도 몇가지 종류로 규격화 되어 있다.
또한, 가스관에 연결관을 연결하고 또한 볼트 너트 등의 체결기구들을 일정각도로 조여주는 조임기구의 예를 들면, 노즐 파이프 등에 설치되는 스프레이 노즐의 설치각도 또는 분사각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정 또는 세팅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판의 안정적인 패터닝 공정을 제공받을 수 있는 스프레이 노즐 각도 조절하는 렌치가 있으며, 이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파지부; 및 그 파지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레이 노즐의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천공되며, 스프레이 노즐의 장착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표식부 및 그 기준표식부에 대해 설정각도를 이루는 고정표식부를 구비하는 체결부 등을 구비하여 원하는 각도로 노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레이 노즐의 장착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표식부 및 그 기준표식부에 대해 설정각도를 이루는 고정표식부 등을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사용용도가 노즐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02737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관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조임력이 조절되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관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에 이음쇠인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면서, 유체관들의 이음부위에서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관들의 이음부위에 결합되는 부재가 체결볼트와 이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체결너트에 의하여 유체관의 이음부위가 결합되어, 유체관에 유체가 누수되는 일이없는 체결 여유각으로 체결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관의 이음부위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이중으로 정렬되는 제1렌치와 제2렌치들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관의 이음부위에 결합되는 상기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제1렌치와 제2렌치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체결볼트에 제1렌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렌치에 설정된 체결유지 각도 만큼 제2렌치가 체결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렌치에 각도 눈금을 설정할 수 있는 박판이동자의 작동에 의하여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고, 이 설정된 각도에 따라서 제2렌치가 시작점으로부터 끝나는 점까지의 회전에 의하여,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유체관들의 이음부위에서의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조임작동이 이루어지질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체관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의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조임렌치에서, 조오가 형성된 원주부의 둘레면을 회동제어할 수 있는 박판이동자가 형성된 제1렌치와, 상기 제1렌치의 박판이동자가 원주부 둘레면에서의 회동제어되어 설정된 각도에 따라서, 제1렌치에 대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제2렌치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관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의 체결볼트에 제1렌치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너트에 제2렌치가 결합되어 제1렌치의 설정된 회전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규정된 공차 범위내에서 설정 각도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에 있어서 상기 제1렌치는, 몸체의 측면에 원주부로부터 손잡이쪽으로 파여진 고정이동자수용홈과 이 고정이동자수용홈과 관통된 레버이동구멍이 형성되어, 이 고정이동자수용홈과 레버이동구멍에 상기 박판이동자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박판이동자에 설정각도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각도표시부들이 상기 원주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판이동자는, 제2렌치의 체결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설정된 각도의 각도표시부들로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각도표시부들의 대향된 끝단에 레버가 형성되고, 이 박판이동자는 고정이동자수용홈에 고정된 고정자(40)에 유지되어, 레버이동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박판이동자의 각도표시부들이 상기 몸체의 원주부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너트의 체결시, 제2렌치의 기준선에 제1렌치의 각도표시부의 시작점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렌치의 박판이동자의 각도표시부들은, 제1렌치의 원주부 둘레면에서 시작점과 종료점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렌치가 유체관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의 체결볼트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 체결볼트에 대응되는 체결너트에 상기 제2렌치가 결합되어서, 제2렌치가 상기 제1렌치의 원주부에 형성된 박판이동자의 각도표시부의 기준눈금의 시작점에서 종료점 방향까지 체결너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유체관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에 이음쇠인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서로 체결되면서, 유체관들의 이음부위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의하여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체관의 이음부분은 유체가 새지 않으며 고온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온도 범위 영역에서 내진동 및 내화학적인 저항성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유체가 새지 않고 미리 정해진 압력 영역에 걸쳐 가스가 새지 않을 수 있는 이음부위를 구현하고, 또한 본 발명은 유체관들의 이음부위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의하여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가 새지 않으며 고온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온도 범위 영역에서 내진동 및 내화학적인 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제1렌치와 제2렌치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체결볼트에 제1렌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렌치에 설정된 체결유지 각도 만큼 제2렌치가 체결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유체관들의 이음부위를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이음부위의 결합압에 따른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또한 유체관들의 기계적인 응력 및 공동 형성에 따른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이중 정렬 조임렌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중 정렬 조임렌치의 제1렌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이중 정렬 조임렌치의 제1렌치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중 정렬 조임렌치의 제1렌지 평면도,
도 5a,b 는 본 발명의 이중 정렬 조임렌치의 제1렌치에서 박판이동자의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이중 정렬 조임렌치의 제1렌치와 제2렌치가 유체관의 이음부위의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결합된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 등의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관(1)들의 이음부위(2)에 체결볼트(3)와 체결너트(4)가 설정된 각도만큼 조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볼트(3)와 체결너트(4)에 의하여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로써, 제1렌치(10)와 제2렌치(70)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2렌치(70)는 제1렌치(10)와 대응되는 일반 렌치형상이다.
상기 체결볼트(3)에는 제1렌치(10)가, 또한 체결너트(4)에는 제2렌치(70)에 의하여 체결볼트(3)와 체결너트(4)가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관(1)들의 이음부위(2)의 유체가 새지 않으며 고온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온도 범위 영역에서 내진동 및 내화학적인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적어도 유체가 새지 않고 미리 정해진 압력 영역에 걸쳐 가스가 새지 않을 수 있는 이음부위를 구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3)와 체결너트(4)가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되어 체결 결합되어야 이음부위의 체결압에 따른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체결볼트(3)와 체결너트(4)가 끼워맞춤 공차내의 결합은, 유체관들의 기계적인 응력 및 공동 형성에 따른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렌치(10)에 관한 것으로, 일반 스패너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조오(11)가 형성된 원주부(12)들과, 이 원주부(12)들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렌치(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오(11)가 형성된 원주부(12)와 손잡이(13)가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측면에 박판이동자(30), 고정자(40), 이탈방지핀(50)이 결합되며, 또한 상기 박판이동자(30), 고정자(40), 이탈방지핀(50)이 몸체(20)로부터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지하는 커버(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렌치(10)의 몸체(20)의 원주부(12)와 손잡이(13)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칫수이고, 또한 측면에는 제1렌치(10)의 길이방향으로 깊이가 있는 고정이동자수용홈(21)이 원주부(12) 끝단으로부터 손잡이(13)의 중간정도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주부(12)의 고정이동자수용홈(21)에는 도 2에서 배면쪽으로 관통하는 구형개구부(22)가 뚫려 있으며, 이 구형개구부(22)는 후술하는 고정자(40)의 곡면(41,41)들과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들이 제1렌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13)부위의 중간쯤에 상기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 연결되어 통하는 레버이동구멍(23)이 일정길이로 뚫려, 역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판이동자(30)의 레버(33)가 제1렌치(10)의 밖으로 노출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렌치(1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나사구멍(24)들이 형성되어, 몸체(20)의 고정이동자수용홈(21)에 박판이동자(30), 고정자(40), 이탈방지핀(50) 부품들이 결합된 후, 제1렌치(10)의 측면에 커버(60)를 결합하고, 나사(25)들이 커버(60)의 구멍(61)을 통하여 몸체(20)의 나사구멍(24)들 체결되도록 하여, 도 1과 같은 완성된 제1렌치(10)를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자(40)는, 상기 제1렌치(10)의 몸체(20)에 형성된 고정이동자수용홈(21)에 수용 고정될 수 있는 칫수이며, 고정이동자수용홈(21)의 원주부(12)에 결합되는 부위는 양쪽으로 튀어나온 곡면(41,41)들로 형성되어, 도 1,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곡면(41,41)들은 상기 제1렌치(10)의 구형개구부(22)와 커버(60)의 구형개구부(62)에 노출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자(40)의 결합에서 고정자(40)의 곡면(41,41)들의 윗면과 몸통의 위면은 상기 제1렌치(10)의 몸체(20)의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의 틈새(26)를 유지하는 칫수이다.(도 5a참조)
또한, 상기 몸체(20)의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 고정자(40)의 위면과의 틈새(26)에는 박판이동자(30)가 결합되어,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틈새(26)에서 고정자(4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박판이동자(30)는 도 2와 같이 두께가 박판형상으로서, 앞쪽에는 각도표시부(31,32)들이 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또한 뒤쪽에는 레버(33)가 형성되어 있다. 위의 각도표시부(31,32)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으며, 이 각도표시부(31,32)들은 도 6에서 제2렌치(70)의 체결너트(4)를 회전시키기 위한 설정된 각도이며, 또한 각도표시부(31,32)의 기준눈금의 시작점에서 종료점 방향까지 체결너트(4)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판이동자(30)의 레버(33)부분은 상기 레버이동구멍(23)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략 ㄷ자 형상의 이탈방지핀(50)이 레버(33)위 위쪽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판이동자(30)가 레버이동구멍(23)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렌치(10)의 원주부(12)에서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들의 위치를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제1렌치(10)의 몸체(20)의 고정이동자수용홈(21)에 박판이동자(30), 고정자(40), 이탈방지핀(50) 부품들이 결합되며, 제1렌치(10)의 측면에 커버(60)가 결합한 후, 나사(25)들이 몸체(20)의 나사구멍(24)들에 체결하여 완성된 제1렌치(10)를 얻을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치(10)의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들은 제1렌치(10)의 원주부(12) 둘레면에 시작점(31)과 종료점(32)으로 레버(33)와 함께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의 간격인 각도 조절은 유체관(1)의 체결볼트(3)와 체결너트(4)의 조임간격 및 공차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의 체결볼트(3)에 제1렌치(10)를 고정된 상태에서, 제2렌치(70)가 체결너트(4)를 제1렌치(10)의 박판이동자(30)의 설정된 각도인 각도표시부(31,32)들의 시작점(31)으로부터 종료점(32)까지 회전시키어, 체결볼트(3)에 체결너트(4)가 규정된 공차 범위내에서 설정 각도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렌치(10)의 측면에 기준이 될 수 있는 눈금(63)들이 형성되어, 길이 긴 눈금 2개는 서로 설정각도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긴 눈금들의 양쪽에는 길이 짧은 눈금은 오차범위를 나타내는 오차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서,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의 체결볼트(3)와 체결너트(4)의 체결각도 확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렌치(70)는, 제1렌치(10)와 대응되는 일반렌치 형상이나, 체결너트(4)의 체결전 시작점을 알 수 있는 기준선(71)이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2개의 렌치(10,70)를 사용하기 전 초기 상태에서 제1렌치(10) 및 2렌치(70)을 각각 체결볼트(3) 및 체결너트(4)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끼웠을 경우, 도 6의 실선과 같이 제1렌치(10)의 각도표시부(31)는 제2렌치(70)의 기준선(71)과 어긋나있게 된다.
위와 같이 어긋남은 제1렌치(10)의 박판이동자(30)의 레버(33)를 이용하여 제1렌치(10)의 각도표시부(31)와 제2렌치(70)의 기준선(71)을 동일선상에 일치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써, 제1렌치(10)의 레버(33)를 도 6의 가상선 화살표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각도표시부(31,32)가 일체적으로 가상선 화살표시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각도표시부(31,32)는 점선과 같이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1렌치(10)의 레버(33)의 움직임은, 제1렌치(10)의 각도표시부(31)가 제2렌치(70)의 기준선(71)과 동일각도 선상에 오도록 위치를 맞춘다. 상기 점선으로 나타낸 각도표시부(31,32)의 위치는, 체결하고자 하는 체결볼트(3)와 체결나사(4)의 체결각도의 기준점(시작점)과 종료점이 된다.
따라서, 제1렌치(10)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2렌치(70)의 기준선(71)과 제1렌치(10)의 점선의 각도표시부(31)를 동일 선상에 맞춘 상태에서, 제2렌치(70)를 도면의 오른쪽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제2렌치(70)의 기준선(71)이 각도표시부(32)에 위치하도록 하면, 체결너트(4)가 체결볼트(3)에 규정된 체결 각도만큼 체결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렌치(10)의 각도표시부(31,32)는,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렌치(10)의 좌,우의 양쪽으로 삼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볼트(3)와 체결나사(4)의 위치가 좌,우변경(도 6에서 체결너트(4)가 좌측, 체결볼트(3)가 우측)되었을 때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때에는 각도표시부(32)가 시작점이 되고 또한 각도표시부(31)가 종료점이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가 체결볼트(3)와 체결너트(4)의 조임력이 조절되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에 이음쇠인 체결볼트(3)에 체결너트(4)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면서, 유체관(1)들의 이음부위(2)에서 끼워맞춤 공차내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유체관(1)들의 이음부위(2)에 결합되는 부재가 체결볼트(3)와 이 체결볼트(3)에 결합되는 체결너트(4)에 의하여 유체관(1)의 이음부위가 결합되어, 유체관(1)에 유체가 누수되는 일이없는 체결 여유각으로 체결될 수 있다.
1 : 유체관 2 : 이음부위
3 : 체결볼트 4 : 체결너트
10 : 제1렌치 11 : 조오
12 : 원주부 13 : 손잡이
20 : 몸체 21 : 고정이동자수용홈
22 : 구형개구부 23 : 레버이동구멍
24 : 나사구멍 25 : 나사
26 : 틈새 30 : 박판이동자
31,32 : 각도표시부(시작점, 종료점)
33 : 레버 40 : 고정자
41,41 : 곡면 50 : 이탈방지핀
60 : 커버 61 : 구멍
62 : 구형개구부 63 : 눈금
70 : 제2렌치 71 : 기준선

Claims (6)

  1. 삭제
  2.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의 체결볼트(3)에 체결너트(4)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조임렌치에서, 조오(11)가 형성된 원주부(12)의 둘레면을 회동제어할 수 있는 박판이동자(30)가 형성된 제1렌치(10)와, 상기 제1렌치(10)의 박판이동자(30)가 원주부(12) 둘레면에서의 회동제어되어 설정된 각도에 따라서, 제1렌치(10)에 대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제2렌치(7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의 체결볼트(3)에 제1렌치(10)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너트(4)에 제2렌치(70)가 결합되어 제1렌치(10)의 설정된 회전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체결볼트(3)에 체결너트(4)가 규정된 공차 범위내에서 설정 각도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에 있어서,
    상기 제1렌치(10)는, 몸체(20)의 측면에 원주부(12)로부터 손잡이(13)쪽으로 파여진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 이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 관통된 레버이동구멍(23)이 형성되어, 이 고정이동자수용홈(21)과 레버이동구멍(23)에 상기 박판이동자(30)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박판이동자(30)에 설정각도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각도표시부(31,32)들이 상기 원주부(1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박판이동자(30)는, 제2렌치(70)의 체결너트(4)를 회전시키기 위한 설정된 각도의 각도표시부(31,32)들로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각도표시부(31,32)들의 대향된 끝단에 레버(33)가 형성되고, 이 박판이동자(30)는 고정이동자수용홈(21)에 고정된 고정자(40)에 유지되어, 레버이동구멍(2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레버(33)의 작동으로, 상기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들이 상기 원주부(12)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체결볼트(3)에 체결너트(4)의 체결시, 제2렌치(70)의 기준선(71)에 제1렌치(10)의 각도표시부(31)의 시작점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렌치(10)의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들은, 제1렌치(10)의 원주부(12) 둘레면에서 시작점과 종료점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렌치(10)가 유체관(1)들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위(2)의 체결볼트(3)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 체결볼트(3)에 대응되는 체결너트(4)에 상기 제2렌치(70)가 결합되어서, 제2렌치(70)가 상기 제1렌치(10)의 원주부(12)에 형성된 박판이동자(30)의 각도표시부(31,32)의 기준눈금의 시작점에서 종료점 방향까지 체결너트(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정렬 조임렌치.
  5. 삭제
  6. 삭제
KR1020160157832A 2016-11-25 2016-11-25 이중 정렬 조임렌치 KR101836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832A KR101836005B1 (ko) 2016-11-25 2016-11-25 이중 정렬 조임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832A KR101836005B1 (ko) 2016-11-25 2016-11-25 이중 정렬 조임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005B1 true KR101836005B1 (ko) 2018-03-07

Family

ID=6168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832A KR101836005B1 (ko) 2016-11-25 2016-11-25 이중 정렬 조임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0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095A (ja) * 2011-08-30 2013-03-14 Yoshihiro Senda 複数のハンドルを有するレンチ
US20160114467A1 (en) * 2014-10-22 2016-04-28 Power Products, Llc Wren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095A (ja) * 2011-08-30 2013-03-14 Yoshihiro Senda 複数のハンドルを有するレンチ
US20160114467A1 (en) * 2014-10-22 2016-04-28 Power Products, Llc Wren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6518B2 (ja) 接続装置
US8261454B2 (en) Tubing manipulating appliances for use with nut driving tools
US20080014035A1 (en) Clamping Tool And Hole Saw Apparatus
JPS62203701A (ja) ツールホルダー
EP1867415A2 (en) Air-operated end prep machine
US20060230802A1 (en) Apparatus for making grooved endform
US9227240B2 (en) Crimping head for impact wrench
US20120068099A1 (en) Two-part valve
JP2008144922A (ja) シール材の圧入装置
US5839647A (en) Welding clamp for pipe fittings
JP2022171879A (ja) 弁ケース分割部の固定治具の取付方法
JP4474427B2 (ja) 管継手の締め付け角度判定方法及び管継手の締め付け角度判定治具
KR100467662B1 (ko) 파이프 커플링 공구
KR101836005B1 (ko) 이중 정렬 조임렌치
US4532837A (en) Nipple grooving device
US7331104B2 (en) Device for the assembly of standard elements intended for the creation of precision mechanical structures
JP2008290238A (ja) 直角位置決め装置、ロッキングプライヤーとfクランプ
CN113458767A (zh) 拧紧装置
JPS63501781A (ja) 動力式管緊結具
KR20160095899A (ko) 에어컨 설치용 토크 렌치장치
CN113107933B (zh) 一种快速安装连接装置
JP2008254142A (ja) ねじ類の締付工具
CN212859287U (zh) 用于拆装飞机管路中带齿槽圆螺母的夹式扳手
BR112014004656B1 (pt) aparelho para apertar ou afrouxar fixadores para fornecer fluido ao dispositivo
JP6539719B1 (ja) 二軸自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