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571B1 -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571B1
KR101835571B1 KR1020160006820A KR20160006820A KR101835571B1 KR 101835571 B1 KR101835571 B1 KR 101835571B1 KR 1020160006820 A KR1020160006820 A KR 1020160006820A KR 20160006820 A KR20160006820 A KR 20160006820A KR 101835571 B1 KR101835571 B1 KR 10183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blade
suture body
grip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162A (ko
Inventor
전성환
Original Assignee
전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환 filed Critical 전성환
Priority to KR102016000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5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4Su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로 봉합사 본체의 표면을 일부 절개하여 미늘을 형성시키되, 가열된 상태의 블레이드로 미늘을 형성시킴으로써 절개면에 열경화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단단한 미늘이 피부 조직에 효과적으로 파고들 수 있다.

Description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Barbed suture thread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봉합사 둘레를 가열된 블레이드로 절개하여 열경화에 의해 단단한 미늘이 생성되도록 하는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비흡수성 봉합사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생흡수성 봉합사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생흡수성 봉합사는 환자로부터 봉합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서 수요가 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를 이용하여 시술할 시에는 한 개 이상의 매듭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봉합사의 매듭 형성이 복잡하여 시술자인 의사에게 고도의 훈련이 요구되고, 매듭을 짓는 그 자체로 시간 소요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매듭은 파손과 미끄러짐 또는 풀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늘 봉합사(barbed suture)가 개발된 바 있다. 미늘 봉합사는 봉합사 본체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된 미늘을 형성한 것으로, 미늘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미늘 봉합사는 단방향 이동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되어 매듭의 효과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이다.
봉합사에 미늘을 형성시키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85616호(2015.07.24.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와 봉합사 표면에 커터를 삽입하여 미늘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치도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미늘 형성 장치는, 단순 커팅을 통해 미늘의 형상만 구현하는 것이어서 이동 억제 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봉합사 표면을 커팅하여 형성된 미늘은 매우 얇고 유연하여 피부를 잘 파고들지 못할 뿐 아니라, 피부에 걸리더라도 반대 방향으로 쉽게 꺾어짐으로써 이동 억제를 전혀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레이드로 봉합사 본체의 표면을 일부 절개하여 미늘을 형성시키되, 가열된 상태의 블레이드로 미늘을 형성시킴으로써 절개면에 열경화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단단한 미늘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는, 봉합사 본체를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그립수단; 상기 봉합사 본체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봉합사지지판; 상기 봉합사지지판에 지지된 상기 봉합사 본체의 타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미늘을 형성시키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봉합사 본체의 일부를 절개하면, 절개면이 일시적으로 융해된 후 경화되어 상기 미늘의 경도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블레이드를 섭씨 40도 내지 90도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된 블레이드로 봉합사 본체의 표면을 절개함으로써, 절개면이 순간적으로 융해된 후 열경화됨으로써 미늘의 경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미늘이 유연하지 않고 단단해지기 때문에 피부 등의 조직을 파고드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바라본 측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바라본 평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서 커팅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서 커팅수단을 통해 미늘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서 블레이드와 봉합사지지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은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서 블레이드와 봉합사지지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8은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서 봉합사의 여러 표면을 절개하기 위해 커팅수단이 회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를 통해 제조된 미늘 봉합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서 커팅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는 크게 메인프레임(10), 봉합사공급부(20), 제1지지프레임(30), 제2지지프레임(40), 커팅수단(50), 제1그립수단(140), 제2그립수단(150) 및 완성품커팅부(16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은 바닥 또는 작업테이블에 고정되며 장치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봉합사공급부(20)는 미늘(1a)을 형성시키기 이전의 봉합사 본체(1)를 보관한 상태에서 커팅수단(50) 측으로 봉합사 본체(1)를 인출하여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봉합사공급부(20)는 봉합사 본체(1)가 감겨 있는 롤러가 지지판에 고정된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30) 및 제2지지프레임(40)은 커팅수단(50)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에서는 미늘(1a) 형성 작업 시 봉합사 본체(1)는 그립수단(140,1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커팅수단(50)이 봉합사 본체(1)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봉합사 본체(1)의 서로 다른 표면에 미늘(1a)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커팅수단(50)이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지 않고, 커팅수단(50)의 양단이 제1지지프레임(30) 및 제2지지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팅수단(50)은 봉합사 본체(1) 표면 일부를 절개하여 미늘(1a)을 형성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커팅수단(50)은 회전식프레임(60), 제1이동식절단부(70), 제1절단부이송수단(100), 제2이동식절단부(90), 제2절단부이송수단(110), 제1봉합사지지판(120) 및 제2봉합사지지판(130)을 포함한다.
회전식프레임(60)은 제1지지프레임(30) 및 제2지지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커팅수단(50)의 다른 구성들이 회전식프레임(6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식프레임(60)은 바닥을 이루는 수평판(61)과, 수평판(61)의 일측(봉합사 본체(1)가 인입되는 제1지지프레임(30) 방향, 즉 도면상 우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제1수직판(62)과, 수평판(61)의 타측(미늘(1a)이 형성된 봉합사 본체(1)가 인출되는 제2지지프레임(40) 방향, 즉 도면상 좌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제2수직판(66)을 포함한다.
제1수직판(62)의 상부는 제1그립수단(140)의 그립부a(14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관통된 부분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제1지지프레임(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수직판(66)의 상부는 제2그립수단(150)의 그립부b(15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관통된 부분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제2지지프레임(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제1수직판(62)의 관통된 부분 둘레에는 체인결합부(63)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지지프레임(30)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회전모터(65)의 축과 체인결합부(63)가 체인(64)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회전모터(65)가 구동하면 회전식프레임(60)과 이에 고정 설치된 커팅수단(50)의 모든 구성들이 함께 회전한다. 이때 커팅수단(50)의 회전중심은 제1수직판(62) 및 제2수직판(66) 상부에 형성된 관통된 부분이 되는데, 여기에 그립부a(141) 및 그립부b(151)가 관통하고 있고, 그립부a(141) 및 그립부b(151)의 중심으로는 봉합사 본체(1)가 지나고 있다. 결국 커팅수단(50)은 봉합사 본체(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제1이동식절단부(70)와 제2이동식절단부(90)는 봉합사 본체(1)의 둘레에서 일정 지점을 절개하여 미늘(1a)을 형성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1이동식절단부(70)와 제2이동식절단부(90)는 그립부(141,151)에 의해 고정된 봉합사 본체(1)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도4에서 봉합사 본체(1)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제1이동식절단부(7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고, 제2이동식절단부(90)의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도록 한다.
제1이동식절단부(70)는 이동판a(71), 모터a(72), 가이드블록a(73), 누름블록a(74), 블레이드지지블록a(77), 가열부a(80) 및 블레이드a(81)를 포함한다.
이동판a(71)는 제1절단부이송수단(10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이동식절단부(70)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모터a(72)는 이동판a(71)에 고정되며 모터a(72)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가이드블록a(73)가 이동판a(71)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모터a(72)의 축에는 누름블록a(74)가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누름블록a(74)는 모터a(72)의 축과 스크류 결합되는 축결합부a(75)와, 축결합부a(75)의 측면에 결합되고 가이드블록a(7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누름부a(76)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a(72)가 작동하면 축결합부a(75) 및 누름부a(76)를 포함하는 누름블록a(74) 전체가 전후방 이동 가능하다.
누름부a(76) 전방으로 블레이드지지블록a(77)가 이동판a(71)에 설치된다. 블레이드지지블록a(77)는 회전축a(78)를 통해 이동판a(71)에 결합되며, 누름부a(76)와 마주하는 부분에 누름면a(7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지지블록a(77)의 상부에는 가열부a(80)가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지지블록a(77)의 일측에 블레이드a(81)가 체결되어 있다. 이렇게 체결된 블레이드a(81)의 전방은 봉합사 본체(1)와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고, 봉합사 본체(1)를 경계로 하여 반대쪽에 제2이동식절단부(90)의 블레이드b(91)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각 블레이드(81,91)이 날 방향은 봉합사 본체(1)의 길이 방향과 사선을 이루게 된다.
한편 제2이동식절단부(90) 역시 제2절단부이송수단(11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식절단부(70,90)의 작동으로 봉합사 본체(1)에 미늘(1a)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블레이드(81,91)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81,91)들 간의 종단 날의 연장선 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제1봉합사지지판(120)과 제2봉합사지지판(130)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면상 좌측의 봉합사 본체(1) 아래쪽으로 제1봉합사지지판(120)이 설치되어 있고, 우측의 봉합사 본체(1) 위쪽으로 제2봉합사지지판(130)이 설치되어 있다. 제1봉합사지지판(120)은 블레이드a(81)에 의해 봉합사 본체(1) 표면의 일부가 절개 될 때, 블레이드a(81)의 움직임에 의해 봉합사 본체(1)가 밀려나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제2봉합사지지판(130)은 블레이드b(91)에 의한 절개 작업 시 봉합사 본체(1)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봉합사지지판(120,130)은 제1수직판(62)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의 봉합사지지판(120,130)에는 봉합사 본체(1)가 안착되는 안착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다루도록 한다.
그립수단(140,150)은 미늘(1a) 형성 작업 중 봉합사 본체(1)를 파지하여 팽팽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그립수단(140)과 제2그립수단(150)이 동일 연장선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된다.
먼저 제1그립수단(140)은 그립부a(141), 그립모터a(142) 및 그립부지지프레임a(143)를 포함한다.
그립부a(141)는 기다란 원통 내에 그립모터a(142)의 작동으로 전후진 하는 한 쌍의 로드와, 로드에 연결되어 모아지거나 펼쳐지면서 봉합사 본체(1)를 파지 또는 해제하는 집게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그립부a(141)의 전방(집게블록 방향)은 봉합사지지판(120,130)을 향하고 있으며, 제1수직판(62) 상부와 제1지지프레임(30) 상부를 관통하여 봉합사공급부(20)를 향하도록 후방이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된 그립부지지프레임a(143)에 지지되어 있고, 후방에서 노출된 로드가 그립부지지프레임a(143) 상부에 설치된 그립모터a(142)와 연동되어 있다.
제2그립수단(150)은 그립부b(151), 그립모터b(152) 및 그립부지지프레임b(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그립수단(140)의 그립부a(141)는 고정된 상태(물론 제1수직판(62)은 그립부a(14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함)이지만, 제2그립수단(150)의 그립부b(151)는 미늘(1a) 형성 작업이 완료된 봉합사 본체(1)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이송수단b(154)에 지지되어 전후방 이동 가능하다.
즉, 그립부b(151)의 전방은 그립부a(141)를 향하고 있으며, 제2수직판(66) 상부와 제2지지프레임(40) 상부를 관통하여 완성품커팅부(160)를 향하도록 후방이 그립부지지프레임b(153)에 지지되어 있고, 후방에서 노출된 로드가 그립부지지프레임b(153) 상부에 설치된 그립모터b(152)와 연동되어 있다. 이때 그립부지지프레임b(153)는 메인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지 아니하고,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통해 메인프레임(10) 저면의 인출이송수단b(154)와 연동되어 있다. 따라서 인출이송수단b(154)의 작동으로 그립부지지프레임b(153)가 전후방 이동함으로써, 그립부b(151) 역시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다.
완성품커팅부(160)는 그립부b(151)의 후방으로 인출된 봉합사 본체(1)를 일정 길이 간격으로 커팅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8을 통해 이상에서 설명한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를 통해 봉합사 본체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토록 한다.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를 작동시키기 전에 봉합사공급부(20)에 감겨 있는 봉합사 본체(1) 끝 부분을 제1그립수단(140)의 그립부a(141) 내측으로 관통 시키고, 봉합사지지판(120,130) 사이를 지나도록 한 후 그립부b(151)를 관통시켜 완성품커팅부(160)에 고정 시킨다. 완성품커팅부(160)에는 봉합사 본체(1)를 파지하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어서, 롤러에 봉합사 본체(1)의 종단을 지지시킬 수 있다.
이후 별도의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작업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에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미늘(1a) 형성 작업이 시작된다. 제어부는 먼저 블레이드(81,91)을 가열한다. 즉 제1이동식절단부(7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블레이드지지블록a(77)에 설치된 가열부a(80)에 전원이 공급되어 가열부a(80)에서 열이 발생한다. 가열부a(80)에서 발생된 열은 블레이드지지블록a(77)에 전체에 전도되고, 궁극적으로 블레이드지지블록a(77)에 장착된 블레이드a(81)도 함께 가열된다. 블레이드지지블록a(77)에는 별도의 온도센서(미도시)가 추가 설치됨으로써, 제어부는 블레이드a(81)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가열부a(80)를 제어할 수 있다.
블레이드a(81)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그립모터(142,152)의 작동으로 그립부(141,151)이 봉합사 본체(1) 양측을 파지함으로써, 봉합사 본체(1)를 팽팽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기준 상태가 도5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이후 모터a(72)가 작동하여 누름블록a(74)가 전진하게 되고, 가이드블록a(73)에 지지된 누름부a(76)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블레이드지지블록a(77)의 누름면a(79)를 누르게 된다. 이때 블레이드지지블록a(77)를 살펴보면, 도면상 블레이드지지블록a(77)의 좌측 중심이 회전축a(78)를 통해 이동판a(71)에 고정되어 있고, 우측 상부에 누름면a(79)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아래쪽으로 블레이드a(81)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부a(76)가 누름면a(79)를 누르면, 블레이드지지블록a(77)는 회전축a(78)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a(81)는 봉합사 본체(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데, 블레이드지지블록a(7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블레이드a(81)와 봉합사 본체(1)가 이루는 각이 더욱 좁아지면서 블레이드a(81)의 날이 봉합사 본체(1) 표면에 비스듬하게 진입하게 된다. 반대쪽의 제2이동식절단부(90)에 마련된 블레이드b(91) 역시 마찬가지이다. 블레이드(81,91)이 봉합사 본체(1)에 비스듬하게 진입한 모습이 도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봉합사 본체(1) 둘레의 양측면이 동시에 일부 절개 됨으로써 봉합사 본체(1)에 미늘(1a)이 형성된다.
앞선 설명에서 블레이드(81,91)이 전진할 시 봉합사 본체(1)를 받쳐줄 수 있도록 봉합사지지판(120,130)이 설치된다고 하였는데, 봉합사지지판(120,130)은 단순히 봉합사 본체(1)가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만을 하는 것은 아니다.
도6은 봉합사 본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와 봉합사지지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6에서 제2봉합사지지판(130)을 살펴보면 봉합사 본체(1)가 지나가는 부분에 안착홈(131)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131)에 의해 블레이드(81,91) 전진 시 봉합사 본체(1)가 완전히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7을 통해 블레이드b와 제2봉합사지지판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살펴보면, 안착홈(131)은 봉합사 본체(1)의 일부분만 안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b(91)가 전진하여 봉합사 본체(1)의 측면을 밀더라도 봉합사 본체(1)는 제2봉합사지지판(130)에 의해 밀려나지 않게 되고, 블레이드b(91)가 봉합사 본체(1)에 비스듬하게 진입하여 일부를 절개할 시, 봉합사 본체(1)의 두께 중 안착홈(131) 밖으로 노출된 깊이까지만 블레이드b(91)가 진입할 수 있어서 완전 절단은 방지되고 부분 절개를 통해 미늘(1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도5의 (b)와 같이 블레이드(81,91)의 전진으로 첫번째 미늘(1a) 형성 작업을 마치면, 모터a(7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블록a(74)이 후퇴하게 되고, 블레이드지지블록a(77)는 별도의 탄성복원수단(미도시)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블레이드a(81) 역시 봉합사 본체(1)로부터 후퇴하게 된다. 이후 절단부이송수단(100,110)의 구동으로 이동식절단부(70,90)이 수평 이동 한다. 구체적으로 제1이동식절단부(70)는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고, 제2이동식절단부(9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가 도5의 (c)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식절단부(70,90)의 이동 거리는 미늘(1a)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또한 제1이동식절단부(70)가 이동하더라도, 블레이드a(81)는 여전히 제1봉합사지지판(120)과 마주하는 상태이며, 블레이드b(91) 역시 제2봉합사지지판(130)과 마주하는 상태이다. 이후 다시 모터a(72)가 작동하면 도5의 (d)와 같이 블레이드a(81)가 전진하면서 봉합사 본체(1)에 미늘(1a)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식절단부(70,90)이 봉합사 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미늘(1a)을 형성시키는 과정은 수 차례 반복된다.
그립부(141,151)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봉합사 본체(1)의 일정 구간에 대하여 미늘(1a)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마치면, 각각의 이동식절단부(70,90)은 원래 위치인 도5의 (a) 상태로 돌아온다. 이후 그립부a(141)가 봉합사 본체(1)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고, 그립부b(151)는 봉합사 본체(1)를 파지한 상태에서 인출이송수단b(154)이 작동하면 그립부b(151)를 포함하는 제2그립수단(150) 전체가 완성품커팅부(16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미늘(1a) 형성 작업이 완료된 봉합사 본체(1)를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 도5의 과정은 봉합사 본체(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면에 대한 미늘(1a) 형성만 수행한 것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봉합사 본체(1) 둘레를 따라 여러 각도에서 미늘(1a)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부 등의 조직에 대한 걸림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한다.
즉 이동식절단부가 수평이동 하면서 봉합사 본체(1)의 대향하는 면에 미늘(1a)을 형성시키면, 프레임회전모터(65)를 작동시켜 회전식프레임(60)을 포함한 커팅수단(50) 전체를 일정 각도 회전 시킨다. 도8은 프레임회전모터의 작동으로 커팅수단 전체가 대략 120도 각도 단위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8의 (a)와 같이 커팅수단(50)이 시계 방향으로 120도 회전하여 도5에 따른 미늘(1a) 형성 과정 수행을 마치면, 도8의 (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120도 회전하여 수평 상태에서 다시 미늘(1a) 형성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 반시계 방향으로 120도 추가 회전하여 미늘(1a) 형성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물론 커팅수단(50)이 여러 각도로 회전할 시 그립수단(140,150)은 함께 회전하지 않으며, 그립부(141,151)은 여전히 봉합사 본체(1)를 견고하게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봉합사 본체(1)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복수의 미늘(1a)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후에 제2그립수단(150)이 미늘(1a) 형성이 완료된 봉합사 본체(1)를 인출함으로써 완성품커팅부(160)에서 커팅 될 수 있다.
도9는 미늘 형성이 완료된 봉합사 본체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9의 (a)를 살펴보면 봉합사 본체(1)의 양쪽 면에서 동시에 블레이드(81,91)이 서로 다른 사선 방향으로 진입하여 외측으로 일어선 형태의 미늘(1a)을 형성시킴으로써, 봉합사 본체(1)의 길이 방향에서 양쪽 방향 모두에 대한 걸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9의 (a)에서 확대도를 살펴보면, 블레이드a(81)는 가열부a(80)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봉합사 본체(1)에 진입하기 때문에, 가열된 블레이드a(81)에 의해 봉합사 본체(1)의 절개면이 순간적으로 융해된다. 물론 블레이드a(81)가 봉합사 본체(1)에 진입했다가 다시 빠져 나오는 시간은 매우 짧으며, 순간적으로 융해된 부분 역시 공기중에 노출되면 즉시 경화되어 경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단순 커팅을 통해 미늘을 형성시키면, 미늘이 매우 얇고 유연하여 피부를 잘 파고들지 못할 뿐 아니라, 피부에 걸리더라도 반대 방향으로 쉽게 꺾어짐으로써 이동 억제를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가열된 블레이드a(81)로 봉합사 본체(1)의 측면을 절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열경화 현상에 의해 미늘(1a)의 경도가 증가하여, 단단해진 미늘(1a)이 피부 등의 조직에 파고드는 효과가 우수하다.
여기서 블레이드a(81)의 가열 온도는 봉합사 본체(1)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는데, 짧은 시간동안 융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섭씨 40도 이상이어야 하고, 지나친 융해를 방지하기 위해 섭씨 90도 이하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9의 (b)는 미늘(1a) 형성 작업이 완료된 봉합사 본체(1)의 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9의 (b)를 참조하면 봉합사 본체(1)의 대향하는 면에서 서로 다른 사선 방향으로 동시에 미늘(1a)이 형성되어 있고, 대략 120도 회전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사선 방향의 미늘(1a)이 대향하는 면에 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봉합사 본체(1)의 둘레를 따라 각각 다른 사선 방향으로 미늘(1a)이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단단해진 미늘(1a)이 피부 조직에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고, 이러한 미늘 봉합사를 이용할 경우 봉합 등의 시술이 매우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봉합사 본체
1a : 미늘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10 : 메인프레임
20 : 봉합사공급부
30 : 제1지지프레임
40 : 제2지지프레임
50 : 커팅수단
60 : 회전식프레임
61 : 수평판
62 : 제1수직판
63 : 체인결합부
64 : 체인
65 : 프레임회전모터
66 : 제2수직판
70 : 제1이동식절단부
71 : 이동판a
72 : 모터a
73 : 가이드블록a
74 : 누름블록a
75 : 축결합부a
76 : 누름부a
77 : 블레이드지지블록a
78 : 회전축a
79 : 누름면a
80 : 가열부a
81 : 블레이드a
90 : 제2이동식절단부
91 : 블레이드b
100 : 제1절단부이송수단
110 : 제2절단부이송수단
120 : 제1봉합사지지판
130 : 제2봉합사지지판
131 : 안착홈
140 : 제1그립수단
141 : 그립부a
142 : 그립모터a
143 : 그립부지지프레임a
150 : 제2그립수단
151 : 그립부b
152 : 그립모터b
153 : 그립부지지프레임b
154 : 인출이송수단b
160 : 완성품커팅부

Claims (3)

  1. 봉합사 본체를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그립수단;
    상기 봉합사 본체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봉합사지지판;
    상기 봉합사지지판에 지지된 상기 봉합사 본체의 타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으로 일어선 형태의 미늘을 형성시키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지지판,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가열부를 포함하는 커팅수단의 모든 구성들이 상기 봉합사 본체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봉합사 본체의 서로 다른 표면에 상기 미늘을 형성시키며,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봉합사 본체의 일부를 절개하면, 절개면이 일시적으로 융해된 후 경화되어 상기 미늘의 경도가 증가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블레이드를 섭씨 40도 내지 90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006820A 2016-01-20 2016-01-20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KR101835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820A KR101835571B1 (ko) 2016-01-20 2016-01-20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820A KR101835571B1 (ko) 2016-01-20 2016-01-20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162A KR20170087162A (ko) 2017-07-28
KR101835571B1 true KR101835571B1 (ko) 2018-03-08

Family

ID=5942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820A KR101835571B1 (ko) 2016-01-20 2016-01-20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00A (ko) * 2021-03-03 2022-09-14 장미경 미늘을 포함하는 필라멘트사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719B1 (ko) 2017-09-12 2019-04-10 주식회사 씨엔오테크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102011032B1 (ko) 2018-05-10 2019-10-21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미늘 형성 장치
KR102587863B1 (ko) * 2022-11-09 2023-10-11 주식회사 엠베이스 견인력을 강화한 트위스트 의료용 실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35B1 (ko) * 2013-03-20 2014-08-19 대진글로우텍 주식회사 연조직 고정구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35B1 (ko) * 2013-03-20 2014-08-19 대진글로우텍 주식회사 연조직 고정구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00A (ko) * 2021-03-03 2022-09-14 장미경 미늘을 포함하는 필라멘트사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516369B1 (ko) * 2021-03-03 2023-03-30 장미경 미늘을 포함하는 필라멘트사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162A (ko)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571B1 (ko)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TWI605842B (zh) 用於插入醫療縫線的裝置及含有其的用於插入醫療縫線的手術套組
US11103230B2 (en) Suture thread
JP6763923B2 (ja) 結び目をつける作業が不要な縫合糸及びそれを含むキット
US102786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barbs on a suture
CA2437773C (en) Device for applying a meniscal staple
US8777987B2 (en) Self-retaining sutures including tissue retainers having improved strength
JP2014108354A (ja) 外科的バットレスを含む外科的装置
JP2011083601A (ja) アンビルおよびカートリッジに対するステープルライン補強
JP2012232120A (ja) 縫合糸に棘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20022764A (ja) 組織を縫合する器具および方法
KR101237481B1 (ko) 나선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JP2015526234A (ja) 縫合装置
JP6145580B2 (ja) 医療用管挿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医療用管挿入施術キット
KR100880679B1 (ko) 주름살 제거용 특수사 제조장치
CN105395229B (zh) 末端执行器及其钉匣组件、外科手术器械
CN105916451B (zh) 具有不对称固位部的自固位缝合线装置及其制造方法
US20210361285A1 (en)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609315B1 (ko) 수술용 봉합사 코그성형장치
RU2559018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лиг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1611878B1 (ko) 와이어 가공 장치
JP2013158388A (ja) 解剖体等の縫合方法、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縫合糸、穿刺針及び穿刺針器
CN108742745A (zh) 治疗小儿肛门闭锁的可视引导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