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878B1 - 와이어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878B1
KR101611878B1 KR1020130120577A KR20130120577A KR101611878B1 KR 101611878 B1 KR101611878 B1 KR 101611878B1 KR 1020130120577 A KR1020130120577 A KR 1020130120577A KR 20130120577 A KR20130120577 A KR 20130120577A KR 101611878 B1 KR101611878 B1 KR 101611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ift
resistance element
cutter
swing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541A (ko
Inventor
이인숙
Original Assignee
이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숙 filed Critical 이인숙
Publication of KR2014004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나 동물들의 외과 봉합 수술, 특히 성형 수술 등에서 사람의 근육이나 피부 등을 봉합할 때, 수술용 와이어의 외주면에 저항요소를 구비하여 근육이나, 피부를 모아주어 주름을 제거하는 수술용 와이어에 있어서, 얇은 두께의 수술용 와이어에 저항요소 형성을 자동화하고, 동일한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 저항요소를 형성하며, 수술용 와이어의 외주면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저항요소를 구비할 수 있도록 스윙하는 커터의 칼날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부분 절개하고 돌출되게 하여 와이어에 저항요소를 쉽게 형성할 수 있는 와이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가공되는 와이어의 양단을 긴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를 횡방향으로 부분 절개하는 커터 및 커터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커팅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팅부의 구동수단은 상기 커터의 칼날이 와이어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접촉한 후 호선(弧線) 형태의 궤적을 이루며 제1스윙운동을 하도록 움직여 와이어에 저항요소들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가공 장치{WIRE CUT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와이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나 동물들의 외과 봉합 수술, 특히 성형 수술 등에서 사람의 근육이나 피부 등을 봉합할 때, 수술용 와이어의 외주면에 저항요소를 구비하여 근육이나, 피부를 모아주어 주름을 제거하는 수술용 와이어에 있어서, 얇은 두께의 수술용 와이어에 저항요소 형성을 자동화하고, 동일한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 저항요소를 형성하며, 수술용 와이어의 외주면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저항요소를 구비할 수 있도록 스윙하는 커터의 칼날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부분 절개하고 돌출되게 하여 와이어에 저항요소를 쉽게 형성할 수 있는 와이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 수술, 특히 성형 수술에서 종래의 일반 와이어(봉합사, 실)를 사용하여 봉합할 경우, 성형의 효과가 반감되고, 피부조직을 고정 즉, 잡아주지 못하여 수술 후 외관상 미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근래 들어 동안을 유지하거나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기타의 방법(화장품, 마사지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를 직접적으로 기대할 수 없어, 많은 사람들이 피부 주름 제거 수술을 받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 봉합 수술 특히, 주름 제거 성형 수술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어지던 수술용 와이어(봉합사, 실)를 대신하여 와이어의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저항요소를 구비하여 와이어 자체가 피부 조직 등을 고정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잡아 당겨줌으로써 주름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많은 와이어들이 제시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5-0108494호(공개일자 2005.11.17)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주름 제거 수술 등에 사용되는 성형외과용 수술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의 표면에 원추 모양의 돌기(2)를 형성하고 그 돌기가 정해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수술효과를 높이고, 또한 상기 실의 원추형 돌기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그 중앙기준선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 끝단을 향하여 뾰족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가지는 성형외과용 수술실에 관한 것이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6-0059142호(공개일자 2006.06.01)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성형수술용 수술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성형수술용 수술실(1)은 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끝부분이 뾰족하고 유연성 및 탄성이 있는 원추형 돌기가 계속적으로 경사 방향을 달리하면서, 상기 실의 일 측면 또는 여러 측면(예컨대, 지그재그 형으로) 계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발명의 성형수술용 수술실은 수술용 바늘에 꿰어져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젝션(injection) 바늘의 구멍을 통해서 조직 속으로 삽입되어 돌기들의 작용에 의해, 실의 끊어짐을 막을 수 있고, 완벽한 미용 수술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만족시킬 수 있는 성형수술용 수술실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72829호(등록일자 2012.08.03)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외과용 바늘과 결합되게 인간 또는 동물을 연결하는 미늘 봉합사. 봉합사는 신장된 본체 및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복수개의 미늘을 포함한다. 각각의 미늘은 미늘이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봉합사 이동을 억제하게 한다. 본체 상에서 미늘의 배열은 지그재그, 가연절단 복수 나선, 오버래핑 또는 불규칙일 수 있다. 또한, 미늘의 모형은 특정의 나선각 α, 미늘 절단각 θ, 미늘 절단깊이, 미늘 절단길이, 미늘절단 거리, 주름형 미늘 하측, 아치형 미늘 베이스 또는 변화하는 미늘 사이즈일 수 있는 외과용 바늘과 병용하는 미늘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저항요소(돌기, 미늘)을 구비한 여러 종류의 수술용 와이어를 제시하고 있으나, 수술용 와이어(봉합사, 수술실 등)의 저항요소 구성이 복잡하고, 저항요소를 구비한 수술용 와이어를 제시하고 있을 뿐, 상기 발명에 따른 수술용 와이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내지 장치를 제시하고 있지 않아, 제작이 어렵거나,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생산하면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2-0022360호(공개일자 2012.03.12)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수술부위를 봉합할 때 사용하는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봉합사의 외주면에 미늘을 형성하여 봉합사를 이용한 시술시 매듭을 짓지 않고도 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봉합사를 1차로 성형한 후에 후가공에 의하여 가시돌기 형태의 미늘을 형성하는 경우 생산성이 매우 떨어져서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시돌기의 지지력이 약해서 그 효과가 매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합사를 성형하는 압출성형기 본체에 가공블레이드가 형성된 압출금형을 축회전시킴으로써 수지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수지의 표면에 나선형의 미늘을 형성하여 봉합사를 후가공하는 과정 없이 봉합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미늘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또한 봉합사에 인장력이 발생할 경우에도 봉합사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미늘에 의하여 풀어짐을 방지토록 하는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우선 압출성형기로 형성되는 수술용 와이어에 적용할 수밖에 없어 범용성이 떨어지고, 압출 금형을 회전시켜 나선형의 봉합사를 제조함으로써, 개별 저항요소에 의한 수술용 와이어보다 피부조직을 고정시키거나 당겨주는 힘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술 후 봉합 시, 봉합력 내지 견인력을 높여주는 저항요소를 구비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제작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커터의 칼날이 와이어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접촉한 후 호선(弧線) 형태의 궤적을 이루며 제1스윙운동을 하도록 움직여 와이어에 저항요소들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구동수단을 구비한 와이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에 저항요소를 형성함에 있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저항요소를 와이어의 길이방향에서 일정하게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저항요소 형성 종료시점에서 제2스윙운동을 통하여 저항요소를 돌출시키도록 들림(pick-up)동작을 일으키는 제2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와이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1스윙운동 및 제2스윙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1스윙운동의 스윙축은 칼날 외측에 위치하고, 제2스윙운동의 스윙축은 칼날과 중첩된 위치에 있는 와이어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에 저항요소가 균일하게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가압체를 구비하는 와이어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술 시 와이어의 고정 지지력 내지 결착력 또는 장력 등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에 복수개의 저항요소로 이루어지는 저항요소그룹을 구비하고, 이 저항요소그룹을 둘 이상 가공할 수 있고, 어느 한 저항요소그룹의 저항요소와, 이와 인접한 다른 저항요소그룹의 저항요소는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를 가공할 수 있는 와이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가공되는 와이어의 양단을 긴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를 횡방향으로 부분 절개하는 커터 및 커터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커팅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팅부의 구동수단은 상기 커터의 칼날이 와이어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접촉한 후 호선(弧線) 형태의 궤적을 이루며 제1스윙운동을 하도록 움직여 와이어에 저항요소들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에서 상기 커팅부의 구동수단은 제1구동수단에 의하여 커터의 칼날이 와이어를 부분 절개한 종료지점에서 커터를 움직여 저항요소를 돌출시키도록 들림(pick-up)동작을 일으키는 제2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에서 상기 제2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커터의 칼날은 호선(弧線) 형태의 궤적을 이루며 제2스윙운동을 하고, 제1스윙운동의 스윙축은 칼날 외측에 위치하고, 제2스윙운동의 스윙축은 칼날과 중첩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에서 상기 커팅부의 커터는 와이어에 이격 형성된 저항요소들이 종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는 저항요소그룹을 형성하고, 이 저항요소그룹은 와이어의 외주방향에 상호 이격 형성된 둘 이상의 저항요소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와이어의 양단을 고정하는 두 클램프와, 상기 각 클램프를 선회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어느 한 저항요소그룹의 저항요소와, 이와 인접한 다른 저항요소그룹의 저항요소는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는 수술 봉합 시 와이어에 의한 고정 지지력 및 견인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지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커터의 칼날이 부분 절개하여 저항요소를 형성하는 커팅부에 제1스윙운동을 하는 제1구동수단을 도입함으로써, 수술용 와이어의 외주면에 저항요소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용 와이어의 생산성을 높여 대량 생산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는 제2스윙운동을 하는 제2구동수단을 도입하여, 저항요소가 와이어 외주면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됨으로써 와이어의 고정 지지력 및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에서 제1스윙운동의 스윙축은 칼날 외측에 위치하고, 제2스윙운동의 스윙축은 칼날과 중첩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스윙운동 및 상기 제2스윙운동을 통하여 균일한 깊이 내지 높이를 갖고, 일관되게 돌출된 저항요소를 구비한 와이어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는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체를 도입하여, 저항요소의 연속된 가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저항요소를 구비한 와이어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복수개의 저항요소로 이루어지는 저항요소그룹을 둘 이상 가공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의 고정 지지력 내지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는 와이어에 형성되는 어느 한 저항요소그룹의 저항요소와, 이와 인접한 다른 저항요소그룹의 저항요소가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고정 지지 내지 견인이 가능한 와이어를 가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의 지지부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4의 A, 도 5의 A, 도 6의 A 및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의 주요 동작 흐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B, 도 5의 B, 도 6의 B 및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의 주요 동착 흐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에 의해 제작된 와이어를 도시 각을 달리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와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되, 특히 와이어와 관련하여 길이방향을 종방향(좌우방향)으로 정하고 상하 방향을 횡방향으로 특징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름 제거용 성형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용 와이어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어' 또는 '수술용 와이어'는 수술에 사용하는 와이어(실)를 지칭하는 대표적인 의미로 사용한 단어일 뿐이며, 본 발명의 와이어는 수술뿐만 아니라 시술이나 봉합 내지 결착을 위한 모든 와이어에 활용 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의 본질적인 기능과 같은 모든 실, 줄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본 상세한 설명에서 지칭하는 용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는 와이어 공급부(1)와, 와이어 배출부(2)와, 지지부(3)와, 고정부(5) 및 커팅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의 지지부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와이어 공급부(1)는 와이어 가공을 위하여 와이어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모든 형태로써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가공 대상인 와이어를 낱개씩 공급하는 수단 또는 미리 절단된 와이어 뭉치에서 낱개의 와이어를 공급하는 수단 등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 장치는 수술용 와이어를 대량 생산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므로,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의 뭉치 상태로 권취되어 와이어를 공급하고 가공 후에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공급부(1)에 의해 공급되는 와이어(W)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 기능을 통하여 가공 가능한 모은 와이어(W)를 포함한다.
나아가 봉합 수술 또는 주름 제거 성형 수술 등 외과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용 와이어 제작을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W)는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있으며, 인체 등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W)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지지만, 나일론(nylo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실크(silk), 금, 스테인레스 및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등의 재질도 포함하며, 일례로 상표명 Vicryl(polyglactin 910 계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술 사용 부위와 목적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재질에 의해 다양한 등급과 두께를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장치에서 상기 와이어 공급부(1)는 와이어(W) 가공을 위하여 와이어(W)를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31)을 포함하는 지지부(3)에 와이어(W)를 공급한다.
이때 와이어(W) 공급 시에 와이어(W)가 일렬로 곧게 공급되도록 하면서 와이어(W) 가공 시에 와이어(W)의 양단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W)는 고정부(5)를 거쳐 공급 이송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5)는 와이어(W)를 안내하여 상기 서포트프레임(31)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5A)와 상기 서포트프레임(31) 양측에 형성되어 이송 완료된 와이어(W)가 일자 형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유지하는 클램프(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롤러(5A)는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송 시에는 하강하여 회전하면서 와이어(W) 공급을 보조하고,
이송 완료 후에는 상승하여 와이어(W)의 장력을 확보하여 긴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클램프(137)는 이송 완료 후에 상기 와이어(W)를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와이어(W)를 고정하면서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37)는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가능한 상기 클램프(137)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는 상기 와이어(W)를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31)의 양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와이어(W)가 통과되는 안착홈(135)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135)은 와이어(W) 공급 시에 와이어(W)를 안내하고 공급 완료 후에는 와이어(W)가 상기 서포트프레임(3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 배출부(2)는 가공 완료 된 와이어(W)를 별도로 마련된 와이어(W) 보관통 등으로 배출한다. 와이어(W) 보관통은 종래 와이어(W)를 수집 보관하기 위한 공지의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와이어(W) 배출 후에 가공 전의 와이어(W)와 연결된 가공 후의 와이어를 절단하기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목적인 수술용 와이어를 대량생산하기 위해서 상기 와이어 배출부(2)에는 와이어(W)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2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는 부드러운 재질이면서도 탄력이 있으므로, 상기 절단수단(2A)은 말단에 만곡부를 갖는 칼날(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절단수단(2A)은 만곡부를 갖는 칼날이 전,후진 운동하면서 가공 완료되어 배출된 와이어(W)를 만곡부가 가압하여 지나가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2A)은 공지의 기술로서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변형, 변경, 치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는 상기 클램프(137)와 와이어 배출부 및 절단수단(2A)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안착홈(135)을 구비하지 않아도 원활한 수술용 와이어의 대량 가공이 가능해진다.
이는 가공된 와이어(W)만이 절단되어 배출되므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를 사용할 때 상기 와이어 공급부(1)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W)의 일단을 상기 클램프(137) 내지 와이어(W) 배출부(2)에 고정한 후 가공을 시작하면 와이어(W)의 양단이 계속 고정된 상태로 공급, 배출 및 컷팅이 이루어지므로 가공된 수술용 와이어를 자동으로 대량 생산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핵심인 커팅부(4)를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의 주요 동작 흐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의 주요 동착 흐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에 의해 제작된 와이어(W)를 도시 각을 달리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와 확대도이다.
특히 도 9의 상측 원내 사진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를 통해 가공된 와이어를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도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저항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상기 커팅부(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 이동을 하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31)에 고정 지지된 와이어(W)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저항요소(1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서포트프레임(3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에 상기 커팅부(4)가 연결되어 좌우 이동하면서 작동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동력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좌우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어 장치(부호 미표기) 및 후술하는 제1구동수단의 스윙 동작을 작동하는 보조 기어 장치(도면 미도시) 등이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수단 내지 기어 장치 또는 보조 기어장치 등의 구성 및 결합 관계 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등 역시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변형, 변경, 치환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4)는 지지부(3)에 고정된 와이어(W)를 횡방향으로 부분 절개하는 커터(43) 및 커터(43) 구동수단(4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구동수단은 제1구동수단(41)과 제2구동수단(4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구동수단(41)은 상기 커터(43)의 칼날이 와이어(W)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접촉한 후 호선(弧線) 형태의 궤적을 이루며 제1스윙운동을 하도록 움직여 와이어(W)에 저항요소(10)들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2구동수단(42)은 제1구동수단(41)에 의하여 커터(43)의 칼날이 와이어(W)를 부분 절개한 종료지점에서 커터(43)를 움직여 저항요소(10)를 돌출시키도록 들림(pick-up)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스윙운동의 스윙축(141a)은 커터의 칼날 외측에 위치하고, 제2스윙운동의 스윙축(142a)은 커터의 칼날과 중첩된 위치, 즉, 커터의 칼날이 와이어(W)와 접촉되는 말단 부근에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구동수단(41)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보조 기어 장치등과 연결되어 스윙하는 제1스윙축(141a)과 상기 제1스윙축(141a)을 중심으로 제1스윙운동 하는 제1시프트(14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수단(42)은 상기 제1시프트(141)와 결합되어 상기 제1스윙축(141a)을 중심으로 하는 제1스윙운동 시 일체화되어 스윙되면서,
상기 제1스윙운동 완료 후 상기 제1시프트(141)와 별도로 제2스윙운동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시프트(141)에 제2스윙축(142a)으로 편심되도록 힌지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W)와의 접촉부에 저항요소(10) 형성을 위한 칼날을 갖는 커터(43)를 구비한 제2시프트(142)와,
일측이 상기 제2시프트(142)와 연결되고, 상기 제1시프트(141)에서 상기 제1시프트(141)의 스윙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지지대와 타측이 연결되는 탄성스프링(144)과,
상기 제1시프트(141)와 연결된 실린더(145)와 상기 실린더에 일측이 내장되어 입출되고, 타측이 상기 제2시프트(142)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플런저(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커팅부(4)의 제1구동수단(41)에 의한 제1스윙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시프트(141) 및 제2시프트(142) 모두가 스윙운동하면서 상기 제2시프트(142)에 구비된 커터(43)는 호선 형태로 스윙되고,
이때, 상기 커터(43)의 칼날이 상기 와이어(W)를 횡방향으로 부분 절개하여 저항요소(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수단(41)의 제1스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수단(42)에 의하여 상기 커터를 구비한 제2시프트(142)가 제2스윙운동을 하면 칼날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항요소(10)가 들려지면서 상기 저항요소가 상기 와이어(W)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스윙운동은 상기 탄성스프링(144)의 장력(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실린더(145)는 상기 제2스윙운동 외의 동작 중에는 상기 제2스윙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플런저(146)를 밀어 상기 제2시프트(142)를 상기 제1시프트(141)와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스윙운동 시에 상기 실린더는 상기 플런저(146)를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여 탄성스프링(144)의 장력에 의하여 자연스러운 제2스윙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스윙운동 후에 상기 실린더(145)는 삽입된 상기 플런저(146)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2시프트(142)를 복귀 시키면서, 상기 탄성스프링(144)에 장력이 다시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145)는 공압 또는 유압 등 모든 형태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수술용 와이어 가공을 위한 목적을 감안하면,
상기 실린더(145)는 기름등의 유출이 발생하여 수술용 와이어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압 실린더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는 상기 제2구동수단(42)에 의한 제2스윙운동 및 복귀 동작 모두가 상기 저항요소(10)를 와이어(W)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린더(145)가 상기 플런저(146)로 상기 제2시프트(142)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윙운동 시에 가압을 해제하되, 가압해제가 완속(緩速)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145)가 상기 플런저(146)를 배출하면서 상기 제2시프트(142)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복귀동작 시에는 상기 플런저의 배출을 급속(急速)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즉, 복귀동작이 빠르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저항요소(10)의 돌출 형성을 더욱 확고히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동 장치에서 상기 커터(43)의 칼날은 일측이 절개된 외경사부(143a)를 구비함으로써, 절개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특히 저항요소(10)의 들림동작 시 보다 확실하게 저항요소(10)가 높게 들려 돌출되게 하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제2구동수단(42)에서 상기 탄성스프링(144)이 장력과 실린더(145)의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완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스윙운동에 이은 실린더(145)의 강한 가압으로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복귀동작에 의하여 더욱 현저하게 부각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외경사부(143a)를 갖는 커터(43)의 칼날의 호선 궤적이 양경사부를 갖는 커터(43)의 칼날의 호선 궤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저항요소(10)의 두께가 더 두꺼워짐으로써(즉, 보다 깊이 절개됨으로써) 상기 제2스윙운동 내지 복귀동작에 의한 들림현상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경사부(143a)를 갖는 칼날을 도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외이어 가공장치는 저항요소(10)가 와이어(W)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에서 상기 제1스윙운동에 의한 상기 커터(43)의 칼날과 상기 와이어(W)의 접촉 시 칼날의 진입 각도(43a; 입사각)는
25˚ 내지 5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로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진입각도(43a)를 갖으면서 상기 칼날이 상기 와이어(W)를 부분 절개하고 저항요소(1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항요소(10)는 수술 시 충분한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길이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에서 상기 제1스윙운동에 의한 상기 커터(43)의 칼날과 상기 와이어(W)의 접촉 후 와이어(W)의 부분 절개 시 상기 칼날의 진입 깊이(43b)는
와이어(W)의 직경 대비 20% 내지 70%의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와이어(W)의 직경 대비 30% 내지 60%의 깊이로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의 깊이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의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터(43)에 구비된 칼날의 진입 깊이(43b)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수술용 와이어는 저항요소(10)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술 등에 사용 시에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에서 상기 지지부(3)는 상기 서포트프레임(31) 상부에 이격 배열되어 서포트프레임(31)과의 사이에 와이어(W)를 개재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가압체(13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체(131)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보조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132)와 상기 실린더(132)에 일부가 내장되어 승하강 하는 가압봉(13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는 와이어(W) 공급 시나 후술하는 와이어(W) 회전 시에 상기 가압봉(133)을 상기 실린더(132)에 내장하고,
와이어(W) 가공 시에는 상기 가압봉(133)이 하강하여 와이어(W)를 가압하여 고정 지지함으로써, 상기 커팅부(4)의 저항요소(10) 형성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4)는 상기 제1스윙운동과 제2스윙운동 및 복귀동작이 완료되면, 커팅부(4)의 스윙복귀가 이루어지면서(즉, 도 4에서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면서) 소정 간격 이동한 후에 상기 저항요소(10) 형성 가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에 의하여 가공된 수술용 와이어는 균일하게 이격(10A)하여 배열된 저항요소(10)를 구비하게 되면서, 상기 와이어(W)의 외주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는 저항요소그룹(11)(12)을 형성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에 의하여 가공된 와이어를 도시 각을 달리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와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에 의하여 가공된 와이어의 활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와 요부 확대도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에 의하여 가공되는 수술용 와이어는 상기 저항요소그룹이 둘 이상 형성되고, 이 저항요소그룹들은 와이어(W)의 외주방향에 상호 이격(10B) 형성될 수 있다.
둘 이상 형성되는 저항요소그룹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수술용 와이어는 봉합 수술이나 주름 제거 등의 성형 수술에서 보다 확고하게 피부 조직을 고정 시켜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은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팅부(4)가 제1저항요소그룹(11)의 가공을 완료하면,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은 하강하고,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 클램프(137)는 상기 와이어(W)가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일방향 회전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이 다시 상승하여 상기 와이어(W)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체(131)는 가압봉(133)을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W)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4)는 상기 가압체(131)와 서포트프레임(31) 및 클램프(137)의 일련의 동작 수행 중에 가공 전의 시작위치로 원상 복귀하고, 상기 일련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술한 저항요소(10) 가공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제2저항요소그룹(1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저항요소그룹은 둘 이상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W)의 굵기를 감안하면 상기 저항요소그룹은 두 그룹으로 이루어지져 저항요소가 나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요소그룹(11)(12) 상호간의 외주방향 이격 거리(10B) 즉 상기 클램프(137) 및 상기 와이어(W)의 회전 각도는 약 80˚내지 약1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상기 회전 각도는 약 90˚내외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는 어느 한 저항요소그룹(11)의 저항요소(10)와, 이와 인접한 다른 저항요소그룹(12)의 저항요소(10)는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저항요소그룹(11)을 형성한 후 상기 커팅부(4)의 시작 위치 복귀 시 본래의 시작위치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로 복귀하게끔 셋팅함으로써,
상기 제1저항요소그룹(11)의 저항요소(10)와 상기 제2저항요소그룹(12)의 저항요소(10)는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수술용 와이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엇갈리는 저항요소(10)로 이루어진 각각의 저항요소그룹(11)(12)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봉합 수술 또는 주름 제거 수술 등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장치는 상기 저항요소(10) 상호간의 이격거리(10A)를 약 2mm 정도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저항요소그룹(11)의 저항요소(10)와 상기 제2저항요소그룹(12)의 저항요소(10)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약 1mm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저항요소그룹(11) 가공 시 상기 컷팅부의 시작 위치와 상기 제2저항요소그룹(12) 가공시 상기 컷팅부의 시작 위치는 상호 약 1m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요소(10)간의 이격거리는 일반적으로 주름 제거 성형 수술 등에 사용되는 100mm 내지 200mm 길이를 갖는 수술용 와이어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써, 당업자에 의하여 와이어(W)의 총 길이 또는 굵기 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효과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는 상기 커팅부(4)를 두 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W) 가공 장치에서 상기 컷팅부(4)는 제1컷팅부와,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고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커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술한 저항요소(10) 형성 및 저항요소그룹(11)(12)의 형성을 동일하게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는 하나의 커팅부(4)로 저항요소그룹(11)(12)이 형성되는 와이어보다 두 배 이상의 길이(200mm 내지 400mm)를 갖는 와이어 및 서포트프레임(31)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와이어(W)의 일측에 제1커팅부에 의한 상기 제1, 제2저항요소그룹(11)(12)의 형성을 완료한 후
제2커팅부가 상기 와이어(W)의 타측에 다른 제1, 제2저항요소그룹(11)(1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W) 가공 장치에 의하여 와이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저항요소부(15)와 와이어의 타측에 형성된는 제2저항요소부(16) 상호간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저항요소(10)가 구비되지 않는 약 20mm 길이의 평탄부(17)를 갖고,
상기 와이어(W)의 양 말단 즉, 상기 제1저항요소부(15)가 형성된 일측 말단과 상기 제2저항요소부(16)가 형성된 타측 말단에는 소정 간격 저항요소(10)가 구비되지 않는 결속부(18)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의 평탄부(17)를 중심으로 와이어(W)를 절곡시켜 상기 결속부(18)를 매듭짓게 되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1커팅부 및 제2커팅부에 의하여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저항요소(10) 내지 저항요소그룹(11)(12)이 일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수술 시 수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매듭으로 결속된 와이어(W2)로 인하여 더욱 단단한 장력을 유지하고 다수의 저항요소(10)가 밀집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술 후의 피부 조직 고정 지지력 내지 견인력 등을 더욱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와이어 가공 장치의 제어수단, 동력 수단, 위치 조절 수단, 마이컴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이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 구성 및 구조를 갖는 와이어 가공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 : 와이어 W2 : 매듭으로 결속된 와이어
1 : 와이어 공급부 2 : 와이어 배출부
3 : 지지부 4 : 컷팅부
5 : 고정부
10 : 저항요소 11 : 제1저항요소그룹
12 : 제2저항요소그룹 15 : 제1저항요소부
16 : 제2저항요소부 17 : 평탄부
18 : 결속부
31 : 서포트프레임 41 : 제1구동수단
42 : 제2구동수단 43 : 커터
131 : 가압체 133 : 가압봉
141 : 제1시프트 141a : 제1스윙축
142 : 제2시프트 142a : 제2스윙축
144 : 탄성스프링 145 : 실린더
146 : 플런저

Claims (7)

  1. 와이어(W);
    상기 와이어(W)를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31)을 포함하는 지지부(3);
    가공되는 와이어(W)의 양단을 긴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5); 및
    상기 와이어(W)를 횡방향으로 부분 절개하는 커터(43) 및 커터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커팅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팅부(4)의 구동수단은
    상기 커터(43)의 칼날이 와이어(W)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접촉한 후 호선(弧線) 형태의 궤적을 이루며 제1스윙운동을 하도록 움직여 와이어(W)에 저항요소(10)들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구동수단(41)과,
    제1구동수단(41)에 의하여 커터(43)의 칼날이 와이어(W)를 부분 절개한 종료지점에서 상기 커터(43)의 칼날이 제1스윙운동과 반대방향으로 제2스윙운동을 하도록 움직여 저항요소(10)를 돌출시키도록 들림(pick-up)동작을 일으키는 제2구동수단(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41)은 제1스윙축(141a)과, 상기 제1스윙축(141a)을 중심으로 제1스윙운동 하는 제1시프트(141)로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수단(42)은 상기 제1시프트(141)와 결합되어 제1스윙운동 시 일체화되어 스윙되면서 제1스윙운동 완료 후 제1시프트(141)와 별도로 제2스윙운동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시프트(141)에 제2스윙축(142a)으로 편심되도록 힌지 결합하고, 상기 커터(43)를 구비한 제2시프트(142)를 포함하여,
    상기 제1스윙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시프트(141) 및 제2시프트(142) 모두가 스윙운동하면서 상기 제2시프트(142)에 구비된 커터(43)가 호선 형태로 스윙하여, 상기 커터(43)의 칼날이 상기 와이어(W)를 횡방향으로 부분 절개하여 저항요소(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스윙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수단(42)에 의하여 상기 제2시프트(142)가 제2스윙운동을 하면 칼날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항요소(10)가 들려지면서 상기 저항요소(10)가 상기 와이어(W)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42)은
    일측이 상기 제2시프트(142)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시프트(141)에서 상기 제1시프트(141)의 스윙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지지대와 연결되는 탄성스프링(144)과,
    상기 제1시프트(141)와 연결된 실린더(145)와, 일측이 상기 실린더(145)에 내장되어 입출되고 타측이 상기 제2시프트(142)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플런저(146)을 포함하여,
    제2스윙운동 외의 동작 중에는, 상기 실린더(145)가 상기 제2스윙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146)를 밀어 상기 제2시프트(142)와 상기 제1시프트(141)가 접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145)가 상기 플런저(146)를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스프링(144)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2시프트(142)의 제2스윙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윙운동 시에, 상기 실린더(145)는 상기 플런저(146)의 가압해제가 완속(緩速)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145)가 상기 플런저(146)을 배출하면서 상기 제2시프트(142)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복귀동작 시에, 상기 실린더(145)는 상기 플런저(146)의 배출이 급속(急速)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는 서포트프레임(31) 상부에 이격 배열되어 서포트프레임(31)과의 사이에 와이어(W)를 개재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가압체(1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4)의 커터(43)는 와이어(W)에 이격 형성된 저항요소(10)들이 종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는 저항요소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저항요소그룹은 와이어(W)의 외주방향에 상호 이격 형성된 둘 이상의 저항요소그룹(11)(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는 와이어(W)의 양단을 고정하는 두 클램프(137)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137)는 상기 와어어(W)가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일방향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어느 한 저항요소그룹(11)의 저항요소(10)와, 이와 인접한 다른 저항요소그룹(12)의 저항요소(10)는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KR1020130120577A 2012-10-12 2013-10-10 와이어 가공 장치 KR101611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3395 2012-10-12
KR1020120113395 2012-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41A KR20140047541A (ko) 2014-04-22
KR101611878B1 true KR101611878B1 (ko) 2016-04-26

Family

ID=5065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577A KR101611878B1 (ko) 2012-10-12 2013-10-10 와이어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8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916A2 (en) * 2010-04-29 2011-11-10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High-density self-retaining sutures,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916A2 (en) * 2010-04-29 2011-11-10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High-density self-retaining sutures,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41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8700B (zh) 在缝合线上形成倒刺的系统和方法
US96036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dental cleaner
KR101581865B1 (ko)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봉합사 제조 방법
KR101926311B1 (ko) 사출 후 수중 연신하여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개선한 의료용 봉합사 제조방법
CN1535229A (zh) 钢筋捆扎器
KR102167098B1 (ko) 봉합사용 프레스 성형장치
KR102237586B1 (ko)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
WO2016016722A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hair implantation
JP2010259788A (ja) テーパ付きループ型縫合糸を製作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20022360A (ko)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봉합사
KR101835571B1 (ko)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EP3209219B1 (en) Suture having a restraining element at an end and method of forming a suture
KR101611878B1 (ko) 와이어 가공 장치
KR101616541B1 (ko) 와이어 가공 장치
KR101611880B1 (ko) 와이어 가공 장치
JP5184847B2 (ja) 医療用縫合針の曲げ加工装置
KR101655943B1 (ko) 형상 기억 생체 흡수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의료용 매선로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와 그 제품
CN101422295B (zh) 旋转刷卷绕装置以及旋转刷制造设备
KR101781268B1 (ko) 돌기를 가진 매선로프 제조장치
KR101349210B1 (ko) 질 성형 임플란트용 시술 도구
KR20130087601A (ko)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JP4037653B2 (ja) 回転ブラシの製造方法と装置
JP3981290B2 (ja) 回転歯ブラシ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328878B2 (ja) スライス肉片の移送装置
KR101609315B1 (ko) 수술용 봉합사 코그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