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265B1 - 천정 드릴링 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드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265B1
KR101835265B1 KR1020170024446A KR20170024446A KR101835265B1 KR 101835265 B1 KR101835265 B1 KR 101835265B1 KR 1020170024446 A KR1020170024446 A KR 1020170024446A KR 20170024446 A KR20170024446 A KR 20170024446A KR 101835265 B1 KR101835265 B1 KR 101835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anchor
fixing means
upper fixing
hammer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980A (ko
Inventor
최태원
Original Assignee
최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원 filed Critical 최태원
Publication of KR2018000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4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with special provision to enable the machine or the drilling or boring head to be moved into any desired position, e.g. with respect to immovabl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03Drilling machine situated underneath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천정 드릴링 장치가 개시된다. 천정 드릴링 장치는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탑재되며, 승하강이 가능한 지주 부재; 상기 지주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지주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상부 고정 수단;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일 면에 결합되며, 천정에 천공 공정을 수행하는 헤머 드릴 부재;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타 면에 결합되며, 상기 천정의 천공에 앙카를 삽입하는 앙카 삽입 부재; 및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을 회전시키는 헤드부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정 드릴링 장치{apparatus for drilling on the ceil}
본 발명은 천정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천정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 상하수도 공급 배관, 가스 배관 등을 현수시키기 위해 천정에 구멍을 뚫고, 앵커를 삽입하는 천정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와 같은 집합 건물의 각각의 가정 또는 개별 호실에 전기, 가스, 및 상/하수를 공급/배출하기 위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부(14)에 전등(11), 배관(10, 12), 케이블 트레이 등을 현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전등(11), 배관(10, 12), 케이블 트레이 등을 현수시키기 위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는 천정부(14)에 나선 볼트 부재(13)을 고정시켜야 한다. 나선 볼트 부재(13)를 천정부(14)에 고정시키는 작업은 도 15에 도시한 순서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먼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천정부의 정해진 위치에 햄머드릴로 구멍을 뚫고, 구멍 내의 먼지(시멘트 파편 등)를 깨끗이 제거한다. 천공된 구멍에 앵커(15)를 삽입하고, 나선 볼트 부재(13)를 앵커(15)내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도 16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부분에 나선 볼트 부재(13)을 고정시키는 작업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터널, 등의 천정은 바닥으로부터 약 2.5~10m의 높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설 작업대(20)을 설치하고 가설 작업대 위에서, 작업자가 햄머 드릴(21)로 천정(14)에 구멍을 뚫는 천공 작업을 수행한다. 천정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드릴이 아닌 주기적으로 타격되는 햄머 드릴(21)을 사용하게 된다.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천정을 향해 천공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벽면 또는 바닥면을 천공 작업에 비해 매우 힘든 작업이다. 또한, 작업자의 얼굴로 천공 시에 콘크리트 파편 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보안경을 필수적으로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가설 작업대(20)가 넓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가설 작업대(20) 위에서 천정 부분에 천공하는 구멍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고, 다른 부분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가설 작업대(20) 위에서 내려와서, 가설 작업대(20)를 이동하여 고정시켜야 하고, 다시 작업대 위로 올라가서 천공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 2인이 1일 동안 할 수 있는 천공 구멍의 개수가 불과 100~150 개에 불과하다.
상술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13777호에는 천정 앙카 드릴작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에 개시된 기술내용은 작업성, 이동성은 어느 정도 개선된 것으로 판단되나, 천정에 고정 및 천공 작업의 정확성 등의 작업 안전성에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천정에 드릴작업 장치가 고정되지 않고, 드릴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정확한 천공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드릴로 천공 작업 후에 앙카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장치를 하강시켜야 하며, 그로 인해 천공된 위치에 앙카를 삽입하는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드릴 및 앙카 삽입 작업 도중에 장치가 넘어질 염려가 있다. 작업 도중 장치가 넘어진다면, 작업자의 안전에 상당한 위험이 있다. 또한, 한 곳의 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장치를 수동으로 접어야 하고, 청소기 등을 분리하지 않으면, 안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 선정이 용이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KR10-2012-0011377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물의 천정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트레이. 상하수도, 가스 배관 구조물, 소방 방재용 배관 구조물 등을 현수시키기 위한 천정에 천공 작업, 앵커 삽입 및 나선 볼트를 고정시키기에 효과적인 천정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기술에서 천정에 천공 작업, 앵커 삽입 및 나선 볼트 부재를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가설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천정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식 장치에 의해 드릴링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인건비를 절약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천정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는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탑재되며, 승하강이 가능한 지주 부재; 상기 지주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지주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상부 고정 수단;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일 면에 결합되며, 천정에 천공 공정을 수행하는 헤머 드릴 부재;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타 면에 결합되며, 상기 천정의 천공에 앙카를 삽입하는 앙카 삽입 부재; 및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을 회전시키는 헤드부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머 드릴 부재는 드릴 비트; 상기 드릴 비트를 구동시키는 헤머 드릴 본체부; 및 상기 헤머 드릴 본체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 삽입 부재는 앙카 부재; 상기 앙카 부재를 구동시키는 앙카 삽입 본체부; 및 상기 앙카 삽입 본체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일 면에는 상기 헤머 드릴 본체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타 면에는 상기 헤머 드릴 본체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머 드릴 부재는, 상기 드릴 비트의 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드릴 비트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천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 집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앙카 삽입 부재는, 상기 앙카 부재의 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앙카 부재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천정의 천공에 앙카를 삽입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 집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은 상기 헤드부 회전 수단에 대해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상단에 제공되며, 상기 상부 고정 수단에 대해 승하강이 가능하며, 그 상단이 천정에 지지되어 상기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을 상기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는 천정에 천공 작업, 앵커 삽입 및 나선 볼트 부재를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가설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는 기계식 장치에 의해 드릴링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 또는 반 자동화된 장치에 비해 드릴링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인건비를 절약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천정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정 드릴링 장치를 이용한 드릴링 작업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천정 드릴링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베이스 부재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지주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압력 제공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 흡입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를 사용하여 천정에 천공 작업 및 앙카 삽입 작업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현재 집합 건물의 천정부에 현수되어 있는 배관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나선 볼트 부재가 고정된 부분(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A 부분에 나선 볼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A 부분을 작업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천정 드릴링 장치를 이용한 드릴링 작업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천정 드릴링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천정 드릴링 장치(1000)는 천정을 구성하고 있는 콘크리트 부재(14)에 헤머 드릴에 의한 구멍을 뚫는 천공 작업, 천공 작업 후의 뚫린 구멍의 먼지 제거 작업, 앵커 삽입 동작, 및 나선 볼트 삽입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천정 드릴링 장치(1000)는 천정에 천공 작업 및 앙카 삽입 작업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한 곳의 작업이 완료된 후에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의 경우, 도 1과 같이, 헤드부(300)가 접힌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위치로 이동 후, 도 2와 같이 헤드부(300)를 펼쳐진 상태에서 천공 작업 및 앙카 삽입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천정 드릴링 장치(100)는 베이스 부재(100), 지주 부재(200), 헤드부(300), 공기 압력 제공 부재(400), 및 먼지 흡입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는 지주 부재(200), 헤드부(300), 공기 압력 제공 부재(400), 및 먼지 흡입 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는 부재로 제공된다.
도 4는 도 3의 베이스 부재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00)의 하단에는 구름 부재(110)가 제공된다. 구름 부재(110)는 베이스 부재(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일 예에 의하면 바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00)의 일 측부에는 바닥 위치 고정 부재(120)가 제공된다. 바닥 위치 고정 부재(120)는 그 끝단이 바닥에 지지되어 베이스 부재(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베이스 부재(100)의 이동 시 바닥 위치 고정 부재(120)는 바닥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100)의 타 측부에는 제어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주 부재(200)의 승하강, 헤드부(300), 공기 압력 제공 부재(400), 그리고 먼지 흡입 장치(5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100)의 상단에는 가이드 부재(140)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는 지주 부재(200)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베이스 부재(100)의 내측에는 공기 압력 제공 부재(400)와 먼지 흡입 부재(500)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공기 압력 제공 부재(400)와 먼지 흡입 부재(500)는 베이스 부재(100)의 내측 바닥면에 적재된다.
도 5는 도 3의 지주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주 부재(200)는 그 하단이 베이스 부재(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단이 베이스 부재(100)의 상부로 돌출된다. 지주 부재(2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주(210, 220)의 결합으로 제공되며, 상단에 제공된 제2지주(220)가 하단에 제공된 제1지주(210)에 삽입된 구조로 결합된다. 제1지주(210)는 베이스 부재(100)에 내에서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 부재(100)에 체결된다. 제2지주(220)는 제1지주(210)에 삽입되며, 제1지주(210)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지주(220)는 유압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지주(220)는 와이어, 스크류,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승하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지주 부재(200)는 두 개의 지주(210, 220)가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천정 높이에 따라 더 많은 지주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300)는 지주 부재(200)의 상단에 설치된다. 헤드부(300)는 지주 부재(2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도 1의 접힘 상태와 도 2의 펼침 상태로 회동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헤드부(300)는 헤머 드릴 부재(310), 앙카 삽입 부재(320), 고정 지주 부재(330), 그리고 헤드부 회전 부재(340)를 포함한다.
고정 지주 부재(3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으로,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고정 지주 부재(330)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지주 부재(330)는 그 하단이 헤드부 회전 부재(340)에 힌지 결합한다. 고정 지주 부재(330)는 헤드부 회전 부재(340)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이에 의해 헤드부(300)가 지주 부재(20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고정 지주 부재(330)의 상단에는 상부 고정 수단(331)이 제공된다. 상부 고정 수단(331)은 고정 지주 부재(330)에 대해 승하강이 가능하며, 헤드부(300)를 천정에 고정시킨다. 상부 고정 수단(331)은 상단이 뾰족하게 제공되거나, 마찰력이 높은 탄성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부 고정 수단(331)은 복수 개의 못 또는 스파이크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 고정 수단(331)은 고무로 제공될 수 있다. 헤드부(300)가 천정에 가까이 위치하면, 상부 고정 수단(331)이 고정 지주 부재(330)에 대해 상승하여 상단이 천정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헤머 드릴 부재(310) 또는 앙카 삽입 부재(320)가 구동하더라도 헤드부(300)가 안정적으로 천정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헤머 드릴 부재(310)는 고정 지주 부재(330)의 일 측면에 고정 결합하고, 앙카 삽입 부재(320)는 고정 지주 부재(330)의 타 측면에 고정 결합한다. 즉, 헤머 드릴 부재(310)와 앙카 삽입 부재(320)는 고정 지주 부재(330)를 사이에 두고 고정 지주 부재(330)에 고정 결합한다.
헤머 드릴 부재(310)는 승하강 부재(311), 헤머 드릴 본체부(313), 먼지 흡입 포트(315), 먼지 집진 부재(317), 드릴 비트(319)를 포함한다.
승하강 부재(311)는 고정 지주 부재(330)에 고정 결합되며, 헤머 드릴 본체부(313)를 승하강시킨다. 실시 예에 의하면, 승하강 부재(311)는 유압에 의해 헤머 드릴 본체부(313)를 승하강시킨다. 이와 달리, 승하강 부재(311)는 와이어, 스크류,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헤머 드릴 본체부(313)를 승하강할 수 있다.
헤머 드릴 본체부(313)는 가이드 부재(314)에 의해 고정 지부 부재(330)에 결합되며, 승하강 부재(311)의 구동으로 가이드 부재(314)를 따라 승하강된다. 가이드 부재(314)는 고정 지주 부재(330)의 양 측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제공된다. 헤머 드릴 본체부(313)의 내부에는 드릴 비트(319)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이 제공된다.
드릴 비트(319)는 헤머 드릴 본체부(313)의 상단부에 삽입된다. 드릴 비트(319)는 헤머 드릴 본체부(31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천정에 천공 작업을 수행한다.
드릴 비트(319)의 주변에는 먼지 집진 부재(317)가 제공된다. 먼지 집진 부재(317)는 천공 작업 시 드릴 비트(319) 주변으로 비산되는 먼지를 모아준다. 실시 예에 의하면, 먼지 집진 부재(317)는 컵 형상을 가지며, 중심 영역에 드릴 비트(319)가 위치한다. 먼지 집진 부재(317)에 모인 먼지 또는 시멘트 가루는 흡입 포트(315) 및 플렉시블 관(510)을 통해 후술하는 진공 흡입 부재(500)에 흡입된다.
앙카 삽입 부재(320)는 천공 작업이 완료된 천정에 앙카를 삽입한다. 앙카는 앙카 볼트 또는 앙카 볼트와 앙카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앙카 삽입 부재(320)는 승하강 부재(321), 앙카 삽입 본체부(323), 먼지 흡입 포트(미도시), 먼지 집진 부재(327), 그리고 앙카 부재(329)를 포함한다.
승하강 부재(321)와 앙카 삽입 본체부(323), 먼지 흡입 포트, 그리고 먼지 집진 부재(327)는 헤드 드릴 부재(310)의 승하강 부재(311), 헤머 드릴 본체부(313), 먼지 흡입 포트(315), 먼지 집진 부재(317)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앙카 부재(329)는 앙카 삽입 본체부(323)의 상단에 위치하며, 회전 구동되어 천공 작업으로 형성된 천정 홀에 앙카를 삽입한다.
헤드부 회전 부재(340)는 고정 지주 부재(330)의 하단에 위치하며, 고정 지주 부재(330)의 길이 방향, 즉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고정 지주 부재(330)를 회전시킨다. 실시 예에 의하면, 헤드부 회전 부재(340)는 180° 각도로 고정 지주 부재(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 지주 부재(330)를 기준으로 헤머 드릴 부재(310)와 앙카 삽입 부재(320)의 위치가 교체된다. 즉, 헤머 드릴 부재(310)가 위치했던 지점에 앙카 삽입 부재(320)가 위치하게 된다. 때문에, 천공 작업을 한 지점에 앙카 삽입 부재(320)가 위치하게 되므로, 천공 공정 후 앙카 삽입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천공 공정 후 앙카 삽입 공정을 위해 천정 드릴링 장치(1000)의 이동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의하면, 헤드부 회전 부재(340)은 제2지주(22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압력 제공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압력 제공 부재(400)은 상술한 제 2 지주(2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 헤드부(300)의 헤머 드릴 본체부(313)와 앙카 삽입 본체부(323)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에 공기 압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시적으로 통상의 에어 컴프레서가 사용되었으나, 동일한 또는 유사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 흡입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지 흡입 부재(500)는 천공 작업 또는 앙카 삽입 작업 시에 발생하는 먼지가 비산되지 않도록 모으는 먼지 집진 부재(317, 327)에 모인 먼지를 흡입 포트(315) 및 플렉시블 관(510)을 통해 진공 압력으로 빨아들인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1000)을 사용하여 천정에 천공 작업 및 앙카 삽입 작업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를 이용하여 천정에 천공 작업 및 앙카 삽입 작업을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천정에 구멍을 뚫는 천공 작업을 위해 천정 드릴링 장치(1000)를 선정된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 2 지주(220)를 상승시키고, 상부 고정 수단(331)이 천정의 콘크리트(14)에 닿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베이스 부재(100)의 측면에 제공된 바닥 위치 고정 부재(120)을 하강시켜, 작업 중 천정 드릴링 장치(1000)가 넘어지지 않도록 베이스 부재(100)를 바닥에 고정시킨다.
바닥 위치 고정 부재(120)가 선정된 위치에 고정되면, 헤머 드릴 본체부(313)을 상승시켜 드릴 비트(319)가 선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그 후, 헤머 드릴 본체부(313)를 구동시켜 천공 작업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속도로 헤머 드릴 본체부(313)를 상승시킨다. 이 때. 천공 작업 시, 진공 흡입 부재(500)를 동시에 동작하여 비산되는 먼지를 진공 흡입 부재로 모은다. 천공 작업 시 천공 깊이 등은 사전에 정해져 있고, 따라서, 헤머 드릴 본체부(313)의 상승 높이도 사전에 정해질 수 있다.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헤머 드릴 본체부(313)를 하강시킨다. 그 다음, 헤드부(300)을 180도 회전시켜, 헤머 드릴 부재(310)의 위치에 앙카 삽입 부재(320)가 위치하도록 한다.
천공된 구멍에 셋트 앙카가 장착된 앙카 삽입 본체(323)를 상승시키고, 셋트 앙카를 천공된 구멍에 삽입시키기 위해 앙카 삽입 본체(323)를 작동시킨다. 셋트 앙카 삽입 장착이 완료되면, 앙카 삽입 본체(323)를 하강시킨다.
그 후, 제 2 지주(220)를 하강시켜 천정 드릴링 장치(10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바닥 위치 고정 부재(120)을 상승시켜 바퀴를 이용하여 천정 드릴링 장치(10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위치가 근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2 지주 부재(220)를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하강시키지 않고, 헤드부(300)만 접힘 상태로 회동시켜 장애물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고,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안전을 위해 제 2 지주(220)를 최대로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동차 등으로 원거리 이동하는 경우에는 헤드부(300)을 제 2 지주(220)로부터 분리시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1000)을 사용한다면, 기존의 수작업에 비해 월등한 속도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종래의 수동의 드릴링 작업에 비해 대략 10 내지 15 배의 작업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1000)는 가설 작업대의 설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또한, 천정 높이까지 승하강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 위로 올라가고 내려오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수작업에 의존하던 드릴링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드릴링 장치(1000)는 월등한 작업 속도, 작업 효율,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인건비 및 작업자의 안전적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0: 천정 드릴링 장치
100: 베이스 부재
200: 지주 부재
300: 헤드부
310: 헤머 드릴 부재
320: 앙카 삽입 부재
330: 고정 지주 부재
340: 헤드부 회전 부재
400: 공기 압력 제공 부재
500: 먼지 흡입 부재

Claims (5)

  1.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탑재되며, 승하강이 가능한 지주 부재;
    상기 지주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지주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상부 고정 수단;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일 면에 결합되며, 천정에 천공 공정을 수행하는 헤머 드릴 부재;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타 면에 결합되며, 상기 천정의 천공에 앙카를 삽입하는 앙카 삽입 부재; 및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을 회전시키는 헤드부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머 드릴 부재는
    드릴 비트;
    상기 드릴 비트를 구동시키는 헤머 드릴 본체부;
    상기 헤머 드릴 본체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부재; 및
    상기 드릴 비트의 주변 둘레를 따라 상기 드릴 비트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천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 집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 삽입 부재는
    앙카 부재;
    상기 앙카 부재를 구동시키는 앙카 삽입 본체부;
    상기 앙카 삽입 본체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부재;
    상기 앙카 부재의 주변 둘레를 따라 상기 앙카 부재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천정의 천공에 앙카를 삽입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 집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일 면에는 상기 헤머 드릴 본체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타 면에는 상기 헤머 드릴 본체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은 그 하단이 상기 헤드부 회전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 회전 부재에 대해 회동하여 상기 지주 부재의 길이 방향과 동일 축상에 위치하는 펼쳐진 상태와 상기 지주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접혀지는 접힘 상태 간에 변경이 가능한 천정 드릴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의 상단에 제공되며, 상기 상부 고정 수단에 대해 승하강이 가능하며, 그 상단이 천정에 지지되어 상기 상기 상부 고정 수단을 상기 천정에 고정시키는 천정 드릴링 장치.
KR1020170024446A 2016-07-01 2017-02-24 천정 드릴링 장치 KR101835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271 2016-07-01
KR20160083271 2016-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80A KR20180003980A (ko) 2018-01-10
KR101835265B1 true KR101835265B1 (ko) 2018-03-08

Family

ID=609985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46A KR101835265B1 (ko) 2016-07-01 2017-02-24 천정 드릴링 장치
KR1020170024448A KR20180003981A (ko) 2016-07-01 2017-02-24 천정 드릴링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48A KR20180003981A (ko) 2016-07-01 2017-02-24 천정 드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352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19B1 (ko) * 2020-01-07 2020-05-27 대명지이씨(주) 천정 시공 로봇
KR20200002092U (ko) * 2020-05-28 2020-09-23 문춘호 타공장치
KR20210056621A (ko) 2019-11-11 2021-05-20 박배승 천정 드릴링 장치
KR20210119683A (ko) 2020-03-25 2021-10-06 김한택 천정 슬라브 드릴링 장치
WO2022012262A1 (zh) * 2020-07-17 2022-01-20 智建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定位钻孔及锚栓固定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12B1 (ko) * 2019-05-24 2020-01-28 허만일 앙카의 시공이 용이한 앙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앙카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69B1 (ko) * 2004-11-26 2005-05-18 합자회사 동화 천장면용 천공기
JP3789562B2 (ja) * 1996-08-12 2006-06-28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9562B2 (ja) * 1996-08-12 2006-06-28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装着装置
KR100490469B1 (ko) * 2004-11-26 2005-05-18 합자회사 동화 천장면용 천공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621A (ko) 2019-11-11 2021-05-20 박배승 천정 드릴링 장치
KR102115219B1 (ko) * 2020-01-07 2020-05-27 대명지이씨(주) 천정 시공 로봇
KR20210119683A (ko) 2020-03-25 2021-10-06 김한택 천정 슬라브 드릴링 장치
KR20200002092U (ko) * 2020-05-28 2020-09-23 문춘호 타공장치
KR200495185Y1 (ko) * 2020-05-28 2022-03-25 문춘호 타공장치
WO2022012262A1 (zh) * 2020-07-17 2022-01-20 智建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定位钻孔及锚栓固定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81A (ko) 2018-01-10
KR20180003980A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265B1 (ko) 천정 드릴링 장치
CN107932052B (zh) 便于对天花板进行打孔和安装膨胀螺栓的设备
KR101381958B1 (ko) 천정 앙카 드릴작업 장치
CN108612332B (zh) 一种建筑墙面无损伤自动处理设备
JP5591369B1 (ja) 耐震補強工事施工方法及び耐震補強工事用ゴンドラ装置
CN103521807A (zh) 一种可升降激光定位高空间吊杆打孔安装装置及操作方法
CN110154247B (zh) 一种具有吸尘功能的墙体打孔装置
KR102412165B1 (ko) 천정 드릴링 장치
KR20070026763A (ko) 천장 앵커볼트공 천공장치
CN112326328A (zh) 一种建筑工程用的公路取样装置
JP2006312215A (ja) 穿孔装置
KR100967959B1 (ko) 드릴 머시인을 이용한 집진겸용 천공기
US20200189011A1 (en)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eifs panels
CA2401675A1 (en) Concrete drill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677173B1 (ko) 분진 포집 기능을 갖는 코어 드릴 장치
KR102315500B1 (ko)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KR20200002092U (ko) 타공장치
TWI447286B (zh) 一種自走式路面切割裝置及其施工工法
CN214091701U (zh) 一种消防施工用打孔装置
JP2008201075A (ja) 床の穿孔方法及び被穿孔物の受け具
JP6750970B2 (ja) 切削装置、およびその切削方法
JP3789562B2 (ja) アンカー装着装置
KR20230042786A (ko) 천정 천공 장치
JP3177764B2 (ja) 岩石を切断する装置
CN207593715U (zh) 一种可拆卸吊顶钻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