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468B1 -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들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468B1
KR101834468B1 KR1020127029976A KR20127029976A KR101834468B1 KR 101834468 B1 KR101834468 B1 KR 101834468B1 KR 1020127029976 A KR1020127029976 A KR 1020127029976A KR 20127029976 A KR20127029976 A KR 20127029976A KR 101834468 B1 KR101834468 B1 KR 101834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portable compact
compact folding
fold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366A (ko
Inventor
메디 모즈타바비
소랍 보쏘우기
데이비드 랜들 놉
켄 다이링거
Original Assignee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filed Critical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8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4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4Table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2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with a continuous layer allowing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05D11/1021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9Elongate hinges, e.g. piano-hinges

Abstract

시트 또는 테이블로서 조립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10)은 종래의 적재를 위해 구성된다. 접이식 가구 부품은, 장착 구조물(12)에 작동 가능한 연결을 위해 구성된 물체 지지 어셈블리(24)를 포함하고, 지지 장착부(36), 관절식 척추형 컬럼(26), 및 지지 베이스(38)를 신축성 있는 장치로서 함께 고정시키는 스프링 메커니즘(40, 42)을 포함한다. 스프링 메커니즘은, 물체 지지 어셈블리가 고정되고 접히지 않은 상태를 띠고, 외부적으로 작용한 굽힘력에 대한 반응으로, 접힌 상태를 띠도록, 신축 특성들을 드러낸다.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척추형 컬럼은 폐쇄된 지지 표면(44)을 제공하도록 대체로 직선적이다. 접힌 상태에서, 척추형 컬럼은 물체가 고정될 수 있는 상승된 개방된 지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곡선적이다. 가구 부품에 대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체는 사람이거나 또는 사물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들 {PORTABLE, COMPACT FOLDING FURNITURE PIECES}
본 출원은 2010년 5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 61/345,854호의 이익을 청구하는 바이다.
저작권 공고
ⓒ 2011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코포레이티드(Aria Enterprises, Inc). 본 특허 명세서의 개시 사항의 한 부분은 저작권 보호에 속하는 자료를 포함한다. 저작권 소유자는, 누구라도 특허청의 특허 파일 또는 기록물에 실린 특허 서류 또는 특허 기술서의 복사에 이의가 없지만, 37 CFR §1.71(d)에 의거하여 무엇이든지 저작권 권리를 갖는다.
본 개시 사항은 가구 부품들(furniture pieces)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컴팩트하고 편리한 시트 또는 테이블 표면 적재(table surface storage)를 장려하는 관절식 척추형 컬럼(articulated vertebral column)으로 각각 조립된 접이식 시트들(folding seats) 및 테이블들에 관한 것이다.
시트 또는 테이블로서 조립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은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다. 접이식 가구 조립품은 장착 구조에 대한 작동 가능한 연결을 위해 구성된 물체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물체 지지 어셈블리는, 지지 장착부, 척추형 컬럼, 및 지지 베이스를 신축성 있는 장치로서 함께 고정하는 지지 장착부, 지지 베이스, 및 스프링 메커니즘 사이에 위치된 관절식 척추형 컬럼을 포함한다. 척추형 컬럼은 다수의 척추형 요소들을 포함한다. 스프링 메커니즘은, 물체 지지 어셈블리가 고정되고 접히지 않은 상태를 띠고, 외부적으로 작용된 굽힘력(bending force)에 대한 반응으로 접히는 상태를 띠도록, 신축 특성(flexibility properties)을 나타낸다.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척추형 컬럼은 폐쇄된 지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대체로 직선적이다. 접힌 상태에서, 척추형 컬럼은, 물체가 고정될 수 있는 상승된 개방된 지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곡선적이다. 가구 부품의 실시예에 따라, 물체는 사람 또는 사물일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진행되는, 선호되는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지 장착부 및 지지 베이스 사이에 위치된 관절식 섹션을 포함하고,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물체 지지 어셈블리(object support assembly)를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folding furniture piece)으로서, 관절식 섹션은 길이가 평행하게 정렬되고 다수의 연결 요소 및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서로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장된 요소를 포함하고; 스프링 메커니즘은, 지지 장착부, 관절식 섹션, 및 지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는 장치를 형성하도록 작동적으로 연결된 연장된 요소와 협력하는 다수의 이격된 스프링 메커니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지지 장착부는 강직한 장착 구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지지 베이스는 마주보는 단부를 갖고,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지지 베이스의 지지 표면이 위치되며, 지지 베이스의 하나의 단부는 관절식 섹션에 연결되고, 지지 베이스의 다른 단부는 지지 표면의 자유 단부를 구성하며; 및 다수의 스프링 메커니즘 구성요소들은, 지지 장착부가 강직한 장착 구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때, 물체 지지 어셈블리가 고정되고 접히지 않은 상태를 띠도록 하되, 이 상태에서 관절식 섹션은 직선적이고, 외부적으로 작용된 굽힘력(bending force)에 대한 반응으로, 접힌 상태를 띠도록 하되, 이 상태에서 상기 관절식 섹션은 장착 구조물로부터 멀리 지지 표면을 위치시키고 이에 따라 물체가 고정될 수 있는 상승된 개방된 지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곡선적인, 신축 특성(flexibility properties)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은 지지 표면에 대해 하드 테이블 톱(hard table top)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 표면에 위치된 쿠션이 없는 표면 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스프링 메커니즘 구성요소들은 다수의 스프링 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스프링 밴드는 두 개의 확장될 수 없는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스프링 매커니즘 구성요소들은 탄성의 변형 가능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관절식 섹션의 다수의 연장된 요소들은, 필수적이며 분산된 스프링 메커니즘을 형성하기 위해, 탄성의 변형 가능한 요소들을 국한시키는 웨브 단면들(web sections)에 의해 상호 연결된 링크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의 변형 가능한 요소들은 탄성 물질의 재료(elastomeric material)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체 지지 어셈블리, 지지 장착부, 지지 베이스, 지지 표면, 및 장착 구조물은, 각각 시트 어셈블리, 시트 장착부, 시트 베이스, 앉는 표면, 및 시트 백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접이식 시트를 이루며, 상기 시트 백은 시트 백 고정 표면을 갖고, 시트 백에 대해 패딩(padding)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백 고정 표면과 시트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된 제1 폼 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시트 베이스는 시트 표면을 갖고, 앉는 표면에 대해 패딩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표면에 위치된 제2 폼 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물체 지지 어셈블리, 지지 장착부, 지지 베이스, 지지 표면, 및 장착 구조물은, 각각 시트 어셈블리, 시트 장착부, 시트 베이스, 앉는 표면, 및 시트 백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접이식 시트를 이루며, 상기 시트 백은 시트 백 장착 표면을 갖고, 고정 위치(stationary location)에 시트 백을 고정하기 위해 강직한 장착 구조물에 결합 가능한(matable) 장착 요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장착 요소 및 강직한 장착 구조물은 시트 백에 대한 경사각(angle of inclination)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한다.
또한, 물체 지지 어셈블리, 지지 장착부, 지지 베이스, 지지 표면, 및 장착 구조물은, 각각 시트 어셈블리, 시트 장착부, 시트 베이스, 앉는 표면, 및 시트 백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접이식 시트를 이루며, 독립 구조형 의자(freestanding chair)를 이루기 위해 시트 어셈블리와 시트 백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의자 다리 세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관절식 섹션의 다수의 연장된 요소들은 길게 평행-정렬된 슬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길게 평행-정렬된 슬레이트는, 빗각을 이룬 단부를 갖는 빗각을 이룬 슬레이트들 및 직각의 모퉁이 단부를 갖는 모퉁이 슬레이트들이 교대 순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수의 연결 요소들은 다수의 연장된 요소들 각각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다수의 구멍들에 각각 고정된 다수의 나사들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연결 요소들은 다수의 스프링 밴드들 각각을 통과하고 다수의 연장된 요소들 각각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다수의 구멍들에 각각 고정된 다수의 나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연결 요소들은 인터록킹 피벗 및 인접한 연장된 요소들 상에 형성된 슬리브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연결 요소들은 인터록킹 피벗 및 관절식 섹션의 인접한 링크상에 형성되는 슬리브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절식 섹션은 지지 베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수평 위치일 때, 지지 베이스가 펼쳐져 있을 때의 상태를 기준으로 180°이하의 각도로 곡선적인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대하여, 시트 또는 테이블로서 조립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으로 인해 편리한 적재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로 도시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시트의 등각 투시도.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접이식 시트의, 각각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시트의 분해 조립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1의 접히지 않은 상태 및 도 2의 접힌 상태에서의 시트 어셈블리의 구조와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시트 어셈블리에서 사용을 위한 빗각을 이룬 척추형 슬레이트(beveled vertebral slat)의, 각각 측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a 및 9B는 시트들이 계단형 바닥 표면(stepped floor surface)에 설치된 경기장(stadium) 또는 영화관 좌석 배열로 설치된,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의 접이식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9c는 도 9a의 접히지 않은 상태이자, 시트 백(seat back)에 힌지-장착된(hinge-mounted) 장착 요소를 포함하는 접이식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로 도시된 독립 구조형(freestanding) 의자로서 대안적인 실시예로 구성되는, 도 1 및 도 2의 접이식 시트에 대한 등각 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0a 및 도 10b의 독립 구조형 의자에 대한 측면도.
도 12는 의자 다리 세트들을 수용하여서, 이에 따라 독립 구조형 의자를 이루기 위한 접이식 시트의 시트 백 폼 층(seat back foam layer) 및 시트 어셈블리 폼 층(seat assembly foam layer)의 변경을 도시하는, 도 10a 및 도 10b의 독립 구조형 의자에 대한 분해 조립도.
도 13은 두 개의 나란한 벽-장착된 접이식 시트들, 즉 접힌 상태로 도시된 좌측 시트 및 접히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 우측 시트의 정면 부분들에 대한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로 도시된 도 13의 벽-장착된 접이식 시트에 대한 측면도.
도 15는 두 개의 나란한 바닥-장착된 접이식 시트들, 즉 접힌 상태로 도시된 좌측 시트 및 접히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 우측 시트의 정면 부분들에 대한 사시도.
도 16은 두 개의 나란한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들, 즉 접힌 상태로 도시된 좌측 테이블 및 접히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 우측 테이블의 정면 부분들에 대한 사시도.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로 도시된 도 16의 하나의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에 대한 측면도.
도 18a, 도 18b,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접이식 시트의 접히지 않은 상태에 해당하는 직선적이며 느슨한 구성, 및 접이식 시트의 접힌 상태에 해당하는 곡선적인 구성으로, 척추형 컬럼의 제1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 쌍들.
도 20a 및 도 20b는 척추형 컬럼의 제1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내부 척추형 링크를 도시하는, 각각의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
도 21a, 도 21b, 도 22a, 및 도 22b는, 각각 도 18a 및 도 18b의 직선적인 구성, 및 도 19a 및 도 19b의 곡선적인 구성으로, 척추형 컬럼의 제1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척추형 링크들의 상호 연결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확대된 단편적인 각각의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 쌍들.
도 23a, 도 23b, 도 24a, 및 도 24b는, 각각 접이식 시트의 접히지 않은 상태에 해당하는 직선적이며 느슨한 구성, 및 접이식 시트의 접힌 상태에 해당하는 곡선적인 구성으로, 척추형 컬럼의 제2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 쌍들.
도 25a 및 도 25b는 척추형 컬럼의 제2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내부 척추형 링크를 도시하는 각각의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
도 26a, 도 26b, 도 27a, 및 도 27b는, 각각 도 23a 및 도 23b의 직선적인 구성, 및 도 24a 및 도 24b의 곡선적인 구성으로, 척추형 컬럼의 제2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척추형 링크들의 상호 연결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확대된 단편적인 각각의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 쌍들.
삭제
도 1 및 도 2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로 도시된 한 선호되는 실시예인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시트(10)의 등각 투시도들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접히지 않은 상태인 접이식 시트(10)에 대한, 각각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접이식 시트(10)는, 시트 백 고정 표면(14), 시트 백 장착 표면(16), 정상 단부(18), 및 바닥 단부(20)를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시트 백(12)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시트 백 폼 층(22)은 접착제(adhesive) 또는 VelcroTM 패브릭 후크 앤 루프 패스너(fabric hook and loop fastener) 재료로, 시트 백 고정 표면(14)의 표면 영역에 접착되어, 이 영역을 덮음으로써, 패드를 댄 시트 백(12)을 제공한다. 시트 어셈블리(24)는 시트 백 폼 층(22)에 위치되고, 바닥 단부(20) 근처의 시트 백(12)에 고정된다. 시트 어셈블리(24)는 시트 백(12)의 길이 보다 더 짧다. 시트 어셈블리(24)는 9개의 길게 평행-정렬된 빗각을 이룬 척추형 요소들 또는 슬레이트들(28b), 및 시트 장착부(36)와 시트 베이스(38) 사이에 위치된 동일 길이의 모퉁이의 척추형 요소들 또는 슬레이트들(28c)의 척추형 컬럼(26)을 포함한다. 빗각을 이룬 척추형 슬레이트들(28b)은 빗각을 이룬 단부들(30b)을 갖고, 모퉁이의 척추형 슬레이트들(28c)은 직각(right-angle)의 모퉁이 단부들(30c)을 갖는다. 척추형 컬럼(26)은 각각의 단부마다 빗각을 이룬 척추형 슬레이트(28b)로 이루어진다. 척추형 컬럼(26)의 단부들 사이에는, 교대 순서(alternating sequence)로 이루어진 빗각을 이룬 척추형 슬레이트들(28b)과 모퉁이의 척추형 슬레이트들(28c)이 들어있어서, 각각의 모퉁이의 척추형 슬레이트(28c)는 두 개의 빗각을 이룬 척추형 슬레이트들(28b) 사이에 위치된다.
도 6은 접이식 시트(10)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1의 접히지 않은 상태 및 도 2의 접힌 상태에서의 시트 어셈블리(24)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하며;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선호되는 치수들(dimensions)로 표기된 빗각을 이룬 척추형 슬레이트(28b)의 몇 가지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1, 도 2, 도 6,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이격된(spaced-apart) 스프링 밴드들(40 및 42)은 시트 장착부(36), 척추형 컬럼(26), 및 시트 베이스(38)를 신축성 있는 장치로서 함께 고정하며, 시트 베이스(38)는 시트 표면(44)을 갖는다. 제2 또는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은 시트 어셈블리(24)의 표면 영역을 덮으며, 시트 어셈블리(24)와 시트 백 폼 층(22) 사이에 인터페이스 층을 이룬다.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은 접착제(adhesive) 또는 VelcroTM 패브릭 후크 앤 루프 패스너 재료로 시트 베이스(38)에 접착되며, 시트 표면(44)을 덮는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의 부분은 점유자(occupant)에게 패드를 댄 시트를 제공한다. 시트 어셈블리(24)는,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 방식으로, 시트 장착부(36)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정렬된 구멍들(52)을 통과하는 4개의 볼트들(50){한 개만 도시됨}에 의해, 시트 백(12),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 및 시트 백 폼 층(22) 내부에 정렬된 직사각형의 개구부들(56) 안의 스페이서 블록들(54) 세트(도 6), 및 시트 백(12)에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접이식 시트(10)는 시트 어셈블리(24)의 구성 요소 부분들에 우선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이것은 척추형 슬레이트들(28b 및 28c)을 서로 평행한(even with one another) 단부들 세트와 교대로 길게 평행-정렬되게 놓음으로써 이루어지며, 척추형 컬럼(26)에 대하여 길이를 따라 직선의 불연속적인 측면 가장자리들(side margins)을 한정한다. 각각의 스프링 밴드들(40 및 42)은, 나사(62)를 수용하도록 위치된 9세트의 두 개씩 이격된 구멍들(60)을 갖고(도 7a 및 도 7b), 이로써 상기 설명된 정렬 구성으로 척추형 슬레이트들(28b 및 28c)을 고정한다. 각각의 스프링 밴드들(40 및 42)은 다수의 세트들의 구멍들(64)을 가지며, 나사들(66)은(도 7a 및 도 7b) 이 구멍들을 통과해 스프링 밴드들(40 및 42)의 단부들을 시트 장착부(36) 및 시트 베이스(38)에 고정하여, 신축성 있는 장치로서의 시트 어셈블리(24)를 이룬다. 각각의 척추형 슬레이트들(28b 및 28c)의 횡단면(cross-sectional) 영역은, 동일 길이의 비 평행인 마주보는 측면들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의 둘레(trapezoidal-shaped perimeter)를 한정한다. 각각의 비 평행 측면들은 사다리꼴의 밑변에 대해 85.5°각{(70), 도 8c}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각{inclination angle(70)}은 기움 각 10°{cant angle(72), 도 9a 및 도 9b}로 이루어진 시트 백(12)과 협력하여 세팅되어서, 접이식 시트(10)가 접힌 상태일 때, 시트 점유자에 대하여 희망하는 대체로 수평이며 상승된 시트 표면(44)을 획득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선호되는 치수들(밀리미터 단위)로 표시되며, 빗각을 이룬 단부들(30b)로 이루어진 빗각을 이룬 척추형 슬레이트(28b)를 도시한다. 모퉁이의 척추형 슬레이트들(28c)은, 모퉁이 단부들(30c)이 사다리꼴 밑변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빗각을 이룬 척추형 슬레이트들(28b)의 치수와 동일한 치수들이다. 척추형 컬럼(26) 내부의 교대 순서로 이루어진 빗각을 이룬 슬레이트들(28) 및 모퉁이 슬레이트들(28c)은, 접이식 시트(10)가 접히지 않은 상태로 느슨해지는 동안, 시트 점유자의 손가락들이 끼이는 것(pinching)을 방지한다.
도 6을 특별히 다시 참조하여, 각각의 시트 백 폼 층(22) 및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에 대한 4개의 직사각형 개구부들(56)은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정렬되어서, 시트 백 폼 층(22)과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의 결합된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해당하는 직사각형의 스페이서 블록들(54)을 수용한다. 4개의 볼트들(50)은 시트 장착부(36) 내부의 구멍들(52), 스페이서 블록들(54), 및 시트 백(12)을 통과하여서, 접이식 시트(10)의 어셈블리를 완성한다. 두 개의 이격된 고무 발들{rubber feet(74)}은 시트 장착부(36)의 바닥 단부에 삽입되어서, 적재부에, 그리고 적재부로부터 운반(transportation) 중에 바닥의 표면 전체에 걸쳐서 끌릴 때, 접이식 시트(10)의 지나친 마모(excessive wear)를 방지한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의, 시트들이 계단형 바닥 표면(90)에 설치된 경기장 또는 극장의 좌석 배열로 설치된 접이식 시트(10)를 도시한다. 접이식 시트(10)의 바닥-접촉 단부(92)는 바닥 부분(94)에 고정되고, 시트 백(12)의 시트 백 장착 표면(16)은 라이저{riser(96)}에 장착된다. 당업자는 접이식 시트(10)가, 예를 들어 블리처 구조물들(bleacher structures)에서 또는 경사진 바닥 표면들(sloped floor surfaces)에서와 같은 다른 줄로 배열된(tiered) 좌석 배열들로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 도 5, 도 9a,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여, 장착 요소(100)는 시트 백 장착 표면(16)에 대해 10°각도(72)로 확장되어서, 10°의 기움 각으로 기울어진 시트 백(12)을 통해 접이식 시트(10)를 라이저(96)에 장착한다. 장착 요소(100)는 고정된 10°의 각도(72)로 바람직하게 세팅된다. 도 9c는 높은 비용의 장착 대안(alternative)을 도시하며, 장착 요소(100)는, 시트 백(12)에 힌지 장착되어서, 장착 요소(100)가, 시트 백 장착 표면(16) 상의 리세스(도시되지 않음)에서의 플러시(flush) 장착 적재부 위치에서부터 10°각도(72)의 작동 위치까지 외부로 선회(pivot)하는 것을 허용한다. 장착 요소(100)는, 각각 시트 백(12)의 바닥 단부(20)에 수직 및 수평으로 향한, 자체에 긴 세그먼트(104) 및 짧은 세그먼트(108)를 구비한 L-형상의 슬롯(102)을 갖는다. 접이식 시트(10)는 바닥 부분(94)을 향해 아랫쪽으로 급경사를 이룰 수 있어서, 슬롯(102)의 긴 세그먼트(104)는 라이저(96)에 앵커되는(anchored) 장착 나사(108)를 수용하고, 이후 슬롯(102)의 짧은 세그먼트(106)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어, 접이식 시트(10)를 적소에 해제 가능하게(releasably) 잠근다. 도 2는, 시트 백 폼 층(22) 및 시트 백(12)에서의, 나사드라이버가, 장착 요소(100)를 통해 라이저(96)로 통과하여, 삽입되어 장착 나사(108)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접근 구멍{access hole(112)}을 도시한다. 도 5는 긴 세그먼트(104)가 짧은 세그먼트(106)의 먼 쪽 단부(distal end)로부터 오프셋(offset)되고, 짧은 세그먼트(106)의 먼 쪽 단부는 시트 백(12)의 세로 중앙 선{longitudinal center line(110)}에 따라 정렬되어서, 접이식 시트(10)가 적소에 잠금되어 있을 때, 장착 나사(108)가 중앙 선(110)을 따라 위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10°의 베벨 각{bevel angle(114)}으로 기울어진 바닥-접촉 단부(92)를 포함한 접이식 시트(10)를 도시한다. 베벨 각(114)은 시트 백(12)에 대한 10°의 기움 각과 일치하므로, 이에 따라 접이식 시트(10)가, 설치될 때, 바닥 부분(94)에 대한 높이(level)를 고정하게 한다. 도 9b는, 시트 점유자가 앉을 수 있는 대체로 수평이며 상승된 시트 표면(44)을 포함한, 설치될 때, 그리고 접힌 상태에서의 접이식 시트(10)를 도시한다.
도 6, 도 7a, 도 7b, 도 9a, 및 도 9b를 특별히 참조하여, 어떤 외부적인 힘도 시트 어셈블리(24)의 시트 베이스(38)에 적용되지 않은 경우라면 언제든지, 스프링 밴드들(40 및 42)은, 접이식 시트(10)가 자동으로 고정되고 접히지 않은 상태(도 7a 및 도 9a)를 띠게 하며, 이 상태에서 척추형 컬럼(26)은 대체로 직선적이다. 도 6은, 각각 시트 베이스(38)의 시트 표면(44) 상의, 그리고 시트 백(12)의 시트 백 고정 표면(14) 상의 리세스들(118) 내부의 작은 자석들(116) 세트를 도시한다. 자석들(116)은, 시트 어셈블리(24)가 닫혀서(snaps shut) 폐쇄된 채로 유지되는 것, 즉 접이식 시트(10)가 점유되지 않았을 때, 시트 장착부(36) 및 시트 베이스(38)가 대체로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것을 보장한다. 시트 점유자가 상승된 대체로 수평인 앉는 표면(sitting surface)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베이스(38)를 시트 백(12)으로부터 완전히 떼어놓으면, 접이식 시트(10)는 접힌 상태(도 7b 및 도 9b)를 띠며, 이 상태에서 척추형 컬럼(26)은 곡선적이다. 접이식 시트(10)를 펼치는 것(opening)은, 척추형 컬럼(26)에, 척추형 슬레이트들(28b 및 28c)의 인접한 비 평행 측면들 사이의 공간들을 폐쇄하는 굽힘력을 적용시키며, 이에 따라 인접한 척추형 슬레이트들(28b 및 28c)를 함께 쥐어 짬(squeeze)으로써, 곡선적인 척추형 컬럼(26)을 이룬다. 폼 패딩으로 댄 시트 베이스(38)에 앉는 점유자의 체중은, 시트 베이스가 시트 점유자를 지지함에 따라, 접이식 시트(10)의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접이식 시트(10)의 구조에 사용된 선호되는 재료들은, 시트 백(12), 척추형 슬레이트들(28b 및 28c), 시트 장착부(36), 및 시트 장착부(38) 용으로는 13-플라이 발틱 버치 플라이우드(13-ply baltic birch plywood); 스프링 밴드들(40 및 42) 용으로는 스프링 강(spring steel); 및 시트 백 폼 층(22)과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 용으로는 우레탄 폼 재료(urethane foam material);를 포함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와 접힌 상태로 도시된 독립 구조형 의자(120)로서 한 대안적인 실시예로 구성된, 접이식 시트(10)의 등각 투시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의 독립 구조형 의자(120)의 측면도들이다. 도 12는 독립 구조형 의자(120)의 분해 조립도인데, 접이식 시트(10)의 시트 백 폼 층(22) 및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에 대한 변경들과, 이에 대한 두 개의 유사한 의자 다리 세트들(122)의 부가물(addition)을 도시하고, 이는 의자 다리 세트들(122)을 수용하며, 이에 따라 독립 구조형 의자(120)를 이룬다.
도 10a, 도 10b, 도 11a, 도 11b,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접이식 시트(10) 및 독립 구조형 의자(120)의 구성 요소 부분들은, 스페이서 블록들(54)에 대한 의자 다리 세트들(122)의 대체물(substitution), 및 직사각형 개구부들(56)의 상이한 쌍들의 두 개의 슬롯들(124)에 대한 대체물(substitution)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도 12를 특별히 참조하여, 각각의 의자 다리 세트들(122)은 바닥 지지 부분(134)에 대해 80°의 각도(132)로 위치되었으며, 이로부터 확장된 직립 부분{upright portion(130)}을 갖는다. 직립 부분(130)은 스페이서 블록들(54)의 높이와 폭과 동일한 높이와 폭을 갖고, 위치된 두 개의 구멍들(52)을 포함하여서, 볼트들(50)은 의자의 조립 과정 중 이들을 통과한다. 시트 백 폼 층(22)과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 내의 직사각형의 개구부들(56)은, 각각의 바닥 단부들로부터 폼 층들(22 및 46)로 확장되었으며, 직립 부분(130)의 길이와 동일한 간격을 덮는 슬롯들(124)로 대체된다. 직립 부분(130)은 슬롯들(124)에 적합하며, 구멍들(52)을 통과하는 볼트들(50)은 의자 다리 세트들(122)을 적소에 고정하여서, 독립 구조형 의자(120)를 이룬다.
도 13은 두 개의 나란한 벽-장착된 접이식 시트들의 정면 부분들에 대한 사시도이고, 이들 중 하나(좌측)는 접힌 상태로 도시되며, 다른 나머지(우측)는 접히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의 벽-장착된 접이식 시트(150)의 측면도들이다. 도 13,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접이식 시트(10) 및 벽-장착된 접이식 시트(150)의 구성 요소 부분들은, 기울어진 벽 표면(152)의 대체물을 제외하고는 분리된 시트 백(12)에 대한 하나 또는 한 줄의 다수의 접이식 시트들의 공통 시트 백과 동일하다. 벽 표면(152)은 바닥(156)에 대해 80°의 각도(154)로 기울어져 있다. 벽-장착된 접이식 시트(150)는 대중 교통 수단들(예컨데 지하철)이나, 또는 컴팩트하고 평평한 시트 적재가 도움이 될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설치를 위해 유용하다. 벽-장착된 접이식 시트(150)가 설치될 때, 시트 백 폼 층(22)은 벽 "I" 표면(152)에 기대어 고정된다. 볼트들(50)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 표면(152)의 미리 결정된 위치들에 뚫린 구멍들(52)을 통과한다.
도 15는 두 개의 나란한 바닥-장착된 접이식 시트들(10)의 정면 부분들에 대한 사시도이고, 이들 중 하나(좌측)는 접힌 상태로 도시되며, 다른 나머지(우측)는 접히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접이식 시트들(10)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10°의 기움 각(72)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바닥(162)에 앵커된 반전된(inverted) U-형상의 레일링(railing)에 매인다. 각각의 바닥-장착된 시트들(10)은, 장착 나사(108)를, 레일링(160)의 수평 절편(horizontal section)에서 제공되는 장착 요소(100) 및 나사부 형성 구멍{threaded hole(도시되지 않음)}을 통과시킴으로써, 레일링(16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두 개의 나란한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들(170)의 정면 부분들에 대한 사시도이고, 이들 중 하나(좌측)는 접힌 상태로 도시되며, 다른 나머지(우측)는 접히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접히지 않은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의 하나의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170)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6,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벽-장착된 접이식 시트(150) 및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170)의 구성 요소 부분들은, 시트 어셈블리 폼 층(46)에 대한 신축성 있고 쿠션이 없는 테이블{즉 하드 테이블 톱(hard table top)} 표면 층(46') 및 벽 표면(172)의 대체물을 제외하고는 분리된 시트 백(12) 및 해당 시트 백 폼 층(22)에 대한 접이식 테이블(170)의 장착 표면과 동일하다. 벽 표면(172)은 종래의 배열에 있어서, 바닥(156)에 대해 90°의 각도로 향해 있다.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170)은, 사무실 가구 시스템{예컨데 작업 공간 큐비클 디바이더 벽(work space cubicle divider wall)}, 또는 컴팩트하고 평평한 테이블 적재가 도움이 될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설치를 위해 유용하다.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170)이 설치될 때, 테이블 표면 층(46')은 벽 표면(172)에 기대어 고정된다. 볼트들(5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표면(172)의 미리 결정된 위치들에 뚫린 구멍들(52)을 통과한다.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170)은, 무거운 하중 또는 하중이 실린 테이블 베이스(38)를 사용하거나, 또는 충분히 작은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를 갖는 재료를 스프링 밴드들(40 및 42)로 선택함으로써, 물체를 전혀 지지하지 않거나 또는 가벼운-하중의 물체를 지지하면서,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자석들(116)은 벽-장착된 접이식 테이블(170)을 접히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8a, 도 18b, 도 19a, 및 도 19b는 척추형 컬럼(190)에 대한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의 쌍들이고, 이는 확장 폼 슬레이트들을 국한시키는 웨브 단면들(web sections)에 의해 상호 연결된 개별 척추형 링크들로 조립된 척추형 컬럼에 대한 제1 대안적인 실시예를 구성하여, 통합적이며 분산적인 스프링 메커니즘(integral distributed spring mechanism)을 이룬다. 도 18a 및 도 18b는 직선적이며 느슨한 구성으로 척추형 컬럼(190)을 도시하고, 도 19a 및 도 19b는 외부적으로 작용된 굽힘력에 대한 반응으로 접히는 상태를 띤 곡선적인 구성으로 척추형 컬럼(190)을 도시한다. 도 18a, 도 18b,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척추형 컬럼(190)은 9개의 평행-정렬된 척추형 링크들을 포함하는데, 이들 중 7개는 명목상 동일한 사이즈와 형상의 내부 척추형 링크들(192)이고, 이들 중 2개는 엔드-커플링(end-coupling) 척추형 링크들(194 및 196)이다. 엔드-커플링 척추형 링크들(194 및 196)은, 시트 장착부(36)와 시트(또는 테이블) 베이스(38) 중에서 상이한 것들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 각각의 U-형상의 자유단들{free ends(198 및 200)}의 형성물(formation)을 제외하고는 내부 척추형 링크들(192) 중에서 동일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되어있다. 각각의 내부 척추형 링크(192)는 마주보는 측면들, 및 그 길이를 따라 확장한 두 세트의 보조 구조물들(complementary structures)을 갖는데, 보조 구조물들(complementary structures)은 다음의 인접한 척추형 링크들(192)의 해당 보조 구조물들과 인터록킹하도록 구성된다. 엔드-커플링 척추형 링크들(194 및 196)은, 마주보는 측면들에, 이들 각각의 자유단(198 및 200) 구조물들을 갖고 있는데, 이들은 다음의 인접한 내부 척추형 링크들(192)의 해당 보조 구조물들과 인터록킹하도록 구성된다. 9개의 척추형 링크들의 전체 어셈블리는 관절식의 인접한 척추형 링크들(articulating adjoining vertebral links)을 이룬다.
도 20a 및 도 20b는 하나의 내부 척추형 링크(192)에 대한 각각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이며, 내부 척추형 링크는 4개의 측면 단부들(lateral ends)에 상이한 구조적 특징들을 갖는 I-빔(I-beam) 형상으로 되어있다. 내부 척추형 링크(192)는, 시트 측면 요소(204)에, 오픈-엔드 힌지 슬리브(206)와 피벗(208)을 포함하는 인터록킹 구조물들의 제1 세트를 갖고, 밑면 요소(210)에는, 후크형 단부{hooked end(212)}와 압연 에지{rolled edge(214)}를 포함하는 인터록킹 구조물들의 제2 세트를 갖는다. 웨브(216)는 시트 측면 요소(204) 및 밑면 요소(210)를 상호 연결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시트 측면 요소(204) 상의 엔드-커플링 척추형 링크(194)및 제1 세트의 오픈-엔드 힌지 슬리브(206), 및 밑면 요소(210) 상의 제2 세트의 후크형 단부(212)를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또한, 시트 측면 요소(204) 상의 엔드-커플링 척추형 링크(196) 및 제1 세트의 피벗(208), 및 밑면 요소(210) 상의 제2 세트의 압연 에지(214)를 도시한다. 척추형 링크들(192, 194, 및 196)은 바람직하게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extruded aluminum)으로 제조된다.
도 21a, 도 21b, 도 22a, 및 도 22b는 다수의 척추형 링크들에 대한 상호 연결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확대된 단편적인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 쌍들이며, 이는 관절식의 인접하는 척추형 링크들(192 및 196)의 척추형 컬럼(190)을 이룬다. 인접하는 척추형 링크들의 각 쌍은, 힌지 슬리브(206) 내의 피벗(208)의 결합(engagement)에 의해, 그리고 후크형 단부(212) 및 웨브(216)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과 접촉하는 확장 폼 또는 탄성 물질의 슬레이트{elastomeric slat(220)}에 의한 후크형 단부(212)에 맞닿는 압연 에지(214)의 압축(compression)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결합된다(pivotally joined). 탄성 물질의 슬레이트(220)는 바람직하게도 적절한 듀로미터(durometer)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조되며, 고정될 때, 즉 후크형 단부(212) 및 인접한 척추형 링크들의 웨브(216) 사이에 삽입 이전에,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cross-sectional shape)으로 되어있다. 힌지 슬리브들(206) 및 피벗들(208)은 교대의 연속(alternating succession)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인접한 힌지 슬리브(206)와 피벗(208)은, 곡률(curvature)을 달성하는 척추형 컬럼(190)의 인터록킹 관절식 구조물들을 구성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도 21a 및 도 21b는 접이식 시트(10)의 접히지 않은 상태에 해당하는 직선적인 구성으로 척추형 컬럼(190)을 도시하며, 도 22a 및 도 22b는 접이식 시트(10)의 접힌 상태에 해당하는 곡선적인 구성으로 척추형 컬럼(190)을 도시한다.
도 21b 및 도 22b는, 후크형 단부들(212)이 기대어 고정된 베어링 표면들로서 기능하는 변형된(deformed) 오목한(concave) 표면들(222)을 나타내는 탄성 물질의 슬레이트들(220)을 도시한다. 오목한 표면들(222)은 후크형 단부들(212)에 의해 전달된 압축력(compressive forces)을 변화시키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형상을 변형시켜서, 척추형 컬럼이 접이식 시트(10)의 접히지 않은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구부러짐에 따라, 척추형 컬럼(190)의 상이한 곡률 크기에 순응하는 동시에, 후크형 단부들이 적소에 유지되는 것을 허용한다. 탄성 물질의 슬레이트들(220)은 탄성 물질의 슬레이트들(220)의 고유한 복원력(restorative forces)에 의해 척추형 컬럼(190)을 직선적인 구성에 있게 하며, 접이식 시트(10)가 접히지 않았을 때 외부적으로 작용된 압축력이 없을 시에, 이들의 회귀(return)로 명목상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게 한다. 척추형 컬럼(190)이 벽-장착된 테이블(170)의 구조에 사용될 경우, 탄성 물질의 슬레이트들(220)은 부드러운(즉 낮은 듀로미터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변형(deformation)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어떤 물체도 테이블 표면에 고정되지 않았을 때, 벽-장착된 테이블(170)이 접힌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도 21b는, 척추형 링크 치수들, 및 도 18b에 도시된 직선적인 구성{접이식 시트(10)의 접히지 않은 상태}과 도 19b의 곡선적인 구성{접이식 시트(10)의 접힌 상태}을 달성하기 위해, 척추형 컬럼(190)에 대해, 결합된 힌지 슬리브들(206) 내부에서 인터록킹되는 피벗들(208)의 점진적인 증분의 각 변위들(progressive incremental angular displacements)을 수립한 인접하는 척추형 링크들의 이격 거리들(separation distances)을 도시한다. 도 21b를 참조하여, 직선적인 구성에서 인터록킹되는 후크형 단부(212)와 압연 에지(214)는 2.59mm의 거리(224)까지 이격된다. 각 내부 척추형 링크(192)의 밑면 요소(210) 상의 인터록킹 구조물들의 제1 세트 중에서 오픈-엔드 힌지 슬리브(206)와 피벗(208)의 중앙 대 중앙 거리(226)는 19.7mm이다. 척추형 컬럼(190)의 폭은, 각각의 척추형 링크들(192, 194, 및 196)의 시트 측면 요소(204)와 밑면 요소(210)의 외부 표면들 사이에 있어서의 19.7mm의 거리(228)이다. 도 22b는, 접이식 시트(10)의 접힌 상태에서의 인터록킹된 후크형 단부(212)와 압연 에지(214) 사이의 이격 거리(224)의 완전한 폐쇄, 및 결과적인 접촉을 도시한다.
도 23a, 도 23b, 도 24a, 및 도 24b는 척추형 컬럼(190')의 등각 투시도 및 단면도 쌍들이며, 이는 확장 폼 슬레이트들을 국한시키는 웨브 단면들(web sections)에 의해 상호 연결된 개별 척추형 링크들로 조립된 척추형 컬럼에 대한 제2 대안적인 실시예를 구성하여, 통합적이며 분산적인 스프링 메커니즘을 이룬다. 척추형 컬럼(190)과 척추형 컬럼(190')의 구성 요소 부분들은, 이들을 분리시키는 인터록킹 구조물들의 제1 세트 중 하나에 대한 변경, 및 인접한 척추형 링크들의 웨브들(216) 사이에 적합한 큰 직사각형 탄성 물질의 슬레이트(220')에 대한 대체물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도 18a, 도 18b, 도 19a, 도 19b, 도 20a, 도 20b, 도 21a, 도 21b,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척추형 컬럼(190)과 이것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도면들은, 각각의 도 23a, 도 23b, 도 24a, 도 24b, 도 25a, 도 25b, 도 26a, 도 26b,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된 척추형 컬럼(190')과 이것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도면들에 해당한다. 유사한 구성 요소들 및 구조적 특징들은 공통의 참조 번호들에 의해 식별되고, 해당하는 변경된 구성 요소들 및 특징들은 프라임들(primes)이 뒤따른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식별된다.
인터록킹 구조물들의 제1 세트에 대한 변경은, 척추형 링크들(192 및 194)의 후크형 단부들(212)에 대해, 척추형 링크들(192' 및 194')의 압연 에지들(212')이라는 대체물을 수반한다. 각 척추형 링크(192' 및 194') 내부의 압연 에지(212')에 대한 대체물은,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형 컬럼(190')의 인접하는 압연 에지들(212' 및 214)에 대한 디커플링(decoupling)을 초래한다. 직사각형의 탄성 물질인 슬레이트(220')는, 도 23b와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형 링크들(192', 194', 및 196') 중 인접한 것들의 웨브들(216) 사이에 타이트 핏(tight fit)을 이루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도 24b와 도 27b는, 척추형 컬럼이 접이식 시트(10)의 접히지 않은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구부러짐에 따라, 탄성 물질의 슬레이트(220')가 척추형 컬럼(190')의 상이한 곡률 크기에 의해 전달되는 압축력들을 변화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모든 측면들에서 압축을 경험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6b는 척추형 링크 치수들, 및 도 23b에 도시된 직선적인 구성{접이식 시트(10)의 접히지 않은 상태}과 도 24b의 곡선적인 구성{접이식 시트(10)의 접힌 상태}을 달성하기 위해, 척추형 컬럼(190')에 대해, 결합된 힌지 슬리브들(206) 내부에서 인터록킹되는 피벗들(208)의 점진적인 증분의 각 변위들을 수립한 인접하는 척추형 링크들의 이격 거리들을 도시한다. 도 26b를 참조하여, 직선적인 구성에서 인접하는 압연 에지들(212' 및 214)는 2.59mm의 거리(224')만큼 이격된다. 각 내부 척추형 링크(192)의 밑면 요소(210) 상의 인터록킹 구조물들의 제1 세트 중에서 오픈-엔드 힌지 슬리브(206)와 피벗(208)의 중앙 대 중앙 거리(226)는 19.7mm이다. 척추형 컬럼(190')의 폭은, 각각의 척추형 링크들(192', 194', 및 196')의 시트 측면 요소(204)와 밑면 요소(210)의 외부 표면들 사이에 있어서의 19.7mm의 거리(228)이다. 도 27b는, 접이식 시트(10)의 접힌 상태에서의 인접하는 압연 에지(212' 및 214) 사이의 이격 거리(224')의 완전한 폐쇄, 및 결과적인 접촉을 도시한다. 도 24b 및 도 27b는, 접이식 시트(10)의 접힌 상태에서 구부러진 척추형 컬럼(190')의 인접하는 압연 에지들(212' 및 214)에 대한 컨버전스(convergence)를 도시한다.
척추형 컬럼(190)의 마주보는 단부들에서의 엔드-커플링 척추형 링크들(194 및 196), 및 척추형 컬럼(190')의 마주보는 단부들에서의 엔드-커플링 척추형 링크들(194' 및 196')은, 각각 패스너들{fasteners(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여, 엔드-커플링 척추형 링크들 중 하나는 시트 장착부(36)에 부착시키고, 엔드-커플링 척추형 링크들 중 마주보는 하나는 시트 베이스(38)에 부착시킴으로써, 완전한 시트 어셈블리들(24)을 이룬다.
많은 변경들이 본 발명의 근본이 되는 원리들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스프링 밴드들(40 및 42)에 대한 단일 및 다양한 스프링 밴드의 대체물은 접이식 시트(10)의 특정 구성들에 있어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이에 따라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10 : 접이식 시트 12 : 시트 백
14 : 시트 백 고정 표면 16 : 시트 백 장착 표면
24 : 시트 어셈블리 26 : 척추형 컬럼
36 : 시트 장착부 38 : 시트 베이스
44 : 시트 표면 46 : 시트 어셈블리 층
120 : 독립 구조형 의자 122 : 의자 다리 세트

Claims (18)

  1. 지지 장착부 및 지지 베이스 사이에 위치된 관절식 섹션을 포함하고,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물체 지지 어셈블리(object support assembly)를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folding furniture piece)으로서,
    관절식 섹션은 길이가 평행하게 정렬되고 다수의 연결 요소 및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서로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장된 요소를 포함하고;
    스프링 메커니즘은, 지지 장착부, 관절식 섹션, 및 지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는 장치를 형성하도록 작동적으로 연결된 연장된 요소와 협력하는 다수의 이격된 스프링 메커니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지지 장착부는 강직한 장착 구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지지 베이스는 마주보는 단부를 갖고,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지지 베이스의 지지 표면이 위치되며, 지지 베이스의 하나의 단부는 관절식 섹션에 연결되고, 지지 베이스의 다른 단부는 지지 표면의 자유 단부를 구성하며; 및
    다수의 스프링 메커니즘 구성요소들은, 지지 장착부가 강직한 장착 구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때, 물체 지지 어셈블리가 고정되고 접히지 않은 상태를 띠도록 하되, 이 상태에서 관절식 섹션은 직선적이고, 외부적으로 작용된 굽힘력(bending force)에 대한 반응으로, 접힌 상태를 띠도록 하되, 이 상태에서 상기 관절식 섹션은 장착 구조물로부터 멀리 지지 표면을 위치시키고 이에 따라 물체가 고정될 수 있는 상승된 개방된 지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곡선적인, 신축 특성(flexibility properties)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표면에 대해 하드 테이블 톱(hard table top)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 표면에 위치된 쿠션이 없는 표면 층을 더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프링 메커니즘 구성요소들은 다수의 스프링 밴드를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스프링 밴드는 두 개의 확장될 수 없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스프링 매커니즘 구성요소들은 탄성의 변형 가능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관절식 섹션의 다수의 연장된 요소들은, 필수적이며 분산된 스프링 메커니즘을 형성하기 위해, 탄성의 변형 가능한 요소들을 국한시키는 웨브 단면들(web sections)에 의해 상호 연결된 링크들을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의 변형 가능한 요소들은 탄성 물질의 재료(elastomeric material)를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지지 어셈블리, 지지 장착부, 지지 베이스, 지지 표면, 및 장착 구조물은, 각각 시트 어셈블리, 시트 장착부, 시트 베이스, 앉는 표면, 및 시트 백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접이식 시트를 이루며,
    상기 시트 백은 시트 백 고정 표면을 갖고, 시트 백에 대해 패딩(padding)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백 고정 표면과 시트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된 제1 폼 층을 더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는 시트 표면을 갖고, 앉는 표면에 대해 패딩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표면에 위치된 제2 폼 층을 더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물체 지지 어셈블리, 지지 장착부, 지지 베이스, 지지 표면, 및 장착 구조물은, 각각 시트 어셈블리, 시트 장착부, 시트 베이스, 앉는 표면, 및 시트 백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접이식 시트를 이루며,
    상기 시트 백은 시트 백 장착 표면을 갖고, 고정 위치(stationary location)에 시트 백을 고정하기 위해 강직한 장착 구조물에 결합 가능한(matable) 장착 요소를 더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장착 요소 및 강직한 장착 구조물은 시트 백에 대한 경사각(angle of inclination)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1. 제1항에 있어서, 물체 지지 어셈블리, 지지 장착부, 지지 베이스, 지지 표면, 및 장착 구조물은, 각각 시트 어셈블리, 시트 장착부, 시트 베이스, 앉는 표면, 및 시트 백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접이식 시트를 이루며, 독립 구조형 의자(freestanding chair)를 이루기 위해 시트 어셈블리와 시트 백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의자 다리 세트를 더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2.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섹션의 다수의 연장된 요소들은 길게 평행-정렬된 슬레이트를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3. 제12항에 있어서, 길게 평행-정렬된 슬레이트는, 빗각을 이룬 단부를 갖는 빗각을 이룬 슬레이트들 및 직각의 모퉁이 단부를 갖는 모퉁이 슬레이트들이 교대 순서로 이루어진,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 요소들은 다수의 연장된 요소들 각각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다수의 구멍들에 각각 고정된 다수의 나사들을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5.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 요소들은 다수의 스프링 밴드들 각각을 통과하고 다수의 연장된 요소들 각각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다수의 구멍들에 각각 고정된 다수의 나사들을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 요소들은 인터록킹 피벗 및 인접한 연장된 요소들 상에 형성된 슬리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7. 제5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 요소들은 인터록킹 피벗 및 관절식 섹션의 인접한 링크상에 형성되는 슬리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18.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섹션은 지지 베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수평 위치일 때, 지지 베이스가 펼쳐져 있을 때의 상태를 기준으로 180°이하의 각도로 곡선적인,
    편리한 적재를 위해 구성된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
KR1020127029976A 2010-05-18 2011-05-18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들 KR101834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585410P 2010-05-18 2010-05-18
US61/345,854 2010-05-18
PCT/US2011/036905 WO2011146554A1 (en) 2010-05-18 2011-05-18 Portable, compact folding furniture pie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366A KR20130085366A (ko) 2013-07-29
KR101834468B1 true KR101834468B1 (ko) 2018-03-05

Family

ID=4499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976A KR101834468B1 (ko) 2010-05-18 2011-05-18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084476B2 (ko)
EP (1) EP2571397B1 (ko)
JP (1) JP5763180B2 (ko)
KR (1) KR101834468B1 (ko)
CN (1) CN102946761B (ko)
AU (1) AU2011256239C9 (ko)
BR (1) BR112012029183A2 (ko)
CA (1) CA2800288C (ko)
CO (1) CO6670517A2 (ko)
ES (1) ES2794075T3 (ko)
MX (1) MX2012013030A (ko)
PL (1) PL2571397T3 (ko)
WO (1) WO20111465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1621B1 (fr) * 2013-02-04 2016-01-01 Pascale Tiraboschi Meuble, dispositif de fixation d'un meuble et kit le comportant
CN103653746B (zh) * 2013-12-11 2015-11-11 苏州市职业大学 折叠式多用途组合绘图桌椅
CN105508407B (zh) * 2014-09-23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多轴铰链装置的假体结构、多轴铰链装置和折叠设备
KR102318656B1 (ko) * 2015-01-05 2021-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지지 장치
TWI548820B (zh) * 2015-01-08 2016-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樞軸裝置
US10966527B2 (en) 2017-06-09 2021-04-06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9681763B2 (en) * 2015-06-01 2017-06-20 Knoll, Inc. Privacy screen apparatus
US9720454B2 (en) * 2015-06-11 2017-08-01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device thereof
USD831363S1 (en) * 2015-12-22 2018-10-23 Frédéric Genin Combined bench and advertising panel with clock
GB2538823B (en) * 2015-12-23 2018-09-26 Ford Global Tech Llc Stowable table assembly
US10459482B2 (en) * 2016-01-15 2019-10-29 William James McDermid Projected neutral bend axis hinge
CN105877239B (zh) * 2016-05-26 2018-07-20 路华(厦门)贸易有限公司 一种家具用板材
US10118434B2 (en) * 2016-09-16 2018-11-06 Arden L. Thorsbakken Caddy valet with spaced adhesive
CN106377100B (zh) * 2016-09-29 2020-01-14 浙江工业大学 可翻折的双向公共座椅
USD843124S1 (en) * 2017-04-14 2019-03-19 Zgf Architects Llp Modular workstation
US10689890B2 (en) 2017-06-30 2020-06-23 Joseph Curtis Taylor Door security device
US10322656B2 (en) * 2017-07-28 2019-06-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olding furniture piece system and method
DE102017008153B4 (de) * 2017-08-28 2023-03-16 Audi Ag Rückenlehne und Sitzvorrichtung
US10737636B2 (en) * 2018-01-31 2020-08-11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LT6702B (lt) 2018-06-26 2020-02-25 UAB "Adolesa" Konstrukcinis baldų elementas
WO2020029207A1 (zh) * 2018-08-09 2020-02-1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折叠设备
FR3087401B1 (fr) * 2018-10-23 2022-02-11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de garnissage comprenant un panneau deformable formant une surface d'appui dans une position deployee
USD908851S1 (en) * 2018-11-06 2021-01-26 Compal Electronics, Inc. Hand washing station
DE102018132163A1 (de) * 2018-12-13 2020-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lagevorrichtung und Fahrzeug
US10993526B2 (en) * 2019-01-08 2021-05-04 The Boeing Company Retractable support surfa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FR3092056B1 (fr) 2019-01-24 2021-01-08 Faurecia Interieur Ind Organe intérieur de véhicule, comportant une tablette escamotable
US11820258B2 (en) 2019-04-01 2023-11-21 Adient Us Llc Flexible structural component and use
US11560742B2 (en) 2019-07-23 2023-01-24 Joseph Curtis Taylor Door security apparatus with sensor
US11624220B2 (en) 2020-03-19 2023-04-11 Joseph Curtis Taylor Security device for sliding door or sliding window assembly
US11525301B2 (en) 2020-06-18 2022-12-13 Joseph Curtis Taylor Rollup window cover
DE102022105298A1 (de) 2022-03-07 2023-09-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itz
CN116290942B (zh) * 2023-03-24 2023-12-05 四川港通医疗设备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装配型洁净手术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004A1 (en) * 2008-02-20 2009-08-27 Royal College Of Art Fold-away seat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6376A (en) * 1939-03-14 1940-09-17 James Linkleter Improvements relating to seats
CH394536A (de) * 1959-11-04 1965-06-30 Miller Herman Inc Krümmbare, überall mindestens angenähert gleiche Wandstärke aufweisende, flächenhafte Unterlage für Polster
US3083052A (en) * 1961-10-27 1963-03-26 Ole A Thorson Table and chair set
US3215468A (en) * 1965-03-01 1965-11-02 Milsco Mfg Co Seat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s
US3666339A (en) * 1970-09-14 1972-05-30 Massey Ferguson Ind Ltd Desk arrangement
US4157203A (en) * 1977-05-09 1979-06-05 Center For Design Research And Development N.V. Articulated double back for chairs
DE3361727D1 (en) 1982-10-22 1986-02-13 Castelli Spa Chair having a b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ulated segments
WO1985001425A1 (en) * 1983-09-30 1985-04-11 Liform Ag Rest surface for furniture, particularly for beds
DE3604534A1 (de) * 1986-02-13 1987-08-20 Hartmut Lohmeyer Sitzmoebel mit einem sitz und einer in sich elastisch nachgebenden rueckenlehne
US4744603A (en) * 1986-04-10 1988-05-17 Steelcase Inc. Chair shell with selective back stiffening
DE3630503A1 (de) * 1986-09-08 1988-03-10 Girsberger Holding Ag Stuhl
FR2620607B1 (fr) * 1987-09-22 1991-03-15 Strafor Sa Siege ergonomique
JPH059866Y2 (ko) * 1988-01-13 1993-03-11
US5232762A (en) * 1990-02-05 1993-08-03 Ruby Victor L Product of a two phase, self configuring coreless structural element for furniture and the like
US5320410A (en) * 1992-01-14 1994-06-14 Steelcase Inc. Chair control
US5518294A (en) * 1993-04-05 1996-05-21 Ligon Brothers Manufacturing Company Variable apex back support
DE4330209C1 (de) * 1993-09-07 1994-09-15 Draegerwerk Ag Schienenprofil für einen Behälter einer Sauerstoffversorgungseinheit
DE9313841U1 (de) * 1993-09-13 1993-12-16 Zapf Otto Rückenlehne eines Sitzmöbels
US5775034A (en) * 1996-06-10 1998-07-07 Logue; Michael F. D. Folding screen environment system
US5887946A (en) * 1997-01-03 1999-03-30 Raftery Design, Inc. Chair with movable back support
US6125771A (en) * 1998-01-14 2000-10-03 David L. Garrison Ps Conformally folding table
DE29808831U1 (de) * 1998-05-15 1998-08-27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Sitz- und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ITVI980182A1 (it) * 1998-09-25 2000-03-25 Enrico Cioncada Sedia ad assetto variabile.
US6478379B1 (en) * 2000-06-07 2002-11-12 Center For Design Research And Development N.V. Chair
US6669301B1 (en) * 2000-11-28 2003-12-30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Furniture article having panel and integral perimeter frame
EP1404928A4 (en) * 2001-05-23 2006-12-06 Andrew Killen CONSTRUCTION
ITTO20010940A1 (it) * 2001-10-04 2003-04-04 Pro Cord Spa ,,sedia,,
JP2003310386A (ja) * 2002-04-25 2003-11-05 Tsubomi Mamoru 壁面取り付け用折畳み椅子
DE10327451B4 (de) * 2003-06-18 2005-04-07 Ulrich Clauss Rolladenpanzer
JP4250128B2 (ja) * 2003-09-29 2009-04-08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シート
US20070073387A1 (en) * 2004-02-27 2007-03-29 Forster David C Prosthetic Heart Valves, Support Structur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ing The Same
DE202004010625U1 (de) * 2004-07-06 2004-11-04 Eysing, Volker Wilhelm Bürostuhl mit flexibler Lehne
US20070287618A1 (en) * 2006-05-31 2007-12-13 Verheem Johann B Abdominal exercise chair with flexible back bar and rotating seat
AU2007302891B2 (en) * 2006-10-04 2013-05-02 Formway Furniture Limited A chair
CN102151026B (zh) * 2007-01-29 2016-05-18 赫尔曼米勒有限公司 座位结构及其使用方法
JP5064936B2 (ja) * 2007-03-16 2012-10-3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折り畳み椅子
DE102007018856A1 (de) * 2007-04-20 2008-10-23 BRÜNIG, Matthias Bewegliche Rückenlehne für einen Stuhl oder Sessel
EP2110051A1 (en) * 2008-04-18 2009-10-21 Pro-Cord S.P.A. Chair
CN201238768Y (zh) * 2008-06-27 2009-05-20 上海市静安区教育学院附属学校 一种椅子
FR2936551B1 (fr) * 2008-09-26 2014-01-17 Centre Nat Etd Spatiales Dispositif comportant au moins une charniere integree en materiau composite a renfort de liaison ininterrompu.
EP2183997B1 (en) * 2008-11-06 2011-08-17 Pro-Cord S.p.A. Chair with tiltable backrest
JP3150762U (ja) * 2008-12-24 2009-06-04 貴浩 松山 折り畳み座椅子
US10034548B2 (en) * 2009-01-23 2018-07-31 Backjoy Orthotic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US8590978B2 (en) * 2010-09-15 2013-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ltra-thin seat carrier
FR2998544B1 (fr) * 2012-11-28 2016-12-23 Airbus Operations Sas Dossier de siege d'aeronef comprenant une colonne structurale portant des dispositifs transversaux de support de l'occupant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480340B1 (en) * 2013-09-17 2016-11-01 Corecentric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exercise chai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004A1 (en) * 2008-02-20 2009-08-27 Royal College Of Art Fold-away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0288C (en) 2017-10-31
AU2011256239B2 (en) 2015-01-29
WO2011146554A1 (en) 2011-11-24
BR112012029183A2 (pt) 2017-07-18
JP2013531513A (ja) 2013-08-08
PL2571397T3 (pl) 2020-12-14
US9668570B2 (en) 2017-06-06
JP5763180B2 (ja) 2015-08-12
EP2571397B1 (en) 2020-04-29
MX2012013030A (es) 2013-03-12
CA2800288A1 (en) 2011-11-24
ES2794075T3 (es) 2020-11-17
EP2571397A1 (en) 2013-03-27
CN102946761B (zh) 2016-09-28
CO6670517A2 (es) 2013-05-15
EP2571397A4 (en) 2013-11-27
US20150320197A1 (en) 2015-11-12
AU2011256239A1 (en) 2012-11-29
US20130214577A1 (en) 2013-08-22
AU2011256239C1 (en) 2015-07-09
KR20130085366A (ko) 2013-07-29
US9084476B2 (en) 2015-07-21
AU2011256239C9 (en) 2015-07-30
CN102946761A (zh)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468B1 (ko) 휴대용 컴팩트 접이식 가구 부품들
JP3091732B2 (ja) 入れ子式独立展開型ベンチ及びテーブル装置
US5787533A (en) Cushion support
US9314386B1 (en) Folding bed frame
EP0128203A1 (en) REVERSIBLE MATTRESS.
US20060103219A1 (en) Portable, compacting travel footrest
US8056982B2 (en) Compactable, collapsible chair
US20010045764A1 (en) Foldable and portable table assembly
US10842278B2 (en) Folding chair and method of assembly
KR101349302B1 (ko) 벽면 부착 의자의 절첩식 다리
US10327560B2 (en) Convertible sofa with articulated arm rests
US4473254A (en) Lawn chair
KR101410678B1 (ko) 접철식 테이블
US3021533A (en) Mattress elevators
US20180132618A1 (en) Convertible Chair
KR20160052120A (ko) 접이식 의자 겸용 테이블
CN215649866U (zh) 一种可快速转变为床的课桌
CN210124467U (zh) 一种组合椅
EP3981293B1 (en) Compact folding frame for a folding furniture such as a sofa bed
US20220192387A1 (en) Convertible Furniture
RU2681097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мебельный каркас
SU1659000A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 складна мебель
JPS6182710A (ja) 椅子
RU2177239C1 (ru) Преобразуемое переносное кресло
KR20140003374U (ko) 접이식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