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039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039B1
KR101834039B1 KR1020150110265A KR20150110265A KR101834039B1 KR 101834039 B1 KR101834039 B1 KR 101834039B1 KR 1020150110265 A KR1020150110265 A KR 1020150110265A KR 20150110265 A KR20150110265 A KR 20150110265A KR 101834039 B1 KR101834039 B1 KR 10183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tch
layer
peeled
support plat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766A (ko
Inventor
하성용
Original Assignee
(주)라고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고디자인 filed Critical (주)라고디자인
Priority to KR102015011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0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하우징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측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마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박리될 수 있는 스크래치층을 포함하는 스크래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층의 적어도 일부가 박리되면 상기 발광부는 박리된 스크래치층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아래의 설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화합물의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광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소자로서, 램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램프는 어두운 곳을 밝히는데 사용되거나, 그림, 광고 등을 강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광고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에 광고 문구 또는 그림을 인쇄하고, 광고판의 후측에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문구 또는 그림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 특허 제 2012-0136873호는 광고용 LED사인을 개시한다. 상기 국내 공개 특허는 설치시 입체감을 높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LED 사인을 개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복권처럼 긁은 모양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모양의 조명을 사용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하기와 같은 조명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하우징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측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마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박리될 수 있는 스크래치층을 포함하는 스크래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층의 적어도 일부가 박리되면 상기 발광부는 박리된 스크래치층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표시부는 투명 재질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림이 인쇄된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층은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아크릴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스크래치층의 박리시 상기 인쇄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래치층이 임의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표시부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둥 형태의 본체, 적어도 일측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마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박리될 수 있는 스크래치층을 포함하는 유연성 있는 재질의 스크래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층의 적어도 일부가 박리되면 상기 발광부는 박리된 스크래치층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표시부는 투명한 지지필름과, 상기 지지필름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림이 인쇄된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층은 상기 지지필름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덮개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복권과 같이 마찰에 의하여 박리 가능한 스크래치층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스크래치층을 복권과 같이 긁음으로써 사용자가 긁은 모양대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스크래치 표시부가 교체 가능하여 빛이 방출되는 모양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스크래치만으로 모양을 쉽게 만들 수 있어 광고, 장식 또는 안내 사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와 스크래치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본체(110)와, 발광부(120)와, 스크래치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치(1)는 발광부(120)를 포함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스크래치 표시부(130)를 복권을 긁듯이 박리시킴으로써 박리된 모양으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부(120)는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측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부(120)는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부(120)는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스크래치 표시부(130)는 마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의 층이 박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래치 표시부(130)는 복권과 유사한 원리로 사용자가 동전, 펜 등을 사용하여 스크래치 표시부(130)를 긁으면, 긁은 부위가 박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래치 표시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래치 표시부(130)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명 장치(1)에서 스크래치 표시부(130)만 교체함으로써 조명 장치(1)가 표시하는 모양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조명 장치(1)는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40)는 스크래치 표시부(1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스크래치층(131)이 임의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40)는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110)의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크래치층(131)은 마찰에 의하여 박리 가능하므로 커버(140)를 덮음으로써 스크래치층(131)이 의도치 않게 박리되는 것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커버(140)를 사용하여 발광부(1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120)와 스크래치 표시부(1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스크래치 표시부(130)는 지지판(132)과, 인쇄층(133)과, 스크래치층(13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32)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판(132)은 아크릴 재질과 같은, 필름보다 강성있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지지판(132)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크래치층(131)은 스크래치 필름(미도시)을 포함하고 스크래치 필름 상에 스크래치 가능한 물질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포된 물질은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스크래치층(131)은 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광부(120)에서 발생하는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스크래치층(131)을 박리시키면 박리된 부분(P)을 통하여 발광부(120)의 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모양으로 스크래치층(131)을 복권을 긁듯이 박리시킬 수 있고, 박리된 모양(P)대로 발광부(120)의 빛이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의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스크래치층(131)은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스크래치층(131)이 교체됨으로써 사용자는 조명 장치가 다른 모양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인쇄층(133)은 지지판(1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치 표시부(130)가 외부로 드러나는 방향을 전면이라 할 때, 인쇄층(133)은 지지판(132)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인쇄층(133)은 투명한 필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투명한 필름에 그림, 문자, 사진 등이 인쇄될 수 있다. 인쇄층(133)은 교체 가능할 수 있고, 인쇄층(133)을 교체함으로써 사용자는 조명 장치(1)가 다른 그림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스크래치층(131)은 지지판(13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치층(131)은 지지판(132)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판(132)은 강성있는 재질로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스크래치층(131)에 마찰을 가하여 스크래치층(131)의 일부를 박리시킬 때 인쇄층(13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판(132)에 스크래치 가능한 물질이 적층되어 스크래치 필름이 없이 스크래치층(131)이 구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스크래치층(131)을 긁으면 인쇄층(133)에 인쇄되어 있는 그림 등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박리된 모양(P)에 인쇄층(133)의 그림이 나타나는 조명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쇄층(133)에 인쇄되어 있는 그림을 따라 스크래치층(131)을 박리할 수 있도록, 스크래치층(131)에 인쇄층(133)과 유사한 그림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133)은 컬러 그림이 인쇄되고, 스크래치층(131)은 검정색 배경에 흰색 또는 회색 그림이 인쇄되어 사용자가 흰색 또는 회색 그림을 따라 스크래치층(131)을 긁으면 인쇄층(131)의 컬러 그림이 외부로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인쇄층(133) 및 스크래치층(131)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실시 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는 기둥 형태의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치 본체(210)는 몸체부(212)와, 몸체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한 덮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치 표시부(230)는 본체(2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스크래치 표시부(230)는 몸체부(212)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12)는 스크래치 표시부(230)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스크래치 표시부(230)는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몸체부(212)는 투명하게 구성되어 외부에서 스크래치 표시부(230)가 관찰될 수 있다.
스크래치 표시부(230)는 투명한 지지필름(미도시)과, 인쇄층(미도시)과 스크래치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필름(미도시)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지지판과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1)와 달리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스크래치 표시부(230)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래치층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하여, 스크래치 표시부(230)을 몸체부(212)에 장착할 수 있다. 발광부(220)는 덮개부(211)에 부착되어 빛을 방출할 수 있고, 발광부(220)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박리된 부분(P)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래치 표시부(230)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크래치 표시부(230)을 교체함으로서 조명 장치(2)에서 방출되는 빛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발광부(220)가 덮개부(211)에 부착되는 형태를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발광부(220)가 몸체부(212)의 중심부에 배치되거나 본체(210)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212)의 둘레를 따라 발광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발광부(220)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본체
120 발광부
130 스크래치 표시부

Claims (8)

  1. 하우징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측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투명 재질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림이 인쇄된 인쇄층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배치되는 스크래치층을 포함하는 교체 가능한 스크래치 표시부; 및
    상기 스크래치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래치층이 임의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투명 재질이고,
    상기 스크래치층과 상기 인쇄층에는 동일한 그림이 인쇄되어 상기 스크래치층의 적어도 일부가 박리되면 상기 인쇄층에 인쇄된 그림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크래치층의 적어도 일부가 박리될 때 상기 지지판이 상기 인쇄층을 커버하여 상기 인쇄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발광부는 박리된 스크래치층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10265A 2015-08-04 2015-08-04 조명 장치 KR10183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65A KR101834039B1 (ko) 2015-08-04 2015-08-04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65A KR101834039B1 (ko) 2015-08-04 2015-08-04 조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05A Division KR20180029206A (ko) 2018-02-12 2018-02-12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66A KR20170016766A (ko) 2017-02-14
KR101834039B1 true KR101834039B1 (ko) 2018-03-02

Family

ID=5812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65A KR101834039B1 (ko) 2015-08-04 2015-08-04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362B1 (ko) * 2017-12-12 2019-10-24 정민호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KR102036336B1 (ko) * 2017-12-12 2019-10-24 정민호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322Y1 (ko) * 2001-01-19 2001-06-15 이영원 전사지를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한 전등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322Y1 (ko) * 2001-01-19 2001-06-15 이영원 전사지를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한 전등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66A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9486B2 (en) Illuminated sign apparatus
WO2005057534A3 (en) Illuminated display device
TW200706803A (en) Thin internally illuminated sign
KR101834039B1 (ko) 조명 장치
EP1617396A3 (en) Symbol illumination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KR101039205B1 (ko) 광고용 led 간판
KR20180029206A (ko) 조명 장치
JP2006227140A (ja) エッジライトパネル
JP2016061931A (ja) 切り文字led看板
US9038294B2 (en) Lighted signs for passenger vehicles
EP1496490A3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sheet
US8074386B2 (en) Integrated mirror and graphics display system
JP2005031596A (ja) 表示器具
JP7352978B2 (ja) 背面パネル及びショーケース
JP6886671B2 (ja) 車両用表示灯
KR101523587B1 (ko) 방범용 표지장치
KR200249889Y1 (ko) 렌티큘라 렌즈가 부착된 간판
JP3161204U (ja) 蓄光式屋外駅名標
JP3206095U (ja) 掲示板
JP6444068B2 (ja) 額縁
JP3192827U (ja) 展示装置
KR200206894Y1 (ko) 흑경을 이용한 광고판
JP3114488U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で照明した装身具用表示シート
JP3159262U (ja) 広告物の照明装置
US2009021973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light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