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362B1 -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 Google Patents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362B1
KR102036362B1 KR1020180011510A KR20180011510A KR102036362B1 KR 102036362 B1 KR102036362 B1 KR 102036362B1 KR 1020180011510 A KR1020180011510 A KR 1020180011510A KR 20180011510 A KR20180011510 A KR 20180011510A KR 102036362 B1 KR102036362 B1 KR 10203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color
friction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225A (ko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호 filed Critical 정민호
Publication of KR2019007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44C1/1716Decalcomanias provided with a particular decorative layer, e.g. specially adapted to allow the formation of a metallic or dyestuff layer on a substrate unsuitable for direct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Abstract

대상물 및 전사필름을 포함하는 물건으로서, 전사필름은, 대상물 상에 일면이 접촉되며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 엠보싱 무늬층의 타면과 대상물 상에 일면이 접착되는 접착층, 접착층의 타면에 일면이 접착되는 컬러층, 컬러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커버층을 포함하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하여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Product capable of exposing pattern by friction peeling}
본 발명은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에 관한 것이다.
장식용 카드 또는 엽서 등이 이미 시판되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카드나 엽서에는 메시지 또는 문양들이 그려지며 이는 소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외부에 그대로 드러난 상태로 유통 및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카드 또는 엽서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나 벽면 등에 심미적, 실용적 목적을 위해 메시지 또는 문양을 나타내는 수단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대상물에 메시지 또는 문양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대상물과 메시지 또는 문양이 동일 평면상에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여기서 대상물이라 함은, 카드, 엽서,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등 메시지 또는 문양을 일면상에 표시할 필요가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한편, 메시지 또는 문양이 대상물 면보다 더욱 돌출되거나 대상물 면보다 파인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즉, 상기 메시지 또는 문양을 양각 또는 음각 형태로 나타나게 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어떤 카드는, 카드를 접어서 문양 및 메시지를 가리거나, 가림을 위한 이형성 스티커를 포함한다.
종래에 메시지 또는 문양을 양각 또는 음각 형태로 대상물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양각 또는 음각 형태를 조각하는 등 유사한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식들은 양각 또는 음각을 조각하기 위해 들이는 시간 및 노력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단지 스티커를 떼거나 접었던 카드를 펼치는 것 이외에, 카드에 가려진 문양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특별한 수단이 요구된다면, 사용자는 가려진 문양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에 더 큰 흥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문양 또는 메시지가 가려진 대상물 상에 특별한 문양 노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물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문양 또는 메시지가 쉽게 가려지고 노출될 수 있는 물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은 대상물 및 전사필름을 포함하는 물건으로서, 전사필름은 대상물 상에 일면이 접촉되며,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 엠보싱 무늬층의 타면과 대상물 상에 일면이 접착되는 접착층, 접착층 상에 형성된 컬러층, 컬러층 상에 형성된 커버층을 포함하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하여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공한다.
한편, 커버층은 융기박리부를 가지고, 컬러층은 융기노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공한다.
또한, 컬러층의 내마모성이 커버층의 내마모성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공한다.
또한, 컬러층은 커버층과 대비되는 색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층은 대상물의 일면 상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층은 대상물의 일면에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공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제조방법은, 커버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과정, 컬러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 접착층 상에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을 형성하는 과정, 접착층을 대상물의 일면에 접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커버층은 융기박리부를 가지고, 컬러층은 융기노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공한다.
또한, 엠보싱 무늬층은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접착층 상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일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타면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한 이후의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한 후 엠보싱 무늬층의 문양에 대응하는 문양을 외부에 표출되도록 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이 전사된 대상물의 표면에서 마찰 박리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상태에 대한 일면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이 전사된 대상물에서 마찰 박리가 이루어진 이후 상태에 대한 일면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전사필름을 제2 이형필름층이 부착된 베이스층에 접착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전사필름이 베이스층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층을 대상물 상에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전사필름이 접착된 베이스층이 대상물 상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전사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전사필름을 대상물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는 전사필름(1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필름(100)은 이형필름층(110),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및 엠보싱 무늬층(150)을 포함한다.
이형필름층(110)은 유연성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형필름층(110)은 커버층(120)이 부착되는 면에 도포된 이형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층(110)은 상기 커버층(12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사용자가 전사필름(100)의 문양을 표출하도록 할 때에는 커버층(120)으로부터 이형필름층(110)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문양 표출이 필요 없이 단순히 전사필름(100)을 유통 또는 보관할 때에는 커버층(120)을 외부 이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형필름층(110)은 커버층(120)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층(120)은 이형필름층(110)에 적층되는 유색 필름층이거나 이형필름층(110) 상에 도포 또는 인쇄되는 유색 잉크층일 수 있다. 커버층(120)은 광투과성이 낮은 짙은 색 필름, 도료 또는 잉크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120)은 검정색, 짙은 갈색 또는 회색과 같은 색을 가진 필름, 도료 또는 잉크층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커버층(120)은 밝은 색을 가진 필름, 도료 또는 잉크층일 수 있다. 컬러층(130)이 밝은 색을 가진 경우, 커버층(120)은 컬러층(130)이 눈에 잘 보이도록 검정색, 짙은 갈색, 회색과 같이 어두운 색을 가질 수 있다. 컬러층(130)이 어두운 색을 가진 경우, 커버층(120)은 컬러층(130)이 눈에 잘 보이도록 밝은 색을 가질 수 있다. 커버층(120)은 마찰 또는 문지름에 의해 쉽게 제거 또는 박리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층(120)은 별도의 마찰부재에 의해 제거 또는 박리된다. 마찰부재에는 제한이 없으나, 마찰부재는 커버층(120)만 선택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마찰부재는 커버층(120)은 마모시킬 수 있으나, 컬러층(130)은 마모시킬 수 없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커버층(120)은 마찰부재에 의해서만 제거 또는 박리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 외부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보존성을 높이는 구성도 가능하다.
컬러층(130)은 커버층(120)에 적층된다. 컬러층(130)은 유색 필름층이거나 커버층(120) 상에 도포 또는 인쇄되는 유색 잉크층일 수 있다. 컬러층(130)은 커버층(120)의 색상에 대비되는, 밝은 색 또는 어두운 색을 갖는 도료 또는 잉크층일 수 있다. 컬러층(130)은 심미성 있는 색으로서, 예를 들어, 빨강, 파랑, 녹색 등과 같은 원색 또는 금색 또는 은색 잉크 층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컬러층(130)은 커버층(120) 상에 적층된 금속층일 수 있다. 여기서 "대비되는"의 의미는 색채학에서 통용되는 보색, 반대색 외에 사람이 시각적으로 주목할 만한 색채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층(130)은 문양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어느 정도의 탄력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컬러층(130)은 상대적으로 마찰 또는 박리가 잘 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층(130)은 커버층(120)에 비해 높은 내마모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러층(130)은 위에서 언급한 마찰부재에 의해 마찰 또는 박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컬러층(130)은 커버층(120)과 비슷한 정도로 마찰 또는 박리가 이루어지는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컬러층(130)의 두께는 마모 시 엠보싱 무늬층(150)이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40)은 컬러층(130) 상에 적층된다. 접착층(140)은 가열될 때 접착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착층(140)은 가열시 용융되어 대상물(400)에 접착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가열되지 않는 경우에도 접착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접착층(140)이 가열되지 않을 때에도 접착성을 갖는 경우, 전사필름(100)의 유통 또는 보관시 접착층(14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층을 가질 수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접착층(14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무늬층(150)의 엠보싱은 견고한 고형 물질일 수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도 5와 같이 대상물(400)에 접촉되는 부분인 접촉부(151)와 접착층(140)에 접착되는 부분인 접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의 접촉부(151)와 접착부(15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촉부(151)는 대상물(400)과 닿는 단면적을 최대한 넓게 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부(152)는 표출되는 문양의 형태에 따라 라운딩 처리될 수도 있고,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으로, 엠보싱 무늬층(150)은 그라비아 인쇄를 통해 적층될 수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실용성을 가지거나,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는 문양, 무늬 또는 캐릭터의 도안 형상을 갖는 양각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에 관한 것으로, 도 5와 같이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 및 대상물(40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재질을 가질 수 있으나, 이하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120)은 도 6과 같이 융기박리부(121)를 가질 수 있다. 대상물(400)에 전사필름(100)이 놓여진 상태에서 전사필름(100)을 대상물(400)의 표면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에 커버층(120)이 엠보싱 무늬층(150) 및 컬러층(130)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이 때, 커버층(120)의 다른 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기되는 부분이 생기는 바, 이러한 융기부를 다른 마찰부재를 이용하여 마모 또는 박리시킴으로써 융기박리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융기박리부(121) 틈으로 컬러층(130)의 융기노출부(131)가 도 6과 같이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층(120)은 상기 컬러층(130)에 비해 마모되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져 도 5와 같이 컬러층(130)의 융기노출부(131)의 일면이 커버층(120)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커버층(120)과 컬러층(130)이 비슷한 마모도를 가진 재질로 만들어져 커버층(120)과 컬러층(130)의 단면이 거의 수평에 가깝게 형성될 수도 있다.
컬러층(130)은 융기노출부(131)를 가질 수 있다. 컬러층(130)은 대상물(400)에 전사필름(100)이 놓여진 상태에서 전사필름(100)을 대상물(400)의 표면 방향으로 누를 때 엠보싱 무늬층(150)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이 때, 컬러층(130) 상에는 다른 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기되는 부분이 생긴다. 이러한 융기되는 부분은 커버층(120)이 마모 또는 박리되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되어 융기노출부(131)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융기노출부(131)는 엠보싱 무늬층(150)이 가지고 있는 문양을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
접착층(140)은 그 일면이 컬러층(130) 상에 형성되고, 타면은 엠보싱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40) 중 엠보싱이 접착되는 면 측에는 대상물(400)이 접착된다. 접착층(140)은 열전사 방식으로 대상물(400)에 접착될 수 있으며, 열을 가하지 않은 채로도 대상물(400)에 접착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접착층(140)을 가열하는, 예를 들면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층(140)을 대상물(400)에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접착층(140)이 엠보싱 무늬층(150)의 표면을 더욱 밀접하게 감싸게 됨으로써 엠보싱 무늬의 문양과 동일한 문양을 외부로 더욱 정교하게 노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전사필름(100)을 대상물(40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전사필름(100)을 대상물(400)에 밀착되게 누르는 경우, 엠보싱 무늬층(150)의 존재로 인해 주변과 높이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컬러층(130)과 커버층(120)의 일부 면을 상대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엠보싱 무늬층(150)이 가지는 문양 형태에 따라 컬러층(130)이 융기노출부(131)를 형성하게 되어 외부에 상기 문양의 형태를 노출한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접착층(140)에 접착되는 접착부(152)와 대상물(400) 상에 접촉되는 접촉부(15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접착부(152)의 일단은 평면 형태 또는 라운딩된 형태 또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대상물(400)은 전사필름(100)이 부착되는 대상물(400)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대상물(400)의 범위 또는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대상물(400)은 카드, 엽서, 명함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400)은 컴퓨터, 냉장고 등 부피를 가진 물체가 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는 전사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형필름층(110)에 커버층(120)을 증착하는 커버층(120) 증착과정, 커버층(120) 상에 컬러층(130)을 증착하는 컬러층(130) 증착과정, 컬러층(130) 상에 접착층(140)을 형성하는 접착층(140) 형성과정, 접착층(140) 상에 엠보싱 무늬층(150)을 접착하는 엠보싱 무늬층(150) 형성과정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전사필름은 앞서 기재한 이형필름층(110),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120) 증착과정에서는 이형필름층(110) 상에 커버층(120)을 분리 가능하도록 증착한다. 이형필름층(110)과 커버층(120) 사이에는 미도시된 별도의 접착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접착물질은 이형필름층(110)과 커버층(120)이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되, 이형필름층(110)을 커버층(1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컬러층(130) 증착과정에서는 커버층(120) 상에 컬러층(130)을 증착한다. 컬러층(130) 증착과정에서 커버층(120)의 일부는 컬러층(130)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도록 증착한다. 커버층(120)과 컬러층(130) 사이에는 미도시된 별도의 접착물질로 이루어진 층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위 접착물질은 마찰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컬러층(130)으로부터 이탈되는 물질일 수 있다. 한편, 위 접착물질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물질일 수 있다.
접착층(140) 형성과정에서는 접착층(140)을 컬러층(130) 상에 형성한다. 접착층(140) 형성과정에서 접착물질을 컬러층(130) 상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접착층(140)을 형성할 수 있으나, 접착층(140)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엠보싱 무늬층(150) 형성과정에서는 엠보싱 무늬층(150)을 접착층(140) 상에 증착한다. 엠보싱 무늬층(150)을 접착층(140) 상에 증착하는 방식은 그라비아 코팅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 실시예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형필름층(110)에 커버층(120)을 부착하는 커버층(120) 부착과정, 커버층(120) 상에 컬러층(130)을 부착하는 컬러층(130) 부착과정, 컬러층(130) 상에 접착층(140)을 형성하는 접착층(140) 형성과정, 접착층(140) 상에 엠보싱 무늬층(150)을 접착하는 엠보싱 무늬층(150) 접착과정, 대상물(400) 상에 전사필름(100)을 접착하는 전사필름(100) 접착과정, 이형필름층(110)을 커버층(120)으로부터 제거하는 이형필름층(110) 분리과정 및 커버층(120) 박리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앞서 기재한 이형필름층(110),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에 관한 구성, 재질, 결합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커버층(120) 부착과정, 컬러층(130) 부착과정, 접착층(140) 형성과정, 엠보싱 무늬층(150) 접착과정에서 사용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층(120) 부착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전사필름층 접착과정에서는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을 포함하는 전사필름(100)을 대상물(400)의 표면에 접착한다. 대상물(400)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사필름(100)의 커버층(120) 상에는 이형필름층(110)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전사필름(100) 접착과정에서는 전사필름(100)을 대상물(400)의 표면 방향으로 눌러 밀착시킬 수 있는 바, 이 때 전사필름(100)의 커버층(120), 컬러층(130) 등에는 상대적으로 융기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형필름층(110) 분리과정에서는 커버층(120) 상에 부착된 이형필름층(110)을 제거함으로써 커버층(12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형필름층(110) 분리과정은 커버층(120) 상에 이형필름층(110)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는 부가적인 과정이다.
커버층(120) 박리과정에서는 마찰에 의해 커버층(120) 중 상대적으로 융기된 부분만을 엠보싱이 형성된 문양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한다. 이 과정에서는 커버층(120)과 컬러층(130)의 상대적인 내마모성에 따라 커버층(120)만이 독립적으로 박리될 수도 있으며, 컬러층(130)도 커버층(120)과 같이 박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층(120) 박리과정을 거침으로써 컬러층(130)을 외부로 노출시켜 엠보싱 무늬층(150)이 가지고 있는 문양 형상을 간접적으로 외부로 표출할 수 있다.
제5 실시예는 베이스층(200)이 포함된 필름 또는 패널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층(200)은 필름 또는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베이스층(200)은 휘어지거나 연성을 가진 재질일 수 있다. 베이스층(200)이 연성을 가진 재질인 경우, 대상물(400)의 면이 단순 평면이 아니어도 대상물(400) 상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층(200)은 휘어지지 않는 패널일 수 있다. 전사필름(100)은 베이스층(200) 상에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사필름(100)은 열전사 방식에 의해 베이스층 (200)상에 접착될 수 있다.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 상면에 위치시킨 후 열을 가하여 접착층(140)을 녹임으로써, 접착층(140)을 매개로 하여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 상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층(200) 상면에 접착된 전사필름(100)에는 융기된 부분이 생기는 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층(120)을 박리시킴으로써 컬러층(130)을 드러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엠보싱 무늬층(150)에 형성된 문양 또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형상을 외부로 표출되게 할 수 있다.
베이스층(200) 중 접착층(140)이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는 추가적으로 제2 이형필름층(300)이 부착될 수 있다. 제2 이형필름층(300)은, 전사필름(100)이 베이스층(200)에 접착된 상태에서 대상물(400)에 부착시킬 필요가 있을 때 베이스층(200)에서 떼어질 수 있다. 베이스층(200)과 제2 이형필름층(300) 사이에는 접착물질이 형성됨으로써 베이스층(200)을 대상물(400)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6 실시예는 베이스층(200)이 포함된 필름 또는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층(200)에 제2 이형필름층(300)을 증착하는 제2 이형필름층(300) 증착과정, 이형필름층(110)에 커버층(120)을 증착하는 커버층(120) 증착과정, 커버층(120) 상에 컬러층(130)을 증착하는 컬러층(130) 증착과정, 컬러층(130) 상에 접착층(140)을 형성하는 접착층(140) 형성과정, 접착층(140) 상에 엠보싱 무늬층(150)을 접착하는 엠보싱 무늬층(150) 형성과정, 베이스층(200)에 전사필름(100)을 접착하는 전사필름(100) 접착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버층(120) 증착과정, 컬러층(130) 증착과정, 접착층(140) 형성과정, 엠보싱 무늬층(150) 형성과정은 제 3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형필름층(300) 증착과정에서는 베이스층(200)의 일면에 제2 이형필름층(300)을 증착한다. 제2 이형필름층(300)은 베이스층(200) 상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전사필름(100) 접착과정은 전사필름(100)을 열전사 방식으로 베이스층(200)에 접착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사필름 200 : 베이스층
110 : 이형필름층 300 : 제2 이형필름층
120 : 커버층 400 : 대상물
130 : 컬러층
140 : 접착층
150 : 엠보싱 무늬층

Claims (11)

  1. 대상물 및 전사필름을 포함하는 물건으로서, 상기 전사필름은,
    상기 대상물 상에 일면이 접촉되며,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타면과 상기 대상물 상에 일면이 접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타면에 일면이 접착되는 컬러층; 및
    상기 컬러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커버층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하여 상기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의 내마모성이 상기 커버층의 내마모성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상기 커버층과 대비되는 색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5. 대상물 및 전사필름을 포함하는 물건으로서, 상기 전사필름은,
    상기 대상물 상에 일면이 접촉되며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타면과 상기 대상물 상에 일면이 접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타면에 일면이 접착되는 컬러층; 및
    상기 컬러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커버층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융기박리부를 가지고, 상기 컬러층은 융기노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상기 커버층과 대비되는 색상을 가지고, 상기 컬러층의 내마모성이 상기 커버층의 내마모성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8. 커버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컬러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접착층 상에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접착층을 대상물의 일면에 접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의 제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무늬층은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의 제조 방법.
  10. 커버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컬러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접착층 상에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접착층을 대상물의 일면에 접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융기박리부를 가지고, 상기 컬러층은 융기노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의 제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무늬층은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의 제조 방법.

KR1020180011510A 2017-12-12 2018-01-30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KR102036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9852 2017-12-12
KR1020170169852 2017-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25A KR20190070225A (ko) 2019-06-20
KR102036362B1 true KR102036362B1 (ko) 2019-10-24

Family

ID=6710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510A KR102036362B1 (ko) 2017-12-12 2018-01-30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3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7681A (ja) 2016-09-16 2018-03-29 山本印刷株式会社 加飾樹脂シートを備えた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039B1 (ko) * 2015-08-04 2018-03-02 (주)라고디자인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7681A (ja) 2016-09-16 2018-03-29 山本印刷株式会社 加飾樹脂シートを備えた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25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73632A1 (en) Varnish-coated release liner
KR102036336B1 (ko)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7048307B1 (en) Reflective display
JP5090516B2 (ja) 立体感を有する表面装飾が施された構造体、立体感を有する印刷シート並びに転写シート
US7497475B1 (en) Multi-textured reflective display
KR102036362B1 (ko)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CN109274786B (zh) 外观件、手机后盖及电池组件
KR101405061B1 (ko) 자개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N114419984A (zh) 一种多彩全息防伪标识膜及其制备方法
JP2007293081A (ja) ラベル
KR20190092115A (ko)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6812664B2 (ja) カード付シート
US20220009273A1 (en) Multi-Purpose Sticker
GB2348703A (en) Temperature activatable indicia reveal cover
JPS5829156Y2 (ja) 熱貼着シ−ト
CN214476007U (zh) 一种双面水贴花防伪标签
JP2012013887A (ja) 取っ手付き再剥離シール
JP6059129B2 (ja) 装飾加工シートおよび装飾加工シートの製造方法
US20230326376A1 (en) Self-Adhesive Stickers Customizing Device
KR200452802Y1 (ko) 메탈릭파우더층이 형성된 휴대용 기기 케이스
JP2017032622A (ja) 支持体付ラベルおよび支持体付ラベルの製造方法
JP2005349778A (ja) 加飾方法および加飾部材
JP2005246728A (ja) 立体感を呈する表示物及びその製造方法
RU132319U1 (ru) Медаль сувенирная
JP2017159625A (ja) 印刷物の装飾方法および印刷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