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115A -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115A
KR20190092115A KR1020180011517A KR20180011517A KR20190092115A KR 20190092115 A KR20190092115 A KR 20190092115A KR 1020180011517 A KR1020180011517 A KR 1020180011517A KR 20180011517 A KR20180011517 A KR 20180011517A KR 20190092115 A KR20190092115 A KR 2019009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light
patter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호 filed Critical 정민호
Priority to KR102018001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2115A/ko
Publication of KR2019009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11Pre-treatment or treatment during printing of the recording material, e.g. heating,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광전달층, 광전달층의 일면에 접착된 베이스층, 베이스층에 일면이 접촉된,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 엠보싱 무늬층과 베이스층에 일면이 접착되는 접착층, 접착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빛을 전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컬러층, 컬러층 상에 형성되며, 마찰에 의해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는 커버층을 포함하며, 광전달층으로부터 컬러층으로 빛이 전달되어 커버층이 박리된 부분에 노출된 컬러층을 통해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의 빛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및 위 표시패널에 사용되는 전사필름, 그리고 위 표시패널 또는 전사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Panel and transparent film capable of exposing pattern by friction pee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식용 카드 또는 엽서 등이 이미 시판되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카드나 엽서에는 메시지 또는 문양들이 그려지며 이는 소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외부에 그대로 드러난 상태로 유통 및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카드 또는 엽서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나 벽면 등에 심미적, 실용적 목적을 위해 메시지 또는 문양을 나타내는 수단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대상물에 메시지 또는 문양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대상물과 메시지 또는 문양이 동일 평면상에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여기서 대상물이라 함은, 카드, 엽서,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등 메시지 또는 문양을 일면상에 표시할 필요가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한편, 메시지 또는 문양이 대상물 면보다 더욱 돌출되거나 대상물 면보다 파인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즉, 상기 메시지 또는 문양을 양각 또는 음각 형태로 나타나게 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어떤 카드는, 카드를 접어서 문양 및 메시지를 가리거나, 가림을 위한 이형성 스티커를 포함한다.
종래에 메시지 또는 문양을 양각 또는 음각 형태로 대상물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양각 또는 음각 형태를 조각하는 등 유사한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식들은 양각 또는 음각을 조각하기 위해 들이는 시간 및 노력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단지 스티커를 떼거나 접었던 카드를 펼치는 것 이외에, 카드에 가려진 문양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특별한 수단이 요구된다면, 사용자는 가려진 문양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에 더 큰 흥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문양 또는 메시지가 양각 또는 음각 형태로 입체적으로 표현되면서, 빛을 발산하는 형태로 나타난다면 보는 이의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상물 상에 특별한 문양 노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문양 또는 메시지가 쉽게 가려지고 대상물 상에서 부착 후 사용시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문양 또는 메시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함과 동시에, 이러한 문양 또는 메시지를 나타냄에 있어서 별도의 광원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표출하는 방식을 취하는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시패널은 광전달층, 광전달층의 일면에 접착된 베이스층, 베이스층에 일면이 접촉된,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 엠보싱 무늬층과 베이스층에 일면이 접착되는 접착층, 접착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빛을 전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컬러층, 컬러층 상에 형성되며, 마찰에 의해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는 커버층을 포함하며, 광전달층으로부터 컬러층으로 빛이 전달되어 커버층이 박리된 부분에 노출된 컬러층을 통해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의 빛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광전달층의 모서리 면에 부착된 광원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컬러층의 내마모성은 상기 커버층의 내마모성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컬러층은 투명 또는 색상을 가진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층은 베이스층의 일면에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사필름은, 커버층, 커버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빛을 전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컬러층, 컬러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 접착층 상에 형성되며, 문양을 가진 엠보싱 무늬층을 포함하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엠보싱 무늬층의 돌출된 문양 형상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커버층의 타면에는 이형필름층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층은 열전사 방식으로 대상물에 접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을 제공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시패널 제조방법은, 커버층을 형성하는 과정, 커버층 상에 빛을 전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컬러층을 부착하는 과정, 컬러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 접착층 상에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을 형성하는 과정, 접착층을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착하는 과정, 베이스층의 타면을 광전달층의 일면에 접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고, 컬러층은 광전달층을 통해 전달된 빛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광전달층의 모서리 면에 광원부를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엠보싱 무늬층은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접착층 상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사필름 제조방법은, 이형필름층 상에 분리 가능하도록 커버층을 형성하는 과정, 커버층 상에 빛의 전달 또는 분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컬러층을 형성하는 과정, 컬러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 접착층 상에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을 접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일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타면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베이스층에 접착시킨 후, 광전달층의 표면에 부착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이 접착된 베이스층을 광전달층의 표면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이 접착된 베이스층을 광전달층의 표면에 부착한 이후, 커버층을 박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에서, 광원부로부터 빛을 방출하여 컬러층을 통해 외부로 빛이 표현되도록 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일 구성요소인 광원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에서 커버층의 일부를 박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에서 컬러층을 통해 외부로 빛이 표출되도록 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시설물에 부착한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는 전사필름(1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필름(100)은 이형필름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사필름(100)은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및 엠보싱 무늬층(150)을 포함한다.
이형필름층(110)은 유연성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형필름층(110)은 커버층(120)이 부착되는 면에 도포된 이형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층(110)은 상기 커버층(12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사용자가 전사필름(100)의 문양을 표출하도록 할 때에는 커버층(120)으로부터 이형필름층(110)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문양 표출이 필요 없이 단순히 전사필름(100)을 유통 또는 보관할 때에는 커버층(120)을 외부 이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형필름층(110)은 커버층(120)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층(120)은 이형필름층(110)에 적층되는 유색 필름층이거나 이형필름층(110) 상에 도포 또는 인쇄되는 유색 잉크층일 수 있다. 커버층(120)은 광투과성이 낮은 짙은 색 필름, 도료 또는 잉크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120)은 검정색, 짙은 갈색 또는 회색과 같은 색을 가진 필름, 도료 또는 잉크층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커버층(120)은 밝은 색을 가진 필름, 도료 또는 잉크층일 수 있다. 컬러층(130)이 밝은 색을 가진 경우, 커버층(120)은 컬러층(130)이 눈에 잘 보이도록 검정색, 짙은 갈색, 회색과 같이 어두운 색을 가질 수 있다. 컬러층(130)이 어두운 색을 가진 경우, 커버층(120)은 컬러층(130)이 눈에 잘 보이도록 밝은 색을 가질 수 있다. 커버층(120)은 마찰 또는 문지름에 의해 쉽게 제거 또는 박리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층(120)은 별도의 마찰부재에 의해 제거 또는 박리된다. 마찰부재에는 제한이 없으나, 마찰부재는 커버층(120)만 선택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마찰부재는 커버층(120)은 마모시킬 수 있으나, 컬러층(130)은 마모시킬 수 없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커버층(120)은 마찰부재에 의해서만 제거 또는 박리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 외부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보존성을 높이는 구성도 가능하다.
컬러층(130)은 커버층(120)에 적층된다. 컬러층(130)은 금속층 또는 도료층이 될 수 있다. 금속층 또는 도료층은 유채색 또는 무채색을 가질 수 있다. 금속층 또는 도료층은 광원부(400)로부터 유래된 빛을 표면으로 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광원부(400)에서 빛을 방출하여 컬러층(130)을 통해 외부로 빛이 전달되는 경우, 컬러층(130)이 가진 색감과 전달받은 빛의 색감이 어우러져 보는 사람이 심미감을 느낄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컬러층(130)은 무색의 투명 소재로 구성되거나, 색상을 가진 반투명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컬러층(13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는 경우가 많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빛을 전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다. 컬러층(130)은 문양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어느 정도의 탄력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컬러층(130)은 마찰 또는 박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컬러층(130)은 커버층에 비해 높은 내마모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러층(130)은 마찰 부재에 의해 마찰 또는 박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컬러층(130)은 커버층과 비슷한 정도로 마찰 또는 박리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컬러층(130)의 두께는 마모 시 엠보싱 무늬층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층(130)이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빛의 투과성이 높은 재질을 갖는 컬러층(130)을 선정할 수 있다.
접착층(140)은 컬러층(130) 상에 적층된다. 접착층(140)은 가열될 때 접착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착층(140)은 가열시 용융되어 베이스층(200)에 접착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가열되지 않는 경우에도 접착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접착층(140)이 가열되지 않을 때에도 접착성을 갖는 경우, 전사필름(100)의 유통 또는 보관시 접착층(14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층을 가질 수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접착층(14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무늬층(150)의 엠보싱은 견고한 고형 물질일 수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도 5와 같이 베이스층(200)에 접촉되는 부분인 접촉부(151)와 접착층(140)에 접착되는 부분인 접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의 접촉부(151)와 접착부(15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접촉부(151)는 베이스층(200)과 닿는 단면적을 최대한 넓게 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부(152)는 표출되는 문양의 형태에 따라 라운딩 처리될 수도 있고,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으로, 엠보싱 무늬층(150)은 그라비아 인쇄를 통해 적층될 수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실용성을 가지거나,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는 문양, 무늬 또는 캐릭터의 도안 형상을 갖는 양각 패턴일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 베이스층(200), 광전달층(300), 광원부(40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개시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120)은 도 6과 같이 융기박리부(121)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층(200)에 전사필름(100)이 놓여진 상태에서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의 표면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에 커버층(120)이 엠보싱 무늬층(150) 및 컬러층(130)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이 때, 커버층(120)의 다른 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기되는 부분이 생기는 바, 이러한 융기부를 다른 마찰부재를 이용하여 마모 또는 박리시킴으로써 융기박리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융기박리부(121) 틈으로 컬러층(130)의 융기노출부(131)가 도 5와 같이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층(120)은 상기 컬러층(130)에 비해 마모되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져 도 6와 같이 컬러층(130)의 융기노출부(131)의 일면이 커버층(120)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커버층(120)과 컬러층(130)이 비슷한 마모도를 가진 재질로 만들어져 커버층(120)과 컬러층(130)의 단면이 거의 수평에 가깝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커버층(120)은 빛이 투과할 수 없는 어두운 계열의 색을 가지거나, 충분히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컬러층(130)은 융기노출부(131)를 가질 수 있다. 컬러층(130)은 베이스층(200)에 전사필름(100)이 놓여진 상태에서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의 표면 방향으로 누를 때 엠보싱 무늬층(150)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이 때, 컬러층(130) 상에는 다른 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기되는 부분이 생긴다. 이러한 융기되는 부분은 커버층(120)이 마모 또는 박리되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되어 융기노출부(131)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융기노출부(131)는 엠보싱 무늬층(150)이 가지고 있는 문양을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 컬러층(130)에서는 광원부(400)에서 방출된 빛을 광전달층(300), 접착층(140) 또는 엠보싱 무늬층(150)을 거쳐 전달받고, 최종적으로 빛이 컬러층(130)을 투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접착층(140)은 그 일면이 컬러층(130) 상에 형성되고, 타면은 엠보싱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40) 중 엠보싱이 접착되는 면 측에는 베이스층(200)이 접착된다. 접착층(140)은 열전사 방식으로 베이스층(200)에 접착될 수 있으며, 열을 가하지 않은 채로도 베이스층(200)에 접착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접착층(140)을 가열하는, 예를 들면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층(140)을 베이스층(200)에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접착층(140)이 엠보싱 무늬층(150)의 표면을 더욱 밀접하게 감싸게 됨으로써 엠보싱 무늬의 문양과 동일한 문양을 외부로 더욱 정교하게 노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에 밀착되게 누르는 경우, 엠보싱 무늬층(150)의 존재로 인해 주변과 높이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컬러층(130)과 커버층(120)의 일부 면을 상대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엠보싱 무늬층(150)이 가지는 문양 형태에 따라 컬러층(130)이 융기노출부(131)를 형성하게 되어 외부에 상기 문양의 형태를 노출한다. 엠보싱 무늬층(150)은 접착층(140)에 접착되는 접착부(152)와 베이스층(200) 상에 접촉되는 접촉부(15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접착부(152)의 일단은 평면 형태 또는 라운딩된 형태 또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층(200)은 전사필름(100)이 부착되는 층이다. 베이스층(200)은 투명하며 빛의 투과성이 우수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층(200)은 투명한 플라스틱 층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층(200)은 연성을 가진 얇은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베이스층(200)은 연성이 적은 판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베이스층(200)의 상면에는 전사필름(100)이 부착된다. 전사필름은 접착층(140)을 매개로 베이스층(200)과 부착된다. 전사필름(100)이 베이스층(200)에 부착되는 방식은 열전사 방식이 될 수 있으나, 열을 가하지 않고 베이스층 (200)상에 전사필름(100)을 위치시킨 후 전사필름(100)을 누르는 방식으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전사 방식으로 부착시키는 경우, 전사필름(100)의 일면에는 베이스층(200)이 접착되고, 타면에는 컬러층(130)이 접착된다. 한편, 접착층(140)은 엠보싱 무늬층(150)과도 접착된다. 열전사 방식으로 부착시키는 경우, 접착층(140)이 엠보싱 무늬층(150)의 형상에 맞추어 접착면을 형성하면서 변형되므로, 컬러층(130)이 엠보싱 무늬층(150)의 형상을 잘 반영한 상태로 융기될 수 있다.
광전달층(300)은 베이스층(200)의 일면에 부착된다. 광전달층(300)은 광원부(300)로부터 최종적으로 컬러층(130)에 빛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전달층(300)은 베이스층(200)의 일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전달층(300)과 베이스층(200) 간에는 별도의 접착물질을 매개로 하여 접착될 수 있다. 광전달층(300)은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전달층(300)은 투명 아크릴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광전달층(300)에서 베이스층(200)이 부착된 면의 반대면 또는 광전달층(300)의 모서리면에는 광원부(400)가 부착될 수 있다. 광원부(400)의 모서리면 중 광원부(400)가 부착되지 않은 모서리면에는 광원부(400)로부터 받은 빛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별도의 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방지층은, 예를 들어 어두운 색의 도료층이 될 수 있다. 광전달층(300)에 형성된 면 중 베이스층(200)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는 별도의 접착물질 및 미도시된 제3 이형필름층이 부착될 수 있다. 제3 이형필름층을 벗겨낸 후 광전달층(300)에 접착물질이 형성된 면을 대상물(400)에 부착시킴으로써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시패널을 대상물(400) 상에 부착할 수 있다.
광원부는 컬러층으로 전달되는 빛의 광원 역할을 한다. 광원부(400)는 램프부(420) 및 램프보호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부(420)는 램프를 포함하며 램프에서 빛을 발산한다. 램프보호부(410)는 램프부(420)를 보호하며, 전원과 램프부(420) 사이에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원부(400)는 광전달층(300)의 모서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광전달층(300)의 일 모서리면 또는 복수의 모서리면을 따라 배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램프부(420)에서 나오는 빛은 백색, 황색 또는 기타의 색 등의 단일 색이 될 수 있다. 또한, 램프부(420)에서 나오는 빛은 복수의 색이 교대로 나올 수도 있다. 광원부(400)는 자체에 내부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400)는 별도의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는 구성일 수 있다. 광원부(400)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부(420)는 광원부(400)를 따라 하나의 램프가 길게 배치된 형상일 수 있고, 수 개의 램프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램프부(420)의 램프에 불을 켜게 되면 램프로부터 나온 불빛이 컬러층(130)의 노출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다. 이 때, 외부로 표출되는 불빛은 엠보싱 무늬층(150)의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는 문양, 무늬 또는 캐릭터의 도안 형상을 따라 표출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전사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형필름층(110)에 커버층(120)을 증착하는 커버층(120) 증착과정, 커버층(120) 상에 컬러층(130)을 증착하는 컬러층(130) 증착과정, 컬러층(130) 상에 접착층(140)을 형성하는 접착층(140) 형성과정, 접착층(140) 상에 엠보싱 무늬층(150)을 접착하는 엠보싱 무늬층(150) 형성과정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전사필름은 앞서 기재한 이형필름층(110),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120) 증착과정에서는 이형필름층(110) 상에 커버층(120)을 분리 가능하도록 증착한다. 이형필름층(110)과 커버층(120) 사이에는 미도시된 별도의 접착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접착물질은 이형필름층(110)과 커버층(120)이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되, 이형필름층(110)을 커버층(1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컬러층(130) 증착과정에서는 커버층(120) 상에 컬러층(130)을 증착한다. 컬러층(130) 증착과정에서 커버층(120)의 일부는 컬러층(130)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도록 증착한다. 커버층(120)과 컬러층(130) 사이에는 미도시된 별도의 접착물질로 이루어진 층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위 접착물질은 마찰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컬러층(130)으로부터 이탈되는 물질일 수 있다. 한편, 위 접착물질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물질일 수 있다.
접착층(140) 형성과정에서는 접착층(140)을 컬러층(130) 상에 형성한다. 접착층(140) 형성과정에서 접착물질을 컬러층(130) 상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접착층(140)을 형성할 수 있으나, 접착층(140)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엠보싱 무늬층(150) 형성과정에서는 엠보싱 무늬층(150)을 접착층(140) 상에 증착한다. 엠보싱 무늬층(150)을 접착층(140) 상에 증착하는 방식은 그라비아 코팅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 실시예는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형필름층(110)에 커버층(120)을 증착하는 커버층(120) 증착과정, 커버층(120) 상에 컬러층(130)을 증착하는 컬러층(130) 증착과정, 컬러층(130) 상에 접착층(140)을 형성하는 접착층(140) 형성과정, 접착층(140) 상에 엠보싱 무늬층(150)을 형성하는 엠보싱 무늬층(150) 형성과정, 접착층(140)을 베이스층(200)에 접착시킴으로써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에 접착시키는 전사필름(100) 접착과정, 베이스층(200)의 타면을 광전달층(300)의 일면에 접착하는 광전달층(300) 접착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측면으로서, 이형 필름층(110) 분리과정 및 커버층(120) 박리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400)를 광전달층(300)의 일면 또는 모서리면을 따라 부착 또는 배치하는 광원부(400) 배치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이형필름층(110),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 베이스층(200), 광전달층(300) 및 광원부(400)에 관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의 커버층(120) 증착과정, 컬러층(130) 증착과정, 접착층(140) 형성과정, 엠보싱 무늬층(150) 형성과정에서 사용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사필름(100) 접착과정에서는 커버층(120), 컬러층(130), 접착층(140), 엠보싱 무늬층(150)을 포함하는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의 표면에 접착한다. 베이스층(200)의 표면에 접착하는 방식은 열전사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열을 가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부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층(200)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사필름(100)의 커버층(120) 상에는 이형필름층(110)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사필름(100) 접착과정에서는 전사필름(100)을 베이스층(200)의 표면 방향으로 눌러 밀착시킬 수 있는데, 이 때 전사필름(100)의 커버층(120), 컬러층(130) 등에는 상대적으로 융기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광전달층(300) 접착과정에서는 전사필름(100)이 접착된 상태인 베이스층(200)을 광전달층(300)에 접착한다. 광전달층(300)과 베이스층(200)은 별도의 접착물질로 붙일 수도 있고, 베이스층(200)과 광전달층(300)이 정전기적 인력 등으로 직접 부착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형필름층(110) 분리과정에서는 커버층(120) 상에 부착된 이형필름층(110)을 제거함으로써 커버층(120)을 노출시킨다. 이형필름층(110) 분리과정은 커버층(120) 상에 이형필름층(110)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는 과정으로서, 부가적인 과정이다.
커버층(120) 박리과정에서는 마찰에 의해 커버층(120) 중 상대적으로 융기된 부분만을 엠보싱이 형성된 문양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커버층(120)과 컬러층(130)의 상대적인 내마모성에 따라 커버층(120)만이 독립적으로 박리될 수도 있다. 한편, 컬러층(130)이 커버층(120)과 같이 박리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커버층(120) 박리과정을 거침으로써 컬러층(130)을 외부로 노출시켜 엠보싱 무늬층(150)이 가지고 있는 문양 형상을 간접적으로 외부로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위 과정 외에 광전달층(300)의 일면 또는 모서리면에 광원부(400)를 부착 또는 배치하는 광원부(400) 배치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광원부(400) 배치과정에서는 램프보호부(410)에 존재하는 부착, 배치 수단을 이용하여 광원부(400)를 광전달층(300)의 일 위치에 부착 또는 배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사필름 200 : 베이스층
110 : 이형필름층 300 : 광전달층
120 : 커버층 400 : 광원부
130 : 컬러층
140 : 접착층
150 : 엠보싱 무늬층

Claims (12)

  1. 광전달층;
    상기 광전달층의 일면에 접착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일면이 접촉된,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
    상기 엠보싱 무늬층과 상기 베이스층에 일면이 접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빛을 전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컬러층;
    상기 컬러층 상에 형성되며, 마찰에 의해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상기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는 커버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전달층으로부터 상기 컬러층으로 빛이 전달되어 상기 커버층이 박리된 부분에 노출된 상기 컬러층을 통해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의 빛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층의 모서리 면에 부착된 광원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의 내마모성은 상기 커버층의 내마모성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투명 또는 색상을 가진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6. 커버층;
    상기 커버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빛을 전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컬러층;
    상기 컬러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며, 문양을 가진 엠보싱 무늬층;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돌출된 문양 형상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상기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의 타면에는 이형필름층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열전사 방식으로 대상물에 접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9. 커버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커버층 상에 빛을 전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컬러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컬러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접착층 상에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접착층을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착하는 과정;
    상기 베이스층의 타면을 광전달층의 일면에 접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상기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고, 상기 컬러층은 상기 광전달층을 통해 전달된 빛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층의 모서리 면에 광원부를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무늬층은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상기 접착층 상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12. 이형필름층 상에 분리 가능하도록 커버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커버층 상에 빛의 전달 또는 분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컬러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컬러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접착층 상에 문양을 가지는 엠보싱 무늬층을 접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마찰에 의해 상기 엠보싱 무늬층의 형상을 따라 선택적으로 박리되어 상기 컬러층을 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제조 방법.
KR1020180011517A 2018-01-30 2018-01-30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2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17A KR20190092115A (ko) 2018-01-30 2018-01-30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17A KR20190092115A (ko) 2018-01-30 2018-01-30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115A true KR20190092115A (ko) 2019-08-07

Family

ID=6762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517A KR20190092115A (ko) 2018-01-30 2018-01-30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21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307B1 (en) Reflective display
KR102036336B1 (ko)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090516B2 (ja) 立体感を有する表面装飾が施された構造体、立体感を有する印刷シート並びに転写シート
US7497475B1 (en) Multi-textured reflective display
KR20130120784A (ko)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이 적용된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190092115A (ko)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표시패널,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9274786B (zh) 外观件、手机后盖及电池组件
KR102036362B1 (ko)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물건
US5635283A (en) Trading card with iridescent substrate
CN114419984A (zh) 一种多彩全息防伪标识膜及其制备方法
CN212581799U (zh) 一种新型镀铝彩虹膜
KR100451917B1 (ko) 홀로그램 유브이라벨 및 그 제조방법
CN214563836U (zh) 一种方便用户使用的烫印膜
US20220009273A1 (en) Multi-Purpose Sticker
CN214476007U (zh) 一种双面水贴花防伪标签
CN214142159U (zh) 一种颜色光亮的烫印膜
CN214098934U (zh) 一种具有双重防伪功能的不干胶标签
JPS5829156Y2 (ja) 熱貼着シ−ト
JP2005246728A (ja) 立体感を呈する表示物及びその製造方法
TWM429955U (en) Light-emitting nameplate
JP2008302500A (ja) 可変色彩図柄印刷物及び図柄の形成方法
JP2012013887A (ja) 取っ手付き再剥離シール
KR200338120Y1 (ko) 홀로그램 필름이 부착된 명함
RU43388U1 (ru) Самоприклеивающаяся клеевая площадка
JP2024041546A (ja) 積層体、印刷シート、及び、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