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468B1 -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 Google Patents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468B1
KR101833468B1 KR1020160095872A KR20160095872A KR101833468B1 KR 101833468 B1 KR101833468 B1 KR 101833468B1 KR 1020160095872 A KR1020160095872 A KR 1020160095872A KR 20160095872 A KR20160095872 A KR 20160095872A KR 101833468 B1 KR101833468 B1 KR 10183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mold
hole
casting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268A (ko
Inventor
승현창
김영식
신경덕
한건기
손주희
Original Assignee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5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4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60B1/04Attaching spokes to rim or hub
    • B60B1/043Attaching spokes to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 B22D29/08Strippers actuat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20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2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에 관한 것으로,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1설치플레이트를 통해 제1하형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제1상형과, 슬라이드이동을 통해 상기 제1하형과 제1상형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사이드형과, 상기 제1상형을 상하로 관통하여 주조된 디스크의 허브 부분을 누르는 이젝트핀부 및 주조된 디스크의 가장자리 전체를 누르는 제1이젝트링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설치플레이트와 제1상형 사이에 위치되는 제1이젝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디스크금형부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를 변형발생 없이 주조하는 디스크 주조단계;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2설치플레이트를 통해 제2하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일부가 제2하형에 밀착되는 제2상형과, 슬라이드이동을 통해 상기 제2하형 및 제2상형의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사이드형과, 주조되는 림의 상면을 누르는 제2이젝트링부을 구비하여 설치플레이트와 상형 사이에 위치되는 제2이젝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림금형부를 이용함으로써 내주면에 가스포크가 구성되는 림을 변형발생 없이 주조하는 림 주조단계; 상기 림의 내주면 형성된 가스포크를 절단가공하여 림의 형상을 만드는 림 형상가공단계; 마찰교반용접장비를 이용하여 디스크와 림을 서로 접합시키는 접합 제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The two-piece hollow whe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die-cast}
본 발명은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금형부에서 주조된 디스크의 탈착시 이젝트핀부를 통해 주조된 허브 부분을 가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이젝트링부를 통해 디스크의 가장자리 전체를 가압하여 탈착되는 디스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림금형부에서 주조된 림의 탈착시 제2이젝트링을 통해 전체면적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으로 변형 발생 없이 림의 탈착을 이룸으로써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한 디스크와 림의 접합을 용이하게 이루어져 휠 제작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휠은 디스크(disk)와, 림(rim)이 일체로 이루어진 원피스(one-piece)형과, 디스크와 림을 결합시킨 투피스(two-piece)형 및 쓰리피스(three-piece) 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는 통상적으로 중심에 형성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스포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최근 들어서는 무허브형 즉, 허브가 없는 타입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원피스 휠은 통상 대량으로 생산되어 출고 시에 장착되는 순정 휠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투피스 휠 및 쓰리피스 휠은 소량 생산되어 주로 성능의 향상이나 디자인 측면의 튜닝에 이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투피스 휠이나 쓰리피스 휠은 강도가 필요한 부분의 디스크 일부분에만 고강도 재질을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경량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투피스 휠이나 쓰리피스 휠은 림에 대한 디스크의 결합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시각적으로 고급스러워보이는 보이는 고가의 제품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투피스 휠 및 쓰리피스 휠은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쓰리피스 휠의 경우에는 주로 볼트를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 공정 단계가 늘어날 수밖에 없었으며, 투피스 휠의 경우에는 볼트를 통한 결합보다는 주로 용접을 통해 디스크와 림이 결합되고 있어 결합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정밀성이 요구되어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 들어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120771호와 같은 투피스 휠 제조장치가 개시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0771호 (2012.02.20.) "투피스 휠 제조장치" - 서해정밀 주식회사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투피스 휠 제조장치는 디스크와 림의 위치를 정렬시킴으로써 결합위치를 정확히 구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디스크와 림의 결합위치를 다양하여 변경하여 특화된 소량 주문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주조된 디스크 또는 림을 금형에서 분리할 때에 상기 디스크 및 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주조된 디스크 또는 림을 탈착하기 위해 이젝트핀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이젝트핀을 사용하여 디스크 및 림을 탈착할 경우에는,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집중하중에 의해 디스크 또는 림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젝트핀의 개수를 많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주조된 디스크와 림의 탈착시 상기 디스크 및 림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휠 제작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디스크금형부에서 주조된 디스크의 탈착시 이젝트핀부를 통해 주조된 허브 부분을 가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이젝트링부를 통해 디스크의 가장자리 전체를 가압하여 탈착되는 디스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림금형부에서 주조된 림의 탈착시 제2이젝트링을 통해 전체면적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으로 변형 발생 없이 림의 탈착을 이룸으로써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한 디스크와 림의 접합을 용이하게 이루어져 휠 제작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1설치플레이트를 통해 제1하형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제1상형과, 슬라이드이동을 통해 상기 제1하형과 제1상형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사이드형과, 상기 제1상형을 상하로 관통하여 주조된 디스크의 허브 부분을 누르는 이젝트핀부 및 주조된 디스크의 가장자리 전체를 누르는 제1이젝트링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설치플레이트와 제1상형 사이에 위치되는 제1이젝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디스크금형부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를 변형발생 없이 주조하는 디스크 주조단계;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2설치플레이트를 통해 제2하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일부가 제2하형에 밀착되는 제2상형과, 슬라이드이동을 통해 상기 제2하형 및 제2상형의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사이드형과, 주조되는 림의 상면을 누르는 제2이젝트링부을 구비하여 설치플레이트와 상형 사이에 위치되는 제2이젝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림금형부를 이용함으로써 내주면에 가스포크가 구성되는 림을 변형발생 없이 주조하는 림 주조단계; 상기 림의 내주면 형성된 가스포크를 절단가공하여 림의 형상을 만드는 림 형상가공단계; 마찰교반용접장비를 이용하여 디스크와 림을 서로 접합시키는 접합 제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을 이용하면, 디스크금형부에서 주조된 디스크의 탈착시 이젝트핀부를 통해 주조된 허브 부분을 가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이젝트링부를 통해 디스크의 가장자리 전체를 가압하여 탈착되는 디스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림금형부에서 주조된 림의 탈착시 제2이젝트링을 통해 전체면적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으로 변형 발생 없이 림의 탈착을 이룰 수 있으므로,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한 디스크와 림의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휠을 신속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크금형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림금형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림 형상가공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접합 제작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조금형을 이용하여 투피스 중공휠을 제작하는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1설치플레이트(130)를 통해 제1하형(120)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제1상형(140)과, 슬라이드이동을 통해 상기 제1하형(120)과 제1상형(14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사이드형(150)과, 상기 제1상형(140)을 상하로 관통하여 주조된 디스크(1)의 허브(1a) 부분을 누르는 이젝트핀부(163) 및 주조된 디스크(1)의 가장자리 전체를 누르는 제1이젝트링부(165)를 구비하여 상기 제1설치플레이트(130)와 제1상형(140) 사이에 위치되는 제1이젝트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디스크금형부(100)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1)를 변형발생 없이 주조하는 디스크 주조단계(S10);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2설치플레이트(230)를 통해 제2하형(2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일부가 제2하형(220)에 밀착되는 제2상형(240)과, 슬라이드이동을 통해 상기 제2하형(220) 및 제2상형(240)의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사이드형(250)과, 주조되는 림(3)의 상면을 누르는 제2이젝트링부(263)을 구비하여 설치플레이트(230)와 상형(240) 사이에 위치되는 제2이젝트수단(26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림금형부(200)를 이용함으로써 내주면에 가스포크(3a)가 구성되는 림(3)을 변형발생 없이 주조하는 림 주조단계(S20); 상기 림(3)의 내주면 형성된 가스포크(3a)를 절단가공하여 림(3)의 형상을 만드는 림 형상가공단계(S30); 마찰교반용접장비(400)를 이용하여 디스크(1)와 림(3)을 서로 접합시키는 접합 제작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디스크 주조단계(S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금형부(100)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1)의 변형발생 없이 주조를 이루는 단계로서, 상기 디스크금형부(100)가 제1베이스몰드(110)와, 제1하형(120)과, 제1설치플레이트(130)와, 제1상형(140)과, 제1사이드형(150)과, 제1이젝트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베이스몰드(110)는 디스크금형부(100)의 설치를 위한 베이스로서, 공지된 통상의 용탕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용탕을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파이프(미도시)가 연결되는 제1설치홀(111)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제1하형(120)은 주조되는 디스크(1)의 전면 형상 제작을 위해 제1베이스몰드(1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용탕 유입을 위해 제1베이스몰드(110)의 제1설치홀(111)에 대응되는 제1탕구(121)를 형성하며, 상기 제1설치홀(111)과 제1탕구(121)에는 통상의 부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설치플레이트(130)는 상기 제1하형(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승강실린더와 같은 공지된 통상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구성으로, 제1상형(140)의 승강작동 및 제1이젝트수단(160)의 설치를 위해 구성된다.
또한, 제1상형(140)은 주조되는 디스크(1)의 후면 형상 제작을 위해 제1하형(1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으로, 금형의 분해 조립을 통해 유지보수 또는 디스크(1)의 주조를 할 수 있도록 제1설치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승강작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상형(140)은 통상의 볼트결합에 의해 제1설치플레이트(130)와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축(141)을 통해 상기 제1설치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연동되어 지며, 주조된 디스크(1)의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제1이젝트수단(160)이 끼워지는 핀홀(143)과 제1봉홀(145)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사이드형(150)은 주조되는 디스크(1)의 측면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1하형(120)과 제1상형(140)의 측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제1실린더(151)를 구성하여 상기 제1실린더(151)의 구동에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형(150)은 공지된 통상의 리니어베어링결합을 통해 제1베이스몰드(110)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또한, 제1이젝트수단(160)은 디스크금형부(100)를 통해 주조 제작된 디스크(1)를 변형발생 없이 탈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핀홀(143)에 대응되는 핀결합홀(161a)과 제1봉홀(145)에 대응되는 제1봉결합홀(161b) 및 상기 제1연결축(141)에 대응되는 제1연결홀(161c)을 형성하여 제1연결축(141)에 슬라이드결합되는 제1이젝트플레이트(161)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핀결합홀(161a)에는 상형의 핀홀(143)에 끼워진 상태로 주조된 디스크(1)의 허브(1a)를 누르는 작용을 하는 이젝트핀부(463)가 결합되고, 상기 제1봉결합홀(161b)에는 제1상형(140)의 제1봉홀(145)에 끼워진 상태로 디스크(1)의 가장자리 전체를 누르는 작용을 하는 제1이젝트링부(16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1이젝트링부(165)는 설치 및 작동을 위하여, 제1이젝트플레이트(161)의 제1봉결합홀(161b)에 결합된 상태로 제1봉홀(145)에 끼워지는 제1이젝트봉(165a)과 상기 제1이젝트봉(165a)의 끝단에 링 형상으로 결합되어 주조된 디스크(1)의 가장자리 전체를 누르는 작용을 하는 제1가압링(165b)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이젝트플레이트(161)의 상부에는 제1연결홀(161c)에 대응되는 제2연결홀(167a)을 형성하여 제1연결축(141)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제1이젝트플레이트(161)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이젝트플레이트(167)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제2이젝트플레이트(167)에 의해 상기 핀결합홀(161a)에 결합된 이젝트핀부(163)의 견고한 고정설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지된 통상의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제1, 2이젝트플레이트(161, 167)가 하강작동하면, 복수 개로 구성되는 이젝트핀부(163)가 주조된 디스크(1)의 허브(1a) 부분을 가압함과 동시에, 이젝트링부(165)의 가압링(165b)이 주조된 디스크(1)의 가장자리 전체면적을 가압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상기 디스크(1)의 전체면적에 하강작동하는 힘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디스크(1)의 변형 발생 없이 탈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1, 2이젝트플레이트(161, 167)를 가압하는 승강수단의 힘이 제거되면, 제1상형(140)과 제1이젝트플레이트(161) 사이에 배치되는 리턴부(169)를 통해 제1이젝트수단(160)이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리턴부(169)는 통상의 스프링(169a)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제1, 2이젝트플레이트(161, 167)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상형에는 스프링(169a)이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69b)가 더 포함 구성되고, 상기 제1, 2이젝트플레이트(161, 167)에는 가이드돌(169b)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169b)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더 포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합형된 디스크금형부(100)가 벌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1베이스몰드(110)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171)이 더 포함 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상형에는 가이드핀(171)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한 가이드부시(173)가 더 포함 구성되게 하여 상형(140)의 하강작동시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핀(171)과 가이드부시(173)를 이용한 결합 후에는, 통상의 클램프(175)로 이를 체결함으로써 분리가 방지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에 따르면, 주조시 디스크금형부(100)의 벌어짐이 방지되므로 디스크(1)의 반복적인 제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둘째, 림 주조단계(S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림금형부(200)를 이용함으로써 림(3)의 변형발생 없이 주조를 이루는 단계로서, 상기 림금형부(200)가 제2베이스몰드(210)와, 제2하형(220)과, 제2설치플레이트(230)와, 제2상형(240)과, 제2사이드형(250)과, 제2이젝트수단(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2베이스몰드(210)는 림금형부(200)의 설치를 위한 베이스로서, 디스크금형부(100)의 제1베이스몰드(110)와 마찬가지로 공지된 통상의 용탕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용탕을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파이프(미도시)가 연결되는 제1설치홀(211)이 관통형성되며, 제2하형(220)은 주조되는 림(3) 제작을 위해 제2베이스몰드(2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용탕 유입을 위해 제2베이스몰드(210)의 제2설치홀(211)에 대응되는 제2탕구(221)를 형성하며, 상기 제2설치홀(211)과 제1탕구(221)에는 통상의 부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설치플레이트(230)는 제1설치플레이트(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하형(2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승강실린더와 같은 공지된 통상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구성으로, 제2상형(240)의 승강작동 및 제2이젝트수단(260)의 설치를 위해 구성된다.
또한, 제2상형(240)은 주조되는 림(3)의 형상 제작을 위해 제2하형(2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으로, 금형의 분해 조립을 통해 유지보수 또는 림(3)의 주조를 할 수 있도록 제2설치플레이트(230)에 결합되어 승강작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상형(240)은 통상의 볼트결합에 의해 제2설치플레이트(230)와 연결되어 있는 제2연결축(241)을 통해 상기 제2설치플레이트(230)에 결합되어 연동되며, 주조된 림(3)의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제2이젝트수단(260)이 끼우지는 제2봉홀(245)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사이드형(250)은 주조되는 림(3)을 링 형상으로 제작하기 위해 제2하형(220)과 제2상형(240)의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으로, 제2실린더(251)를 구성하여 상기 제2실린더(251)의 구동에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사이드형(250)은 공지된 통상의 리니어베어링결합을 통해 제2베이스몰드(210)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또한, 제2이젝트수단(260)은 림금형부(200)를 통해 주조 제작된 림(3)을 변형발생 없이 탈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2봉홀(245)에 대응되는 제2봉결합홀(261a) 및 상기 제2연결축(241)에 대응되는 연결홀(261b)을 형성하여 제2연결축(241)에 슬라이드결합되는 이젝트플레이트(261)를 구성하고, 상기 제2봉결합홀(261a)에는 제2상형(240)의 제2봉홀(245)에 끼워진 상태로 링 형상으로 형성된 림(3)의 전체면적을 누르는 작용을 하는 제2이젝터링부(26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제2이젝터링부(263)는 설치 및 작동을 위하여, 이젝트플레이트(241)의 제2봉결합홀(261a)에 결합된 상태로 제2봉홀(245)에 끼워지는 제2이젝트봉(263a)과 상기 제2이젝트봉(263a)의 끝단에 링 형상으로 결합되어 주조된 림(3)의 전체면적을 누르는 작용을 하는 제2가압링(263b)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지된 통상의 승강수단에 의해 이젝트플레이트(261)가 하강작동하면, 제2이젝트링부(263)의 가압링(263b)이 림(3)의 전체면적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상기 림(3)에 균일한 힘이 전달되어 변형발생 없이 림(3)을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젝트플레이트(261)를 가압하는 승강수단의 힘이 제거되면, 디스크금형부(100)와 마찬가지로 리턴부(269)에 의해 제2이젝트수단(260)이 초기상태로 복귀될 뿐만 아니라, 제2베이스몰드(211)에 형성되는 가이드핀(271)과, 상형(24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시(273) 및 이를 체결하는 클램프(275)에 의해 림금형부(200)의 벌어짐이 방지되어지므로 림(3)의 반복적인 제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디스크금형부(100)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셋째, 림 형상가공단계(S30)는 림(3)의 형상을 만드는 단계로서, 상기 림(3)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스포크(3a)를 절단가공함으로써 상기 림(3)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게 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림(3)을 플로우포밍하여 형상가공을 해야 할 때에는, 가스포크(3a)를 절단하기 전에 플로우포밍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는데, 이는, 상기 림(3)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포크(3a)를 통해 플로우포밍을 위한 림(3)의 안정적인 안착설치를 이룰 수 있게 하기 위함 뿐만 아니라, 플로우포밍시 림(3)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림(3)의 형상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넷째, 접합 제작단계(S40)는 공지된 통상의 마찰교반용접장비(400)를 이용하여 주조 제작된 디스크(1)와 림(3)을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투피스 휠 제작을 이루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디스크(1)와 림(3)이 접합되는 사이에는 공명소음의 저감시키기 위한 빈공간(5)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접합제작된 휠의 내부에 빈공간(5)이 형성되게 할 때에는, 디스크(1)와 림(3)의 접합을 이루기 전에 빈공간(5)과 연통되는 공명홀(3b)을 림(3)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공명홀(3b)은 접합 제작단계(S40) 이후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작된 휠을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러그홀(미도시) 형성과, 열처리와, 도장 및 검사를 이룰 수 있음은 당연하고, 상기 열처리와 도장 및 검사 사이에는 휠의 용도에 따라 디스크(1)의 전면을 디자인 가공하는 작업이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을 이용하면, 디스크(1)와 림(3)의 변형발생 없이 주조를 이룰 수 있게 되므로, 휠 제작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디스크 1a : 허브 3 : 림 3a : 가스포크 3b : 빈공간 5 : 중공
110 : 제1베이스몰드 111 : 제1설치홀
120 : 제1하형 121 : 제1탕구 130 : 제1설치플레이트
140 : 제1상형 141 : 제1연결축 143 : 핀홀 145 : 제1봉홀
150 : 제1사이드형 151 : 제1실린더
160 : 제1이젝트수단 161 : 제1이젝트플레이트 161a : 핀결합홀 161b : 제1봉결합홀 161c : 제1연결홀 163 : 이젝트핀부 165 : 제1이젝트링부 165a : 제1이젝트봉 165b : 제1가압링 167 : 제2이젝트플레이트 167a : 제2연결홀 169 : 리턴부 169a : 스프링169b : 가이드돌기 171 : 가이드돌기 173 : 가이드부시 175 : 클램프
200 : 림금형부
210 : 제2베이스몰드 211 : 제2설치홀
220 : 제2하형 221 : 제2탕구 230 : 제2설치플레이트
240 : 상형 241 : 제2연결축 245 : 제2봉홀
250 : 제2사이드형 251 : 제2실린더
260 : 제2이젝트수단 261 : 이젝트플레이트 261a : 제2봉결합홀 261b : 연결홀 263 : 제2이젝트링부 263a : 제2이젝트봉 253b : 제2가압링 269 : 리턴부 271 : 가이드돌기 273 : 가이드부시 275 : 클램프
400 : 마찰교반용접장비

Claims (3)

  1. 용탕 충전을 위해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1설치홀(111)이 형성되는 제1베이스몰드(110); 상기 제1설치홀(111)에 대응되는 제1탕구(121)를 형성되어 용탕 유입을 이루는 제1하형(120); 상기 제1하형(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1설치플레이트(130); 상기 제1하형(1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연결축(141)을 통해 상기 제1설치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핀홀(143)과 제1봉홀(145)이 형성된 제1상형(140); 상기 제1베이스몰드(110)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제1실린더(151)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어 제1하형(120)과 제1상형(14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사이드형(150); 상기 핀홀(143)에 대응되는 핀결합홀(161a)과 제1봉홀(145)에 대응되는 제1봉결합홀(161b) 및 상기 제1연결축(141)에 대응되는 제1연결홀(161c)을 형성하여 제1연결축(141)에 슬라이드결합되는 제1이젝트플레이트(161)와, 상기 핀결합홀(161a)에 결합된 상태로 핀홀(143)에 끼워져 주조된 디스크(1)의 허브(1a)를 누르는 작용을 하는 이젝트핀부(163)와, 제1봉결합홀(161b)에 결합된 상태로 제1봉홀(145)에 끼워지는 제1이젝트봉(165a)과 상기 제1이젝트봉(165a)의 끝단에 결합되어 주조된 디스크(1)의 가장자리 전체를 누르는 작용을 하는 제1가압링(165b)으로 구성된 제1이젝트링부(165)과, 상기 핀결합홀(161a)에 결합된 이젝트핀부(163)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연결홀(161c)에 대응되는 제2연결홀(167a)을 형성하여 제1연결축(141)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제1이젝트플레이트(161)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이젝트플레이트(1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1이젝트수단(160); 을 구성한 디스크금형부(10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1이젝트수단(160)을 이용한 디스크(1)의 탈착시 상기 디스크(1)에 변형이 방생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주조하는 디스크 주조단계(S10);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2설치플레이트(230)를 통해 제2하형(2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일부가 제2하형(220)에 밀착되는 제2상형(240)과, 슬라이드이동을 통해 상기 제2하형(220) 및 제2상형(240)의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사이드형(250)과, 주조되는 림(3)의 상면을 누르는 제2이젝트링부(263)을 구비하여 설치플레이트(230)와 상형(240) 사이에 위치되는 제2이젝트수단(26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림금형부(200)를 이용함으로써 내주면에 가스포크(3a)가 구성되는 림(3)을 변형발생 없이 주조하는 림 주조단계(S20);
    상기 림(3)의 내주면 형성된 가스포크(3a)를 절단가공하여 림(3)의 형상을 만드는 림 형상가공단계(S30);
    마찰교반용접장비(400)를 이용하여 디스크(1)와 림(3)을 서로 접합시키는 접합 제작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림금형부(200)는,
    용탕 충전을 위해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2설치홀(211)이 형성되는 제2베이스몰드(210);
    상기 제2설치홀(211)에 대응되는 제2탕구(221)를 형성되어 용탕 유입을 이루는 제2하형(220);
    상기 제2하형(220)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제2설치플레이트(230);
    주조되는 림(3)에 가스포크(3a)가 형성되도록 일부가 제2하형(220)에 밀착되어 배치되되, 제2연결축(241)을 통해 상기 제2설치플레이트(230)에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제2봉홀(245)이 형성된 제2상형(240);
    상기 제2베이스몰드(210)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제2실린더(251)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어 제2하형(220)과 제2상형(240)의 측면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사이드형(250);
    상기 제2봉홀(245)에 대응되는 제2봉결합홀(261a) 및 상기 제2연결축(241)에 대응되는 연결홀(261b)을 형성하여 제2연결축(241)에 슬라이드결합되는 이젝트플레이트(261)와, 제2봉결합홀(261a)에 결합된 상태로 제2봉홀(245)에 끼워지는 제2이젝트봉(263a)과 상기 제2이젝트봉(263a)의 끝단에 결합되어 주조된 림(3)을 전체적으로 누르는 작용을 하는 제2가압링(263b)으로 구성된 제2이젝트링부(2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2이젝트수단(26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이젝트수단(260)을 이용한 림(3)의 탈착시 상기 림(3)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KR1020160095872A 2016-07-28 2016-07-28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KR10183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72A KR101833468B1 (ko) 2016-07-28 2016-07-28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72A KR101833468B1 (ko) 2016-07-28 2016-07-28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268A KR20180014268A (ko) 2018-02-08
KR101833468B1 true KR101833468B1 (ko) 2018-03-02

Family

ID=6123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72A KR101833468B1 (ko) 2016-07-28 2016-07-28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0860A (zh) * 2018-11-30 2020-06-09 华孚精密科技(马鞍山)有限公司 一种大尺寸压铸产品的制造方法
CN115041664B (zh) * 2022-04-29 2024-03-15 河南科技大学 一种汽车车轮的低压浇注液态模锻成形模具及其成形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092B1 (ko) * 1996-01-12 1999-10-01 아다지바라 아키후미 경량합금형 휠의 주조방법 및 장치
JP3718492B2 (ja) 2002-08-12 2005-11-24 株式会社レイズファウンダリー ホイ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703052B1 (ko) 2006-05-12 2007-04-09 (주)썬테크 반응고 성형용 금형설비의 사이드금형 이형 안내장치
JP3916576B2 (ja) 2003-03-10 2007-05-16 トピー工業株式会社 弾性ホイールのリムおよびディスクの鋳造方法
KR101169309B1 (ko) 2011-02-24 2012-08-03 동화상협 주식회사 차량용 휠 제조방법
KR101523052B1 (ko) 2013-10-31 2015-05-22 오치영 자동차 휠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586185B1 (ko) * 2014-08-19 2016-01-20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경량화 구현을 위한 투피스 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092B1 (ko) * 1996-01-12 1999-10-01 아다지바라 아키후미 경량합금형 휠의 주조방법 및 장치
JP3718492B2 (ja) 2002-08-12 2005-11-24 株式会社レイズファウンダリー ホイ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916576B2 (ja) 2003-03-10 2007-05-16 トピー工業株式会社 弾性ホイールのリムおよびディスクの鋳造方法
KR100703052B1 (ko) 2006-05-12 2007-04-09 (주)썬테크 반응고 성형용 금형설비의 사이드금형 이형 안내장치
KR101169309B1 (ko) 2011-02-24 2012-08-03 동화상협 주식회사 차량용 휠 제조방법
KR101523052B1 (ko) 2013-10-31 2015-05-22 오치영 자동차 휠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586185B1 (ko) * 2014-08-19 2016-01-20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경량화 구현을 위한 투피스 휠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268A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329A (en) Platen having internal spring-like characteristic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mold mounting face during clamping operations
KR101833468B1 (ko) 주조금형을 이용한 투피스 중공휠 제조공법
JP5353388B2 (ja) 樹脂圧入方法
US20100092590A1 (en) Tire forming mold
US20180229546A1 (en) Hubless one-piece wh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635430B2 (ja) 樹脂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24782A (ja) 車両用オイルストレーナ
JP5175772B2 (ja) タイヤ成形金型
EP2445694B1 (fr) Perfectionnement pour outillage
US6357116B1 (en) Method for assembly of vehicle wheels
WO2004045822A1 (ja) 成形用金型、成形方法、ディスク基板及び成形機
KR101805591B1 (ko) 자동차용 휠 제작장치
CN104369823A (zh) 自行车用车架单元及其制造方法
KR200457383Y1 (ko) 열융착기의 융착팁
JP579896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中空ピストン及び成形ダイス
JPH01141713A (ja) モールドロータ用の金型
JP2004230740A (ja) 金具付ゴム部材の金具端面の滑り止め加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加硫金型
KR101805592B1 (ko) 자동차용 휠 제작방법
JP2008110610A (ja) 微細加工方法および微細加工基板
CN219188584U (zh) 带刹车零部件的轮毂用高压铸造模具
CN216263343U (zh) 铝合金轮毂的铸造模具
JP4031025B1 (ja) 微細加工方法および微細加工基板
US20070275115A1 (en) Mold For Molding Disk, Mirror-Surface Disk, And Molded Product
EP3127783A1 (en) Suspens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51400B1 (ko) 브레이크 디스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