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039B1 -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 Google Patents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039B1
KR101833039B1 KR1020160160810A KR20160160810A KR101833039B1 KR 101833039 B1 KR101833039 B1 KR 101833039B1 KR 1020160160810 A KR1020160160810 A KR 1020160160810A KR 20160160810 A KR20160160810 A KR 20160160810A KR 101833039 B1 KR101833039 B1 KR 10183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prepreg
door
f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덕
이춘우
정지훈
이휘용
Original Assignee
아진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진산업(주) filed Critical 아진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16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on rails, e.g. under the action of scrapers o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6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transport or conveyor rolls for furnaces; roller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27B2009/122Pre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59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tracks, e.g. rails and wag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 프리프레그 예열장치는 프리프레그를 투입하는 투입이송장치(100), 오븐을 개폐하는 오븐도어부(210), 프리프레그를 예열하는 오븐(200), 오븐 내의 프리프레그를 관찰하는 투시창(W), 프리프레그를 배출하는 배출이송장치(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투입이송장치(100) 및 배출이송장치(300)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110);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타임벨트구동부(120); 타임벨트구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부이송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오븐도어부(210)는; 프레프레그를 오븐 내로 장입 또는 배출하는 도어(211); 상기 도어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12); 프리프레그가 상부이송부에 올려져 있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도어의 상부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리미트센서; 상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수동버튼(213);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오븐(200)은; 프리프레그를 거치하는 받침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프레그 예열장치{Prepreg preheating system}
본 발명은 강화섬유에 열경화성 수지 등을 예비함침한 프리프레그를 예열함으로써, 수지를 경화시켜 성형품으로 제조하는 예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프레그 제품을 오븐에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오븐 내의 온도를 제어하고, 예열 후 자동으로 배출하는 프리프레그 예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열로를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열로(10)의 내부에 거치대(13)가 구비되어 있고, 가열하고자 하는 제품(100)을 도어(20)를 통하여 삽입하여 거치대(13)의 상부에 거치한 후 도어(20)로 입구(11)를 폐쇄하고 가열부(12)에서 열을 발생시켜 제품(100)을 가열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가열로는 가열하고자 하는 제품을 가열로에 장입할 때 자동으로 제품을 장입할 수 없어, 작업자의 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건비가 상승하고 불량품이 발생하며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2797호 (2012.12.10.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오븐에 프리프레그를 장입하던 것을 자동으로 장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산원가절감, 불량품의 최소화, 생산제품의 균일화, 표준화가 가능하며, 작업조건 및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프리프레그 예열장치는, 프리프레그를 투입하는 투입이송장치, 오븐을 개폐하는 오븐도어부, 프리프레그를 예열하는 오븐, 오븐 내의 프리프레그를 관찰하는 투시창, 프리프레그를 배출하는 배출이송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투입이송장치 및 배출이송장치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타임벨트구동부; 타임벨트구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부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븐도어부는; 프레프레그를 오븐 내로 장입 또는 배출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프리프레그가 상부이송부에 올려져 있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도어의 상부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리미트센서; 상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수동버튼;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오븐은; 프리프레그를 거치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투입이송장치와 오븐 및 배출이송장치의 저면에 하중을 지지하는 이동바퀴부가 구비되되; 상기 이동바퀴부는; 프레임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플랜지; 플랜지에 삽입되는 몸체;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바퀴; 몸체에 삽입된 고정받침대; 고정받침대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나사축; 높이조절나사축에 고정되어 있는 핸들; 상기 몸체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핸들이 노출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핸들의 상단은 플랜지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모터는; 구동축에 고정되는 구동풀리; 구동풀리에 연결되는 제1타임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벨트구동부는; 지지부에 회전봉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 상기 회전봉의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제1타임벨트와 연결되어 있는 종동풀리; 상기 고정판의 전방 모서리부분에 돌출되어 있는 전방지지부; 상기 고정판의 후방 모서리부분에 돌출되어 있는 후방지지부; 상기 전방지지부 및 후방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풀리; 상기 회전풀리를 연결하는 제2타임벨트; 제2타임벨트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이송부는; 프리플레그가 올려지고 연결브라켓이 고정되는 거치대; 거치대의 하단면에 구비된 롤러; 투입이송장치의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이송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롤러는 중앙부분이 삼각형상으로 함몰된 구조를 하고 있고, 대응되는 이송레일의 단면은 삼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부는; 오븐의 내부에서 도어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레일; 레일의 하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베이스의 하단에 고정된 실린더; 상기 베이스의 각각의 모서리에 구비된 고정봉; 상기 고정봉의 상단에 고정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븐의 상부에는 환풍기와 히터케이스로 이루어진 열풍가열부가 구비되되; 상기 히터케이스는; 전면판에 구비된 손잡이; 히터케이스의 일측에 일렬로 배열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븐의 외측면에 컨트롤박스가 구비되되; 상기 컨트롤박스는 온도컨트롤러와 터치패널 및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븐 내에는 열화상카메라 및 온도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가열온도에 따라서 프레프레그 촬상의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컨트롤박스에 표시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오븐의 밑면과 측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각각의 온도센서가 감지한 값을 컨트롤박스의 모니터에 개별적 온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븐에 프리프레그를 자동으로 장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산원가절감, 불량품의 최소화, 생산제품의 균일화, 표준화가 가능하며, 작업조건 및 작업환경을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가열로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 프리프레그 예열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3은 본 발명 투입이송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개략도
도4는 본 발명 이동바퀴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5는 본 발명 오븐도어부의 사시도
도6는 본 발명 오븐 내부 받침부의 정면도
도7은 본 발명 오븐가열부의 개략도
도8은 본 발명 컨트롤박스의 예시도
도9는 오븐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의 배치도 및 열화상카메라의 촬상화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프리프레그 예열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프리프레그 예열장치는 투입이송장치(100), 오븐(200), 배출이송장치(300), 이동바퀴부(400), 투시창(W)으로 대별된다.
투입이송장치(100)는 프리프레그를 오븐(200) 내로 자동으로 투입하는 장치이고, 오븐(200)은 투입된 프리프레그를 예열하여 경화시키며, 배출이송장치(300)는 프리프레그를 오븐(200)에서 자동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오븐(200)에는 투시창(W)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오븐(200) 내부의 프리프레그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투시창(W)은 열에 강하고 투명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투시창의 재질을 강화유리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3은 본 발명 투입이송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이송장치(100)는 구동모터(110), 타임벨트구동부(120), 상부이송부(130)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동모터(110)는 구동축이 구비되어 있고, 구동축에는 구동풀리(111)가 고정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종동풀리(121)와 제1타임벨트(112)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종동풀리(121)에 전달한다.
타임벨트구동부(120)는 고정판(126) 위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124)에 회전봉(12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봉(122)의 중간부분에는 종동풀리(121)가 고정되어 있어, 제1타임벨트(11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봉(122)의 양단은 고정판(126)의 전방 모서리 부분에 돌출되어 있는 전방지지부(124a)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전방지지부(124a) 사이의 회전봉(122)에는 회전풀리(123)가 고정되어 있어, 제2타임벨트(125)와 연결된다.
상기 고정판(126)의 끝단 모서리에는 후방지지부(124b)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지지부(124b) 사이의 회전축에는 회전풀리(123)가 고정되어 있어, 제2타임벨트(125)와 연결된다.
상기 제2타임벨트(125)는 연결브라켓(140)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상기 연결브라켓(140)의 하단은 고정판(126)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41)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2타임벨트(125)와 연결브라켓(140)의 일측은 볼트로 고정되어 있어, 오븐(200) 방향의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140)의 상단은 후술하는 상부이송부(130)의 하단에 구비된 거치대(13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타임벨트(112)(125)는 소음이 적으며, 빠르고 정확한 이송이 가능하므로, 후술하는 거치대(131)를 오븐(200)의 내부에 빠르게 장입하면서도, 오븐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이송부(130)에는 거치대(13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거치대(131)는 프리플레그가 올려져서 오븐(200)으로 장입하는 부분으로, 상기 거치대(131)의 하단면에는 롤러(133)가 구비되어 있어, 투입이송장치(100)의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이송레일(132) 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롤러(133)는 중앙부분이 삼각형상으로 함몰된 구조를 하고 있고, 대응되는 상부이송레일(132)의 단면은 삼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부이송레일(132) 위에서 구름접촉을 하는 롤러(133)가 상부이송레일(132)과 결합되어 있는 것이어서, 롤러(133)가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4는 본 발명 이동바퀴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이송장치(100)의 지면과 접촉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이동바퀴부(400)가 구비되어 있어, 투입이송장치(100)를 고정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바퀴부(400)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투입이송장치(100) 프레임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플랜지(F)와 상기 플랜지(F)에 삽입 결합되는 몸체(410), 그러고 몸체(410)에 힌지(450)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이동바퀴(460), 상기 몸체(410)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받침대(420)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받침대(420)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절개홈(470)이 형성되어 이동바퀴(460)가 삽입되며, 고정받침대(420)의 타측에는 안내홈(480)이 형성되어 몸체(4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안내돌기(490)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받침대(420)의 상단에는 높이조절나사축(421)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축(421)에는 핸들(440)이 고정되어 있으며, 핸들(440)의 상단은 플랜지(F)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410)의 상단 외주면에는 개구부(430)가 형성되어 있어 핸들(4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개구부(430)를 통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핸들(440)을 돌리면 높이조절나사축(421)의 회전에 의해 고정받침대(420)가 승,하강한다.
따라서, 투입이송장치(100)를 고정하고자 할 때는 핸들(440)을 돌려 고정받침대(420)를 하강시키고, 투입이송장치를 이동하고자 할 때는 핸들(440)을 반대방향으로 돌려 고정받침대(420)를 상승시키면, 고정받침대(420)는 지면에서 떨어지고, 이동바퀴(460)가 지면에 접촉되는 것이므로, 투입이송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바퀴부(400)는 투입이송장치(100), 오븐(200), 배출이송장치(300)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투입이송장치(100), 오븐(200), 배출이송장치(300)는 분리가 가능하며, 적업장의 작업환경에 따라서 오븐(200)의 일측에 투입이송장치(100) 또는 배출이송장치(300)를 하나만 설치하여, 오븐(200) 내로 프리프레그를 장입하는 것과 배출하는 것을 모두 실행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오븐(200)에 프리프레그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부이송부(130)의 거치대(131)에 프레프레그를 올려놓고, 구동모터(110)를 가동하면, 구동모터(110)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풀리(111)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풀리(1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타임벨트(112)가 종동풀리(121)를 회전시킨다. 종동풀리(121)가 회전되면, 종동풀리(121)는 회전봉(122)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봉(122)이 회전하면, 회전봉(122)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풀리(123)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풀리(123)과 연결되어 있는 제2타임벨트(125)가 오븐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며, 제2타임벨트(125)와 연동하는 연결브라켓(140)과 고정된 상부이송부(130)의 거치대(131)를 오븐(200)의 내측으로 장입하게 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오븐도어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도어부(210)는 오븐(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프레프레그가 오븐 내로 장입 또는 배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오븐도어부(210)는 도어(211)와 가이드레일(212)로 형성되어 있고, 도어(211)는 실린더(도시를 생략함)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도어부(210)에는 프리프레그 감지센서 및 리미트센서(도시를 생략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븐(200)의 일측에는 수동버튼(213)이 구비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서 수동으로 도어(211)를 개폐할 수 있다.
실린더는 도어(211)의 양측에 각각 설치할 수 있고, 도어(211)와 오븐은 가스켓으로 밀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오븐(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투입이송장치(100)의 거치대(131)에 프리프레그가 안착된 것을 감지센서가 감지하면, 감지센서와 연동하는 컨트롤박스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도어(210)가 가이드레일(212)를 타고 수직으로 상승되어 일정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상승 제한위치에 도달한 도어(210)를 리미트센서가 감지하여 도어를 상승위치에 정지시킨디.
상기 도어(210)는 프리프레그가 오븐 내부로 장입될 때까지 대기하고, 장입이 완료되면 감지센서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도어(211)는 하강하여 오븐(200)을 폐쇄하게 된다.
도6는 본 발명 오븐 내부 받침부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200)의 내부에는 받침부(2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2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오븐의 내부에서 도어 방향으로 레일(221)이 고정되어 있고, 레일(221)의 하단부에는 베이스(223)가 구비되어 있으며, 베이스(223)의 하단에는 실린더(222)가 고정되어 베이스(223)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베이스(223)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고정봉(224)이 구비되어 있고, 고정봉(224)의 상단에는 받침대(22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오븐(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투입이송장치(100)의 거치대(131)는 하단면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133)에 의하여 오븐(200) 내부의 레일(221)을 따라서 구름이동되어 오븐 내부로 장입된다.
오븐(200) 내부의 레일(221) 위에 거치대(131)가 위치하게 되면,실린더(222)가 베이스(223)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베이스(223)가 상승되면, 베이스(223)에 고정봉(224)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는 받침대(225)가 프리프레그를 밀어올려 오븐(200)의 내부로 상승시켜, 거치대(131)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거치대(131)는 오븐(200) 내부의 레일(221)과 투입이송장치(100)의 상부이송레일(132)를 따라 오븐(200)의 외부로 나가게 되고, 받침대(225)는 하강하여 프리프레그를 에열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어가 하강하여 오븐(200)을 폐쇄하고, 예열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 오븐가열부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200)의 상부에는 오븐가열부(2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오븐가열부(230)는 환풍기(231)와 히터케이스(232)로 구별된다.
상기 환풍기(231)는 오븐의 상부에 다수개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히터케이스(232)는 히터장입구(233)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히터케이스(232)는 전면판(23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232b)에는 손잡이(232a)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히터케이스(232)를 히터장입구(233)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히터케이스(23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히터(232c)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 오븐 내에서 프리프레그를 예열하는 열을 발생시킨다.
도8은 본 발명 컨트롤박스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2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컨트롤박스(500)는 온도컨트롤러(510), 터치패널(520), 조작스위치(530)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온도컨트롤러(510)는 오븐 내부의 온도를 컨트롤하여 설정값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온도제어는 PID 제어방식을 채택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하므로, 온도변화의 폭을 최소화하여 프리프레그의 온도분포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한다.
상기 터치패널(520)은 예열시간(경화시간)과 냉각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자동으로도 설정할 수 있고, 수동으로도 각 구동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조작스위치(530)는 수동자동변환버튼, 자동운전버튼, 수종운전버튼, 비상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상버튼은 위급한 상황 발생시 프리프레그 예열장치의 모든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9는 오븐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의 배치도 및 열화상카메라의 화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오븐(200)의 내부에 열화상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예열 중인 프리프레그를 촬영하여 컨트롤 박스에 표시함으로써, 프리프레그의 가열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의 정도에 따라서 프레프레그의 촬상의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오븐(20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S)가 설치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S)는 오븐의 밑면과 측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온도센서(S)가 감지한 값을 컨트롤박스의 모니터에 개별적 온도로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것으로 인하여 오븐 내의 프리프레그가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인지 외부에서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배출이송장치(300)는 투입이송장치(1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구성과 도시를 생략한다.
배출이송장치(30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오븐(200)의 내부에서 프리프레그의 예열이 완료되면 받침대(225)가 상승하여 프리프레그를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고, 배출이송장치쪽 도어가 상승하여 오븐(200)을 개방한다. 그러면 배출이송장치(300)의 거치대가 도어를 통하여 오븐(200)의 내부로 들어와서 예열이 완료된 프리프레그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받침대(225)가 하강하여 프리프레그를 거치대 위에 위치시키고, 거치대는 레일를 따라서 오븐의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프리프레그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프리프레그 예열장치는 프리프레그를 오븐 내로 자동으로 투입하고, 배출할 수 있으며, 오븐 내에서의 프리프레그가 균일하게 가열되는 정도를 작업자가 컨트롤박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온도의 제어도 가능한 것이어서, 프리프레그를 균일하게 가열하여 경화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투입이송장치 200; 오븐 300; 배출이송장치 400; 이동바퀴부 W; 투시창 110; 구동모터 120; 타임벨트구동부 130; 상부이송부
111; 구동풀리 112; 제1타임벨트 121; 종동풀리 122; 회전봉 123; 회전풀리 124a; 전방지지부 124b; 후방지지부 125; 제2타임벨트 126; 고정판 131; 거치대 132; 상부이송레일 133; 롤러 211; 도어 212; 가이드레일 213; 수동버튼 220; 받침부 221; 레일 222; 실린더 223; 베이스 224; 고정봉 225; 받침대 230; 오븐가열부 231; 환풍기 232; 히터케이스 233; 히터장입구 410; 몸체 420; 고정받침대 430; 개구부 440; 핸들 450; 힌지 460; 이동바퀴 470; 절개홈 480; 안내홈 490; 안내돌기 500; 컨트롤박스 510; 온도컨트롤러 520; 터치패널 530; 조작스위치

Claims (8)

  1. 프리프레그를 투입하는 투입이송장치(100), 오븐을 개폐하는 오븐도어부(210), 프리프레그를 예열하는 오븐(200), 오븐 내의 프리프레그를 관찰하는 투시창(W), 프리프레그를 배출하는 배출이송장치(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투입이송장치(100) 및 배출이송장치(300)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110);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타임벨트구동부(120);
    타임벨트구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부이송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오븐도어부(210)는;
    프레프레그를 오븐 내로 장입 또는 배출하는 도어(211);
    상기 도어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12);
    프리프레그가 상부이송부에 올려져 있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도어의 상부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리미트센서;
    상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수동버튼(213);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오븐(200)은;
    프리프레그를 거치하는 받침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110)는;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풀리(111);
    구동풀리에 연결된 제1타임벨트(112);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벨트구동부(120)는;
    지지부(124a)(124b)에 회전봉(12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있는 고정판(126);
    상기 회전봉(122)의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제1타임벨트(112)와 연결된 종동풀리(121);
    상기 고정판(126)의 전방 모서리부분에 돌출된 전방지지부(124a);
    상기 고정판(126)의 후방 모서리부분에 돌출된 후방지지부(124b);
    상기 전방지지부(124a) 및 후방지지부(124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풀리(123);
    상기 회전풀리를 연결하는 제2타임벨트(125);
    제2타임벨트(125)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브라켓(140);
    상기 연결브라켓(14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41)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이송부(130)는;
    프리프레그가 올려지고 연결브라켓이 고정된 거치대(131);
    거치대(131)의 하단면에 구비된 롤러(133);
    투입이송장치의 상부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이송레일(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이송장치(100)와 오븐(200) 및 배출이송장치(300)의 저면에 하중을 지지하는 이동바퀴부(400)가 구비되되;
    상기 이동바퀴부(400)는;
    프레임의 저면에 나사 고정된 플랜지(F);
    플랜지(F)에 삽입되는 몸체(410);
    몸체(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바퀴(460);
    몸체(410)에 삽입된 고정받침대(420);
    고정받침대(420)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나사축(421);
    높이조절나사축(421)에 고정되어 있는 핸들(440);
    상기 몸체(41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핸들이 노출되는 개구부(430)를 포함하고; 핸들(440)의 상단은 플랜지(F)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133)는 중앙부분이 삼각형상으로 함몰된 구조를 하고 있고, 대응되는 이송레일(132)의 단면은 삼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20)는;
    오븐의 내부에서 도어 방향으로 고정된 레일(221);
    레일(221)의 하단부에 구비된 베이스(223);
    베이스(223)의 하단에 고정된 실린더(222);
    상기 베이스(223)의 각각의 모서리에 구비된 고정봉(224);
    상기 고정봉(224)의 상단에 고정된 받침대(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200)의 상부에는 환풍기(231)와 히터케이스(232)로 이루어진 열풍가열부(230)가 구비되되;
    상기 히터케이스(232)는;
    전면판(232b)에 구비된 손잡이(232a);
    히터케이스(232)의 일측에 일렬로 배열된 히터(23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200)의 외측면에 컨트롤박스(500)가 구비되되;
    상기 컨트롤박스는 온도컨트롤러(510)와 터치패널(520) 및 조작스위치(5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200) 내에는 열화상카메라 및 온도센서(S)가 구비되되;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가열온도에 따라서 프레프레그 촬상의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컨트롤박스에 표시하고;
    상기 온도센서(S)는 오븐의 밑면과 측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각각의 온도센서(S)가 감지한 값을 컨트롤박스의 모니터에 개별적 온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KR1020160160810A 2016-11-29 2016-11-29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KR10183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10A KR101833039B1 (ko) 2016-11-29 2016-11-29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10A KR101833039B1 (ko) 2016-11-29 2016-11-29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039B1 true KR101833039B1 (ko) 2018-03-02

Family

ID=6172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810A KR101833039B1 (ko) 2016-11-29 2016-11-29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0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176B1 (ko) * 2020-06-09 2021-12-14 한국고요써모시스템(주) 열처리 오븐의 히터 전원 공급장치
CN117863596A (zh) * 2024-03-12 2024-04-12 中南大学 一种基于预浸料成型工艺的复合材料的固化监测系统
CN117863596B (zh) * 2024-03-12 2024-06-07 中南大学 一种基于预浸料成型工艺的复合材料的固化监测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344A (ja) * 2001-12-14 2003-07-03 Daido Steel Co Ltd 熱処理炉
KR101190193B1 (ko) * 2012-08-17 2012-10-15 주식회사 영풍열처리 개별 가열실과 냉각실이 구성된 열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344A (ja) * 2001-12-14 2003-07-03 Daido Steel Co Ltd 熱処理炉
KR101190193B1 (ko) * 2012-08-17 2012-10-15 주식회사 영풍열처리 개별 가열실과 냉각실이 구성된 열처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176B1 (ko) * 2020-06-09 2021-12-14 한국고요써모시스템(주) 열처리 오븐의 히터 전원 공급장치
CN117863596A (zh) * 2024-03-12 2024-04-12 中南大学 一种基于预浸料成型工艺的复合材料的固化监测系统
CN117863596B (zh) * 2024-03-12 2024-06-07 中南大学 一种基于预浸料成型工艺的复合材料的固化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039B1 (ko)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US5797436A (en) Liquid filling machine technical field
US5858414A (en) Cooling device for plastic molding
KR101868451B1 (ko)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US202000168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Molded Parts with a Semi-Finished Product
KR101361854B1 (ko) 유리성형용 금형수단, 유리성형시스템 및 그의 유리성형방법
CN107367429A (zh) 材料试验用恒温槽以及材料试验机
KR20150011309A (ko) 조리 장치
KR101924868B1 (ko) 프리프레그 히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히팅방법
US4738815A (en) Rotational molding machine and method of molding
CN116793030A (zh) 一种可自动化控制箱门的烘箱装置
CN215141734U (zh) 电视机背板干燥系统
KR102212702B1 (ko)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1633594B1 (ko) 압착롤러를 이용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KR102238134B1 (ko) 급속 냉각 가능한 열처리장치
CN105437400B (zh) 一种自动翻胶装置以及自动翻胶机器人
KR101581913B1 (ko) 세라믹 도포 성형시스템
EP3183503B1 (en) Heat treatment system
KR20150107087A (ko) 코팅액 자동 공급장치
KR102308073B1 (ko)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CN210506142U (zh) 一种有机肥砖输送成型装置
CN111331820A (zh) 一种温度批量可调的吸塑成型机电炉
JPH06297198A (ja) ホットプレス装置
CN112893045B (zh) 电视机背板干燥系统
CN215295726U (zh) 干式复合机新型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