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309A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309A
KR20150011309A KR1020140082272A KR20140082272A KR20150011309A KR 20150011309 A KR20150011309 A KR 20150011309A KR 1020140082272 A KR1020140082272 A KR 1020140082272A KR 20140082272 A KR20140082272 A KR 20140082272A KR 20150011309 A KR20150011309 A KR 20150011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oking
closing door
lin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702B1 (ko
Inventor
아이이치로 카토
타츠오 쿠로다
타카하루 스기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메트 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메트 카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메트 카토
Publication of KR2015001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 용기의 승강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작업성이 우수한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조리실(31a~31c)을 가지는 취반기 본체(30)와, 상기 조리실(31a, 31c)을 개폐하는 개폐문(33a, 33c)으로서, 또한 이면(34)이 취반솥(200)의 탑재면으로 되어 있는 개폐문(33a, 33c)과, 상기 이면(34)에 상기 취반솥(200)을 실은 상기 개폐문(33a, 33c)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조리솥(200)을 상기 조리실에 대응한 높이 위치와, 전달 작업을 행하는 높이 위치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터(50a), 제2 리프터(50c)를 구비한다. 입체 취반기(20)는 취반솥(200)의 탑재대에 개폐문(33a, 33c)을 사용한다. 개폐문(33a, 33c)이면, 미사용시에는 닫아두면 작업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UNIT}
본 발명은 조리 용기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솥을 승강시키는 솥 승강 기구를 구비한 입체 취반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입체 취반 장치는 솥의 상승 하강을 수작업으로 행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대폭 경감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9249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입체 취반 장치는 솥 탑재대가 입체 취반기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다. 솥 탑재대는 입체 취반기의 전측에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방해가 된다. 따라서, 미사용시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솥 탑재대를 입체 취반기 상방에 격납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조리 용기의 승강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작업성이 우수한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실을 가지는 조리 장치 본체와,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개폐문으로서, 또한 이면이 조리 용기의 탑재면으로 되어 있는 개폐문과, 상기 이면에 상기 조리 용기를 실은 상기 개폐문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조리 용기를 상기 조리실에 대응한 높이 위치와, 전달 작업을 행하는 높이 위치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전달 작업」은 작업 대차 등의 운반 수단과의 사이에서, 조리 용기를 전달하는(실어 옮기는) 작업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조리 용기의 탑재대에 개폐문을 사용하고, 그 개폐문을 승강시킴으로써, 조리 용기의 높이 위치를 변경한다. 개폐문이면 미사용시에는 닫아두면 작업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탑재대가 입체 취반기와는 별체로서 설치된 종래 타입과 같이, 사용 후에 탑재대를 입체 취반기 상방에 격납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대폭 좋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 태양으로서, 이하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문을 승강시키는 승강 링크와, 상기 승강 링크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서는 개폐문의 승강을 승강 링크를 사용하여 행한다. 승강 링크식의 승강 장치이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며 내구성도 좋다.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는 지지단이 상기 조리실측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승강 링크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웨이트와, 상기 개폐문이 상기 조리실에 대응한 높이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승강 링크를 정지 위치에서 회전 정지하는 회전 스토퍼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서는 개폐문을 기계적인 구조(회전 스토퍼, 웨이트)에 의해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이동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이동하는 상기 가동체가 상기 승강 링크의 일부를 상방으로 밀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내림으로써, 상기 승강 링크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며, 또한, 상기 가동체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승강 링크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상기 회전 스토퍼에 의해 회전 정지된 상기 승강 링크로부터 상기 구동부가 떨어지는 구조이다. 이 구성에서는 초기 위치에서 가동체가 승강 링크로부터 이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벗어나 정지해도, 그 영향이 승강 링크나 개폐문에 대하여 미치지 않는다.
·상기 조리실은 상기 조리 용기의 전달 작업을 행하는 높이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상단측 조리실과, 상기 조리 용기의 전달 작업을 행하는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하단측 조리실의 2실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상단측 조리실을 개폐하는 상단측 개폐문과, 상기 하단측 조리실을 개폐하는 하단측 개폐문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상단측 개폐문을 승강시키는 상단측 승강 링크를 가지는 상단측 승강 장치와, 상기 하단측 개폐문을 승강시키는 하단측 승강 링크를 가지는 하단측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측 승강 링크와 하단측 승강 링크는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가동체의 초기 위치는 상기 2개의 승강 링크의 중간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가동체의 상기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체가 상기 상단측 승강 링크의 일부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상단측 승강 링크가 회전하여, 상기 상단측 개폐문을 상기 상단측 조리실에 대응하는 상단 위치로부터 하강시키고, 상기 가동체의 상기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한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체가 상기 하단측 승강 링크의 일부를 밀어내림으로써, 상기 하단측 승강 링크가 회전하여, 상기 하단측 개폐문을 상기 하단측 조리실에 대응하는 하단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2개의 승강 링크에서 구동부(가동체나 이동 기구)를 공용한다. 그 때문에, 승강 링크의 각각에 전용의 구동부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가 적고, 비용 메리트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개폐문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입체 취반기의 정면도(승강 링크 등의 배치를 나타냄)이다.
도 6은 입체 취반기의 정면도(승강 링크 등의 배치를 나타냄)이다.
도 7은 도 3 중의 A부를 확대한 도면(가동 플레이트와 롤러의 관계를 나타냄)이다.
도 8은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개폐문(33a)을 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9는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개폐문(33a)을 중단 위치로 내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0은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개폐문(33a)에 취반솥을 실은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1은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취반솥을 실은 개폐문(33a)을 상단 위치로 올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2는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취반솥을 가열실(31a)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3은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개폐문(33c)을 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4는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개폐문(33c)을 중단 위치로 올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5는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개폐문(33c)에 취반솥을 실은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6은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취반솥을 실은 개폐문(33c)을 하단 위치로 내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7은 측면을 절결한 입체 취반기의 사시도(취반솥을 가열실(31c)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18은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개폐문(33a)을 연 상태를 나타냄).
도 19는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개폐문(33a)을 중단 위치로 내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0은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작업 대차로부터 개폐문(33a)에 취반솥을 실어 옮긴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1은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취반솥을 실은 개폐문(33a)을 상단 위치로 올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2는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취반솥을 가열실(31a)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3은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개폐문(33a)을 닫은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4는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개폐문(33c)을 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5는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개폐문(33c)을 중단 위치로 올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6은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작업 대차로부터 개폐문(33c)에 취반솥을 실어 옮긴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7은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취반솥을 실은 개폐문(33c)을 하단 위치로 내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8은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취반솥을 가열실(31c)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29는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개폐문(33c)을 닫은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30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작업 대차로부터 개폐문(33a)에 취반솥을 실어 옮긴 상태를 나타냄)이다.
도 31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제1 리프터, 제2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취반솥을 실은 개폐문(33a)을 상단 위치로 올린 상태를 나타냄)이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29에 의해 설명한다.
1. 입체 취반기(20)의 구성
입체 취반기(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상당)(20)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긴 박스형의 취반기 본체(본 발명의 「조리 장치 본체」에 상당)(30)에 대하여, 3개의 가열실(본 발명의 「조리실」에 상당)(31a~31c)을 종방향(도 1의 Z방향)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취반기 본체(30)의 정면 우측에는 조작 패널(P)이 설치되어 있어, 가열 시간이나 온도 등의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측은 조작 패널(P)이 설치된 정면측을 가리키고, 후측은 그 반대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각 가열실(31a~31c)의 정면에는 개폐문(33a~33c)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개폐문(33)은 문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38)를 앞측 하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밑으로 열게 되어 있고, 각 가열실(31a~31c)에 대하여 취반솥(본 발명의 「조리 용기」에 상당)(200)을 정면측으로부터 출입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 중, 필요에 따라 일부의 손잡이(38)를 생략하고 있다. 또, 상단의 가열실(31a)이 본 발명의 「상단측 조리실」에 상당하고, 하단의 가열실(31c)이 본 발명의 「하단측 조리실」에 상당한다. 또, 상단의 가열실(31a)을 개폐하는 개폐문(33a)이 본 발명의 「상단측 개폐문」에 상당하고, 하단의 가열실(31c)을 개폐하는 개폐문(33c)이 본 발명의 「하단측 개폐문」에 상당한다.
그리고, 입체 취반기(20)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프터(본 발명의 「상단측 승강 장치」에 상당)(50a)와, 제2 리프터(본 발명의 「하단측 승강 장치」에 상당)(50c)를 구비한다. 제1 리프터(50a)는 상단의 가열실(31a)을 개폐하는 개폐문(33a)을 사용하여, 취반솥(200)을 승강시키는 리프터이다. 제1 리프터(50a)는 이면(34) 상에 취반솥(200)을 실은 상태로부터 개폐문(33a)을 승강시킴으로써, 취반솥(200)을 상단의 가열실(31a)에 대응하는 상단 위치(도 11, 도 21 참조)와, 중단의 가열실(31b)에 대응하는 중단 위치(도 10, 도 20 참조) 사이에서 승강시킨다.
또, 제2 리프터(50c)는 하단의 가열실(31c)을 개폐하는 개폐문(33c)을 사용하여, 취반솥(200)을 승강시키는 리프터이다. 제2 리프터(50c)는 이면(34) 상에 취반솥(200)을 실은 상태로부터, 개폐문(33c)을 승강시킴으로써, 취반솥(200)을 하단의 가열실(31c)에 대응하는 하단 위치(도 16, 도 27 참조)와, 중단의 가열실(31b)에 대응하는 중단 위치(도 15, 도 26 참조) 사이에서 승강시킨다.
또한, 중단 위치(본 발명의 「전달 작업을 행하는 높이 위치」에 상당)에서는, 도 20이나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33a)이나 개폐문(33c)의 이면(34)의 높이가 작업 대차(210)의 대판(220)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고, 양측 사이에서 취반솥(200)을 실어 옮기는 전달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단 위치나 하단 위치가 본 발명의 「조리실에 대응한 높이 위치」에 상당한다.
제1 리프터(50a)는 지지 부재(60)와, 승강 링크(본 발명의 「상단측 승강 링크」에 상당)(51a)와, 종동 링크(53a)와, 구동부(7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반기 본체(30)의 좌우 양측에는 지지 프레임(45)이 부착되어 있다. 도 2 중에는 취반기 본체(30)의 앞측의 측면측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45)만 표시되어 있지만, 안측의 측면에도 앞측과 마찬가지로 지지 프레임(45)이 부착되어 있다.
승강 링크(51a)와 종동 링크(53a)는 세트로 되어 있고, 좌우의 지지 프레임(45)의 내면벽에 대하여 좌우 1쌍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링크(51a)와 종동 링크(53a)는 상하로 나란히 있고, 승강 링크(51a)는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종동 링크(53a)는 회전축(H3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링크(51a)와 종동 링크(53a)의 링크 선단은 취반기 본체(30)의 전면벽으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지지 부재(60)의 양측에 설치된 부착벽(63)에 대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60)는 입체 취반기(20)의 폭방향(X방향)으로 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지지 부재(6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축(65)을 통하여 개폐문(33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개폐문(33a)은 힌지축(65)을 중심으로 약 90°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직립 위치와 수평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그리고, 개폐문(33a)의 이면(34)은 플랫한 탑재면으로 되어 있고, 개폐문(33a)을 열어 수평 위치로 쓰러뜨리면, 이면(34) 상에 취반솥(200)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60)에는 수평 위치에서 개폐문(33a)을 회전 정지시키는 스토퍼(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이면(34) 상에 취반솥(200)을 실어도, 수평 위치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승강 링크(51a), 종동 링크(53a), 부착벽(63), 지지 프레임(45)은 4절의 평행 링크를 구성하고 있고,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승강 링크(51a)를 회전시키면, 지지 부재(60)가 자세를 유지하여 승강하고, 개폐문(33a)을 도 18에 나타내는 상단 위치와, 도 19에 나타내는 중단 위치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개폐문(33a)은 상단의 가열실(31a)에 대응하고 있고, 기준 포지션은 도 18에 나타내는 상단 위치이다. 제1 리프터(50a)는 기계적인 위치 결정 구조에 의해, 개폐문(33a)을 기준 포지션인 상단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 링크(51a)의 선단측에는 개폐문(33a)이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하는 승강 링크(51a)의 전후의 중량 밸런스는 개폐문(33a)을 지지하는 선단측 쪽이 무겁고, 승강 링크(51a)는 프리한 상태(웨이트(W)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선단이 밑을 향하고, 조리실(31a)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경동)한다. 그 때문에 입체 취반기(20)는 개폐문(33a)을 지지하는 선단(본 발명의 「지지단」에 상당)이 조리실(31a)측에 대응한 방향, 즉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하는 승강 링크(51a)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웨이트(W)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웨이트(W)는 취반솥(200)이나 수용물의 무게도 고려하고 있어, 개폐문(33a)에 취반솥(200)을 실은 상태에서도 승강 링크(51a)의 선단이 위를 향하도록 무게가 정해져 있다.
웨이트(W)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5,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승강 링크(51a)에는 후단끼리를 연결하여, 후단 플레이트(55)가 부착되어 있다. 웨이트(W)는 후단 플레이트(55)에 대하여, 좌우 1쌍 부착되어 있다. 웨이트(W)는 링크 후부가 무겁게 되도록 중량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승강 링크(51a)는 개폐문(33a)을 지지하는 선단이 위를 향하는 자세로 밸런스가 잡힌다.
그리고, 지지 부재(60)는 승강 링크(51a)의 회전 스토퍼를 겸용하고 있어, 승강 링크(51a)가 도 18에 나타내는 상승 위치까지 회전하면, 지지 부재(60)가 취반기 본체(30)의 전면벽에 맞닿음으로써, 승강 링크(51a)를 그 이상 회전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지지 부재(60)가 전면벽에 맞닿아 승강 링크(51a)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개폐문(33a)을 기준 포지션인 상단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는 지지단이 상기 조리실측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승강 링크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웨이트와, 상기 개폐문이 상기 조리실에 대응한 높이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승강 링크를 정지 위치(실시형태에서는 상승 위치)에서 회전 정지하는 회전 스토퍼(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60))를 구비하는 구성」이 실현되어 있다.
또, 도 6,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링크(51a)에는 중간 플레이트(5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5, 도 6은 모두 입체 취반기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이지만, 웨이트(W)의 배치 구조나 중간 플레이트(56)의 배치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5는 중간 플레이트(56)를 생략하고, 도 6은 후단 플레이트(55)나 웨이트(W)를 생략하고 있다.
중간 플레이트(56)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 플레이트(55)의 전측(회전축(H1a)보다 후측)에 있고, 후단 플레이트(55)와 마찬가지로 좌우의 승강 링크(51a)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플레이트(56) 중, 폭방향의 중앙에 가까운 2개소에는 브래킷(57)을 통하여 롤러(58a)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롤러(58a)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동부(70)의 가동 플레이트(71)의 상대가 되는 것이다.
구동부(70)는 승강 링크(51a)를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구동부(70)는 도 3,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본 발명의 「가동체」에 상당)(71)와, 가동 플레이트(7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73)와, 모터(77)를 구비한다. 이동 기구(73)는 볼 나사축(74)과 볼 너트(7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플레이트(71)는 볼 너트(75)에 부착되어 있고, 모터(77)의 동력에 의해 볼 나사축(74)을 회전시키면 볼 너트(75)가 볼 나사축(7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71)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부(70)를 구성하는 이동 기구(73), 가동 플레이트(71), 모터(77)는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반기 본체(3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플레이트(71)는 도 7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에서, 승강 링크(51a)에 부착된 롤러(58a)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구동부(70)를 구동시켜 가동 플레이트(71)를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면, 가동 플레이트(71)가 롤러(58a)를 통하여 승강 링크(51a)의 후부측을 상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승강 링크(51a)가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회전(선단을 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종동 링크(53a)가 회전축(H3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문(33a)을 도 18에 나타내는 상단 위치로부터, 도 19에 나타내는 중단 위치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리프터(50c)의 기본 구조는 제1 리프터(50a)의 기본 구조와 동일하며 4절의 평행 링크를 이용하여, 개폐문(33c)을 도 24에 나타내는 하단 위치와, 도 25에 나타내는 중단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리프터(50c)는 제1 리프터(50a)와 마찬가지로, 승강 링크(본 발명의 「하단측 승강 링크」에 상당)(51c)와, 종동 링크(53c)를 구비한다. 이들 승강 링크(51c)와 종동 링크(53c)는 제1 리프터(50a)측의 링크와 마찬가지로 지지 프레임(45)의 내면벽에 부착되어 있고, 승강 링크(51c)는 회전축(H1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종동 링크(53c)는 회전축(H3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링크의 배치는 제2 리프터(50c)측의 링크(51c, 53c)가 아래에 있고, 제1 리프터(50a)측의 링크(51a, 53c)가 위에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링크(51c)와 종동 링크(53c)의 링크 선단은 취반기 본체(30)의 전면벽으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지지 부재(60)의 양측에 설치된 부착벽(63)에 대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승강 링크(51c), 종동 링크(53c), 부착벽(63), 지지 프레임(45)은 4절의 평행 링크를 구성하고 있고, 회전축(H1c)을 중심으로 승강 링크(51c)를 회전시키면, 지지 부재(60)가 자세를 유지하여 승강하고, 개폐문(33c)을 도 24에 나타내는 하단 위치와, 도 25에 나타내는 중단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폐문(33c)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33a)과 마찬가지로 힌지축(65)을 중심으로 약 90°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직립 위치와 수평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개폐문(33c)의 이면(34)은 플랫한 탑재면으로 되어 있고, 개폐문(33c)을 열어 수평 위치로 쓰러뜨리면, 이면(34) 상에 취반솥(200)을 탑재 할 수 있다.
또, 개폐문(33c)은 하단의 가열실(31c)에 대응하고 있고, 기준 포지션은 도 24에 나타내는 하단 위치이다. 제2 리프터(50c)는 기계적인 위치 결정 구조에 의해, 개폐문(33c)을 기준 포지션인 하단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 링크(51c)는 개폐문(33c)이 부착된 선단측 쪽이 무겁고, 프리한 상태에서는 선단이 밑을 향하도록 회전(경동)한다. 그리고, 제1 리프터(50a)측과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60)가 승강 링크(51c)의 회전 스토퍼를 겸용하고 있어, 승강 링크(51c)가 도 24에 나타내는 하강 위치까지 회전하면, 지지 부재(60)가 취반기 본체(30)의 전면벽에 맞닿아, 승강 링크(51c)를 그 이상 회전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지지 부재(60)가 전면벽에 맞닿아 승강 링크(51c)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개폐문(33c)을 기준 포지션인 하단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2 리프터(50c)측의 승강 링크(51c)에도 제1 리프터(50a)측의 승강 링크(51a)와 마찬가지로 좌우의 승강 링크(51c)를 연결하도록 하여 중간 플레이트(5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플레이트(56) 중, 폭방향의 중앙에 가까운 2개소에는 브래킷(57)을 통하여 롤러(58c)가 부착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리프터(50c)측의 롤러(58c)는 초기 위치에 정지하는 가동 플레이트(71)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구동부(70)를 구동시켜 가동 플레이트(71)를 초기 위치로부터 하강시키면, 가동 플레이트(71)가 롤러(58c)를 통하여 승강 링크(51c)의 후부측을 하방향으로 밀어내린다. 이것에 의해, 승강 링크(51c)가 회전축(H1c)을 중심으로 회전(선단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종동 링크(53c)가 회전축(H3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문(33c)을 도 24에 나타내는 하단 위치로부터 도 25에 나타내는 중단 위치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입체 취반기(20)는 가동 플레이트(71)의 초기 위치를 2개의 승강 링크(51a, 51c)의 중간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제1 리프터(50a)와 제2 리프터(50c)에서 구동부(70)를 공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플레이트(71)를 도 7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면, 제1 리프터(50a)가 작동하여, 개폐문(33a)을 뉴트럴 포지션인 상단 위치로부터 중단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가동 플레이트(71)를 초기 위치로부터 하강시키면, 제2 리프터(50c)가 작동하여, 개폐문(33c)을 뉴트럴 포지션인 하단 위치로부터 중단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입체 취반기(20)는 개폐문(33a, 33c)을 기계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기준 포지션에 위치 결정하는 점에서, 이하의 메리트가 있다.
개폐문(33a)이나 개폐문(33c)을 기준 포지션에 위치 결정하는 방법에는, 기계적인 구조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구동부(70)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구동부(70)의 가동 플레이트(71)를 이용하여, 승강 링크(51a)나 승강 링크(51c)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개폐문(33a)을 기준 포지션인 상단 위치나, 개폐문(33c)을 기준 포지션인 하강 위치에 위치 규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가동 플레이트(71)를 사용하여 위치 결정하는 경우, 가동 플레이트(71)의 정지 위치에 오차가 있으면, 개폐문(33a, 33c)의 정지 위치가 기준 포지션으로부터 벗어나버린다.
그 때문에, 개폐문(33a, 33c)을 기준 포지션에 정확하게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가동 플레이트(71)의 정지 위치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입체 취반기(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계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개폐문(33a, 33c)을 기준 포지션에 위치 결정하므로, 가동 플레이트(71)의 정지 위치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필요가 없고 고가인 제어 시스템이 불필요하다는 메리트가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71)는 초기 위치에서, 승강 링크(51a, 51c)의 롤러(58a) 및 승강 링크(51c)의 롤러(58c)로부터 이간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구동부(70)는 가동 플레이트(71)를 통하여 승강 링크(51a, 51c)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가동 플레이트(71)를 각 승강 링크(51a, 51c)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회전 정지된 승강 링크(51a, 51c)로부터 구동부(70)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떼어낸다」는 것은 구동부(70)의 동력이 승강 링크(51a, 51c)에 전해지지 않도록 힘의 전달을 끊는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구동부(70)를 구성하는 이동 기구(73)의 위치 오차 등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71)의 초기 위치가 다소 흐트러졌다고 해도, 가동 플레이트(71)는 각 리프터(50a, 50c)의 롤러(58a, 58c)로부터 이간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가동 플레이트(71)의 초기 위치가 흐트러져도, 각 승강 링크(51a, 51c)가 상승 위치나 하강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각 개폐문(33a, 33c)이 기준 포지션인 상단 위치나 하단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2. 상단의 가열실(31a)을 사용하여 조리(취반)를 행할 때의 작업 순서를 설명한다.
(a) 작업 대차(210) 상의 취반솥(200)을 상단의 가열실(31a)에 옮기는 작업 순서
또한, 작업 전의 상태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33a)은 상단 위치, 개폐문(33b)은 중단 위치, 개폐문(33c)은 하단 위치에 있으며, 대응하는 가열실(31a, 31b, 31c)을 각각 닫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1 리프터(50a)측의 승강 링크(51a)는 상승 위치에 있고, 제2 리프터(50c)측의 승강 링크(51c)는 하강 위치에 있다. 그리고, 구동부(70)의 가동 플레이트(71)는 도 3, 도 7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에 있고, 제1 리프터(50a)측의 롤러(58a)와의 사이, 제2 리프터(50c)측의 롤러(58c)와의 사이에는 모두 간극이 있다.
취반솥(세미된 쌀을 수용한 취반솥)(200)을 작업 대차(210)로부터 상단의 가열실(31a)에 옮기기 위해서는, 우선 상단 위치에 있는 개폐문(33a)을 손으로 열어, 개폐문(33a)을 직립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변위시킨다(도 8, 도 18 참조). 그 후, 전면벽에 설치된 조작 패널(P)을 조작하여 구동부(70)를 작동시킨다.
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71)가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해간다. 그러면, 상승하는 가동 플레이트(71)가 승강 링크(51a)의 롤러(58a)를 밑에서 밀어올린다. 그 때문에, 승강 링크(51a)가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하여, 도 19에 나타내는 S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문(33a)은 하강한다. 그리고, 개폐문(33a)이 중단 위치까지 하강하면(도 9, 도 19 참조), 구동부(70)를 일단 정지시키고, 그 후, 작업 대차(210)로부터 개폐문(33a)에 취반솥(200)을 실어 옮기는 작업을 행한다(도 10, 도 20).
그 후, 구동부(70)를 다시 작동시켜, 이번에는 가동 플레이트(71)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승강 링크(51a)가 웨이트(W)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하여, 도 21에 나타내는 R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개폐문(33a)은 상승한다. 그리고, 개폐문(33a)이 도 11, 도 21에 나타내는 상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지지 부재(60)가 취반기 본체(30)의 전면벽에 맞닿음으로써, 승강 링크(51a)의 회전은 구속되고, 개폐문(33a)은 상단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승강 링크(51a)의 회전 구속 후, 가동 플레이트(71)가 초기 위치까지 이동한 곳에서, 구동부(70)를 정지시킨다.
도 11,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33a)을 상단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개폐문(33a) 상의 취반솥(200)은 상단의 가열실(31a)의 입구에 면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측면을 미는 것으로, 도 12,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반솥(200)을 가열실(31a)의 내부에 밀어넣는다. 그 후, 개폐문(33a)을 폐지한다(도 23 참조).
이상에 의해 입체 취반기(20)의 가열실(31a)에 취반솥(200)이 수용된 상태가 되므로, 다음에는 입체 취반기(20)를 작동시켜 취반을 개시한다. 즉, 가열실(31a)에서 가열 처리가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취반솥(200)은 가열되고, 취반솥(200) 내에서 쌀이 밥이 된다.
(b) 상단의 가열실(31a)로부터 작업 대차(210)에 취반이 끝난 취반솥(200)을 옮기는 작업 순서
우선, 손잡이(38)를 잡고, 가열실(31a)의 개폐문(33a)을 개방하여 수평 위치로 변위시킨다. 그 후, 가열실(31a)로부터 취반솥(200)을 손으로 끌어내어, 개폐문(33a) 상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전면벽에 설치된 조작 패널(P)을 조작하여 구동부(70)를 작동시킨다.
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71)가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해간다. 그러면, 상승하는 가동 플레이트(71)가 승강 링크(51a)의 롤러(58a)를 밑에서 밀어올린다. 그 때문에, 승강 링크(51a)가 회전축(H1a)을 중심으로 하여, 도 19에 나타내는 S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문(33a)은 하강한다. 그리고, 개폐문(33a)이 중단 위치까지 하강하면, 구동부(70)를 정지시킨다. 그 후, 측면을 밀어 개폐문(33a) 상의 취반솥(200)을 작업 대차(210)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취반이 끝난 취반솥(200)을 작동 대차(210) 상에 실어 옮길 수 있다.
3. 하단의 가열실을 사용하여 조리(취반)를 행할 때의 작업 순서를 설명한다.
(a) 작업 대차(210) 상의 취반솥(200)을 하단의 가열실로 옮기는 작업 순서
또한, 작업 전의 상태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33a)은 상단 위치, 개폐문(33b)은 중단 위치, 개폐문(33c)은 하단 위치에 있으며, 대응하는 가열실(31a, 31b, 31c)을 각각 닫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1 리프터(50a)측의 승강 링크(51a)는 상승 위치에 있고, 제2 리프터(50c)측의 승강 링크(51c)는 하강 위치에 있다. 그리고, 구동부(70)의 가동 플레이트(71)는 도 3, 도 7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에 있고, 제1 리프터(50a)측의 롤러(58a)와의 사이, 제2 리프터(50c)측의 롤러(58c)와의 사이에는 모두 간극이 있다.
취반솥(세미된 쌀을 수용한 취반솥)(200)을 작업 대차(210)로부터 하단의 가열실(31c)에 옮기기 위해서는, 우선 하단 위치에 있는 개폐문(33c)을 손으로 열어, 개폐문(33c)을 직립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도 13, 도 24 참조)로 변위시킨다. 그 후, 전면벽에 설치된 조작 패널(P)을 조작하여 구동부(70)를 작동시킨다.
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71)가 초기 위치로부터 하강해간다. 그러면, 하강하는 가동 플레이트(71)가 승강 링크(51c)의 롤러(58c)를 위에서 밀어내린다. 그 때문에 승강 링크(51c)가 회전축(H1c)을 중심으로 하여, 도 25에 나타내는 R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문(33c)은 상승한다. 그리고, 개폐문(33c)이 중단 위치까지 상승하면(도 14, 도 25 참조), 구동부(70)를 일단 정지시키고, 그 후, 작업 대차(210)로부터 개폐문(33c)에 취반솥(200)을 실어 옮기는 작업을 행한다(도 15, 도 26 참조).
그 후, 구동부(70)를 다시 작동시켜, 이번에는 가동 플레이트(71)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승강 링크(51c)가 회전축(H1c)을 중심으로 하여, 도 27에 나타내는 S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개폐문(33c)은 하강한다. 그리고, 개폐문(33c)이 도 16, 도 27에 하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지지 부재(60)가 취반기 본체(30)의 전면벽에 맞닿음으로써, 승강 링크(51c)의 회전은 구속되고, 개폐문(33c)은 하단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승강 링크(51c)의 회전 구속 후, 가동 플레이트(71)가 초기 위치까지 이동한 곳에서, 구동부(70)를 정지시킨다.
도 16,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33c)이 하단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개폐문(33c) 상의 취반솥(200)은 하단의 가열실(31c)의 입구에 면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측면을 미는 것으로, 도 17,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반솥(200)을 가열실(31c)의 내부에 밀어넣는다. 그 후, 개폐문(33)을 폐지한다(도 29 참조).
이상에 의해, 입체 취반기(20)의 가열실(31c)에 취반솥(200)이 수용된 상태가 되므로, 다음에는 입체 취반기(20)를 작동시켜 취반을 개시한다. 즉, 가열실(31c)에서 가열 처리가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취반솥(200)은 가열되어 쌀이 밥이 된다.
(b) 취반으로부터 취출까지의 작업 순서
우선, 손잡이(38)를 잡고, 개폐문(33c)을 개방하여 수평 위치로 변위시킨다. 그 후, 가열실(31c)로부터 취반솥(200)을 손으로 끌어내어, 개폐문(33c) 상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전면벽에 설치된 조작 패널(P)을 조작하여 구동부(70)를 작동시킨다.
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71)가 초기 위치로부터 하강해간다. 그러면, 상승하는 가동 플레이트(71)가 승강 링크(51c)의 롤러(58c)를 밑에서 밀어올린다. 그 때문에 승강 링크(51c)가 회전축(H1c)을 중심으로 하여, 도 25에 나타내는 R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문(33c)은 상승한다. 그리고, 개폐문(33c)이 중단 위치까지 상승하면, 구동부(70)를 정지시킨다. 그 후, 측면을 밀어, 개폐문(33c) 상의 취반솥(200)을 작업 대차(210)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취반이 끝난 취반솥(200)을 작동 대차(210) 상에 실어 옮길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단의 가열실(31a)을 사용하여 취반을 행하는 경우와, 하단의 가열실(31c)을 사용하여 취반을 행하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했지만, 각 단의 가열실(31a~31c)을 동시에 사용하여 취반을 행할 수도 있다.
4. 효과 설명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입체 취반기(20)는 취반솥(200)을 상승 하강시키는 제1 리프터(50a), 제2 리프터(50c)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작업 대차(210)로부터 상하단의 가열실(31a, 31c)로 취반솥(200)을 옮기는 작업이나, 상하단의 가열실(31a, 31c)로부터 작업 대차(210)에 취반솥(200)을 옮기는 작업에 대해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제1 리프터(50a)와 제2 리프터(50c)는 취반솥(200)의 탑재대에 개폐문(33)을 사용하고, 그 개폐문(33)을 승강시킴으로써, 취반솥(200)의 높이 위치를 변경한다. 개폐문(33)이면, 미사용시에는 닫아서 직립 위치로 되돌려두면, 작업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탑재대가 입체 취반기와는 별체로서 설치된 종래 타입과 같이, 사용 후에 탑재대를 입체 취반기 상방에 격납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대폭 좋아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입체 취반기(20)는 제1 리프터(50a)와 제2 리프터(50c)에서, 구동부(70)를 공용하고 있으므로, 각 리프터(50a, 50c)마다 구동부(70)를 전용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비용 메리트가 높다. 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메리트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입체 취반기(200)는 개폐문(33)을 승강시키는 제1 리프터(50a), 제2 리프터(50c)를 승강 링크(51a, 51c)와 구동부(70)로 구성하고 있고, 개폐문(33)의 승강을 승강 링크(51a, 51c)를 사용하여 행한다. 승강 링크식의 리프터이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며, 내구성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입체 취반기(200)는 웨이트(W)를 사용하여, 선단이 위를 향하도록 승강 링크(51a)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60)를 승강 링크(51a)의 회전 스토퍼로서 이용하고 있어, 지지 부재(60)를 취반기 본체(30)의 전면벽에 맞닿게 함으로써, 승강 링크(51a)를 상승 위치에 정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기계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승강 링크(51a)를 상승 위치에 정지시키고 있으므로, 정지시의 위치 흐트러짐이 작아, 개폐문(33a)을 상단 위치에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입체 취반기(20)는 승강 링크(51a, 51c)를 양측 지지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취반솥(200)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입체 취반기(20)에서는 구동부(70)의 좌우 양측에 생긴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웨이트(W)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도 30, 도 31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가열실(30)을 상단, 중단, 하단의 3단 구조로 한 입체 취반기(20)를 나타냈다. 실시형태 2의 입체 취반기(120)는 실시형태 1의 입체 취반기(20)에 대하여 하단의 가열실(31c)을 폐지하고 있고, 가열실(30)을 상단과 중단의 2단 구조로 하고 있다. 또, 실시형태 2의 입체 취반기(120)에서는 하단의 가열실(30c)을 폐지한 것에 대응하여 제2 리프터(50c)를 폐지하고 있고, 제1 리프터(50a)만 탑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리프터(50a)의 구조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며, 상단의 가열실(31a)을 개폐하는 개폐문(33a)을 취반솥(200)을 승강시키는 승강대로서 사용한 리프터이며, 이면(34) 상에 취반솥(200)을 실은 상태로부터 개폐문(33a)을 승강시킴으로써, 취반솥(200)을 중단의 가열실(31b)에 대응하는 중단 위치(도 30 참조)와, 상단의 가열실(31a)에 대응하는 상단 위치(도 31 참조) 사이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입체 취반기(120)도 실시형태 1의 입체 취반기(20)와 마찬가지로, 미사용시에는 닫아서 직립 위치로 되돌려두면 개폐문(33a)이 작업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탑재대가 입체 취반기와는 별체로서 설치된 종래 타입과 같이, 사용 후에 솥 탑재대를 입체 취반기 상방에 격납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대폭 좋아진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실시형태 1, 2에서는 조리 장치의 일례로 「입체 취반기(30)」를 예시하고, 조리 용기의 일례로 「취반솥(200)」을 예시했다. 본 발명은 입체 취반기 이외에도 스팀컨벡션오븐이나 프라이어 등의 조리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실시형태 1, 2에서는 가동 플레이트(7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73)를 볼 나사축(74)과 볼 너트(75)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다. 이동 기구(73)는 가동 플레이트(7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지는 톱니바퀴 기구나, 타이밍 벨트 등을 사용한 벨트 기구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실시형태 1, 2에서는 개폐문(33a, 33c)의 지지용으로 지지 부재(60)를 설치한 구조를 나타냈다. 개폐문(33a, 33c)은 직립 위치와 수평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면, 승강 링크(51a, 51c)에 대하여 직접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20…입체 취반기(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상당)
30…취반기 본체(본 발명의 「조리 장치 본체」에 상당)
31a…상단의 가열실(본 발명의 「상단측 조리실」에 상당)
31b…중단의 가열실
31c…하단의 가열실(본 발명의 「하단측 조리실」에 상당)
33a…개폐문(본 발명의 「상단측 개폐문」에 상당)
33b…개폐문
33c…개폐문(본 발명의 「하단측 개폐문」에 상당)
34…이면
50a…제1 리프터(본 발명의 「상단측 승강 장치」에 상당)
50c…제2 리프터(본 발명의 「하단측 승강 장치」에 상당)
51a…승강 링크(본 발명의 「상단측 승강 링크」에 상당)
51c…승강 링크(본 발명의 「하단측 승강 링크」에 상당)
58a, 58c…롤러
60…지지 부재(본 발명의 「회전 스토퍼」에 상당)
63…부착벽
70…구동부
71…가동 플레이트(본 발명의 「가동체」에 상당)
73…이동 기구
74…볼 나사축
75…볼 너트
77…모터
200…취반솥(본 발명의 「조리 용기」에 상당)
W…웨이트

Claims (5)

  1. 조리실을 가지는 조리 장치 본체와,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개폐문으로서, 또한 이면이 조리 용기의 탑재면으로 되어 있는 개폐문과,
    상기 이면에 상기 조리 용기를 실은 상기 개폐문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조리 용기를 상기 조리실에 대응한 높이 위치와, 전달 작업을 행하는 높이 위치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문을 승강시키는 승강 링크와,
    상기 승강 링크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는 지지단이 상기 조리실측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승강 링크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웨이트와,
    상기 개폐문이 상기 조리실에 대응한 높이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승강 링크를 정지 위치에서 회전 정지하는 회전 스토퍼를 구비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이동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이동하는 상기 가동체가 상기 승강 링크의 일부를 상방으로 밀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내림으로써, 상기 승강 링크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며,
    또한, 상기 가동체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승강 링크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상기 회전 스토퍼에 의해 회전 정지된 상기 승강 링크로부터 상기 구동부가 떨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은,
    상기 조리 용기의 전달 작업을 행하는 높이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상단측 조리실과,
    상기 조리 용기의 전달 작업을 행하는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하단측 조리실의 2실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상단측 조리실을 개폐하는 상단측 개폐문과,
    상기 하단측 조리실을 개폐하는 하단측 개폐문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상단측 개폐문을 승강시키는 상단측 승강 링크를 가지는 상단측 승강 장치와,
    상기 하단측 개폐문을 승강시키는 하단측 승강 링크를 가지는 하단측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측 승강 링크와 하단측 승강 링크는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가동체의 초기 위치는 상기 2개의 승강 링크의 중간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가동체의 상기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체가 상기 상단측 승강 링크의 일부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상단측 승강 링크가 회전하여, 상기 상단측 개폐문을 상기 상단측 조리실에 대응하는 상단 위치로부터 하강시키고,
    상기 가동체의 상기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한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체가 상기 하단측 승강 링크의 일부를 밀어내림으로써, 상기 하단측 승강 링크가 회전하여, 상기 하단측 개폐문을 상기 하단측 조리실에 대응하는 하단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140082272A 2013-07-22 2014-07-02 조리 장치 KR101676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1368 2013-07-22
JP2013151368A JP5814311B2 (ja) 2013-07-22 2013-07-22 調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309A true KR20150011309A (ko) 2015-01-30
KR101676702B1 KR101676702B1 (ko) 2016-11-16

Family

ID=5248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272A KR101676702B1 (ko) 2013-07-22 2014-07-02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14311B2 (ko)
KR (1) KR101676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674B1 (ko) 2017-06-09 2018-10-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에 대한 차압예냉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차압예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6585B2 (ja) * 2016-07-29 2018-12-12 株式会社コメットカトウ 調理装置
CN109247849A (zh) * 2016-11-18 2019-01-22 合肥智慧龙图腾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家用食品烤箱放置架
CN106308557B (zh) * 2016-11-18 2018-11-09 绍兴柯桥柯酷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食品烤箱安装座
CN106308617B (zh) * 2016-11-18 2018-11-06 嘉兴市新飞腾塑业有限公司 一种家用食品烤箱安装提升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615A (ja) * 1989-07-05 1991-02-19 Canon Inc 2軸駆動装置
JP2002315673A (ja) * 2001-04-24 2002-10-29 Kajiwara Kogyo Kk 調理装置
JP2011092493A (ja) 2009-10-30 2011-05-12 Aiho Corp 炊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88702B (ko) * 1995-06-01 2002-10-26 Degussa
JP3037615U (ja) * 1996-09-04 1997-05-20 大阪瓦斯株式会社 炊飯器用架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615A (ja) * 1989-07-05 1991-02-19 Canon Inc 2軸駆動装置
JP2002315673A (ja) * 2001-04-24 2002-10-29 Kajiwara Kogyo Kk 調理装置
JP2011092493A (ja) 2009-10-30 2011-05-12 Aiho Corp 炊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674B1 (ko) 2017-06-09 2018-10-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에 대한 차압예냉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차압예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702B1 (ko) 2016-11-16
JP5814311B2 (ja) 2015-11-17
JP2015019910A (ja)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702B1 (ko) 조리 장치
EP2353797B1 (en) Substrate transfer robot and system
ITPD20100244A1 (it) Attrezzatura perfezionata per la movimentazione di prodotti lastriformi singoli o in pacco
AU2014201833A1 (en) Vertical storage system
KR20060006321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42224B1 (ko)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노 개폐장치
KR102516556B1 (ko)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CN212448269U (zh) 样本存储设备
KR101542223B1 (ko)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지그 승하강장치
SE1150412A1 (sv) Anordning för att justera höjden på en bärare i en stickugn
US2180161A (en) Elevatable stove oven
EP3183503B1 (en) Heat treatment system
JP6436585B2 (ja) 調理装置
KR101578020B1 (ko) 코팅액 자동 공급장치
JP5483276B2 (ja) 炊飯装置
JP6793757B2 (ja) 投入台車を含む食品の加熱処理用装置
KR101633792B1 (ko) 유리기판의 공정 처리 장치
JP2015111118A (ja) 搬送装置、及び分析装置
CN210107919U (zh) 一种回转烘烤设备
KR101948876B1 (ko) 팔레트 리프팅 장치
CN217921317U (zh) 一种纸管吊装架
JP2015144742A (ja) 加熱調理装置
CN113911699B (zh) 加工设备
JPH04166555A (ja) 可動式天井収納庫
JP2004113096A (ja) 葉たばこラックリ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