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073B1 -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073B1
KR102308073B1 KR1020200087612A KR20200087612A KR102308073B1 KR 102308073 B1 KR102308073 B1 KR 102308073B1 KR 1020200087612 A KR1020200087612 A KR 1020200087612A KR 20200087612 A KR20200087612 A KR 20200087612A KR 102308073 B1 KR102308073 B1 KR 10230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andrel
bellows
air suspens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훈
김형준
백두혁
Original Assignee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2Cores or mandrels
    • B29C53/821Mandrels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60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 B29C53/6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rotatable about the wind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B29C53/845Heating or cooling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B29C63/0069Heat treatment of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1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layers or sheathings having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드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파렛트와, 이송컨베이어와, 맨드릴과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맨드릴을 축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제품의 내구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Air suspension bellows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ir suspension bellow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되는 벨로우즈의 내구성저하를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는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쇽업소버와 함께 샤시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샤시 스프링은 판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 및 에어 스프링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 에어 스프링은 차량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공기압력을 하중에 따라 조정하는 장치와 공기압축을 위한 장치 등이 필요하여 주로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 스프링은 작동방식에 따라 신축에 의해 내부의 체적과 압력이 변화되는 벨로우즈(bellows) 형과 신축에 따라 고무락이 뒤집히는 다어어프램(diaphram) 형 및 이들의 복합형이 있으며, 이러한 에어 스프링은 일반 코일 스프링 대신 위에서 기재한 벨로우즈 또는 다이어프램 등을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샤시 스프링으로서, 별도로 구비된 컴프레서를 통해 공기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9765호는 원단상태의 고무와 코드사가 압출롤러공법으로 벨로우즈 제조를 위한 고무시트와 코드로 각각 제조되는 원단가공단계; 코드를 고무시트와 또 다른 고무시트 사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놓아 AP(Axial ply)타입 코드레이어 상태로 준비하고, 준비된 상태에서 고무시트와 또 다른 고무시트를 눌러 서로 일체화되도록 사출 성형하고, 일체화된 고무시트의 한쪽면으로 만곡진 파형형상을 갖는 기어시트로 제조되는 기어시트제조단계;를 포함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프링 벨로우즈 제조 공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은 벨로우즈 드럼의 고무를 가열하는 공정에서 가열수단이 설치구조상 벨로우즈 드럼 전체 면적에 대하여 고른 열을 제공하지 못하고 어느 특정 부분의 가열이 집중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도성이 낮은 고무의 경우 가열수단과 인접하는 부분의 온도와 인접하지 못하는 다른 부분과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벨로우즈 드럼의 내구성이 저하되면서 제조공정 중 빈번하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9765호
본 발명은, 벨로우즈 제조 시 벨로우즈 전체면적에 대하여 고른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불량률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워크피스와, 원통관형으로 형성되어 워크피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주면으로 벨로우즈 드럼이 성형 제조되는 맨드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파렛트와; 작업파렛트를 각 작업위치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공급되는 맨드릴과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작업파렛트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하여 맨드릴을 축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각 작업위치로 작업파렛트가 이송 공급되도록 이송컨베이어를 구동제어하고,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작업파렛트가 해당 작업위치에 위치하면 가열수단과 회전수단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워크피스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이송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맨드릴의 내부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맨드릴을 축회전시키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맨드릴은, 회전결합부와 접촉하는 하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회전결합부는, 상면에 끼움홈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맨드릴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열수단은, 이송컨베이어 상에 설치되며, 이송 공급되는 작업파렛트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작업파렛트 이송방향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가열챔버와,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어 맨드릴과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챔버는, 단열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단열벽과, 워크피스의 상부를 덮고 저면을 형성하며 단열소재로 형성된 단열커버를 포함하여 단열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히팅유닛은, 벨로우즈 드럼을 골고루 가열하도록, 복수개가 맨드릴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히팅유닛은, 높이가 벨로우즈 드럼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수단은, 가열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맨드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는, 제1온도센서와 제2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와, 가열수단과, 회전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제1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온도값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시켜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지하고, 제2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온도값이 설정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지하여 맨드릴을 예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온도값은, 55도 내지 65도의 온도범위이고, 제2온도값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회전수단은,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맨드릴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는, 맨드릴이 설정각도로 일 방향을 따라 복수 회 회전하도록 회전모터를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맨드릴이 120도 각도로 복수 회 회전하도록 회전모터를 구동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워크피스에 맨드릴을 설치하여 작업파렛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작업파렛트를 예열수단으로 이송 공급하여 맨드릴을 예열하는 맨드릴예열단계와; 예열된 맨드릴의 외주면으로 고무소재를 입히는 피복공정, 고무소재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공정 및 와이어를 감는 와인딩공정을 포함하는 성형과정에서,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수단으로 이송 공급하여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건조수단으로 이송 공급하여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건조하는 가열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열수단과, 가열수단과, 가열건조수단은, 각각 작업파렛트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작업파렛트 이송방향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가열챔버와,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고, 맨드릴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벨로우즈 드럼을 골고루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열단계와, 가열단계와, 가열건조단계는, 이송되는 작업파렛트가 가열챔버로 접근하면, 가열챔버의 전방 개폐도어가 개방되어 작업파렛트가 수용공간으로 이송 공급하는 맨드릴이송단계와, 작업파렛트가 수용공간에 위치하면 이송컨베이어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전방 개폐도어를 차폐하여 작업파렛트가 차폐된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맨드릴수용단계와, 회전수단을 통하여 맨드릴을 축회전시키고, 히팅유닛을 통하여 맨드릴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히팅단계와, 가열이 완료되면, 회전수단을 통하여 맨드릴의 축회전을 중지하고, 가열챔버의 후방 개폐도어가 개방되어 작업파렛트가 가열챔버 외부로 배출 이송되는 배출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히팅단계는, 맨드릴을 설정각도로 일 방향을 따라 복수 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예열수단과, 가열수단과, 가열건조수단은, 각각 가열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맨드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예열단계와, 가열단계와, 가열건조 단계는, 제1온도센서와 제2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와, 가열수단과, 회전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열단계와, 가열건조 단계는, 제1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온도값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지하고, 제2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온도값이 설정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지하고 맨드릴을 예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온도값은, 55도 내지 65도의 온도범위이고, 제2온도값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벨로우즈 제조 시 벨로우즈에 대하여 복수의 포인트에 대하여 일정 온도로 분할 가열함으로써, 벨로우즈 드럼 전체면적에 대하여 가열이 골고루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탈형 및 컷팅 공정 등에서의 벨로우즈 드럼 찢어짐을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불량률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회전을 하면서 가열건조하여 냉각시키고, 근적외선으로 벨로우즈 드럼 전체 면적을 골고루 가열하기 때문에, 기존의 급속냉동방식이 제품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른 표면을 갖는 제품 제조가 가능하고 고무의 탄성 및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에서 워크피스와 맨드릴을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에서 가열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에서 가열수단의 구성을 평면상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을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이하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이라 한다)은, 작업파렛트(200)와, 이송컨베이어(300)와, 가열수단(400)과, 회전수단(500)과,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업파렛트(200)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가 성형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틀 구성으로, 이송컨베이어(300)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00)의 이동에 의하여 각 공정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파렛트(200)는, 워크피스(100)와, 맨드릴(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워크피스(100)는, 이송컨베이어(300)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며, 맨드릴(130)을 상방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워크피스(100)는, 이송컨베이어(300)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110)와, 회전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이송플레이트(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으로 회전결합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플레이트(110)는 이송컨베이어(300)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도록, 그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가능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가 이송컨베이어(300)의 이송작업대의 저면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회전결합부(120)는, 이송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맨드릴(130)이 외주측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결합부(120)는, 회전수단(500)과 연결되어 맨드릴(130)을 축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회전결합부(1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송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플레이트(122)와, 회전플레이트(122)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맨드릴(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부재(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고, 맨드릴(130)의 내주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판형 부재와, 상단은 원판형 부재의 하면에 결합하고 하단은 회전플레이트(122)에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회전결합부(120)는, 회전 시 끼움 결합된 맨드릴(130)도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맨드릴(130)에 형성된 끼움홈(131)에 삽입 결합하는 끼움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돌기(121)는, 회전플레이트(122)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며, 맨드릴(130)이 회전결합부(120)에 끼움 결합되면 끼움돌기(121)와 끼움홈(131)이 서로 결합되어 회전결합부(120)의 축방향 회전 시 맨드릴(130)도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끼움돌기(121)는 하나로 구성되고 종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회전플레이트(122)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종단면형상 또한 사각형상 외 접촉면이 타원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맨드릴(130)은, 원통관형으로 형성되어 워크피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세워져 결합되며, 외주면으로 벨로우즈 드럼(10,도 6참조)이 성형 제조된다. 여기서, 벨로우즈 드럼(10)은,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조공정 중 탈형 및 컷팅 공정이 진행되기 전 벨로우즈 제품을 의미하며, 고무층, 접착제층, 와이어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맨드릴(130)은, 회전결합부(120)와 접촉하는 하면에 끼움홈(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끼움홈(131)의 형상과 개수는 회전결합부(120)의 끼움돌기(121)의 형상 및 개수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맨드릴(13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열이 공급되면 전체면적에 걸쳐 열전달이 이루어져 고른 온도분포를 갖도록 구성되어 벨로우즈 드럼(10)의 내부에서 열을 고르게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300)는, 작업공정라인을 따라 배열되어, 작업파렛트(200)를 각 작업위치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송컨베이어(300)는, 이송밸트, 가이드레일, 구동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컨베이어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가열수단(4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열수단(400)은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를 제조하는 공정 중 예열공정, 가열공정 및 접착제의 점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열건조공정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맨드릴(130)이나 벨로우즈 드럼(1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특정부분이 아닌 전체부분을 골고루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수단(400)은, 이송컨베이어(300) 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맨드릴(130)과 벨로우즈 드럼(10)을 가열하고 다음공정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400)은, 가열챔버(410)와, 히팅유닛(420)과, 제1온도센서(430)와, 제2온도센서(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열챔버(410)는, 이송컨베이어(300) 상에 설치되며, 이송 공급되는 작업파렛트(200)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411)이 형성되고, 작업파렛트(200) 이송방향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공간(411)을 개폐하는 개폐도어(4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 가열챔버(41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개폐도어(412) 또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개폐도어(412)는, 작업팔렛트가 투입되도록 이송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도어와, 수용공간(411)의 작업파렛트(200)가 다음단계로 이송 배출되도록 후방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도 4참조), 작업파렛트(200)의 입출입에 따라 개폐제어된다.
이때, 가열수단(400)은, 개폐도어(412)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로 제어부(600)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과 축결합되어 모터의 양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동기어와, 회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 또는 이동하고 개폐도어(412)와 연결되어 회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개폐도어(412)를 왕복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동력전달부재는 랙기어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가열챔버(410)는, 히팅유닛(420)의 작동 시 내부 수용공간(411)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열손실을 방지하고, 가열 시에 발생되는 가스로 인한 폭발위험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단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챔버(410)는, 수용공간(4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단열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단열벽(413)과, 워크피스(100)의 상부를 덮고 가열챔버(410)의 저면을 형성하며 단열소재로 형성된 단열커버(4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소재는 글라스 울(glass wool)과 같은 단열재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히팅유닛(420)은, 수용공간(411) 내에 설치되어 맨드릴(130)과 벨로우즈 드럼(10)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히팅유닛(420)은, 벨로우즈 드럼(10)을 골고루 가열하도록, 복수개가 맨드릴(130)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히팅유닛(420)은 벨로우즈 드럼(10)의 원주방향을 따라 4개의 지점에서 설정각도로 분포 배열되어 벨로우즈 드럼(10) 외주면 전체에 걸쳐 열이 골고루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히팅유닛(420)은, 높이가 벨로우즈 드럼(10)과 맨드릴(13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벨로우즈 드럼(10)의 상측에서 하측까지 한번에 고른 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히팅유닛(420)은 전술한 구성과는 달리 길이가 보다 짧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유닛(미도시)에 의하여 맨드릴(130)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비록 히팅유닛(420)이 맨드릴(130)의 상측과 하측에 걸쳐 길게 구성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하는 맨드릴(130)과 벨로우즈 드럼(10)에 대하여 길이방향(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벨로우즈 드럼(10) 외측면에 골고루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유닛은, 제어부(6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히팅유닛(420)을 왕복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모터구동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제어부(600)는, 히팅유닛(420)의 상하방향 왕복이동주기와 맨드릴(130)의 회전주기를 서로 고려하여, 맨드릴(130)의 회전각 0도(360도)지점에서의 히팅유닛(420)의 높이는 주기별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기마다 히팅유닛(420)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복수회의 회전 및 왕복이동에도 같은 부분만 열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전 회전주기에서와는 다른 위치를 가열하여, 회전 시 전체 면적에 걸쳐 골고루 가열하기 위함이다.
히팅유닛(420)은, 근적외선 히터(NIR히터)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나아가, 히팅유닛(420)은,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히팅유닛(420)의 가열온도는 제1온도센서(430)와 제2온도센서(440)로부터 수신된 제1온도값과 제2온도값 각각이 설정온도가 되도록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히팅유닛(420)은, 회전수단(500)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회전수단(500)의 회전속도가 설정 회전속도 보다 높으면 가열온도를 높이고, 회전속도가 설정 회전속도 보다 낮으면 가열온도를 낮출수 있는 등 다양하게 제어 가능하다.
가열수단(400)은, 가열챔버(4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430)와, 맨드릴(13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온도센서(430)는, 가열챔버(4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1온도값을 제어부(6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온도센서(430)는, 가열챔버(410) 내부 수용공간(41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수용공간(411)의 상부 또는 측부에 대하여 그 설치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제2온도센서(440)는, 맨드릴(13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2온도값을 제어부(6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온도센서(440)는, 비접촉식 온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수단(5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회전수단(500)은, 작업파렛트(200)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하여 맨드릴(130)을 축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수단(500)은, 회전모터(510)와, 회전모터(510)의 회전력을 맨드릴(130)에 전달하는 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의 턴테이블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제어부(600)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6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600)는, 각 작업위치로 작업파렛트(200)가 이송 공급되도록 이송컨베이어(300)를 구동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600)는, 이송컨베이어(300)의 이송모터를 구동제어하여 이송컨베이어(300)의 이동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작업파렛트(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 공정 위치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작업파렛트(2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송컨베이어(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작업파렛트(200)가 해당 작업위치에 위치하면, 이송컨베이어(300)의 이송을 중지하여 작업파렛트(20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해당 작업공정을 실시한다.
해당 작업공정으로 맨드릴(130)을 예열하는 공정, 맨드릴(130)에 감겨진 벨로우즈 드럼(10)을 가열하는 공정 및 가열건조하는 공정 시 제어부(600)는, 작업파렛트(200)가 해당 작업위치인 가열챔버(410) 내에 위치하도록 이송컨베이어(300)를 제어하고, 그런 다음 가열수단(400)의 히팅유닛(420)과 회전수단(500)의 회전모터(510)를 작동 제어하여 맨드릴(130)이 축회전되게 하고, 가열수단(400)이 작동되게 한다.
이때 제어부(600)는, 맨드릴(130)이 설정각도로 일 방향을 따라 복수 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모터(510)를 구동 제어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맨드릴(130)이 120도 각도로 3회 또는 복수 회 회전하도록 회전모터(51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제1온도센서(430)와 제2온도센서(440)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300)와, 가열수단(400)과, 회전수단(5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어부(600)는, 제1온도센서(430)로부터 수신된 제1온도값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시켜 가열수단(40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이는, 가열챔버(410) 내부가 과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제어부(600)는 알람을 발생시킨 후 가열을 중지한다. 한편, 이때, 제1온도값은, 55도 내지 65도의 온도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제2온도센서(440)로부터 수신된 제2온도값이 설정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가열수단(400)의 작동을 중지하여 맨드릴(130)을 예열할 수 있다. 이는, 맨드릴(130)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품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600)는 맨드릴(130)을 다시 예열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온도값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도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열수단(400)은, 가열챔버(410)의 배출측에 가열챔버(410)로부터 배출되는 벨로우즈 드럼(1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비접촉식 벨로우즈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벨로우즈온도센서는 감지된 벨로우즈 온도값을 제어부(6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어부(600)는 벨로우즈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벨로우즈 온도값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모니터링하여 벨로우즈 드럼(제품)상태를 실시간으로 판정(OK 또는 NG판정) 후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효율적인 공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벨로우즈 온도값은 설정된 온도값으로 벨로우즈의 종류 등에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00)는, 전술한 제1온도센서(430)와 제2온도센서(440)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을 수신하여, 공정을 제어함은 물론 가열수단(400)의 설비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 및 모니터링하여 유지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을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이하 '벨로우즈 제조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각 공정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벨로우즈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벨로우즈 제조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벨로우즈 제조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도 6은 이송컨베이어(300)에 의한 이송 공급 공정은 도면에서 생략시키고 작업파렛트(200), 가열수단(400) 및 회전수단(500)에 의하여 벨로우즈 드럼(10)이 성형되는 과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먼저 이송컨베이어(300)에 작업파렛트(200)를 설치한다. 이때 작업파렛트(200) 설치는, 이송컨베이어(300)를 따라 이동하는 워크피스(100)의 회전결합부(120)에 맨드릴(130)을 삽입 설치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맨드릴(130)과 회전결합부(120)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결합부(120)의 끼움돌기(121)과 맨드릴(130)의 끼움홈(131)이 서로 끼움 결합되게 한다.
한편, 작업파렛트(200) 설치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00)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워크피스(100)에 맨드릴(130)을 삽입 설치할 수 있으나, 워크피스(100)에 맨드릴(130)을 미리 설치한 후 이송컨베이어(300)에 작업파렛트(200)를 설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작업으로도 실시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작업파렛트(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00)를 제어하여 작업파렛트(200)가 예열수단으로 이송 공급되게 하고, 예열수단을 제어하여 맨드릴(130)을 예열하는 맨드릴(130)예열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예열수단은, 가열챔버(410)와, 히팅유닛(420)과, 제1온도센서(430)와, 제2온도센서(440)를 포함하여 전술한 가열수단(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맨드릴(130)에열단계에서는, 설정된 맨드릴(130)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는데, 제2온도센서(440)를 통하여 맨드릴(13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2온도값이 75도 내지 85도 범위 또는 80도 이상이 되게 한다.
이렇게 맨드릴(130)의 예열이 완료되면, 예열된 맨드릴(130)의 외주표면으로 벨로우즈 드럼(10)을 제조하는 성형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성형과정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130)의 외주면으로 고무소재(11)를 입히는 피복공정과 ,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가 피복된 벨로우즈 드럼(10)을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벨로우즈 드럼(10)을 가열시킨 후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 드럼(10)의 고무소재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공정 및 와이어를 감는 와인딩공정을 통하여 와인딩점착부(12)가 형성된 벨로우즈를 드럼(1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와인딩 공정을 거치고 난 후 제어부(600)는,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00)를 제어하여 벨로우즈 드럼(10)을 가열건조수단으로 이송 공급하여 벨로우즈 드럼(10)을 가열건조하는 가열건조단계를 진행한다.
이러한 가열건조단계는 접착제의 점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공정으로, 설정 온도에 따라 가열건조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가열건조과정을 거친 후에는 와인딩된 벨로우즈 드럼(10)에 다시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층 외면으로 고무를 다시 피복하여 벨로우즈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예열단계와, 가열단계와, 가열건조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열수단, 가열수단(400) 및 가열건조수단을 통하여 실시되며, 여기서 예열수단 및 가열건조수단은 가열수단(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예열단계와, 가열단계와, 가열건조단계는, 아래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이송되는 작업파렛트(200)가 가열챔버(410)로 접근하면, 가열챔버(410)의 전방 개폐도어(412)가 개방되어 작업파렛트(200)가 수용공간(411)으로 이송 공급하는 맨드릴이송단계를 거친다.
이후, 작업파렛트(200)가 수용공간(411)에 위치하면 이송컨베이어(3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전방 개폐도어(412)를 차폐하여 작업파렛트(200)가 차폐된 수용공간(411)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맨드릴수용단계를 거친다.
그런 다음, 회전수단(500)을 통하여 맨드릴(130)을 축회전시키고, 히팅유닛(420)을 통하여 맨드릴(130)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벨로우즈 드럼(10)을 가열하는 히팅단계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히팅단계에서는, 맨드릴(130)을 설정각도로 일 방향을 따라 복수 회 회전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가열이 완료되면, 회전수단(500)을 통하여 맨드릴(130)의 축회전을 중지하고, 가열챔버(410)의 후방 개폐도어(412)가 개방되어 작업파렛트(200)가 가열챔버(410) 외부로 배출 이송되는 배출이송단계를 거친다.
나아가, 가열단계와, 가열건조 단계는, 제1온도센서(430)로부터 수신된 제1온도값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가열수단(400)의 작동을 중지하고, 제2온도센서(440)로부터 수신된 제2온도값이 설정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가열수단(400)의 작동을 중지하고 맨드릴(130)을 예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온도값은, 55도 내지 65도의 온도범위이고, 제2온도값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벨로우즈 드럼 11 : 고무소재
12 : 와인딩점착부 100 : 워크피스
110 : 이송플레이트 120 : 회전결합부
121 : 끼움돌기 122 : 회전플레이트
123 : 끼움부재 130 : 맨드릴
131 : 끼움홈 200 : 작업파렛트
300 : 이송컨베이어 400 : 가열수단
410 : 가열챔버 411 : 수용공간
412 : 개폐도어 413 : 단열벽
414 : 단열커버 420 : 히팅유닛
430 : 제1온도센서 440 : 제2온도센서
500 : 회전수단 510 : 회전모터
600 : 제어부

Claims (19)

  1. 워크피스와, 원통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워크피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주면으로 벨로우즈 드럼이 성형 제조되는 맨드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파렛트와;
    상기 작업파렛트를 각 작업위치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공급되는 상기 맨드릴과 상기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작업파렛트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맨드릴을 축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각 작업위치로 상기 작업파렛트가 이송 공급되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작업파렛트가 해당 작업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워크피스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맨드릴의 내부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맨드릴을 축회전시키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은, 상기 회전결합부와 접촉하는 하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면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맨드릴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설치되며, 이송 공급되는 상기 작업파렛트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파렛트 이송방향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가열챔버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맨드릴과 상기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챔버는,
    단열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단열벽과, 상기 워크피스의 상부를 덮고 저면을 형성하며 단열소재로 형성된 단열커버를 포함하여 단열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벨로우즈 드럼을 골고루 가열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맨드릴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높이가 상기 벨로우즈 드럼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가열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맨드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와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에 의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온도값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시켜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온도값이 설정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맨드릴을 예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값은, 55도 내지 65도의 온도범위이고,
    상기 제2온도값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맨드릴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맨드릴이 설정각도로 일 방향을 따라 복수 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맨드릴이 120도 각도로 복수 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모터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13.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워크피스에 맨드릴을 설치하여 작업파렛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상기 작업파렛트를 예열수단으로 이송 공급하여 상기 맨드릴을 예열하는 맨드릴예열단계와;
    예열된 상기 맨드릴의 외주면으로 고무소재를 입히는 피복공정, 상기 고무소재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공정 및 와이어를 감는 와인딩공정을 포함하는 성형과정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수단으로 이송 공급하여 상기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상기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건조수단으로 이송 공급하여 상기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건조하는 가열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건조수단은,
    각각 상기 작업파렛트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파렛트 이송방향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가열챔버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맨드릴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상기 벨로우즈 드럼을 골고루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건조단계는,
    이송되는 상기 작업파렛트가 상기 가열챔버로 접근하면, 상기 가열챔버의 전방 개폐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작업파렛트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송 공급하는 맨드릴이송단계와,
    상기 작업파렛트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전방 개폐도어를 차폐하여 상기 작업파렛트가 차폐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맨드릴수용단계와,
    회전수단을 통하여 상기 맨드릴을 축회전시키고, 상기 히팅유닛을 통하여 상기 맨드릴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벨로우즈 드럼을 가열하는 히팅단계와,
    가열이 완료되면, 회전수단을 통하여 상기 맨드릴의 축회전을 중지하고, 상기 가열챔버의 후방 개폐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작업파렛트가 상기 가열챔버 외부로 배출 이송되는 배출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단계는,
    상기 맨드릴을 설정각도로 일 방향을 따라 복수 회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건조수단은,
    각각 상기 가열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맨드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예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건조 단계는,
    상기 제1온도센서와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에 의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건조 단계는,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온도값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온도값이 설정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맨드릴을 예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값은, 55도 내지 65도의 온도범위이고,
    상기 제2온도값은, 75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KR1020200087612A 2020-07-15 2020-07-15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KR10230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12A KR102308073B1 (ko) 2020-07-15 2020-07-15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12A KR102308073B1 (ko) 2020-07-15 2020-07-15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073B1 true KR102308073B1 (ko) 2021-10-05

Family

ID=7807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612A KR102308073B1 (ko) 2020-07-15 2020-07-15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0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4458A (en) * 1955-10-10 1959-02-24 Firestone Tire & Rubber Co Method of making an air spring
KR0149043B1 (ko) * 1994-07-21 1998-10-15 홍건희 라버 벨로스 제조방법
KR100239086B1 (ko) * 1997-08-26 2000-01-15 홍건희 차량용 공기스프링에 구비되는 고무벨로즈의 제조방법
KR20130079765A (ko)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스프링 벨로우즈 제조 공법
KR102019449B1 (ko) * 2018-04-17 2019-09-06 김송산 벨로우즈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4458A (en) * 1955-10-10 1959-02-24 Firestone Tire & Rubber Co Method of making an air spring
KR0149043B1 (ko) * 1994-07-21 1998-10-15 홍건희 라버 벨로스 제조방법
KR100239086B1 (ko) * 1997-08-26 2000-01-15 홍건희 차량용 공기스프링에 구비되는 고무벨로즈의 제조방법
KR20130079765A (ko)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스프링 벨로우즈 제조 공법
KR102019449B1 (ko) * 2018-04-17 2019-09-06 김송산 벨로우즈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044B1 (ko) 분체 도장 시스템
EP1785263B1 (en) Device to apply rubber tape
EP0275181B1 (en) A film drive unit for a packaging machine
US1108423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a continuous elongated element made of elastomeric material in a process for building tyres
KR100909339B1 (ko) 타이어용 고무 스트립 와인딩 장치
KR101551936B1 (ko) 비닐제조장치
US5401938A (en) Rotary drop former with electrical inductive heater
KR102308073B1 (ko)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JPH11291363A (ja) タイヤ成型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成型方法
CN205346536U (zh) 用于在油管上包覆保温毡的包覆装置
US9216565B2 (en) Flexible film application for decorative coatings
US20090101068A1 (en) Roll Coater Assembly System
CN213377489U (zh) 一种具有定量涂胶机构的高速边封机
KR20100034779A (ko)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US11130302B2 (en) Bead core coating method and bead core coating apparatus
CA2891690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pirally winding a thermoplastic profile in the manufacture of welded plastic tubes
CN107107483A (zh) 用来测量矿物或植物纤维垫内部的方法
KR101833039B1 (ko) 프리프레그 예열장치
KR102212702B1 (ko) 오토클레이브 장치
CN212284682U (zh) 电池密封圈点胶装置
CN108284584B (zh) 聚酯绝缘管加工装置以及加工工艺
CN100556678C (zh) 用于检测弹性条中的外露金属帘线的方法与设备
ITTO970521A1 (it) Metodo ed unita' per il rilevamento di difetti nella cintura di batti- strada di un pneumatico
CN211756626U (zh) 密封胶固化装置
KR102256993B1 (ko) 벨로우즈 제조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