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863B1 -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863B1
KR100987863B1 KR1020080093938A KR20080093938A KR100987863B1 KR 100987863 B1 KR100987863 B1 KR 100987863B1 KR 1020080093938 A KR1020080093938 A KR 1020080093938A KR 20080093938 A KR20080093938 A KR 20080093938A KR 100987863 B1 KR100987863 B1 KR 10098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heating
conveyor
heating mean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779A (ko
Inventor
문경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8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29D30/2607Devices for transferring annular tyre components during the building-up stage, e.g.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econd stage buil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4Thermal pre-treatments
    • B29C66/0242Heating, or preheating, e.g.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55Belt splic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68Cutting profiles into the treads of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성형공정에서 반제품인 트레드를 성형드럼에 부착하기 전에 트레드의 절단면에 균일한 열을 공급하여 트레드 절단면의 접착성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트레드 조인트 작업시 접합부위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가 성형드럼에 부착하기 직전의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트레드 절단면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 근방과,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각각에 설치되며, 각각 고정판과, 고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상하 높이조절되는 가열판과, 가열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가열램프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가열수단; 및 상기 제2 가열수단을 트레드의 후단부의 비가열 위치인 대기위치 또는 트레드의 후단부의 가열위치인 작동위치로 전환하도록, 직선운동을 하는 LM가이드와, 몸체가 LM가이드의 블록에 연결되고 로드 단부가 상기 제2 가열수단의 고정판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제2 가열수단의 고정판을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이어, 성형기, 성형드럼, 벨트, 트레드, 접합, 조인트, 가열, 가열램프

Description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A Tread Supply Apparatus of Tire Builder}
본 발명은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성형공정에서 반제품인 트레드를 성형드럼에 부착하기 전에 트레드의 절단면에 균일한 열을 공급하여 트레드 절단면의 접착성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트레드 조인트 작업시 접합부위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일련의 공정, 즉 정련공정, 압출공정, 압연공정, 비드공정, 재단공정, 포켓공정, 성형공정, 가류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여기서, 성형공정은 가류공정 전에 그린타이어를 제작하는 공정으로서, 인너라이너, 카카스, 비드, 사이드월 등의 반제품을 조립하여 1차 그린타이어를 만드는 1차 성형공정과, 1차 성형공정을 통해 제작된 1차 그린타이어의 카카스층 위에 벨트, 캡플라이, 트레드의 반제품을 조립하여 완제품 형상의 2차 그린타이어를 만드는 2차 성형공정으로 구분된다.
상기 2차 성형공정에서는, 성형드럼 상단에 먼저 벨트를 부착하고, 이어서 벨트 끝단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캡플라이를 부착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트레드를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를 통하여 이송하면서 부착한 후에, 최종적으로 트레드의 절단면의 선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조인트 작업을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트레드 조인트 작업시에는, 트레드의 절단면의 접합부위를 강화시키기 위해 그 절단면에 천연고무계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계 시멘트를 전(前) 공정에서 도포하여 절단면끼리 접합하는 수작업을 하고 있다.
그런데, 반제품인 트레드가 상기 트레드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를 따라 성형드럼쪽으로 이송될 때, 트레드의 절단면에 도포된 시멘트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 경화되어 접착력이 저하되고, 특히 실리카가 함유된 특정 컴파운드 고무의 경우, 시멘트를 도포한 상태에서도 조인트 작업시 방치시간에 따라 접합부위가 약화되어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그 접합부위를 강하게 압착하는 압착작업을 수행하여야 했는데, 이 압착작업은 자동화가 곤란하여 핸드롤러 등에 의해 수작업을 행할 수밖에 없어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완성 타이어의 품질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러한 압착작업을 하더라도 절단면의 접착력이 그대로 유지되지 못함으로써 새로운 컴파운드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트레드를 타이어 성형기의 성형드럼에 부착하기 전에 트레드의 절단된 부위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타이어의 성형공정에서 반제품인 트레드를 성형드럼에 부착하기 전에 트레드의 절단면에 균일한 열을 공급하여 트레드 절단면의 접착성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트레드 조인트 작업시 접합부위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이어 성형기의 성형드럼에 트레드를 공급하는 트레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인 트레드를 안착시켜 성형드럼쪽으로 수평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가 성형드럼에 부착하기 직전의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트레드 절단면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 근방과,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각각에 설치되며, 각각 고정판과, 고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상하 높이조절되는 가열판과, 가열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가열램프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가열수단; 및
상기 제2 가열수단을 트레드의 후단부의 비가열 위치인 대기위치 또는 트레드의 후단부의 가열위치인 작동위치로 전환하도록, 직선운동을 하는 LM가이드와, 몸체가 LM가이드의 블록에 연결되고 로드 단부가 상기 제2 가열수단의 고정판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제2 가열수단의 고정판을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일단이 고정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열판에 부착된 슬리브를 관통하여 일정 길이만큼 상하로 미끄럼이동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안내봉과, 한 쌍의 안내봉 사이에 설치되고 외경에 나선결합을 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높이조절뭉치에 결합된 높이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가열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그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
상기 가열램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컨베이어, 제1 및 제2 가열수단, 이동수단, 위치센서 및 온도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기위치는 상기 실린더의 로드의 수축에 따라 트레드 이송방향과 평행한 위치이고, 상기 작동위치는 상기 실린더의 로드의 팽창에 따라 트레드의 이송방향과 수직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에는, 상기 가열램프 전체 주위를 둘러싸는 투명유리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수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상향수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열수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과 하단 사이의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수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연결브라켓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는 연결아암의 일단부가 힌지연결되어 있되, 연결아암의 타단부는상기 가열수단의 고정판 일측에 힌지브라켓을 통해 고정된 힌지축에 90°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램프는 할로겐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드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를 통해 성형드럼쪽으로 이송되는 트레드의 절단면의 선단과 후단 양쪽에 균일한 열을 가함으로써, 성형드럼에 트레드를 부착하기 전에 트레드 절단면의 접착성질을 활성화시켜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레드 조인트 작업시 접합부위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2 가열수단이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3b는 제2 가열수단이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인 트레드(T)를 안착시켜 성형드럼(D)쪽으로 수평 이송하는 이송수단(10)과, 이송수단(10)을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T)가 성형드럼(D)에 부착하기 직전의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트레드(T) 절단면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수단(10)은 예컨대, 양쪽의 프레임(F) 사이에 다수의 이송롤러(11)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컨베이어이다.
상기 가열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T)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1 가열수단(20)과 제2 가열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드(T)의 전단부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1 가열수단(20)은 이송수단의 전단 하부에 트레드(T)의 전단부 하면을 향하도록 별도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위에 상향수직 설치되며, 트레드(T)의 후단부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2 가열수단(30)은 이송수단(10)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상부에 하향수직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가열수단(20)은 이송수단(10)의 전단 하부에 이송수단(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제2 가열수단(30)은 이송수단(10) 상부에 이송수단(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가열수단(20)과 제2 가열수단(30)은 그 설치 위치 및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 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 가열수단(3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가열수단(30)은 도 2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고정판(21)과, 고정판(21)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상하 높이조절되는 가열판(22)과, 가열판(22)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가열램프(23)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가열판(22)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일단이 고정판(21)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열판(22)에 부착된 슬리브(24)를 관통하여 일정 길이만큼 상하로 미끄럼이동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안내봉(25)과, 한 쌍의 안내봉(25) 사이에 설치되고 외경에 나선결합을 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높이조절뭉치(26)에 결합된 높이조절나사(2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열램프(23)를 구비한 가열판(22)은, 높이조절뭉치(26)를 회전시킴에 따라 높이조절나사(27)가 나사회전함으로써 고정판(21)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트레드(T)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열을 가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나사(27)는, 작업자가 상기 높이조절뭉치(26)를 적절히 회전시켜 그 높낮이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둘 수 있고, 별도의 모터를 장착하여 자동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판(22)에는, 상기 가열램프(23)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주위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가열램프(23) 전체 주위를 둘러싸는 투명유리판(28)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가열램프(23)로서는, 할로겐 램프가 사용되지만, 반드 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램프 등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열수단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이동수단(4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수단(40)은 상기 제2 가열수단(30)에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열수단(2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제2 가열수단(30)에만 이동수단(40)을 설치하는 이유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T)의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제2 가열수단(30)을 트레드(T) 절단면의 후단부 위치로 적절히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수단(40)은, 상기 이송수단(10)이 설치된 장소 부근의 바닥(B)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F) 위에, 상기 이송수단(10)을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T)의 길이를 고려하여 트레드(T)의 길이를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이송수단(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LM가이드(41)와, LM가이드(41)를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제2 가열수단(30)을 대기위치 또는 작동위치로 이동하도록 LM가이드(41)와 상기 제2 가열수단(30) 사이에 연결되는 실린더(46)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LM가이드(41)는 도면에서는 명확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42)과, 한 쌍의 레일(42) 위를 타고 X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 블록(43)과, 한 쌍의 레일(42)과 평행하게 블록(43)을 관통하는 스크류축(44)으로 이루어진다. 이 스크류축(44)의 일측에는 서보모터가 연결 설치되어, 이 서보모터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축(44)이 회전하게 되고, 이 스크류축(44)의 회전에 따라 블록(43)이 레일(42) 위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블록(43)은 연결브라켓(45)에 의해 상기 실린더(46)의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46)의 로드 단부에는 연결아암(47)의 일단부가 힌지연결되어 있되, 연결아암(47)의 타단부는상기 가열수단의 고정판(21) 일측에 힌지브라켓(48)을 통해 고정된 힌지축(49)에 90°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송수단(10)을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T)의 절단면이 가열될 위치에 있지 않을 때 혹은 가열되는 위치를 통과하였을 때,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46)의 로드를 끌어당김으로써(수축함으로써) 제2 가열수단(30)은 이송되는 방향의 트레드(T)와 평행한 위치 혹은 이동수단(40)과 평행한 위치, 즉 대기위치에 있게 되는 한편, 이송수단(10)을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T)의 절단면이 가열될 위치에 있을 때,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46)의 로드를 밀어냄으로써(팽창함으로써) 제2 가열수단(30)은 이송되는 방향의 트레드(T)와 수직하는 위치(트레드 절단면의 후단부 바로 위에 배치되는 위치), 즉 작동위치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이송수단(10)을 통해 이송되는 트레드(T)가 성형드럼(D)에 부착하기 직전의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즉 상기 트레드(T) 절단면의 전단부가 이송수단(10)의 전단부에 도달하여 그 전단부와 후단부를 가열하기 위한 위치에 있을 때, 그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서의 위치센서를 이송수단(10)의 하부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열램프(23)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세서를 더 설치함으로써, 가열램프(23)의 온도를 미리 기준온도로 설정하여 둔 상태에서 그 기준온도에 도달 하면 전기공급을 중단시켜 트레드(T) 절단면에 가해지는 과열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이송수단(10), 가열수단, 이동수단(40), 및 센서 등은 제어부(예컨대, PLC제어장치)에 의해 일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길이로 절단된 트레드(T)를 이송수단(10)을 통해 타이어 성형기의 성형드럼(D) 쪽으로 이송하면서, 그 이송되는 트레드(T)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가열될 위치에 도달되었다는 것이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 그 감지신호에 따라 이동수단(40)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LM가이드(41)에 설치된 블록(43)이 레일(42)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적정 위치에 정지되면, 그때 블록(43)에 연결된 실린더(46)를 작동시킨다. 그 후, 실린더(46) 로드에 힌지연결된 제2 가열수단(30)의 고정판(21)은 실린더(46) 로드의 인장에 의해 힌지축(49)을 중심으로 90°회동하게 됨으로써 고정판(21)의 하부에 연결된 가열판(22)이 트레드(T) 절단면의 후단부 상면을 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가열수단(20)도 함께 작동하면서 제1 가열수단(20)의 가열판(22)은 트레드(T) 절단면의 전단부 하면을 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가열수단(20)(30)의 각 가열판(22)의 높이는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각 가열판(22) 내부에 설치된 가열램프(23)가 트레드(T) 절단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동시에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 경우, 가열램프(23)로부 터 방출되는 빛은 높은 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트레드(T)의 절단면에 도포된 시멘트를 균일하게 가열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시멘트의 접착성질이 활성화되어 시멘트가 본래의 접착력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성형드럼(D)에 트레드(T)를 부착하기 전에 트레드(T)의 절단면에 도포된 시멘트가 자연 경화되어 접착력이 약화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성형드럼에 부착된 후에 트레드 조인트 작업시 접합부위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능률뿐만 아니라 타이어 품질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2 가열수단이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3b는 제2 가열수단이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송수단
20 : 제1 가열수단
21 : 고정판
22 : 가열판
23 : 가열램프
25 : 안내봉
26 : 높이조절뭉치
27 : 높이조절나사
28 : 유리판
30 : 제2 가열수단
40 : 이동수단
41 : LM가이드
43 : 블록
46 : 실린더
48 : 힌지축

Claims (8)

  1. 타이어 성형기의 성형드럼(D)에 트레드(T)를 공급하는 트레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인 트레드(T)를 안착시켜 성형드럼(D)쪽으로 수평이송하는 컨베이어(10);
    상기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T)가 성형드럼(D)에 부착하기 직전의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트레드(T) 절단면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 근방과,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고정판(21)과, 고정판(21)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상하 높이조절되는 가열판(22)과, 가열판(2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가열램프(23)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가열수단(20)(30); 및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기 제2 가열수단(30)을 트레드(T)의 후단부의 비가열 위치인 대기위치 또는 트레드(T)의 후단부의 가열위치인 작동위치로 전환하도록, 직선운동을 하는 LM가이드(41)와, 몸체가 LM가이드(41)의 블록(43)에 연결되고 로드 단부가 상기 제2 가열수단(30)의 고정판(21)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제2 가열수단(30)의 고정판(21)을 회동시키는 실린더(46)를 포함하는 이동수단(40);
    을 포함하고,
    상기 대기위치는 상기 실린더(46)의 로드의 수축에 따라 트레드(T) 이송방향과 평행한 위치이고, 상기 작동위치는 상기 실린더(46)의 로드의 팽창에 따라 트레드(T)의 이송방향과 수직하는 위치이고,
    상기 블록(43)은 연결브라켓(45)에 의해 상기 실린더(46)의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46)의 로드 단부에는 연결아암(47)의 일단부가 힌지연결되어 있되, 연결아암(47)의 타단부는 상기 가열수단의 고정판(21) 일측에 힌지브라켓(48)을 통해 고정된 힌지축(49)에 90°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일단이 고정판(21)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열판(22)에 부착된 슬리브(24)를 관통하여 일정 길이만큼 상하로 미끄럼이동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안내봉(25)과, 한 쌍의 안내봉(25) 사이에 설치되고 외경에 나선결합을 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높이조절뭉치(26)에 결합된 높이조절나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드(T)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가열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그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
    상기 가열램프(23)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컨베이어, 제1 및 제2 가열수단(20)(30), 이동수단(40), 위치센서 및 온도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22)에는, 상기 가열램프(23) 전체 주위를 둘러싸는 투명유리판(28)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수단(20)은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상향수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열수단(30)은 상기 컨베이어의 전단과 하단 사이의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수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램프(23)는 할로겐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KR1020080093938A 2008-09-25 2008-09-25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KR10098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938A KR100987863B1 (ko) 2008-09-25 2008-09-25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938A KR100987863B1 (ko) 2008-09-25 2008-09-25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779A KR20100034779A (ko) 2010-04-02
KR100987863B1 true KR100987863B1 (ko) 2010-10-13

Family

ID=4221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938A KR100987863B1 (ko) 2008-09-25 2008-09-25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41B1 (ko) * 2010-12-13 2012-05-03 박양수 테이핑 장치의 불량 단품 자동 교체 장치
KR101360109B1 (ko) 2011-11-30 2014-02-12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스피노신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2862305B (zh) * 2012-09-28 2014-11-26 天津赛象科技股份有限公司 胎面供料系统
CN110253893A (zh) * 2019-07-19 2019-09-20 软控股份有限公司 一种胎面胶料料头加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154A (ko) * 1998-08-05 2000-03-06 홍건희 타이어 트레드 접합면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154A (ko) * 1998-08-05 2000-03-06 홍건희 타이어 트레드 접합면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779A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63B1 (ko) 타이어 성형기의 트레드 공급장치
EP1785263B1 (en) Device to apply rubber tape
WO2022206823A1 (zh) 带束鼓、轮胎成型机及胎面组件成型方法
KR102220755B1 (ko) 타이어 트레드 조인트 장치
CN1146948A (zh) 一种制造层状制品和将轮胎组件制成轮胎胎体的方法和设备
AU2002301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ugged Strip Removal
US20070187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yres for vehicle wheels
AU20023011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ndless Reinforced Rubber Articles
JP6993875B2 (ja) タイヤ構成部材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構成部材の製造装置
KR20090003778A (ko) 고무 압출물 자동 와인딩 장치 및 와인딩 방법
JP2008307749A (ja) 更生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319661B1 (ko) 대형 타이어용 비드의 필러부착장치
KR100593000B1 (ko) 반제품 스플라이싱 장치가 부착된 타이어의 그린케이스성형기
AU2002301138B2 (en) Strip Inverter
EP3148907B1 (en) Apparatus for laying pairs of elongated elements on a forming drum and process for obtaining tyres for vehicle wheels
KR102308073B1 (ko)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셔 벨로우즈 제조방법
JP2004114616A (ja) タイヤ構成部材の供給装置、及びタイヤ成形装置
KR101268381B1 (ko) 성형드럼 가동형 타이어 성형기
KR200346076Y1 (ko) 타이어의 반제품 공급장치
KR101691920B1 (ko)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KR20050033343A (ko) 복층유리용 틸팅기
KR100533860B1 (ko) 그린타이어의 벨트 보강재 공급장치
KR101904956B1 (ko)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길이 제어 장치
KR101300001B1 (ko) 카카스 재료 자동 부착장치
KR200462742Y1 (ko) 타이어용 에이펙스 재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