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942B1 - 부표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부표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42B1
KR101832942B1 KR1020160015217A KR20160015217A KR101832942B1 KR 101832942 B1 KR101832942 B1 KR 101832942B1 KR 1020160015217 A KR1020160015217 A KR 1020160015217A KR 20160015217 A KR20160015217 A KR 20160015217A KR 101832942 B1 KR101832942 B1 KR 101832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uoy
frame
buoys
resistan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079A (ko
Inventor
성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진
성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진, 성용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진
Publication of KR2016009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4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energy generated by movement of th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02E1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대형부표의 운반 및 설치 시 부표를 구성하는 부재를 따로 제작하고 분리하여 다시 조립할 수 있는 부표의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표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리가 가능한 몸통부 및 이를 결합시켜 주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표의 운반과 설치 시 제한된 공간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운반 및 설치가 될 수 있도록 하며, 간편해지고 소형화된 구조를 통하여 그 생산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표를 분리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를 규격화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부표의 제작방법{Method to production of Float}
본 발명은 부표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에 부유되어 파도에 유동되는 부표를 해양에 설치하기 위하여 육로 및 해상을 통해 그 장소까지 효율적으로 운반되어 설치가 가능하도록 부표의 각 부재 및 그 부표를 세그먼트로 분리하여 따로 제작하고 조립할 수 있게 부표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부표는 부력을 가지고 해상에 부유하여 위치, 관측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유용한 해양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부력을 가진 부표는 다양한 파도의 움직임에 자연적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동력을 얻을 수 있는 수단으로 많은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친환경적인 파력발전에 있어서 부표의 유동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동력원이 되며, 이는 부표의 부력과 파도의 다방향에서 받는 힘을 통하여 유동이 일어나게 되고 동력이 발생되게 된다.
부표의 동력 발생에 대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 크기를 대형화하여 부력을 증가시켜야 하며, 보조 부재를 결합하여 파도에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해야 하기에 그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대형부표는 소형부표 보다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전달받는 효율과 부표의 활용범위가 넓어 지지만 이에 따른 설치 및 운반이 어려워지게 되고 그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현재 도로운행에서 제한되는 높이는 4m이며 폭은 2.5m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에 따라 대형부표의 경우 육로 이동 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모하여 다른 이동 방법을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해상의 환경에 적합한 부표를 제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부표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파력발전에 사용되는 부표의 이동과 설치, 유지관리에 있어서 그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다양한 해양 환경에 적합하게 모양과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과 개발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32946호는, 물결에 의한 에너지 과대 입력을 제한하는 고출력 파력 발전 부표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표의 운반 및 설치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조립, 분리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를 제작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부표의 몸통부 및 부표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따로 제작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가 가능한 부표의 특징을 통하여 유지보수 및 해체 시 발생되는 작업에 대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부표의 조립에 대한 자유도를 높여 해양의 서로 다른 환경과 장소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부표의 제작방법은, 파력발전에 사용되는 부표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하여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되,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리가 가능한 몸통부,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는 일자로 형성된 링크프레임, 꺾인 형태로 형성된 커넥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링크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커넥터프레임의 타단이 상기 결합부를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링크프레임 또는 상기 커넥터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링크프레임 또는 상기 커넥터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는 끼워맞춤 또는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 또는 상기 커넥터프레임의 일면에는 로프와 결합이 가능한 로프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부는 로프, 체인 또는 아령 형태의 회전관절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는 상기 파도의 수평 또는 수직의 힘을 받기 위한 운동저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동저항부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몸통부에 수직 또는 수평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 또는 상기 운동저항부는 상기 파도의 일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표의 제작방법은, 파력발전에 사용되는 부표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해상에서 부유하여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상기 파도의 수평 또는 수직의 힘을 받도록 형서되는 운동저항부, 상기 몸통부와 상기 운동저항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통부 또는 상기 운동저항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파도가 통과되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동저항부는 나무, 고무, 천 또는 직물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표의 운반과 설치에 있어서 제한된 공간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운반 및 설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부표와 각 부재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리함에 따라 간편해지고 소형화된 구조를 통하여 그 생산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표를 분리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를 규격화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부표가 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부표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부표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부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부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부표가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운동저항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통해 설명 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표 제작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가 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표는 몸통부홀(110), 링크프레임(120), 커넥터프레임(130), 로프결합부(140), 결합고정부(210), 결합홈(220), 돌출부(230), 운동저항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이 결합되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커넥터프레임(130)은 일정한 각도로 꺾어져 있어서 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링크프레임(120)은 꺾어진 커넥터프레임(130)과 일단에서 결합되어 타단은 다른 커넥터프레임(130)과 결합될 수 있다.
링크프레임(120)의 일단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부(230)는 화살표 또는 송곳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30)의 일단과 결합되는 링크프레임(120)의 타단에는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부(2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홀 또는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프레임(130)의 일단 또한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부(230)와 결합홈(2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크프레임(120) 일단의 돌출부(230)와 커넥터프레임(130) 타단의 결합홈(220)은 삽입 또는 끼워맞춤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프레임(130)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230)는 다른 링크프레임(120) 타단의 결합홈(220)과 이어져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되어 결합된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은 커넥터프레임(130)의 꺾어진 각도를 통해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부표로 조립될 수 있다.
돌출부(230) 및 결합홈(220)의 형태 및 결합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이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의 결합을 통해 조립된 부표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자형 링크프레임(120)과 꺾어진 커넥터프레임(130)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부표로 조립될 수 있으며, 커넥터프레임(130)의 꺾어진 각도를 다양하게 하거나 링크프레임(120)을 여러 각도로 배치하여 파도의 수직 또는 수평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의 재질에 있어서 해상에 뜰 수 있고, 파도에 유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다.
원형 부표의 경우, 링크프레임(120)을 제외한 커넥터프레임(130)의 결합을 통해 조립될 수 있는데, 커넥터프레임(130)의 꺾어진 일정한 각도를 통해 4개의 커넥터프레임(130)이 결합되어 원형의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 또는 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링크프레임(120)의 일면이 파도의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경사질 수 있으며, 굴곡의 형태로 형성되어 파도의 수평 또는 수직력의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립된 다양한 형태의 부표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는 운동저항부(300)가 결합되는데, 운동저항부(300)는 나무, 천, 직물, 고무 등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파도에서 전달되는 수직의 힘을 부표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저항부(300)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홀 형성되어 물이 통과되도록 하여 파도의 과도한 힘에 의해 부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운동저항부(300)는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부표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파도에서 전달되는 수평의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링크프레임(120) 또는 커넥터프레임(130)과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운동저항부(300)의 형상에 있어서, 부표의 모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파도의 힘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링크프레임(120) 및 커넥터프레임(130) 상에는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홀을 통해 물이 통과되도록 하여 파도에서 전달되는 과도한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상관측장치, 등화장치 등의 해양환경에서 운용되는 다양한 장치들을 홀에 결합하여 부표와 함께 해양에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프레임(130)의 일면에는 플러그 또는 고리 형태의 로프결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로프결합부(140)에는 해저의 지면 또는 해안의 다른 장치와 연결된 로프가 결합될 수 있어서, 해양의 파도에 의해 유동되는 부표가 설치된 지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프가 커넥터프레임(13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로프결합부(140)와 결합됨으로써 부표의 유동을 최대화 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로프와 연결된 발전장치가 최대한의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로프결합부(140)의 결합방식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프가 부표에 연결되고 부표의 유동을 로프에 연결된 발전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로프결합부(140)의 형성위치는 부표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링크프레임(120) 또는 운동저항부(3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표 제작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부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표는 링크프레임(120), 커넥터프레임(130), 로프결합부(140), 결합홈(220), 회전관절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자형태의 링크프레임(120)은 일정 각도로 꺾어져 있는 커넥터프레임(130)과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부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자형태의 링크프레임(120)과 일정 각도로 꺾어져 있는 커넥터프레임(130)의 양단에는 아령 형태의 회전관절부(24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관절부(240)의 일측이 링크프레임(12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22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은 커넥터프레임(13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2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회전관절부(240)에 결합된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은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으며, 해상에서 파도의 유동에 따라 각각의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이
회전관절부(240)에 결합된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은 각각 따로 유동될 수 있어서, 파도의 해면을 따라 유연하게 유동되어 로프결합부(140)에 연결된 로프가 갑자기 전달되는 과도한 힘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의 부드러운 유동을 통해 부표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약한 파도에서도 큰 유동을 로프로 전달할 수 있다.
회전관절부(240)의 형상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링크프레임(120)과 커넥터프레임(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표 제작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표의 분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표는 몸통부(100), 몸통부홀(110), 결합부(200), 결합고정부(210), 운동저항부(300), 운동저항부 결합홀(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해상에 부유하는 부표의 몸통부(100)는 부력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해상에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다.
몸통부(100)의 형태에 있어서 플레이트, 타원기둥, 원기둥, 다각기둥, 돔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모양, 형상, 재질, 기능, 특성, 효과, 결합관계에 의해서 원반형상으로 구성되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표의 몸통부(100)에는 결합부(200)와 몸통부(100)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몸통부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홀(110)의 갯수와 결합방식에 있어서도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부(200)가 몸통부(100)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결합부(200)는 몸통부(100)와 함께 운동저항부(300)를 결합시켜 하나의 부표 몸통부(100)로 만들어 줄 수 있다. 결합부(200)는 몸통부(100), 운동저항부(30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방식의 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몸통부(100)의 분리된 세그먼트를 결합시켜주는 결합부(200)와 몸통부(100)와 운동저항부(300)를 결합시켜주는 결합부(200)로 별개의 구성이 될 수 있다. 결합부(200)는 몸통부(100)와 운동저항부(300)가 하나의 완전한 부표로 조립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몸통부홀(110)을 통하여 몸통부(100)에 결합되는 결합부(200)는 그 형태에 있어서, 핀, 볼트 및 조인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몸통부(10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부(200)의 모양과 재질에 있어서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기능에 있어서 부표의 몸통부(100)와 운동저항부(30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몸통부(10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200)의 일단에는 결합고정부(210)가 결합되어 몸통부(100)가 결합부(200)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시켜 주며, 결합부(200)의 나사선 또는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결합고정부(210)가 결합되어 결합부(200)를 고정시켜 줄 수 있다.
결합고정부(210)는 너트, 볼트, 클립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20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운동저항부(300)는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칸막이 형태로 몸통부(1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도의 운동에너지가 효율적으로 부표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저항부(300)의 일단에는 운동저항부 결합홀(310)이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부(200)가 운동저항부 결합홀(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결합부(200)의 양단에는 결합고정부(210)가 결합되어 운동저항부(300)가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부표의 몸통부(100)가 세그먼트로 분리되는 것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표가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표는 몸통부(100), 몸통부홀(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표는 제약된 공간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운반되고 설치될 수 있도록 몸통부(100)가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리될 수 있다. 각각의 분리된 세그먼트에는 몸통부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에는 세그먼트간 조립구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의 세그먼트만 따로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몸통부(100)가 각각의 세그먼트에서 하나의 부표로 결합될 때, 몸통부홀(110)을 통하여 볼트 결합되거나, 각각의 세그먼트가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몸통부(100)의 세그먼트 결합에 있어서, 세그먼트가 하나의 부표로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표 제작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7은 운동저항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표는 운동저항부(300), 운동저항부 결합홀(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운동저항부(300)는 구겨지거나 접을 수 있는 나무, 천, 직물,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파도의 힘을 부표로 전달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다.
운동저항부(300)와 부표의 결합에 있어서, 운동저항부(300)의 중앙과 끝단에는 운동저항부 결합홀(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운동저항부 결합홀(310)을 통해 부표와 볼트 결합 또는 끼워맞춤 결합이 될 수 있다.
한편, 해양의 환경은 장소에 따라 해류, 파고, 바람 등 그 발생 크기와 세기가 다르며, 이에 따른 운동저항부(300)의 결합방식, 배치, 형태, 방향 및 크기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도의 크기와 힘이 과도하여 부표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운동저항부(300)의 크기를 줄이거나 운동저항부(300)에 일부의 홀을 형성하도록 하여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일부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조류의 방향에 따라 운동저항부(300)를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운동에너지가 부표로 전달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몸통부
110 : 몸통부홀
120 : 링크프레임
130 : 커넥터프레임
140 : 로프결합부
200 : 결합부
210 : 결합고정부
220 : 결합홈
230 : 돌출부
240 : 회전관절부
300 : 운동저항부
310 : 운동저항부 결합홀

Claims (12)

  1. 파력발전에 사용되는 부표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해상에서 부유하여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되,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리가 가능한 몸통부; 및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파도의 수평 또는 수직의 힘을 받기 위한 운동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 또는 상기 운동저항부는 파도의 일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일자로 형성된 링크프레임; 및
    꺾인 형태로 형성된 커넥터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커넥터프레임의 타단이 상기 결합부를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링크프레임 또는 상기 커넥터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링크프레임 또는 상기 커넥터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는 끼워맞춤 또는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프레임 또는 상기 커넥터프레임의 일면에는 로프와 결합이 가능한 로프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로프, 체인 또는 아령 형태의 회전관절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저항부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몸통부에 수직 또는 수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의 제작방법.
  9. 삭제
  10. 파력발전에 사용되는 부표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리 가능한 몸통부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세그먼트와 연결 가능한 결합부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를 결합하여 부표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에는, 상기 결합부가 연결 가능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부표의 제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에 운동저항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동저항부는, 상기 결합부가 연결 가능하도록 운동저항부 결합홀이 형성되는, 부표의 제작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에 운동저항부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결합부 및 운동저항부의 연결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고정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표의 제작방법.


KR1020160015217A 2015-02-10 2016-02-05 부표의 제작방법 KR101832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0303 2015-02-10
KR1020150020303 2015-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079A KR20160098079A (ko) 2016-08-18
KR101832942B1 true KR101832942B1 (ko) 2018-04-13

Family

ID=5661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217A KR101832942B1 (ko) 2015-02-10 2016-02-05 부표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08854B2 (ko)
KR (1) KR101832942B1 (ko)
WO (1) WO2016129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662B1 (ko) * 2017-11-30 2019-03-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지지체
WO2019107793A1 (ko) * 2017-11-30 2019-06-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지지체
KR102194091B1 (ko) * 2020-07-02 2020-12-23 (주)케이엔씨 친환경 부력부표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288A (ja) * 2001-03-30 2002-10-09 Molten Corp フロート装置の連結構造
JP2002332946A (ja) * 2001-05-02 2002-11-22 Tomiji Watabe 高出力波力発電ブ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027B2 (ja) * 1997-03-04 2001-07-03 岳洋バーンズ株式会社 浮 標
US7453165B2 (en) * 2006-10-24 2008-11-18 Seadyne Energy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ocean wave energy into electricity
CN101737234B (zh) * 2008-11-21 2012-06-13 中山市创想模型设计有限公司 海洋波浪能发电的装置
KR101312161B1 (ko) * 2012-08-24 2013-09-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조난 부표
KR20140093652A (ko) * 2014-07-07 2014-07-28 박혜경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288A (ja) * 2001-03-30 2002-10-09 Molten Corp フロート装置の連結構造
JP2002332946A (ja) * 2001-05-02 2002-11-22 Tomiji Watabe 高出力波力発電ブ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079A (ko) 2016-08-18
JP6608854B2 (ja) 2019-11-20
JP2017510507A (ja) 2017-04-13
WO2016129786A1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0409B (zh) 波动力设备以及该设备作为应急发电机的应用
KR101832942B1 (ko) 부표의 제작방법
US10988211B2 (en) Mooring system for drifting energy converters
JP5139439B2 (ja) 完全水没型波エネルギー変換装置
JP5097267B2 (ja) 波力発電ユニット、ブイ、波力発電ユニットの使用、および電気エネルギー生成方法
CN102918261B (zh) 用于水下使用的线性发电机及产生电能的方法
KR101859241B1 (ko) 터빈 시스템 및 방법
US10934993B2 (en) Apparatus for generation of energy from ocean waves
US9689370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wave motion on a body of water into electrical power
KR101619820B1 (ko)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진자 발전장치
GB2400823A (en) Floating offshore windtower farm
JP6799605B2 (ja) ブロック型波力発電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CN106164472A (zh) 波能转换装置
JP7044892B2 (ja) 波力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9371816B2 (en) Hybrid wave-current power system
KR102323429B1 (ko) 다이나믹 케이블을 고정하는 부유식 풍력발전 시스템
KR101675217B1 (ko) 파력발전 시스템
EP4022185B1 (en) Drive assembly
EP23215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dal energy extraction
JP6273045B2 (ja) 波力発電用ブイ及びこれを含む波力発電システム
JP2021500505A (ja) 浮動式波力発電装置
KR101656401B1 (ko) 발전 장치
KR101650543B1 (ko) 파력전달부 및 이를 구비하는 파력 발전장치
WO2015092083A1 (es) Central eléctrica para la generación de energía eléctrica procedente del oleaje
KR20190042799A (ko) 케이블 트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