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722B1 -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722B1
KR101831722B1 KR1020177021325A KR20177021325A KR101831722B1 KR 101831722 B1 KR101831722 B1 KR 101831722B1 KR 1020177021325 A KR1020177021325 A KR 1020177021325A KR 20177021325 A KR20177021325 A KR 20177021325A KR 101831722 B1 KR101831722 B1 KR 10183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purified
polysaccharide
mannan polysaccharid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255A (ko
Inventor
엘리에제르 조머
다비드 플랫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쎄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쎄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쎄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8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eds, e.g. locust bean gum or guar g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5Synthetic polymers, e.g. vinylic or acrylic polymers
    • A23L33/26Polyol polyesters, e.g. sucrose polyesters; Synthetic sugar polymers, e.g. poly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6Other non-digestible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류의 종자(예를 들면, 세라토니아 실리쿠아, 세살피니아 스피노사 트리고넬 호넘-그래큠 및 시아몹시스 테트라고놀로버스)로부터 화학적으로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맛있는 식이보충제의 어셈블리에의 사용을 나타낸다. 분별 공정에서는 고품질의 생리적 가용성, 화학적으로 변성 및 정제된 균일한 사이즈의 만난 다당류 섬유, 천연 불순물, 예를 들면 단백질, 알칼로이드, 글리코알칼로이드, 및/또는 중금속, 농업 잔류물 및 미생물 독소 등의 환경 불순물이 없는 것을 제공한다. 이 공정에서는 임의의 잠재적인 알레르겐, 세포독소 및 위장독소가 없는 저자극성의 식이섬유를 제공한다. 구강과 위장 시스템에서 개선된 식이 성능을 갖는 용해성 및 기호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고기능성 및 저분자량 섬유의 시간 제어된 용해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분자량을 갖는 가용성 섬유를 어셈블리하는 순차적 인 공정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COMPOSITION OF PURIFIED SOLUBLE MANNAN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본 출원은 2010년 11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시리즈 제61/410,609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내용은 정제 다당류의 조성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은 식품의 탄수화물 당지수를 감소시키고 혈당 상승을 완화시키는 조성물의 추출 및 정제에 관한 것이다.
콩류의 섬유는 가용성 식이섬유의 천연원으로서 상당히 흥미로운 매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콩류는 희색, 반투명 내배유의 비교적 큰 층 및 각질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하드, 노란색 배아를 함유한다. 이 내배유는 주로 갈락토오스 측쇄를 함유하는 만난 백본을 갖는 다당류를 포함한다. 상기 내배유는 끈적끈적한 어두운 갈색 껍질로 둘러싸여 있다. 검질 부분의 색은 현재의 외부 껍질(어두운 갈색) 및 떡잎(노란색)의 양에 따른다.
유감스럽게도, 각종 콩류의 시판의 가루는 천연 화학 물질, 향미 및 향료를 원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들은 점성이 높아, 요구되는 임상적으로 유효한 복용량으로 식이보충제에 사용될 수 없다. 또한, 그들은 경구 피임약으로서 효과적인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유사한 생식력에 영향을 주는 독성 활성을 가질 수 있는 다량의 스테로이드 구조의 사포닌을 함유할 수 있다. 사포닌 및 알칼로이드는 과량을 섭취했을 때에 다양한 독성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가용성 만난 다당류 섬유의 높은 유효한 양을 가진 식이보충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이들 사포닌, 다른 알칼로이드 및 원하지 않는 단백질성 지질 및 기타 기피 구성 성분을 기능성 식이보충제로서 적합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제거해야 한다.
1970년대에 실시한 영양 연구에는 각각 다른 탄수화물은 식사 후 혈당(당) 수치와 동일한 효과를 갖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 결과는 모든 복합 탄수화물(전분)은 단당류보다 낮은 혈당 반응을 발생하는 일반적인 가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30년 이상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의 식습관을 조절한 탄수화물 교환 목록의 임상적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들 교환 목록은 탄수화물의 동등한 양을 함유하는 다른 음식의 일부가 동일한 혈당 반응을 발생한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따라서, 당지수(GI) 방법은 식사 후에 혈당치를 증가시키는 정도에 따라 다른 음식의 동일한 탄수화물 양을 랭킹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높은 GI값(≥70)을 가진 식품은 혈당 수치의 급속한 상승과 하강을 발생시키고 빠르게 소화되는 탄수화물을 함유한다. 반면에, 낮은 GI값(≤55)을 가진 식품은 혈당 수치의 점진적,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을 발생시키고 느리게 소화되는 탄수화물을 함유한다.
20년에 걸친 연구에서는 혈당치에 영향을 주는 식품은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종류 및 양에 근거하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혈류로 소화되고 방출되는 탄수화물 비는 식품의 물리적 형태, 그 지방, 단백질 및 섬유 함량 등의 많은 식품 요인, 및 그 탄수화물의 화학 구조에 의해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들 이유로, 동일한 식품군 내에서 명확하게 유사한 음식은 널리 다른 혈당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목별로 식품의 GI값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GI 연구는 식품 산업과 사람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품 라벨에 나타낸 용어 '복합 탄수화물' 및 '당'은 약간의 영양 또는 생리학적 중요성을 갖는다는 것은 현재 과학자들은 동의한다. 최근, 전문가 위원회는 유엔의 식량농업기구(FAO) 및 인간의 영양과 건강에 탄수화물의 중요성에 관한 사용가능한 연구 증거를 검토하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소집되었다. 상기 위원회에서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으로 분별하기 위해서 GI 방법의 사용을 지지하고, 식품 선택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식품 성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되는 식품의 GI값을 추천한다. 현재, GI값은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식습관 계획을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식습관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과 특정 질병의 위험 사이에 연관성을 검토하는 과학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연구의 성장 추세는 사람들의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전반적인 혈당은 인슐린 저항의 개선 및 식습관의 총 탄수화물 함량과 관계없이 관련된 질병(심장 질환, 당뇨병)의 위험에 영향을 줄 수 있자고 나타내고 있다. 지금까지, 사용가능한 증거는 낮은 GI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에 근거한 식습관은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인슐린 감도와 혈당 조절을 개선시키고; 높은 혈중 지방 수치를 감소시키고; 지구력을 유지하는 최대 물리적 성능을 연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낮은 GI 식품은 덜 정제되고 상대적으로 채워진 경향이 있고, 체중 조절 식습관에 유용하다. 비인슐린 의존 당뇨병(NIDDM) 및 관동맥성 심장병은 모든 선진국에서 질병 및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사람들의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혈당은 이들 질병의 발병과 진행 모두에 영향을 주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의 큰 범위에서 GI값을 결정하고 다른 처리 방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요구된다. 그들이 시장에 출시되어 그들의 GI값이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혈당을 낮추기 위해서 자신의 노력으로 섭취를 도와주기 위해서 식품의 영양 패널에 명시되기 전에 새로운 식품과 재료의 GI값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약간의 연구에서는 식후 혈당과 인슐린 반응을 동시에 측정했다. 이것은 혈액 샘플에서 인슐린 수치를 측정하는데 비싼 비용이기 때문이고, 또한 혈당은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의 식습관을 고려한 적절한 식후 요소라는 광범위한 생각을 반영한다. 그러나, 사용가능한 연구에서는 몇 가지 식품에 대한 식후 인슐린 반응은 그들의 혈당 반응보다 불균형적으로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식이성 시행 및 대규모 역학 연구로부터 연구 결과의 성장은 재발 및 높은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유도하는 높은 혈당 부하를 가진 식습관의 장기간 섭취는 개선된 인슐린 저항성, 비인슐린 의존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식습관과 일반 식품의 인슐린 지수값의 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특정 만성질환의 위험과 식습관 사이에 보다 직접적인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식이 탄수화물이 인슐린 분비의 주요 자극이지만, 특정 아미노산 및 지방산 등의 다른 식품 요인도 인슐린 분비를 향상시킨다. 육류 또는 생선 등의 단백질은 풍부하지만 탄수화물이 낮은 음식은 그들의 낮은 혈당 반응과 비교하여 인슐린 분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유도한다. 또한, 초콜릿 및 특정 베이커리 제품 등의 정제 탄수화물 및 지방이 풍부한 식품은 그들의 식후 혈당 반응보다 매우 큰 인슐린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최근, 미국에서 베스트 셀러 다이어트 책은 높은 인슐린 반응을 유발하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이 특히 비육이라는 개념을 대중화했다. 유감스럽게도, 저자는 낮은 또는 높은 인슐린 혈증 식품을 정확하게 식별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은 각종 콩류로부터 정제 만난 다당류 또는 만난 다당류 섬유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50% 이상 만노오스 단당류 단위로 이루어진 정제되고 균일한 크기의 저자극성 섬유는 단일의 높은 복용량 식이보충제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이 식이보충제는 혈액순환에서 당의 소화 및 흡수를 조절하여 식품의 탄수화물 당지수를 감소시키고 혈당 상승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콩류의 종자로부터 화학적으로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섬유의 조성물 포함하지만, 세라토니아 실리쿠아(Ceratonia siliqua), 세살피니아 스피노사 트리고넬 호넘-그래큠(Cesalpinia spinosa Trigonelle foenum - graecum) 및 시아몹시스 테트라고놀로버스(Cyamopsis tetragonolobus)로 제한되지 않고, 맛있는 식이보충제의 어셈블리에의 사용을 본 명세서에 설명한다. 분별 공정에서는 단백질, 알칼로이드(화학 거품 비누), 글리코알칼로이드(예를 들면, 사포게닌), 중금속, 농업 잔류물 및 미생물 독소 등의 환경 불순물을 포함하는 천연 불순물이 없는 고품질 생리적 가용성, 화학적으로 변성 및 정제된 균일한 사이즈의 만난 다당류 섬유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제 공정에서는 적어도 3단계의 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제 1 단계는 가용성이고 반액체 혼합물로부터 단백질과 색소를 추출하는 조건에서 반액체 혼합물에 분말상 콩류 종자와 블렌드를 시작한다. 제 1 단계는 분말상 콩류 종자와 알칼리성 pH 용액, 베이킹 소다, 삼인산염, 세제 및/또는 그 혼합물을 조합해도 좋다. 상기 알칼리 처리는 약 0.01∼약 1몰 농도에서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중탄산나트륨(NaHCO3), 탄산나트륨 (Na2C03) 및/또는 트리암모늄 베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식품 등급 또는 의약품 등급의 알칼리성 용액을 사용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콩류의 종자 분말에 대한 알칼리의 비는 몰 기준으로 약 1:2∼약 1:10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제 2 단계에 있어서, 반액체 혼합물은 산에 희석되고 선택된 기간 동안 선택된 온도에서 가열되어 미네랄을 가용하고 단백질과 다당류와 같은 전분의 부분적인 가수분해를 달성한다. 산성 희석제는 HCl, 시트르산염, 아세트산염, 황산염, 또는 약 2몰 이하의 농도 및 약 pH 4.0보다 낮은 pH에서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식품 등급 또는 의약품 등급의 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온도 및 노출 시간은 약 30분∼약 48시간의 시간 동안 약 실온에서 비등까지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성 혼합물에 대한 산의 비는 몰비 기준으로 약 1:2∼약 1:2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제 3 단계에 있어서, 희석된 반액체 혼합물은 용매에서 가용 및 흡수에 대해 알칼로이드: 미생물 독소, 예를 들면 지질다당류; 곰팡이 독소, 예를 들면 아플라톡신; 또한 펩티드, 올리고당 및 단당류 포함하는 선택된 친유성 조성물을 야기하기 위해서 선택된 온도에서 접촉시간 동안 용매와 혼합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매 농도는 콩류의 종자 만난 다당류 섬유가 용매 단계 중에 침전물로서 회수되는 경우에 선택된 농도로 조정된다. 순차적인 처리는 조각난 단백질, 탄수화물과 같은 가용화된 전분, 색소, 알칼로이드, 및 기타 종자 친유성 불순물 성분을 포함하고, 반면에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의 침전물을 제조하는 오염물질 잔류물을 함유하는 이미 사용한 용매를 발생시킨다.
공정의 제 3 단계는 중량 대 중량(wt/wt)에 대하여 약 1:2∼약 1:20의 범위에서 용매와 콩류의 종자의 산성화된 혼합물을 혼합한 것을 포함해도 좋다. 상기 용매는 임의의 식품 등급 또는 의약품 등급의 극성 알콜 또는 케톤이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매는 약 95% 에탄올(wt/wt)이고, 혼합 시간은 약 300~약 600분의 범위이다. 접촉 시간 동안 혼합물의 온도는 약 5∼약 80℃의 범위이다. 이 단계는 고순도를 가진 섬유의 개선된 회수에 대한 버퍼 용매에서 재현탁에 의해 반복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제 4 단계에서는 용매로부터 추출된 만난 다당류 또는 섬유의 분리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것은 진공 건조 후에 원심분리 또는 여과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리도 다른 산업 공정, 예를 들면 회전 증발에 의해 달성할 수 있음을 평가해야 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단계는 약 95% 에탄올(wt/wt)에 약 20%의 범위의 농도에서 극성 알콜로 세정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최종 건조 공정은 교반, 진공, 응집 및 체질을 포함해도 좋다. 이 건조 단계에 있어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진공, 조립 및 체질을 통하여 처리되고, 추어블 태블릿, 캐플릿(caplets), 젤캡(gel-cap), 서큘런트(succlent), 및 농축된 리퀴드-젤 포맷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의 약학적 운반 패키지 또는 약제에 식이보충제를 제조하기 위한 분말을 얻는다.
전체 산업 공정은 순차적 또는 연속 공급 모드로 행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공정은 불순물의 추출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첨가제, 예를 들면 약 0.01%∼약 0.4%(wt/wt)의 범위로 아황산 가스와 아황산염, 중아황산염 및 메타중아황산염의 염 중 하나 이상, 또는 과산화수소 등의 용매에 대한 식품 등급 또는 의약품 등급의 아황산 처리제를 포함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성물은, 예를 들면 태블릿의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를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당 및 단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를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당 및 단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를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당 및 단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만난 가용성 만난 다당류의 1∼25%(wt/wt),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의 20∼80%(wt/wt), 및,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당 및 단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40∼60%(wt/wt)를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당알콜을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당알콜을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당알콜을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 적어도 하나의 당알콜, 및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당 및 단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해도 좋고, 이들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당알콜은 소르비톨을 포함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설명하는 조성물, 시스템, 공정 및 방법은 전형적으로 의미되는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고, 동일한 참조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분을 언급하기 위해서이다:
도 1은 정제 만난 다당류를 회수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형태의 블록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만난 다당류의 화학적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고분자량(HMW) 정제 만난 다당류를 회수하는 방법의 실시형태의 블록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저분자량(LMW) 정제 만난 다당류를 회수하는 방법의 실시형태의 블록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피험자의 혈당치의 도표 비교를 나타낸다.
도 6은 피험자의 세부사항의 표를 나타낸다.
도 7은 중량 및 3개의 라이스 테스트 식사의 테스트 1인분의 영양소 함량의 표를 나타낸다.
도 8은 테스트 식사의 프레젠테이션의 순서의 표를 나타낸다.
도 9 및 10은 라이스 테스트 식사에 대한 피험자들의 개인 혈당 농도의 표를 나타낸다.
도 11 및 12는 라이스+3 만난 태블릿 테스트 식사에 대한 피험자들의 개인 혈당 농도의 표를 나타낸다.
도 13 및 14는 라이스+6 만난 태블릿 테스트 식사에 대한 피험자들의 개인 혈당 농도의 표를 나타낸다.
도 15는 3개의 테스트 식사에 대한 테스트 세션 중에 수집된 혈액 샘플(mmol/L)에 대한 혈장 포도당 농도의 표를 나타낸다.
도 16 및 17은 라이스 테스트 식사에 대한 피험자들의 개인 혈장 인슐린 결과의 표를 나타낸다.
도 18 및 19는 라이스+3 만난 태블릿 테스트 식사에 대한 피험자들의 개인 혈장 인슐린 결과의 표를 나타낸다.
도 20 및 21은 라이스+6 만난 태블릿 테스트 식사에 대한 피험자들의 개인 혈장 인슐린 결과의 표를 나타낸다.
도 22는 3개의 테스트 식사에 대한 테스트 세션 중에 수집된 혈액 샘플(ρmol/L)에 대한 혈장 인슐린 결과의 표를 나타낸다.
도 23은 약 2그램의 정제 만난 다당류를 함유하는 태블릿에 대한 중금속 테스트 결과의 표를 나타낸다.
도 24는 정제 만난 다당류의 독성 테스트 결과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25는 정제 만난 다당류의 미생물 독소 테스트 결과의 표를 나타낸다.
조성물, 시스템, 공정 및 방법의 상세한 실시형태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만, 기재된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해도 좋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 시스템, 공정 및 방법을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기능 세부사항은 제한되는 것으로 설명되지 않지만, 주장에 대한 근거 및 본 발명의 조성물, 시스템, 공정 및 방법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기술분야에서 가르치기 위한 대표적인 기준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 정제의 방법 및 상업적 또는 상업적으로 재배된 콩류로 제한되지 않는 등의 콩류로부터 만난 다당류 식이섬유(본 명세서에서는 "만난 다당류" 또는 "만난 다당류 섬유"라고 함)의 조성물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정제되고 균일한 사이즈의 저자극성 섬유(들)는 전반적인 건강 혜택을 달성하기 위해서 중요한 단일 높은 복용량 식이보충제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면, 높은 만난 복용량은 혈당 건강을 도와주고, 정상 혈당 수치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혈액에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높은 만난 복용량은 유익한 박테리아의 성장 및 결장과 장내 건강을 위한 유익한 장내 박테리아의 유지를 도와주는 프로바이오틱 영양소이다. 또한, 높은 만난 복용량은 건강한 소화 시스템 및 필수 영양소의 흡수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콩 종자를 분별하고 상기 분별된 만난 다당류(들) 또는 섬유(들)는 다당류의 분자량의 다양성이 발생되도록 정제된다. 각종 실현 가능한 처리 방법 및 공정들은 수율을 최대화하고, 만난 다당류 섬유의 경구 치료적으로 유효량을 운반할 수 있는 가용성 보조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가용성 섬유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분별 공정은 순차적 배치 또는 연속적 공급 모드 중 하나로 행해져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정의 분자량을 가진 순수한 가용성 만난 다당류 섬유의 추출은 선택된 접촉 시간 동안 일정한 pH 및 온도에서 산으로 추출된 콩 종자 물질을 처리하고; 에탄올 등으로 제한되지 않는 용매의 각종 농도에서 섬유를 분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은 체중 대 체중 기준(wt/wt)으로 약 25%∼약 65% 사이의 농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용매가 사용되어도 좋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평가해야 한다.
상기 용매 농도는 콩류의 종자 만난 다당류 섬유가 용매 단계 중에 침전물로서 회수되는 경우에 선택된 농도로 조정된다. 침전 후에, 상기 섬유는 용매에서 세정 및 건조되어 놓인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의 수집은 원심분리 또는 여과, 및 에탄올성 산성 혼합물로 섬유의 세정을 행한다. 또한, 상기 세정 스텝은 최종 제품의 순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두번 또는 다수의 추가시간을 행해도 좋다.
실시형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제 만난 다당류를 회수하기 위한 공정 또는 방법(100)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상기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200)는 콩 종자 분말로부터 추출되고 회수되지만, 예를 들면 카시아 피스툴라(Cassia fistula), 세라토니아 실리쿠아, 세살피니아 스피노사 트리고넬 호넘-그래큠 및/또는 시아몹시스 테트라고놀로버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콩 종자 분말은 시판의 식품 등급 또는 약학적 등급의 분말이어도 좋다. 그러나, 콩 종자의 임의의 약학적으로 및/또는 영양적으로 수용가능한 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공정 및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서 적합함을 평가해야 한다. 상기 만난 다당류 섬유(들)의 추출은 상기 원료 종자의 분말 또는 조각을 제조함으로써 원료 종자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통상의 산업 방법 및 장비를 사용하여 행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정은 단계를 포함해도 좋다. 제 1 단계는 가용화 및 반액체 혼합물로부터 단백질과 색소를 추출하는 조건에서 반액체 혼합물에 제 1 용매에 콩류 종자 분말을 혼합 또는 용해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제 1 단계는 상기 콩 분말과 알칼리성 pH 용액, 베이킹 소다, 삼인산염, 세제 및/또는 그 혼합물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상기 알칼리 처리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및/또는 영양적으로 알칼리성 용액의 수용가능한 형태를 포함하지만, 약 0.01∼약 1몰 농도에서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중탄산나트륨(NaHCO3), 탄산나트륨(Na2C03), Na2C02 및/또는 트리암모늄 베이스로 제한되지 않는다. 콩류의 종자 분말에 대한 알칼리의 비는 중간의 모든 범위 및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약 1:2∼약 1:100(wt/wt)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 공정은 교반기 또는 반액체 혼합물의 고점도로 인해 고전력 교반기가 필요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단계는 용매, 예를 들면 물, 순수 및/또는 증류수에 콩 종자 분말을 용해하는 것을 포함한다(도 1의 102에 도시함). 상기 용매에 대한 상기 콩 종자 분말의 비는 중간의 모든 범위와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체중 대 체적(wt/v) 기준으로 약 1:10∼약 1:100의 범위이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에 대한 상기 콩 종자 분말의 비는 약 1:15(wt/v)이다. 상기 추출 공정의 온도는 중간의 모든 범위와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25∼95℃의 범위이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의 초기 온도는 약 80∼95℃이다. 그러나, 가용화를 통하여 온도는 상온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접촉 시간은 중간의 모든 범위와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약 2∼24시간의 범위이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 시간은 약 4시간이다.
가용화 시간의 마지막에 용매의 pH는 약 9.0, 예를 들면 반액체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 및/또는 수산화칼륨을 추가하여 높인다(도 1의 104에 도시함). 도데실황산나트륨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순한 천연 세제는 상기 반액체 혼합물에 첨가하여(도 1의 106에 도시함) 단백질과 친유성 물질의 가용화를 개선시켜도 좋다. 이 추출 스텝은 약 30∼60분의 시간 동안 지속되고, 약 37℃ 이하의 온도에서 행해져도 좋다. 각종 알칼리수 및 세제 혼합물, 온도, 접촉 시간, 용매비에 대한 콩 종자 분말은 본 명세서의 정신 및 의도로부터 벗어남없이 사용할 수 있고, 치환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되는 것을 평가해야 한다.
공정의 제 1 단계에 있어서, 반액체 혼합물은 산에 희석되고, 미네랄을 가용하고 단백질과 다당류와 같은 전분 중 적어도 부분적인 가수분해를 달성하기 위해서 선택된 시간 동안 선택된 온도에서 가열되어도 좋다. 상기 산성 희석제는 약 2몰 이하의 농도 및 약 4.0보다 낮은 pH에서 염산(HCl), 시트르산염, 아세트산염, 및/또는 황산염을 포함하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및/또는 영양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알칼리성 반액제 혼합물에 대한 산의 비는 중간의 모든 범위와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몰비 기준으로 약 1:2∼약 1:20의 범위이어도 좋다. 온도 및 노출 시간은 중간의 모든 범위와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약 30분∼약 48시간 동안에 약 실온에서 비등까지 범위이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단계는 약 3의 pH에서 얻어진 반액체 혼합물을 산성화시키고(도 1의 108에 도시함), 약 2∼5시간 동안 약 100℃에서 반액체 혼합물을 비등하는 것을 포함한다(도 1의 110에 도시함).
상기 반액체 혼합물을 희석 및 가열한 후에, 상기 희석된 혼합물의 pH는 약 9의 pH로 선택적으로 다시 조정해도 좋다(도 1의 112에 도시함).
공정의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희석된 혼합물은 선택된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용매와 혼합하여 용매에 알칼로이드류; 지질다당류 등의 미생물 독소; 아플라톡신 등의 곰팡이 독소; 또한 펩티드, 올리고당 및 단당류 등의 특정 친유성 화합물을 가용화 및 흡수시켜도 좋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정의 제 3 단계는 중간의 모든 범위와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약 1:2∼약 1:20(wt/wt)의 범위로 용매와 상기 콩류의 종자의 산성화된 혼합물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용매는 극성 알콜 및/또는 케톤을 포함하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및/또는 영양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의 형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95% 에탄올(wt/wt)이고, 혼합 시간은 중간의 모든 범위와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약 30∼약 600분의 범위이다. 접촉 시간 중에 혼합물의 온도는 중간의 모든 범위와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약 5∼약 80℃의 범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단계는 혼합물에 약 50% 용매 농도(wt/wt)의 에탄올 등의 유기 용매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지만(도 1의 114에 도시함),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 농도는 콩류의 종자 만난 다당류 섬유가 용매 단계 중에 침전물로서 회수되는 경우에 선택된 농도로 조정된다. 이것은 조각난 단백질, 탄수화물과 같은 가용화된 전분, 색소, 알칼로이드, 및 기타 종자 친유성 불순물 성분을 포함하고, 반면에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의 침전물을 제조하는 오염물질 잔류물을 함유하는 이미 사용한 용매를 발생시킨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고순도의 섬유의 회수를 개선시키기 위해 버퍼 용매에 상기 회수된 섬유를 재현탁함으로써 한번 이상, 예를 들면 5배 이하 반복해도 좋다.
제 4 단계에 있어서, 상기 침전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진공 건조에 의해 원심분리 또는 여과함으로써 용매로부터 추출된다. 그러나, 상기 용매로부터 만난 다당류 섬유의 추출은 회전 증발을 포함하는 다른 산업 공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만난 다당류 섬유는 침전되고 원심분리 또는 여과함으로써 채취 또는 회수된다(도 1의 116에 도시함).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여과는 단백질, 아미노산, 올리고 및 단당류, 지질, 알칼로이드, 사포닌, 색소, 미네랄 및 분해 유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타 불순물을 함유한다. 고체 분율은 약 90%(wt/wt) 이상 순수한 만난 다당류 섬유이고, 이 때에 순도 및 회수를 최대화시키기 위해서 용매의 새로운 양으로 한번 이상 재추출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수된 만난 다당류 섬유는 1회 이상 세정하고 건조해도 좋다(도 1의 118에 도시함). 상기 회수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약 20%∼약 95%의 에탄올(wt/wt)의 범위의 농도에서 극성 알콜로 세정해도 좋다. 상기 회수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진공, 조분 및 체질을 통하여 상기 회수된 만난 다당류 섬유를 처리하고 건조하여, 분말을 얻어도 좋다. 그러나, 상기 회수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응집, 체질, 오븐 건조, 교반 건조, 유동층 건조, 동결 건조 및 진공 건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건조 공정에 의해 건조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공 건조가 사용된다. 상기 건조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외관상 오프-화이트로 백색, 무취, 무미 및 물에 가용성인 순수 만난 다당류 섬유의 약 90% 이상(wt/wt)을 함유한다. 상기 정제된 만난 다당류 섬유 분말은 추어블 태블릿, 캐플릿, 젤캡, 서큘런트, 및 농축된 리퀴드-젤 포맷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의 약학적인 제형 또는 약제에 식이보충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 또는 다당류 분말은 약 50∼약 200메쉬 분말로 밀링하고, 수분 함량에 대해 테스트한다. 상기 수분 함량에 따라서, 추가 건조는 상온에서 장기간 안정성 및 안전한 저장을 위해 필수적이어도 좋다.
상술한 추출 공정이 순차적 배치 공정으로 나타내는 경우에, 산업적으로 관행임을 고려하여 2개 이상의 단계의 역류 추출 모드 등의 지속적 모드를 사용해도 좋은 것을 평가해야 한다. 전체 산업 공정은 순차적인 또는 지속적인 공급 모드로 행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불순물의 추출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추가로 첨가제, 예를 들면 약 0.01%∼약 0.4%(wt/wt)의 범위로 아황산 가스와 아황산염, 중아황산염 및 메타중아황산염의 염 중 하나 이상, 및/또는 과산화수소 등의 용매에 대한 식품 등급 또는 의약품 등급의 아황산 처리제를 포함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만난 다당류(들)의 최종 분자량을 제어해도 좋다. 만난 다당류(들)의 최종 분자량은 물에 약 45% 및/또는 약 65%의 에탄올에서 약 3의 pH 및 약 25%의 최종 순수 섬유의 분율로 비등시에 두단계로 제어된다. 에탄올의 낮은 농도에서는 고분자량(HMW) 섬유, 예를 들면 약 60kD∼300kD가 침전된다. 에탄올의 높은 농도에서는 저분자량(LMW) 섬유, 예를 들면 약 5kD∼약 40kD가 침전된다. 또한, 높은 온도에서 비등 또는 가열 시간은 LMW 섬유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길다. 반대로, 높은 온도에서 비등 또는 가열 시간은 HMW 섬유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짧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고분자량(HMW)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를 회수하는 공정 또는 방법(30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들)는 콩 종자 분말, 예를 들면 카시아 피스툴라로부터 회수 및 추출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정의 제 1 단계(302)는 단계(3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온에서 물의 약 150L에서 약 2킬로그램(kg)의 콩 종자 분말(304)을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3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콩류 종자 분말(304)을 물에 용해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의 pH는 탄산나트륨(Na2C03)의 충분한 양을 첨가하여 약 8.2로 높인다. 상기 혼합물의 pH는 단계(3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몰 수산화나트륨(NaOH)의 충분한 양을 첨가하고 약 2 시간 동안 상기 혼합물을 혼합하여 약 9.1로 더 높여도 좋다.
단계(3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데실황산나트륨(SDS)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순한 천연 세제를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단백질과 친유성 물질의 가용화를 개선시켜도 좋다. 상기 혼합물은 단계(3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1∼약 2시간 동안 약 30℃에서 혼합해도 좋다. 단계(3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혼합물을 혼합한 후에, pH는 염산(HCl)의 충분한 양을 첨가하여 약 6.0으로 낮춰도 좋다. 단계(3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혼합물은 원심분리를 통하여 처리해도 좋고, 액체 여과액 또는 통과액을 수집해도 좋다. 단계(3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집된 침전물은 폐기할 수 있다.
공정의 제 2 단계(322)에 있어서, 단계(3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집된 액체 여과액은 약 3.0의 pH로 산으로 희석되고 약 30℃에서 혼합된다. 단계(3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산성화된 혼합물은 미네랄을 가용화하고 단백질과 다당류와 같은 전분 중 적어도 부분적인 가수분해를 달성하기 위해서 약 1atm에서 약 30분 동안 가열하고 비등해도 좋다. 상기 산성 희석제는 약 2몰 이하의 농도 및 약 4.0 이하의 pH에서 염산(HCl), 시트르산염, 아세트산염, 및/또는 황산염을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및/또는 영양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3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후, 상기 산성화된 혼합물은 냉각 및 여과되어도 좋다. 단계(3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여과액 및 통과액을 수집해도 좋다. 단계(3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집된 침전물은 폐기할 수 있다.
공정의 제 3 단계(334)에 있어서, 단계(3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을 체적 대 체적(v/v) 기준으로 약 35%로 상기 수집된 액체 여과액에 첨가해도 좋다. 단계(3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얻어진 혼합물은 약 15분 동안 혼합해도 좋다. 단계(3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통하여 처리해도 좋고, 상기 수집된 침전물을 함유해도 좋다. 단계(3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여과액 또는 통과액을 폐기할 수 있다.
공정의 제 4 단계(344)에 있어서, 단계(3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80% 에탄올에 약 4% 염산(HCl)(wt/wt)을 상기 수집된 침전물에 첨가해도 좋다. 단계(3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얻어진 혼합물은 상온에서 적어도 약 30분 동안 교반해도 좋다. 단계(3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통하여 처리해도 좋고, 상기 수집된 침전물을 함유해도 좋다. 단계(3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여과액 또는 통과액을 폐기할 수 있다.
공정의 제 5 단계(354)에 있어서, 단계(3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80% 에탄올에 약 4% 수산화나트륨(NaOH)(wt/wt)을 상기 수집된 침전물에 첨가해도 좋다. 단계(3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얻어진 혼합물은 약 30분 동안 교반해도 좋다. 단계(3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원심분리를 통하여 여과 또는 처리해도 좋고, 상기 수집된 침전물을 함유해도 좋다. 단계(3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여과액 또는 통과액을 폐기할 수 있다.
공정의 제 6 단계(364)에 있어서, 단계(3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집된 침전물은 약 80% 에탄올(wt/wt)에 약 4% 아세트산나트륨으로 세정해도 좋다. 단계(3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얻어진 혼합물은 약 30분 동안 교반해도 좋다. 단계(3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통하여 처리해도 좋고, 상기 수집된 침전물을 함유해도 좋다. 단계(3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여과 또는 통과액을 폐기할 수 있다.
공정의 제 7 단계(374)에 있어서, 단계(3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집된 침전물은 약 80%의 에탄올(wt/wt)로 약 두번의 추가로 세정해도 좋다. 단계(37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얻어진 혼합물은 약 30분 동안 교반해도 좋다. 단계(38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은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통하여 처리되어도 좋고, 상기 수집된 침전물을 함유해도 좋다. 단계(38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여과액 또는 통과액을 폐기할 수 있다.
공정의 제 8 단계(384)에 있어서, 단계(38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집된 침전물은 진공, 조립 및 체질을 통하여 수집된 침전물을 처리하고 건조하여, 약 95% 고체(wt/wt) 이상의 분말을 얻어도 좋다. 상기 건조된 분말은 외관상 오프-화이트로 백색, 무취, 무미 및 물에 가용성인 순수 만난 다당류 섬유의 약 90% 이상(wt/wt)을 함유한다. 단계(38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제된 HMW 만난 다당류 섬유 분말은 패키지되어 추어블 태블릿, 캐플릿, 젤캡, 서큘런트, 및 농축된 리퀴드-젤 포맷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의 약학적인 제형 또는 약제에 식이보충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좋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저분자량(LMW)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를 회수하는 공정 또는 방법(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정(40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300)과 유사하다. 상기 공정(400)과 상기 공정(300)의 차이는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공정(400)에 따라서, 콩 종자 분말(404)은 트리고넬 호넘-그래큠이다. 상기 공정(400)은 단계(4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성화된 혼합물이 미네랄을 가용하고 단백질과 다당류와 같은 전분 중 적어도 부분적인 가수분해를 달성하기 위해서 약 1atm에서 약 30분 이상 가열하고 비등하는 제 2 단계(422)를 포함한다. 상기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들)는 공정(400)에 따라서 콩 종자 분말로부터 회수 또는 추출되고 저분자량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분말은 외관상 오프-화이트로 백색, 무취, 무미 및 물에 가용성인 순수 LMW 만난 다당류 섬유의 90%(wt/wt) 이상을 함유한다. 상기 공정(400)은 상기 순수 LMW 만난 다당류 섬유 분말이 단계(48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되어 추어블 태블릿, 캐플릿, 젤캡, 서큘런트, 및 농축된 리퀴드-젤 포맷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의 약학적인 제형 또는 약제에 식이보충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8 단계(484)를 포함해도 좋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추출 공정이 순차 배치 공정으로 나타내는 경우에, 산업적으로 관행임을 고려하여 2개 이상의 단계의 역류 추출 모드 등의 연속 모드로 사용해도 좋은 것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추출되는 원료로서 콩 종자 또는 가루의 각종 소스의 사용은 소망의 분자량을 얻기 위해서 접촉 온도 및/또는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알레르기가 없고 독성이 없는 만난 다당류 섬유를 달성하기 위해서 추가 용매 세정이 요구될 수 있다.
조성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제 만난 다당류(들) 또는 섬유(들)는 만난 다당류 섬유의 경구 치료적으로 유효량을 운반할 수 있는 가용성 보조제 조성물에 포함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분자량 만난 다당류는 약 50∼약 300kD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분자량 만난 다당류는 약 5∼약 50kD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 및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당, 단당류 및 당알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올리고당, 단당류 및 당알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만니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이노시톨, 라피노스(비환원 삼당류), 갈락티놀(덜시톨), 스타키오스, 베바스코즈, 만니노트리오스, 및 높은 동족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1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 약 2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정제 만난 다당류, 및 약 1그램의 당알콜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의 약 1%∼약 50(wt/wt) 또는 약 1%∼약 25%(wt/wt)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저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의 약 20%∼약 80%(wt/wt)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올리고당 및/또는 단당류의 약 40%∼약 60%(wt/wt)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는 높은 점도를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는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분자량 만난에 대한 저분자량 만난의 비는 중간의 모든 범위 및 하위 범위를 포함하여 약 2 대 1(wt/wt), 약 100 대 1(wt/wt)이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 첨가제는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이노시톨, 및 다른 종류의 당알콜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당알콜을 포함해도 좋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잠재적인 추가 첨가제의 제한 목록은 권장 % 일일치 요구에서 비타민과 미네랄을 포함한다(예를 들면, www.USDA.gov 참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조성물은 피오글리타존(예를 들면, 엑토스), 글리메피리드(예를 들면, 아마릴), 로시글리타존(예를 들면, 아반디아), 엑세나타이드(예를 들면, 바이에타), 글리부라이드(예를 들면, 디아베타), 메트포르민(예를 들면, 글루코파지), 글리부라이드와 메트포르민(예를 들면, 글루코반스), 글리부라이드(예를 들면, 글리내즈), 미그리톨(예를 들면, 글리셋), 인슐린 리스프로(insulin lispro)(예를 들면, 휴마로그), 인슐린 이소판(insulin Isophane), 시타글립틴(예를 들면, 자누비아), 인슐린 글라진(예를 들면, 란투스), 인슐린 아스파트(예를 들면, 노보로그), 삭사글립틴(예를 들면, 온글라이자), 레파글리나이드(예를 들면, 프란딘), 아카보즈(예를 들면, 프리코스(Precose)), 나테글리니드(예를 들면, 스타릭스), 리라글루타이드(예를 들면, 빅토자) 및 다른 종류의 당뇨병 약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당뇨병 약제 또는 약품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조합해도 좋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를 함유하는 추어블 태블릿의 형태인 조성물이 제조된다. 다방향 모션 믹서는 추어블 태블릿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다방향 모션 믹서는 분당 약 5∼약 20회전(RPM)으로 작동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물질의 중력 계층화를 피하면서 완전히 빠르게 혼합하기 위해서 터닝, 로킹 및 롤링 모션을 상기 혼합 배럴과 조합하기 위해서, Y형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교차축에 의해 보조되는 혼합 배럴을 갖는다. 상기 혼합 배럴은 다 닳은 모서리가 없는 광택 스테인레스 스틸 배럴형이다. 상기 특정 피동축 서보 기구는 낮은 진동 및 소음으로 부드럽고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혼합 균등성은 99.5%를 초과하고, 충전 계수는 통상의 회전 믹서보다 약 85%를 달성한다. 주요 중요한 구성은 강력한 드라이브 시스템, 디지털 제어 시스템, 및 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GMP)을 준수하는 혼합 배럴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의 온도는 약 15∼약 25℃의 범위이고, 일정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혼합의 온도는 약 23℃의 실온이다. 혼합 시간은 약 30분∼240분의 범위이어도 좋다. 접촉 시간은 약 30분이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순차 혼합 프로토콜은 HMW 만난 다당류 섬유가 고성능 V형 다방향 운동 믹서 또는 약 99.5%를 초과하는 균등한 힘으로 혼합되는 이와 유사한 효율적인 교반기를 사용하여 HMW 만난 다당류 섬유로 코팅되거나 또는 매입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HMW 개별 만난 다당류 섬유는 상기 LMW 만난 다당류 섬유와 분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코팅된 후, 상기 혼합물 또는 조합된 만난 다당류 섬유(들)는 단맛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올리고당 및/또는 단당류로 매입된다. 추어블 태블릿으로 압축된 조성물은 자동 패키지 및 일반적인 핸들링에 충분히 단단하지만, 물, 타액 또는 기타 액체 태블릿과 섭취 및 접촉시에 상기 태블릿은 쉽게 분해되어 약 1분 미만으로 용해되고, 맛있는 식이보충제를 제공하기 위해서 높은 탄수화물 식품 등의 식품에 당지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태블릿은 쉽게 분해되어 약 1∼약 30분내에 용해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조성물은 즉시 방출 제제의 스파이크 프로파일에 반대하는 경구 및 위장 시스템에서 개선된 식이 성능을 갖는 용해도 및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적인 고분자량 및/또는 저분자량 만난 다당류 섬유의 시간이 제어된 용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코팅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MHEC), 에틸셀룰로오스(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포비돈,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알콜을 함유하지 않는 수용성 제인 제제인 아쿠아-제인®, 아밀로오스 전분 및 전분 유도체, 및 장용성 코팅: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AP),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기타 코팅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코팅되어도 좋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조성물은 단일 높은 복용량 식이보충제 및/또는 전반적인 건강 혜택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약물을 제공하거나 또는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면, 높은 만난 복용량은 혈당 건강을 도와주고, 정상 혈당 수준의 유지뿐만 아니라 혈액에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높은 만난 복용량은 유익한 박테리아의 성장 및 결장과 장내 건강을 위한 유익한 장내 박테리아의 유지를 도와주는 프로바이오틱 영양소이다. 또한, 높은 만난 복용량은 건강한 소화 시스템 및 필수 영양소의 흡수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조성물은 수의학 및/또는 인간의 의학에 유용하다. 상기 조성물은 환자 또는 피험자에 경구 투여해도 좋다. 상기 환자 또는 피험자은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를 포함하는 포유류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조성물은 추어블 태블릿, 캐플릿, 젤캡, 알약, 식이성 리퀴드-젤 서비스 유닛, 서큘런트, 및/또는 다른 종류의 투여형으로 경구 투여해도 좋다.
실시예는 이하에 목적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고 그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백하고 설명의 정신 및 범위의 벗어남없이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당뇨병 전증 조건으로 의심되는 피험자에게 전분과 설탕의 조합으로 약 400kcal를 함유하는 식사를 제공했다. 상기 피험자의 혈당은 식후 2시간에 걸쳐서 관찰했다.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피험자의 혈당치의 그래프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측정점(500)은 비처리 상태에 대한 것이고, 제 2 측정점(502)은 처리 조건에 대한 것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은 약 6그램의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의 혼합물을 식사 전에 섭취했다. 제 1 측정점(500)과 제 2 측정점(502) 사이의 비교 결과는 당지수에서 하락을 나타내는 테스트를 2시간에 걸쳐서 낮은 당 수치를 분명하게 나타냈다. 따라서, 약 6그램의 정제 만난 혼합물의 섭취는 낮은 당 수치를 야기했다.
실시예 2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백미의 대조군 식사의 동일한 탄수화물 양에 의해 발생된 효과와 비교하여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를 함유하는 2개의 테스트 식사에 의해 발생된 단기 식후 혈당 및 인슐린 반응의 비교 연구를 행했다. 상기 연구는 반복 측정 디자인을 사용하고, 모든 피험자는 두 차례에 걸쳐 각각의 식사, 총 6개의 별도 테스트 세션을 모두 완료했다. 각각의 피험자는 그들이 정상적으로 아침 식사를 하는 시간과 최대한 가까운, 하루 중 비슷한 시간에 개별적으로 평일 아침에 그들의 테스트 세션을 완료했다.
피험자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BMI), 및 인종을 포함하는 피험자와 관련된 세부사항은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험자는 10개의 건강한, 금연, 과체중 또는 비만인 피험자(4명의 여성, 6명의 남성)를 포함한다. 상기 피험자의 평균±SD 연령은 29.2±3.3세(범위: 25.6-36.8세)이고, 그들의 평균±SD 체질량지수는 27.3±1.1kg/㎡(범위: 25.5-28.7kg/㎡)이었다.
상기 피험자 모두는 이하의 기준을 만족시켰다: 25∼65세 사이의 연령; 비 흡연자; 그들의 신장에 대한 비만 체중 범위(25kg/㎡ 이상의 BMI값)내에서 안정한 체중을 가지고; 정상적인 식습관을 갖고 최근 3개월 이내에 지나치게 제한적인 방식으로 다이어트 또는 식사를 하지 않았고; 신체 활동을 완화시키는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고; 각각의 테스트 세션 전의 밤에 10시간 또는 그 이상 동안 단식할 수 있고; 각각의 테스트 세션 각각의 테스트 시간 전의 낮에 콩류를 베이스로 하는 저녁식사 또는 음주를 자제할 수 있고; 12분내에 섭취하기 위한 적합한 테스트 음식을 찾았고; 사회보장 또는 유사 시스템에 의해 보호되고; 식욕부진, 체중감소에 대한 치료, 또는 대사 또는 식습관을 방해할 수 있는 치료나 약물의 형태를 복용하지 않았고; 연구 동의서에 서명하였고; 임상적으로 중요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환이 없고; 식품 알레르기 또는 심각한 식품 과민증으로 고통받지 않았고; 통상의 피임약 이외에 처방약을 정기적으로 복용하지 않았고; 현재 임신, 모유수유, 임신을 시도하거나 허용가능한 피임약을 사용하는 여성이 아니고; 지난주내에 다른 임상시험에 참여했거나 다른 임상시험에 참여 중이지 않고; 참여하기 전에 한달 안에 전신마취를 하지 않았고; 본 연구자의 의견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최적의 참여를 방해할 수 있거나 상기 피험자에 대해 특별한 위험이 될 수 있는 상황이 없었다.
테스트 식품
각각의 라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테스트 식사를 이용 가능성 탄수화물의 50그램을 함유하는 고정량을 피험자에게 제공했다. 3개의 모든 테스트 식사는 맹물의 250ml와 제공된 Jasmine Rice(예를 들면, Sun Rice®, Jasmine Fragrant Rice, Ricegrowers Limited, NSW, Australia)로 요리된 동일한 양으로 이루어졌다. 2개의 테스트 식사는 라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식사의 섭취 10분 전에 맹물 250mL와 3개 또는 6개의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 태블릿 중 어느 하나의 섭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물 250mL 한 컵을 대조군 식사에 대한 라이스 식사의 섭취("라이스") 10분 전에 섭취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만난 태블릿의 각각의 조성물을 정제 만난 다당류의 약 2.0g 및 소르비톨의 약 1.5g을 포함한다. 따라서, 3개의 정제 만난 태블릿을 섭취한 테스트 식사("라이스+3")는 정제 만난 다당류의 약 6.0g 및 소르비톨의 약 4.5g을 포함한다. 6개의 정제 만난 태블릿을 섭취한 테스트 식사("라이스+6")는 정제 만난 다당류의 약 12g 및 소르비톨의 약 9g을 포함한다.
3개의 테스트 식사(라이스, 라이스+3 및 라이스+6)와 동일한 탄수화물 양의 대량 영양소 함량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업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출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3개의 식사는 단백질 4.6g, 지방 0.3g, 이용 가능성 탄수화물 약 50g, 섬유 약 0.4g, 및 에너지의 약 932kJ를 포함하는 건조 라이스 약 63g의 회 제공량을 포함한다.
테스트 식품의 투여
3개의 라이스 테스트 식사(라이스, 라이스+3, 라이스+6)는 두 차례에 걸쳐 10명의 피험자에게 각각 섭취했다. 따라서, 각각의 피험자는 6개의 개별 테스트 세션을 완료했다. 각각의 6개의 테스트 식사는 도 8에 나타낸 목록에 따라서 임의의 순서로 피험자를 나타냈다. 상기 라이스 테스트 식사의 섭취 10분 전에, 상기 피험자는 물 250mL(라이스 식사 대조군), 물 250mL에 따른 3 정제 만난 태블릿(라이스+3 식사) 또는 물 250mL와 본 발명에 따른 6 정제 만난 태블릿(라이스+6) 중 어느 하나를 섭취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상기 테스트 식사는 임의의 상업적인 패키징없이 표준 흰색 차이나 플레이트로 상기 피험자에게 모두 제공되었다. 따라서, 상기 피험자는 상기 테스트 식사에 포함된 라이스 또는 정제 만난 태블릿의 정확한 정체를 알지 못한다고 생각된다.
각각의 라이스 양은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서 섭취하기 전에 신속하게 준비했다. 건조 라이스의 테스트 양을 과량의 물에 부드러운 보일 방법을 사용하여 스토브탑에서 개별적으로 요리되었다. 백색 차이나 볼로 피험자에게 제공되고 소비되기 전에, 상기 라이스 양은 요리과정 중에 때때로 교반했다. 각각의 라이스 양은 맹물 250mL와 함께 제공했다. 상기 피험자들이 식사를 섭취하자마자, 두시간의 실험 세션의 진행 시간을 정하여 스톱워치를 시작했다. 상기 피험자에게 12분내에 편안한 속도로 그들에게 제공된 식품과 유체를 모두 섭취하도록 지시했다.
실험 프로토콜
각각의 테스트 세션 전날에, 피험자는 하루 종일 음주를 자제하고 음식 섭취 및 신체 활동의 비정상적인 수준을 피하는 것이 요구된다. 저녁에, 피험자는 그들의 테스트 세션을 시작하는 다음날 아침까지 밤사이에 적어도 10시간 동안 금식이 요구된 후에, 그들에게 콩류 이외의 저지방,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을 기반으로 하는저녁 식사가 요구된다. 금식 기간 동안에, 그들은 단지 물을 마시는 것은 허용된다.
다음날 아침에 피험자는 금식 상태에서 연구 센터에 보고된다. 연구진은 우선 각각의 피험자의 건강 상태, 이전 테스트 세션 이후에 어떠한 약물을 섭취하지 않았고, 이전 실험의 모든 요구 사항을 준수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들은 1∼2분 동안 뜨거운 물 한 양동이에 손을 따뜻하게 한 후에, 각각의 피험자의 체중을 기록했다(피험자는 옷을 입고 있지만, 재킷 및 신발은 벗음). 살균 자동 랜싯 장치(예를 들면, Safe-T-Pro®,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여 2개의 손가락 채혈 혈액 샘플(-10분)의 첫번째를 손가락 끝(혈액의 흐름과 적혈구 용적률 수준에 따라 모세 혈관의 혈액의 >0.7mL)으로부터 얻었다. 피험자는 물 250ml와 라이스(라이스 식사 대조군), 3 정제 만난 태블릿과 물 250mL와 라이스(라이스+3 식사), 또는 6 정제 만난 태블릿과 물 250mL와 라이스 중 어느 하나를 제공했다. 그들에게 5분내에 이 테스트 양을 섭취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10분 후에, 상기 피험자는 다른 공복시 혈액 샘플(0분) 채취한 후 그들의 손은 조금더 뜨거운 물에 재가열했다.
이 금식 혈액 샘플을 얻은 후에, 피험자는 조용한 방에 있는 큰 테이블에 앉고 그들에게 12분내에 편안한 속도로 물 250mL와 함께 섭취되는 백미의 고정량을 제공했다. 그들이 먹기 시작하자마자(0분), 각각의 피험자에 대해 스톱워치를 시작했다. 상기 피험자는 다음 2시간 동안 연구센터에 남아 추가적인 식사와 음용을 자제하는 것을 요구받은 후에, 그들에게 제공된 물과 식품 모두 섭취하는 것을 지시받았다. 추가적인 손가락 채혈 혈액 샘플은 식사를 시작한 후 15, 30, 45, 60, 90 및 120분에 수집했다. 각각의 혈액 샘플이 요구되기 전에, 상기 피험자는 그들의 손을 뜨거운 물에 1∼2분 동안 재가열했다. 따라서, 8개의 혈액 샘플 전체를 테스트 세션 중에 각각의 피험자로부터 수집했다. 120분 테스트 세션을 완료한 후에, 상기 피험자는 연구센터를 떠나기 전 약간의 간식을 섭취할 자유가 있었다.
혈장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의 측정
각각의 혈액 샘플은 항응고제, 헤파린 소듐염(예를 들면, Grade II, Sigma Chemical Company, Castle Hill, NSW, Australia)의 10 국제단위(IU)를 함유하는 1.5mL의 플라스틱 마이크로 원심관에 수집했다. 수집한 직후에, 상기 혈액 샘플은 천천히 반전 튜브에 의해 항응고제와 혼합되고, 상온에서 0.5∼10분 동안 12,500xg로 원심분리했다. 상기 혈장은 즉시 라벨링되어 언코팅된 플라스틱 마이크로 원심관으로 전송된 후 분석시까지 -20℃에서 저장했다.
혈장 포도당 농도의 측정
혈장 포도당 농도는 포도당 헥소키나아제/포도당-6-인산탈수소 효소 분석을 사용하는 Roche/Hitachi 912® 자동 분광 원심 분석기(예를 들면, Boehringer Mannheim Gmbh,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여 중복 측정했다. 개별 피험자의 테스트 세션에 대한 8개의 혈액 샘플은 모두 동일한 분석 조작으로 분석했다. 각각의 조작은 표준 교정기 및 내부통제(예를 들면, CFAS, Precinorm S, 및 Precinorm U, Boehringer Mannheim, Australia)로 행했다. 혈액 샘플에 대한 중복값이 0.3mmol/L 이상으로 다른 경우에, 상기 샘플은 다르게 2번 재분석되고 2∼3번 가장 유사한 농도는 그 샘플에 대한 평균 혈장 포도당 농도를 산출하는데 사용되었다.
혈장 인슐린 농도의 측정
혈장 인슐린 농도는 고체상 항체 코팅된 튜브 방사면역측정법 키트(예를 들면, Diagnostic Products Corporation, Los Angeles, CA, USA)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연구 전반에 걸쳐 각각의 개별 피험자로부터 수집된 혈액 샘플은 모두 내부통제를 사용하여 동일한 분석 조작으로 분석했다. 각각의 혈장 샘플의 최종 인슐린 농도는 알려진 인슐린 농도의 기준에 의해 만들어진 검량선을 사용하여 관찰된 방사능 계수를 변환하여 산출했다. 기준의 2세트는 각각의 분석 조작에 사용되었다.
데이터 분석
각각의 혈액 샘플에 대해 기록된 두 개의 중복된 혈장 포도당 농도의 평균값은 각각의 2시간 테스트 세션의 8개의 시점에 대한 피험자의 혈당 농도로서 사용되었다. 각각의 피험자에 대해서, 각각의 테스트 식사에 대한 2시간 혈당 반응 곡선(iAUC) 아래의 증가 영역을 0에서 자른 단식값을 기준선으로 사다리꼴 규칙을 사용하여 산출했다. 상기 기본값은 2개의 단식 혈액 샘플(-10 및 0분)의 평균 농도이었다. 금식 수준 아래의 음이 영역은 무시했다. 상기 iAUC값은 고정된 시간 동안 테스트 식사의 통합 효과를 비교할 수 있었다. 각각의 피험자의 테스트 식사에 대한 혈장 인슐린 반응 곡선 아래의 증가 영역은 혈장 포도당 iAUC에 대해 상술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했다.
원료 혈장 포도당 및 혈장 인슐린 결과는 연구의 과정 중에 얻어진 것들을 스프레드시트(예를 들면, Microsoft® Excel 2004 software, Microsoft Corporation)에 입력되었다. 데이터 입력이 완료하자마자, 혈장 포도당 및 인슐린 반응 곡선 아래의 증가 영역을 산출했다. 상기 스프레드시트에 있는 데이터는 포도당 및 인슐린 iAUC 반응에 대한 기술통계(평균, 중앙값, 표준편차(SD) 및 평균의 표준오차(SEM)를 포함)를 산출하기 위해서,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파일(예를 들면, Statview® software, version 4.02, 1993, Abacus concepts Inc, Berkley, CA, USA)로 전송했다.
변화의 반복 측정 분석(ANOVA)은 3개의 라이스 테스트 식사의 평균 혈당과 인슐린 iAUC 반응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었다. 통계적으로 중요한 제품 효과가 발견된 경우에, 사후 다중 비교 테스트는 특정 상당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했다. 정상적으로 분포된 데이터에 대해서, Fisher PLSD 테스트는 사후 테스트로서 사용되었다.
결과
심각한 부작용은 연구 중에 보고되거나 관찰되지 않았고, 피험자 중 아무도 정제 만난 태블릿 이외에 어떠한 약물을 복용한 것은 보고되지 않았다. 각각의 2시간의 실험 세션은 문제없이 진행되었다. 동일하게, 피험자 중 아무도 연구를 빠르게 시작하지 않았다. 2명의 피험자는 정제 만난 태블릿의 높은 복용량(6정)을 함유하는 2시간의 실험 세션에 중에 가벼운 위장 불편을 보고했다. 이들 피험자는 정제 만난의 6 태블릿 복용량을 함유하는 테스트 세션의 오후에 가벼운 복통 및/또는 설사를 보고했다. 총 10명의 피험자는 정제 만난 태블릿의 다량을 맛과 태블릿의 크기로 인해 섭취하기 어렵다고 보고했다.
혈장 포도당 반응
각각의 테스트 식사에 대한 10명의 피험자의 개별 혈당 농도 및 해당 혈장 포도당 iAUC값은 도 9∼14에 나타냈다. 도 9 및 10은 라이스 식사에 대한 피험자의 개별 혈당 농도를 나타냈다. 도 11 및 12는 라이스+3 식사에 대한 피험자의 개별 혈당 농도를 나타냈다. 도 13 및 14는 라이스+6 식사에 대한 피험자의 개별 혈당 농도를 나타냈다.
대조군 식사(라이스)는 도 15에 나타낸 포도당 iAUC값을 참조하여 30분에서 가장 높은 피크 혈장 포도당 농도 및 전반적인 최대 혈당 반응을 발생했다. 도 15는 식품의 2시간 혈당 반응 곡선(iAUC) 아래의 평균 증가 영역 및 3개의 테스트 식사(2회 반복)에 대해 2시간의 테스트 세션 동안에 수집된 8개의 혈액 샘플(mmol/L)에 대한 평균±SEM 절대 혈장 포도당 농도를 나타냈다. 0분에 작성된 결과는 2개의 금식 혈액 샘플(-10 및 0분)의 평균값이다.
라이스와 정제 만난 태블릿을 함유하는 2개의 테스트 식사에 의해 발생된 전반적인 혈당 반응은 120분의 실험 기간 동안 동일했다. 라이스+3 및 라이스+6 테스트 식사 모두는 30분에서 완만한 피크 반응에 대한 혈장 포도당에서 꾸준한 증가를 발생시킨 후에, 30∼120분 사이에 포도당 반응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했다. 상기 라이스+6 식사는 라이스+3 식사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혈당 반응을 야기하여, 120분의 실험 기간 동안 각각의 평가 시점에서 작은 혈장 포도당 농도를 발생했다.
혈장 인슐린 반응
테스트 식사에 대한 10명의 피험자의 개별 혈장 인슐린 반응 및 인슐린 iAUC값은 도 16∼21에 나타냈다. 도 16 및 17는 라이스 식사에 대한 피험자의 개별 혈장 인슐린 농도를 나타냈다. 도 18 및 19는 라이스+3 식사에 대한 피험자의 개별 혈장 인슐린 농도를 나타냈다. 도 20 및 21은 라이스+6 식사에 대한 피험자의 개별 혈장 인슐린 농도를 나타냈다.
3개의 라이스 식사에 대한 평균 혈중 인슐린 농도는 도 22에 나타냈다. 도 22는 2시간 혈장 인슐린 반응 곡선(iAUC) 아래의 평균 증가 영역 및 시험 식사에 대한 2시간의 테스트 세션 동안에 수집된 8개의 혈액 샘플(ρmol/L)에 대한 평균±SEM 절대 혈장 인슐린 농도를 나타냈다. 0분에 작성된 결과는 2개의 금식 혈액 샘플(-10 및 0분)의 평균값이다.
높은 혈당 반응으로 인한 예상대로, 대조군 식품(라이스)은 도 22에 나타낸 인슐린 iAUC값을 참조하여, 혈장 인슐린 농도에 큰 상승 및 전반적으로 큰 혈장 인슐린 반응을 발생했다. 2개의 라이스+3 및 라이스+6 테스트 식사에 의해 발생된 인슐린 혈중 반응은 실험 기간 동안 동일했다. 2개의 식사 모두는 30분에서 피크 응답에 대한 혈장 인슐린 농도에서 꾸준한 증가를 발생시킨 후에, 30∼120분 사이의 인슐린 농도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했다. 동일하게, 해당 혈당 반응에 대해서 라이스+6 식사는 라이스+3 식사와 비교하여 낮은 피크 및 전반적인 인슐린 반응을 발생했다. 3개의 라이스 식사 모두에 대한 평균 혈중 인슐린 수치는 120분의 실험 기간의 완료시에 금식 기준선 수준 이상 잔존했다.
평균 iAUC 반응
식후 포도당 및 인슐린 iAUC 반응은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 사이에서 다르다. 동일한 식품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 사이에서 변화는 정상적이고, 피험자가 식품을 섭취하는 속도 차이, 개별적인 테스트 식품 양의 영양소 함량의 차이, 피험자의 탄수화물 대사의 차이, 및 생활방식과 유전적인 요인을 포함하는 다수의 요인으로 인한다.
모수치 통계 테스트(예를 들면, 반복-측정 ANOVA 및 Fisher PLSD 테스트)는 라이스 테스트 식사에 대한 혈장 포도당 및 인슐린 iAUC 반응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했다.
상기 라이스 식사의 평균 혈장 포도당 iAUC 반응의 한 요인 반복-측정 ANOVA는 평균 iAUC값(p=0.0001) 중에 존재하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후 테스트(예를 들면, Fisher PLSD 테스트)의 결과는 대조군 식사(라이스)에 대한 평균 iAUC 반응이 라이스+3 태블릿(p<0.01) 및 라이스+6 태블릿(p<0.001)에 대한 평균 포도당 반응보다 상당히 큰 것을 나타냈다. 라이스+3 태블릿 식사에 대한 평균 혈장 포도당 iAUC 반응은 라이스+6 태블릿(p<0.05)에 대한 평균 포도당 반응보다 상당히 큰 것을 발견했다.
상기 라이스 식사의 평균 혈장 인슐린 반응의 한 요인 반복-측정 ANOVA는 평균 iAUC 반응(p=0.0009) 중에 존재하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상기 라이스 식사의 평균 혈장 인슐린 iAUC 반응은 라이스+3 태블릿 식사(p<0.05) 및 라이스+6 태블릿 식사(p=O.001)의 평균 인슐린 반응보다 상당히 큰 것을 나타냈다. 정제 만난 태블릿을 함유하는 2개의 테스트 식사의 평균 혈장 인슐린 반응 사이에 상당한 차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테스트 식품의 포도당과 인슐린 iAUC 반응 사이의 관계
선형 회귀 분석은 테스트 식사에 대한 개별 피험자의 혈장 포도당과 인슐린 반응의 연관된 정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상기 라이스 테스트 식사의 포도당 반응은 해당 인슐린 반응(r=0.78, n=60, p=0.0001)과 상당히 관련되어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식사에 대한 식후의 포도당 및 인슐린 반응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높은 탄수화물 식품에 대해서, 이전에 공개에 따른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갖는 태블릿의 섭취를 나타냈다. 6g 만난 다당류 및 4.5g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3 태블릿의 정제 만난의 낮은 복용량은 단독으로 섭취되는 백미와 비교하여, 식후 포도당 반응의 19% 감소 및 식후 인슐린 반응의 16% 감소를 야기했다. 12g 만난 다당류 및 9g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6 태블릿의 정제 만난의 높은 복용량은 백미 대조군 식사와 비교하여, 2시간의 포도당 반응의 32% 감소 및 식후 인슐린 반응의 24% 감소를 발생했다.
실시예 3
독성 테스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정제 공정에서는 인간이 섭취하기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0.01mg/kg 이하로 다이옥신을 제거했다. 펜타클로로페놀과 다이옥신의 높은 수준은 정상적인 환경오염이라 생각되는 수준의 약 1000배의 수준으로 인도로부터 위탁되고 또는 유래된 구아검의 특정 배치에 있는 것을 발견했다. 구아검에서 펜타클로로페놀(PCP) 및 다이옥신이 존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측정을 행하지 않으면, 이러한 오염은 공중 위생에 위협이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스트는 발명에 따른 제품 또는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가 0.01mg/kg 이하의 펜타클로로페놀(PCP)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나타냈다. 동일하게, 상기 공정은 인간과 비인간의 섭취에 대해 안전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미생물 독소 및 중금속에 대해 적합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중금속에 대해 테스트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의 약 2그램을 함유하는 추어블 태블릿은 GB/T 5009.137-2003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안티몬에 대해 테스트했다. 결과는 추어블 태블릿이 약 1mg/kg 미만의 안티몬을 함유하는 것을 나타냈다. 상기 추어블 태블릿은 GB/T 5009.11-2003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비소에 대해 테스트했다. 결과는 추어블 태블릿이 약 1.4mg/kg 미만의 비소를 함유하는 것을 나타냈다. 추어블 태블릿은 GB/T 5009.15-2003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카드뮴에 대해 테스트했다. 결과는 추어블 태블릿이 약 1 mg/kg 미만의 카드뮴을 함유하는 것을 나타냈다. 상기 추어블 태블릿은 GB/T 5009.123-2010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크롬에 대해 테스트했다. 결과는 추어블 태블릿이 약 1mg/kg 미만의 크롬을 함유하는 것을 나타냈다. 상기 추어블 태블릿은 GB/T 5009.12-2010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납에 대해 테스트했다. 결과는 추어블 태블릿이 약 6mg/kg 미만의 납을 함유하는 것을 나타냈다. 상기 추어블 태블릿은 GB/T 5009.17-2003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수은에 대해 테스트했다. 결과는 추어블 태블릿이 약 0.5mg/kg 미만의 수은을 함유하는 것을 나타냈다. 상기 추어블 태블릿은 GB/T 5009.16-2003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주석을 테스트했다. 결과는 추어블 태블릿이 약 6mg/kg 미만의 주석을 함유하는 것을 나타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예를 들면 유방 조직 세포의 배양을 사용하여 세포독성에 대해 테스트했다. 상기 세포독성 생물학적 검정 과정은 약 0.25%의 열 비활성화된 소태아 혈청(HI-FBS)(예를 들면, GIBCO lot# 1297785) 및 4X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Pen/Strep)을 함유하는 분석 배지에서 세포를 재부유하는 것을 포함했다. 세포를 재부유한 후에, 배양 세포의 약 100㎕는 분석 플레이트(5,000세포/웰)의 각각의 웰로 운송되었다. 테스트 샘플은 중복으로 테스트 튜브에 Pen/Strep없이 분석 매체에서 순차적으로 희석되었다. 희석된 시리얼의 약 100㎕를 세포에 첨가했다. 각각의 웰의 최종 체적은 약 2x Pen/Strep을 함유하는 약 200㎕이었다. 상기 세포는 약 137시간 동안 배양했다. 다음 배양은 Promega Substrate Cell 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Reagent의 약 20㎕를 각각의 웰이 첨가했다. 그 후에, 상기 샘플은 약 37℃에서 배양하고 490nm에서 광학밀도(OD)를 측정했다. 결과는 그래프되고, ID50(50%의 성장의 원인인 억제 농도)을 산출했다. 결과는 도 24와 같이 그래프로 나타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 만난 다당류는 세포독성이 없었다. 유방 조직 세포와 캠토테신(CPT)은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명에 따른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신경독성에 대해 테스트했다. 신경독성 분석은 신경교종 세포(예를 들면, ATCC® CCL-107™) 및 신경모세포종 세포(예를 들면, ATCC® HTB-11™)를 사용하여 행했다. 약 -200℃에서 미리 보관된 세포는 분석 매체(예를 들면, 5% HI-FBS-GIBCO lot# 1393129)에서 배양 및 재구성되었다. 상기 세포는 20,000cells/100㎕에서 5% HI-FBS(예를 들면, Gibco lot# 1393129)를 함유하는 사이토카인의 분석 매체없이 재부유되었다. 상기 세포의 약 100㎕는 분석 플레이트(예를 들면, 96웰 형식)의 각각의 웰로 운송되었다. 신경성장인자 용액의 약 20㎕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약 37℃에서 약 20시간 동안 배양했다. 신경성장인자 용액은, 예를 들면 성장 매체에서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를 최적 성장을 위해 5% HI-FBS를 함유하고 있었다.
분리판에 있어서, 샘플은 분석 매체에서 1:3의 희석으로 중복으로 순차적으로 희석되었다. 약 100㎕를 분석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서 세포로 운송하고, 약 37℃에서 약 24시간 동안 배양했다. Promega'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의 약 20㎕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약 37℃에서 배양했다. OD 490nm에서 결과를 결정했다. 증식 데이터는 음성 및 양성 대조군(10ug/mL의 메토트렉세이트 첨가)을 비교 분석했다. IC50값은 프로빗 회귀 분석에 의해 결정했다. 결과는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는 신경독성이 없는 것을 나타냈다.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는 5mg/mL 이상의 농도에서 확인된 IC50값을 갖지 않는 반면에, 알려진 신경독소 및 세포독소는 마이크로 및 나노 그램/mL의 농도에서 IC50을 갖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는 미생물 독소에 대해 테스트했다. 총 미생물 독소에 대한 분석은 Endosafe®-PTS(Charles River laboratories)를 사용하여 행했다. 비판적인 독소 테스트 결과는 안전한 생산을 확인하기 위해 중요하고, 안전한 치료 제품을 공개하기 위해 필요하다. 정확하고 편리한 독소 테스트를 위한 FDA 허가된 일회용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휴대용 분광광도계를 사용했다. 15분만에 테스트한 결과, 제조 및 공개는 지체없이 빠르게 향상될 수 있었다. 정제 만난 다당류 섬유의 도 25에 나타낸 분석은 총 미생물 독소는 분석의 검출 한계 이하, 예를 들면 0.5EU/mL 미만 및 0.0083EU/mg 미만을 나타냈다.
본 명세서에 나타낸 조성물, 시스템, 공정 및 방법은 특정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 및 예시되고, 다수의 변화 및 수정은 당업자로부터 명백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의 벗어남 없이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나타낸 조성물, 시스템, 공정 및 방법은 방법론, 또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의도한 변화 및 수정으로 열거된 구성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25%(wt/wt)의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제 1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20%∼59%(wt/wt)의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제 2 정제 만난 다당류; 및
40%∼60%(wt/wt)의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당 및 단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제 1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는 50kD∼300kD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제 2 정제 만난 다당류는 5kD∼50kD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제 1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제 2 정제 만난 다당류는 하나 이상의 콩 종자로부터 분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콩 종자는 카시아 피스툴라, 세라토니아 실리쿠아, 세살피니아 스피노사 트리고넬 호넘-그래큠 및 시아몹시스 테트라고놀로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제 1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제 2 정제 만난 다당류는 단백질, 알칼로이드, 및 글리코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천연 비다당류 불순물을 1% 미만 함유하도록 정제되는 것이고, 저자극성 식이섬유를 제공하기 위해서 정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제 1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제 2 정제 만난 다당류로 코팅되어 적어도 하나의 조합된 만난 다당류를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합된 만난 다당류는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당 및 단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상승 완화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량 제 1 정제 가용성 만난 다당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량 제 2 정제 만난 다당류는 중금속, 살충제, 제초제, 미생물 독소 및 곰팡이 독소를 포함하는 환경 및 농업 오염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도록 정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상승 완화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어블 태블릿, 캐플릿, 젤캡, 서큘런트, 및 농축된 리퀴드-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상승 완화용 조성물.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어블 태블릿으로 압축한 경우 물, 타액, 또는 기타 액체와 접촉시에 1분∼30분 내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상승 완화용 조성물.
KR1020177021325A 2010-11-05 2011-11-04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KR101831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060910P 2010-11-05 2010-11-05
US61/410,609 2010-11-05
PCT/US2011/059271 WO2012061675A1 (en) 2010-11-05 2011-11-04 Composition of purified soluble mannan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145A Division KR20140009990A (ko) 2010-11-05 2011-11-04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255A KR20170093255A (ko) 2017-08-14
KR101831722B1 true KR101831722B1 (ko) 2018-02-23

Family

ID=460248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325A KR101831722B1 (ko) 2010-11-05 2011-11-04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KR1020137014145A KR20140009990A (ko) 2010-11-05 2011-11-04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145A KR20140009990A (ko) 2010-11-05 2011-11-04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302471A1 (ko)
EP (1) EP2635130B1 (ko)
KR (2) KR101831722B1 (ko)
CN (2) CN106473159A (ko)
ES (1) ES2719277T3 (ko)
HK (1) HK1188911A1 (ko)
PL (1) PL2635130T3 (ko)
TR (1) TR201905085T4 (ko)
WO (1) WO2012061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007B (en) * 2013-11-01 2018-04-11 Tate & Lyle Custom Ingredients Llc Method of preparing an alkalized carob
CN107847760A (zh) * 2015-05-06 2018-03-27 波士顿治疗公司 抑制α(1→4)键葡萄糖聚合物的淀粉酶介导的水解的组合物及方法
CN108428177A (zh) * 2017-02-12 2018-08-21 焦小兴 一种血糖监视交易系统
CN108428176A (zh) * 2017-02-12 2018-08-21 焦小兴 一种血压监视交易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3402A (en) 1995-06-07 2000-05-16 Venture Lending, A Division Of Cupertino National Bank Purified galactomannan as an improved pharmaceutical excipient
US20070098763A1 (en) 2005-10-11 2007-05-03 Sinnott Robert A Soluble Fiber Combinations for Weight Control and Improving Parameters of Cardiovascular Health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008A (en) * 1970-12-30 1976-08-03 Kabushiki Kaisha Shimizu Manzo Shoten Konjac mannan
JPS5420582B1 (ko) * 1970-12-30 1979-07-24
US5498436A (en) * 1993-12-30 1996-03-12 Fmc Corporation Coprocessed galactomannan-glucomannan
US6048563A (en) * 1994-12-21 2000-04-11 Rhodia Inc. Reduced viscosity, low ash modified gua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6485945B1 (en) * 1999-02-17 2002-11-26 Nurture, Inc. Polysaccharid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6733769B1 (en) * 1999-05-06 2004-05-11 Opta Food Ingredients, Inc. Methods for lowering viscosity of glucomannan compositions, uses and compositions
US7338675B2 (en) * 2002-05-10 2008-03-04 Tsi Health Sciences, Inc. Fenugreek seed bio-a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xtracting same
US20050075497A1 (en) * 2003-06-20 2005-04-07 Ferdinand Utz Hydrocolloids and process therefor
US20050118130A1 (en) * 2003-06-20 2005-06-02 Ferdinand Utz Hydrocolloids and process therefor
US20050181058A1 (en) * 2004-02-17 2005-08-18 Andreas Hefel Use of polysaccharides, such as galactomannans, glucomannans and the like for introducing active substances into the human or animal metabolism
ES2369618T3 (es) * 2005-10-24 2011-12-02 Nestec S.A. Formulación de fibras dietéticas y método de administración.
BRPI0822169B1 (pt) * 2008-05-08 2021-11-30 Indus Biotech Private Limited Composto de galactomanano, uma composição que compreende o mesmo, processo para sua preparação e aplicações do mesm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3402A (en) 1995-06-07 2000-05-16 Venture Lending, A Division Of Cupertino National Bank Purified galactomannan as an improved pharmaceutical excipient
US20070098763A1 (en) 2005-10-11 2007-05-03 Sinnott Robert A Soluble Fiber Combinations for Weight Control and Improving Parameters of Cardiovascular Heal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905085T4 (tr) 2019-05-21
EP2635130B1 (en) 2019-01-09
WO2012061675A1 (en) 2012-05-10
CN106473159A (zh) 2017-03-08
CN103281914A (zh) 2013-09-04
EP2635130A1 (en) 2013-09-11
HK1188911A1 (zh) 2014-05-23
CN103281914B (zh) 2016-08-24
KR20170093255A (ko) 2017-08-14
EP2635130A4 (en) 2016-06-08
KR20140009990A (ko) 2014-01-23
US20130302471A1 (en) 2013-11-14
PL2635130T3 (pl) 2019-09-30
ES2719277T3 (es)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778B1 (ko) 체지방 감소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식음료
CN113519631B (zh) 一种辅助降血糖的低血糖负荷中老年调制乳粉及制备方法
KR101831722B1 (ko) 식이보충제용 정제 가용성 만난의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JP2018509430A (ja) シリビン、l−カルニチンを含有する薬物組成物
CN106723015A (zh) 一种具有抗疲劳和抗氧化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工艺
CN104661680B (zh) 化合物及其对食欲控制和胰岛素敏感性的影响
WO2016047616A1 (ja) 遅消化性持続型エネルギー補給剤
CN113750113A (zh) 一种益生菌和益生元的组合物及其应用
JP7091344B2 (ja) アミロース分解活性および短鎖脂肪酸産生微生物の活性を促進するためのプレバイオティクス栄養補助食品
JP2004194635A (ja) ダイエット用の食品
CN110960502A (zh) 一种治疗代谢综合征的物质及其应用
CN101524153A (zh) 益于糖尿病人的保健小麦面粉
JPWO2018056284A1 (ja) 腸内菌叢改善用組成物
JP2001316402A (ja) 金耳由来の低分子量酸性ヘテロ多糖を含有する加水分解物、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薬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
JP2006206474A (ja) 機能性食品及び医薬
JP6042537B2 (ja) 醸造プロセスのバイオマスから得られる脂肪バインダー
CN116268414A (zh) 一种改善胃肠道功能、防治便秘的组合物及其用途
JP2007054081A (ja) ハスの破砕物および/または抽出物と、乳酸菌とを含む抗アレルギー用食品
JP3947778B2 (ja) ハスの破砕物および/または抽出物と、乳酸菌とを含む抗アレルギー剤
EP3761995A1 (en) Yeast beta glucans
CN115177658B (zh) 一种用于降血糖的组合物
JP4524018B2 (ja) 桑の葉およびアガリクス抽出混合物を含むインスリン非依存型糖尿病の予防、治療用の医薬組成物および健康食品
CN103520200B (zh) 含有麦冬多糖mdg-1的组合物及其在制备改善代谢综合症的药物或保健品中的应用
EP1545563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e in intestinal cleansing procedures
JP2003286175A (ja) 糖尿病予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