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527B1 -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527B1
KR101831527B1 KR1020160112425A KR20160112425A KR101831527B1 KR 101831527 B1 KR101831527 B1 KR 101831527B1 KR 1020160112425 A KR1020160112425 A KR 1020160112425A KR 20160112425 A KR20160112425 A KR 20160112425A KR 101831527 B1 KR101831527 B1 KR 101831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weight
frame
measured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병수
Original Assignee
선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병수 filed Critical 선병수
Priority to KR102016011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 B65B11/045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by rotating platforms suppor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wrapping materials,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일 측에 기립 설치되는 기립체와, 상기 기립체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기립체의 내부에 마련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랩핑필름을 공급하는 랩공급부와, 상기 기립체의 타 측에 장착된 표시모듈로 구성되는 랩핑기;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랩핑대상이 놓일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고, 상기 랩핑대상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랩핑대상의 무게를 측정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회전기; 상기 지지대가 측정한 무게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정션박스와, 측정된 무게가 상기 표시모듈에서 표시되도록 무선표시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연동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Wrap Rolling System with Scale Apparatus}
본 발명은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턴테이블에 얹혀진 포장대상의 무게에 따라 적합한 랩 포장을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랩핑기는 포장된 물품상자나 벽돌 등을 먼지나 습기로부터 보호하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된 랩핑 필름으로 감싸주는 포장을 하는 장비이다.
종래의 랩핑기는, 랩핑봉에 랩을 단순히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된 구조였다. 즉, 작업자가 제품에 랩핑 작업을 할 때, 랩핑봉에 장착된 랩을 단순히 잡아당겨 주기만 하면 되었다. 이때, 랩은 랩핑봉으로부터 단순하게 풀림 작동되었다. 이 과정에서, 랩은 아무런 제어장치 없이 랩핑봉으로부터 풀어지게 되기 때문에 랩의 사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사용되어 비용 부담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20-0426323호 “랩핑기”에는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가 놓여지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립체와, 상기 기립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기립체의 내부에 마련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랩핑 필름이 설치되는 리프트로 이루어진 랩핑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기립체의 내부 상단에 축설되는 제 1상부 스프로킷; 상기 제 1상부 스프로킷의 일 측 동일선상에 축설되는 제 2상부 스프로킷; 상기 기립체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되, 상기 제 1상부 스프로킷과 상기 제 2상부 스프로킷 사이에 축설되는 하부 스프로킷; 상기 제 1상부 스프로킷 및 상기 제 2상부 스프로킷과 상기 하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며 일단에는 상기 리프트가 연결블럭으로 설치된 이동체인; 상기 이동체인의 타단에 설치되는 무게추; 및 상기 하부 스프로킷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인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작동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랩핑기는 리프트에 장착된 무게추에 의존하여 랩을 배출하기 때문에 이 또한 랩의 사용량을 맞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국내 공개특허 제 10-2008-0103499호 “지지대이 결합된 랩포장기”에는 포장기본체(10)의 중앙 상측에 포장작업판(18)의 후방이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고, 포장작업판(18)의 후방에 설치되는 랩지지롤러(13)에 비닐랩롤(3)이 설치되며, 상기 포장작업판(18)의 전방에는 비닐랩(3a)의 인출을 안내하는 인출롤러(19a)가 설치되고, 그 인출롤러(19a)의 전방에는 비닐랩(3a)을 절단시키는 절단장치부(B)가 설치되는 랩포장기(1)에 있어서, 상기 포장작업판(18)의 상면에는 공지된 지지대(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이 결합된 랩포장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랩포장기의 경우, 지지대이 포함되기는 하지만 이는 상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기능에 불과하는 것으로서 판매점에서 랩포장기와 지지대을 동시에 구비할 때에 공간적 제약을 줄이고자 합쳐진 구성일 뿐 지지대과 랩포장기와의 연관성이 없으므로 본원의 목적과 같은 목적을 추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랩핑대상에 랩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랩포장기와 랩핑대상의 무게를 측정하여 적절한 랩핑길이, 감긴 횟수를 도출하기 위한 지지대을 동시에 구비한 랩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랩핑을 위해 회전하는 회전판에 별도의 완충수단을 더 추가하여 완충수단을 통해 상부면에 과도한 무게의 랩핑대상이 얹혀지거나 강한 충격을 순간적으로 받더라도 일정 수준 버틸 수 있는 완충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랩포장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범퍼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일 측에 기립 설치되는 기립체와, 상기 기립체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기립체의 내부에 마련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랩핑필름을 공급하는 랩공급부와, 상기 기립체의 타 측에 장착된 표시모듈로 구성되는 랩핑기;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랩핑대상이 놓일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고, 상기 랩핑대상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랩핑대상의 무게를 측정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회전기; 상기 지지대가 측정한 무게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정션박스와, 측정된 무게가 상기 표시모듈에서 표시되도록 무선표시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연동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정션박스가 부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빔골격바디와,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모서리 내측 부분에 위치하여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무게정보를 생성하는 로드셀과, 상기 빔골격바디의 측면 및 상부면을 개폐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빔골격바디의 외측까지 연장된 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무선연동부가 내장된 무선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통신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면에는,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이 장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의 상부면에는, 기립돌기를 매개로 장착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돌출 연장된 계량돌기와, 상기 받침판 및 상기 계량돌기의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계량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 고정판과, 상기 제1 고정판의 하부면에서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고정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2 고정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계량판의 내측방향에서 일정깊이 함입된 제1 함입부와, 상기 제1 함입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함입부보다 깊게 함입된 제2 함입부와, 상기 제2 함입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계량판의 외측방향에서 상기 제2 함입부보다 깊게 함입된 제3 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함입부에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정션박스의 하부면까지 연장된 고정판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션박스와 상기 고정판연장부의 사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누름정도를 측정하는 4개의 압력센서를 내장한 압력패드가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무게정보를 측정된 상기 누름정도에 비례하도록 변환하여 이를 무게정보로 제공하는 비례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연장부의 종단면은, 상기 로드셀과 가까운 부위로부터 중앙부위까지는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중앙부위로부터 상기 정션박스와 맞닿는 부분까지는 다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고정판연장부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는, 상기 고정판연장부가 수축 또는 이완되어 상하로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일정 간격마다 함입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빔골격바디의 모서리 외측 부위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 부위를 커버하는 전면보호판과, 상기 전면보호판의 양 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고정판으로 구성되는 완충범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범퍼는, 하단부를 향해 연장된 탄성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커버의 횡단면은, 상기 완충범퍼의 하단부 시작점에서 제1 변곡점까지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면 일측과 맞닿는 제1 장착면과, 상기 제1 변곡점으로부터 제2 변곡점까지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측면과 맞닿는 제2 장착면과, 상기 제2 변곡점으로부터 제3 변곡점까지 다시 내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하부면 일부를 가리는 제3 장착면과, 상기 제3 변곡점에서 종료점까지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탄성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완충범퍼는,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접촉된 초기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리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분리감지센서를 구비한 센서모듈과, LED 및 스피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구동되는 알람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준 감지정보와 비교처리 함으로써 상기 알람모듈을 구동 제어하는 범퍼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에 의하면,
1) 랩핑작업을 수행하는 랩포장기와 랩핑대상의 무게를 측정하여 적절한 랩핑길이, 감긴 횟수를 도출하기 위한 지지대을 동시에 제공하고,
2) 랩핑을 위해 회전하는 회전판에 적용된 완충수단을 통해 과도한 무게로 인한 충격방지에 활용할 수 있으며,
3) 랩포장기의 측면에 범퍼수단을 적용하여 측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로드셀감지편을 장착한 단면도.
도 3은 고정판의 단면도.
도 4는 고정판연장부의 단면도.
도 5는 빔골격바디에 완충범퍼를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완충범퍼에 탄성커버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 일 측에 기립 설치되는 기립체(200)와, 상기 기립체(200)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기립체(200)의 내부에 마련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랩핑필름을 공급하는 랩공급부(300)와, 상기 기립체(200)의 타 측에 장착된 표시모듈(800)로 구성되는 랩핑기(20);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 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400)과, 상기 턴테이블(40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랩핑대상(10)이 놓일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고, 상기 랩핑대상(10)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랩핑대상(10)의 무게를 측정하는 지지대(500)로 구성되는 회전기(30); 상기 지지대(500)이 측정한 무게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40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정션박스(600)와, 측정된 무게가 상기 표시모듈(800)에서 표시되도록 무선표시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연동부(700)를 포함하는 컨트롤러(40);로 구성된다.
베이스(100)는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의 가장 기본받침이 되는 구성이며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가장 바람직하게는 랩핑기(20)와 회전기(30)가 각각 놓일 수 있도록 미리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랩핑기(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베이스(100)의 상부면 일 측에는 기립체(200)가 기립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다시 이 기립체(200)의 일 측에는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랩핑필름을 공급하는 랩공급부(300)를 더 포함한다. 랩공급부(300)는 말려있는 랩을 풀어 랩핑이 가능하도록 공급하는 랩거치대와 풀린 랩을 랩핑대상(10)으로 제공하는 롤러가 합쳐진 구성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모듈(800)은 8-digit 디스플레이 등의 숫자나 문자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듈이며, 이는 후술하는 무선연동부(70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회전기(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턴테이블(400)은 베이스(100)의 상부면 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기립체(200)와 턴테이블(400) 사이에 랩공급부(30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지지대(500)은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랩핑대상(10)이 놓일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되, 이 랩핑대상(10)이 지지대(500)에 놓여진 상태로 랩핑대상(10)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한 것이다.
컨트롤러(4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정션박스(600)는 지지대(500)에서 측정한 무게에 따라 턴테이블(40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이고, 무선연동부(700)는 측정된 무게가 표시모듈(800)에서 표시되도록 무선표시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즉, 표시모듈(800)에서 무게가 숫자나 문자로 표시되도록 무선연동부(700)에서 측정된 무게를 표시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표시신호로 최종 변화하도록 한다. 이 때, 공지된 블루투스나 wi-fi, wi-di, rfid 등의 단거리 통신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모듈(800)은 이 무선표시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여야 하므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고 하겠다.
이 때, 지지대(500)는 정션박스(600)가 부착되는 메인프레임(540)과, 상기 메인프레임(540)에 결합된 복수개의 수평프레임(511) 및 수직프레임(512)으로 구성되는 빔골격바디(510)와, 상기 수평프레임(511)과 상기 수직프레임(512)의 모서리 내측 부분에 위치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정보를 생성하는 로드셀(520)과, 상기 빔골격바디(510)의 측면 및 상부면을 개폐하는 커버(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빔골격바디(510)의 중앙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메인프레임(540)이 위치하고, 이 메인프레임(540)의 주변을 복수개의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이 둘러싸는 형태를 갖는다.
이 메인프레임(540)은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메인빔과, 이 메인빔의 좌우 측단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단면이 마치 ‘ㄷ’을 좌측으로 눕힌 형태로 형성된다. 이 메인프레임(540)의 중앙부위에는 정션박스(600)가 결착되는 정션박스거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정션박스거치부는 정션박스(6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정션박스(600)의 하부면과 측면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메인빔을 함입한 것으로서, 정션박스(600)가 이 정션박스거치부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정션박스(600)가 정션박스거치부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정션박스거치부에는 별도의 고정돌기가 더 포함되거나 접착제 등이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빔골격바디(510)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으로 구성되되,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을 서로 교차되도록 하거나 그 단부와 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종의 뼈대를 형성한다.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의 모서리 내측 부분에는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정보를 생성하는 로드셀(520)이 위치한다. 다음으로 빔골격바디(510)의 측면 및 상부면을 개폐하는 커버(530)를 포함하는데, 이 커버(530)를 통해 내부가 보여지지 않으면서 내부에 위치한 로드셀(520)과 정션박스(6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530)나 빔골격바디(510)에는 별도의 완충수단(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수단을 통해 충격이나 급작스런 무게의 변화를 버틸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530)는 빔골격바디(51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턴테이블(40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고, 내부에 빔골격바디(510)가 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 빔골격바디(510)으로 직접 향하지 않고 먼저 커버(530)가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메인프레임(540)은 상기 빔골격바디(510)의 외측까지 연장된 연장프레임(5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프레임(541)의 상면에는 상기 무선연동부(700)와, 상기 무선연동부(700)를 둘러싸는 무선하우징(710)으로 구성된 통신박스(7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이 구성은, 메인프레임(540)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프레임(541)에 무선하우징(710)에 무선연동부(700)를 내장한 통신박스(711)를 설치함으로서, 무선신호가 커버(530) 또는 빔골격바디(510)에 둘러싸여 외부로 잘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무선연동부(700)를 끌어낸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로드셀(520)감지편을 장착한 단면도이고, 도 3은 고정판(41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턴테이블(400)의 상부면에는 상기 로드셀(520)의 하부면이 장착되는 고정판(4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520)의 상부면에는 기립돌기(521)를 매개로 장착된 받침판(522)과, 상기 받침판(522)의 상면에서 돌출 연장된 계량돌기(523)와, 상기 받침판(522) 및 상기 계량돌기(523)의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53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계량판(524)으로 구성되는 상부지지판(52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판(410)은 턴테이블(400)의 상부면과 로드셀(520)의 하부면 사이에서 로드셀(520)이 턴테이블(400)로부터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단부 받침대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부지지판(525)은 받침판(522)과 계량돌기(523), 계량판(524)으로 구성되되, 받침판(522)은 로드셀(520)의 상부면에서 기립돌기(521)를 매개로 장착된 것으로서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돌기(523)가 돌출된 것이며, 이 받침판(522)과 계량돌기(523)의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커버(53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계량판(524)은 상단부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단에 모두 받침대 역할을 하는 고정판(410)과 상부지지판(525)이 위치하여 로드셀(520)이 움직이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볼트 등의 패스너로 로드셀(520)을 턴테이블(400)과 커버(530)에 각각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이 고정판(410)과 상부지지판(525)이 고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앞서 고정판(410)과 상부지지판(525)은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 중 상부지지판(525)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완충작용에는 부적합하지만, 고정판(410)의 경우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는 완충역할에 적합하다. 따라서, 고정판(410)을 제1 고정판(411)과 제2 고정판(412)의 두 개의 판으로 나누어 각각이 별도로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의 전달과정에서 이격된 부분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되, 제1 고정판(411)을 로드셀(520)의 하부에 장착하고, 제2 고정판(412)을 턴테이블(400)에 상부면에 각각 장착한다. 이 때, 턴테이블(400)에 부착된 제2 고정판(412)의 상부면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점차 깊이가 깊어지는 복수개의 함입부가 형성된다.
이 함입부의 개수는 많을수록 유리하지만, 일반적으로 양 단에 하나씩과 중앙의 하나로서 총 3개의 함입부를 형성한다면 충분한 완충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함입부를 형성하되, 각각의 함입부에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413)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끼워진다. 완충부재(413)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이 선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완충부재(413)가 각각의 함입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 고정판(412)의 상부면에 제1 고정판(411)을 얹게 되면 내부의 완충부재(413)에 약간의 압력이 가해지면서 고정판(410)이 하나의 결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내측으로 향할수록 함입부가 깊어지는 것은 지지대(5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랩핑대상(10)이 얹혀지기 때문이며, 중앙으로 집중되는 무게를 버티기 위한 구조라고 하겠다.
즉, 랩핑 및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커버(530)에 랩핑대상(10)이 올려지게 되면 기존에는 그 무게가 고스란히 로드셀(520)감지편으로 전달되고 그 이후 바로 턴테이블(400)로 전달되는 구조였다면 고정판(410)을 두 층의 결합체로 구성한 이후에는 랩핑대상(10)의 무게가 완충부재(413)를 통해 일부 경감될 뿐만 아니라, 랩핑대상(10)을 커버(530)에 떨어뜨리는 등 갑작스런 무게의 변화나 충격파가 전달되는 경우에도 이 완충부재(413)가 충격을 일부 흡수하여 전체적인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고정판연장부(430)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판(410)은 상기 로드셀(52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정션박스(600)의 하부면까지 연장된 고정판연장부(4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션박스(600)와 상기 고정판연장부(430)의 사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누름정도를 측정하는 4개의 압력센서(611)를 내장한 압력패드(610)가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로드셀(520)에서 측정된 무게정보를 측정된 상기 누름정도에 비례하도록 변환하여 이를 무게정보로 제공하는 비례변환부(8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판연장부(430)는 고정판(410)이 정션박스(600)의 하부면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정션박스(600)와 고정판연장부(430)의 사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4개의 압력센서(611)를 내장한 압력패드(610)가 위치한다. 즉, 압력센서(611)는 4개의 방향으로 각각 나뉘어져 위치하고 있으며, 따라서 각 압력센서(611)에서 측정된 누름정도를 통해 어떠한 방향으로 무게가 집중되어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40)에는 이 4개의 압력센서(611)로부터 누름정보를 수신하여 로드셀(520)에서 측정된 무게정보를 이 누름정보에 대응시켜 이와 비례하도록 변환함으로써 무게가 한 쪽으로 집중되더라도 실제 랩핑대상(10)의 무게를 제대로 유추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무게보정 구성을 제공한다.
이 때, 고정판연장부(430)의 종단면을 좀 더 살펴보면, 상기 로드셀(520)과 가까운 부위로부터 중앙부위까지는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중앙부위로부터 상기 정션박스(600)와 맞닿는 부분까지는 다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갖게 되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상기 고정판연장부(430)와 상기 턴테이블(400) 사이에는 상기 고정판연장부(430)가 수축 또는 이완되어 상하로 탄력성있게 이동할 수 있는 완충공간(440)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고정판연장부(430)의 횡단면은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중앙부위의 단면 높이가 점차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고정판연장부(430)와 턴테이블(400) 사이에는 고정판연장부(430)가 수축 또는 이완되어 상하로 탄력성 있게 이동될 수 있는 완충공간(44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무게의 집중을 견디기 위한 것이며, 고정판연장부(430)가 상하로 탄력성있게 수축 또는 이완되어 쉽게 부러지지 않으면서도, 로드셀(520)과 가까운 부위 및 정션박스(600)와 맞닿는 부위는 그 단면의 높이가 충분히 두꺼워 앞서 설명한 무게집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빔골격바디(510)에 완충범퍼(550)를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수평프레임(511)과 상기 수직프레임(512)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함입된 걸림홈(513)이 형성되고, 상기 빔골격바디(510)의 모서리 외측 부위에는 상기 수평프레임(511)과 상기 수직프레임(512)의 전면 부위를 커버하는 전면보호판(551)과, 상기 전면보호판(551)의 양 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걸림홈(513)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고정판(552)으로 구성되는 완충범퍼(5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홈(513)은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의 표면에 일정 간격마다 함입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빔골격바디(510)의 모서리 외측에는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의 전면부위를 커버하고, 그 양 단이 걸림홈(513)에 끼움결합되는 완충범퍼(550)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완충범퍼(550)는 빔골격바디(510)에서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의 전면부위에는 그 전면부위를 커버(530)하는 전면보호판(551)이 위치하고, 전면보호판(551)의 양 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되되 그 단부가 걸림홈(513)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림고정판(552)이 구성된다. 즉, 전면보호판(551)과 걸림고정판(552)으로 구성되는 완충범퍼(550)는 빔골격바디(510)의 모서리부분을 둥글게 감싸 모서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또한 모서리부분에서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완충범퍼(550)는 가죽이나 합성피혁, 합성수지 등으로 둘러싸인 스폰지나 탄성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완충범퍼(550)에 탄성커버(560)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완충범퍼(550)는 하단부를 향해 연장된 탄성커버(5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탄성커버(560)의 횡단면은 상기 완충범퍼(550)의 하단부 시작점(561)에서 제1 변곡점(562)까지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400)의 상부면 일측과 맞닿는 제1 장착면(566)과, 상기 제1 변곡점(562)으로부터 제2 변곡점(563)까지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400)의 측면과 맞닿는 제2 장착면(567)과, 상기 제2 변곡점(563)으로부터 제3 변곡점(564)까지 다시 내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400)의 하부면 일부를 가리는 제3 장착면(568)과, 상기 제3 변곡점(564)에서 종료점(565)까지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탄성면(569)으로 구성된다.
탄성커버(560)는 완충범퍼(550)로부터 연장되어 턴테이블(40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인데, 기존의 완충범퍼(550)가 빔골격바디(510)만을 보호한 반면, 탄성커버(560)를 더 연장시킴으로서 턴테이블(400)의 일부까지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탄성커버(560)의 횡단면을 살펴보면, 완충범퍼(550)의 하단부이자 시작점(561)으로부터 제1 변곡점(562)까지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턴테이블(400)의 상부면 일측과 맞닿는 제1 장착면(566)을 형성하고, 제1 변곡점(562)으로부터 다시 제2 변곡점(563)까지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턴테이블(400)의 측면과 맞닿는 제2 장착면(567)을 형성하며, 제2 변곡점(563)으로부터 제3 변곡점(564)까지 다시 내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턴테이블(400)의 하부면 일부를 가리는 제3 장착면(568)을 형성하고, 제3 변곡점(564)에서 종료점(565)까지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탄성면(569)을 구비하게 된다.
즉, 탄성커버(560)는 턴테이블(400)의 상부면과 측면에 맞닿고, 하부면에서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하부면의 경우 탄성커버(560)에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갑작스럽게 턴테이블(400)이 주저앉는 경우나 외부에서(측면 또는 하부면에서) 강한 충격을 받는 경우 이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탄성면(569)을 구비함으로서 이 또한 직격 충돌을 피함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시 도 5로 돌아가, 완충범퍼(550)에는 상기 수평프레임(511) 및 상기 수직프레임(512)과 접촉된 초기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511) 및 상기 수직프레임(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리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분리감지센서를 구비한 센서모듈(910)과, LED 및 스피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구동되는 알람모듈(920)을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센서모듈(910)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준 감지정보와 비교처리 함으로써 상기 알람모듈(920)을 구동 제어하는 범퍼제어부(9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 완충범퍼(550)는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완충범퍼(550)가 감당할 수 없는 충격 등으로 인해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이 분리되거나 과도한 온도변화 등으로 인해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의 분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때, 센서모듈(910)의 분리감지센서가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완충범퍼(550)에 내장된 LED 및 스피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구동되는 알람모듈(9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을 알리게 된다. 이 때, 컨트롤러(40)에는 센서모듈(910)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준 감지정보와 비교처리하여 알람모듈(920)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범퍼제어부(930)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기준 감지정보의 경우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간의 사이 간격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기준 감지정보를 5mm로 지정한 경우, 모서리에서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이 5mm이상 이격되는 경우에 알람모듈(920)이 구동되게 된다. 다만, 수평프레임(511)과 수직프레임(512)이 금속으로 구성되고 별도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한 경우에는 계절별 온도차에 의해 약간의 이격공간이 기본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기준 감지정보를 지정해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알람모듈(920)은 앞선 커버(530) 구성에 의해 커버(530)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는데, 알람모듈(920)이 스피커인 경우라면 상관없으나 LED와 같이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 알람모듈(9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별도의 관통홀(미도시)을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컨트롤러(40)는 상기 로드셀(520)에서 측정된 무게정보를 전송받아 기준 무게정보와 비교처리 함으로써 상기 알람모듈(920)을 구동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선 구성에서는 표시모듈(800)을 통해 로드셀(520)에서 측정한 무게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고 하였으나, 사용자가 항상 표시모듈(800)을 주시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이를 대비한 것이다. 즉, 턴테이블(400) 또는 로드셀(520)이 버틸 수 있는 최대 무게 또는 그보다 약간 적은 무게를 기준 무게정보로 지정하고, 이를 넘어서는 무게정보가 측정되는 경우 알람모듈(920)을 구동시켜 사용자가 위험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안내가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랩핑대상 20: 랩핑기
30: 회전기 40: 컨트롤러
100: 베이스 200: 기립체
300: 랩공급부 400: 턴테이블
410: 고정판 411: 제1 고정판
412: 제2 고정판 413: 완충부재
421: 제1 함입부 422: 제2 함입부
423: 제3 함입부 430: 고정판연장부
440: 완충공간 500: 지지대
510: 빔골걱바디 511: 수평프레임
512: 수직프레임 513: 걸림홈
520: 로드셀 521: 기립돌기
522: 받침판 523: 계량돌기
524: 계량판 525: 상부지지판
530: 커버 540: 메인프레임
541: 연장프레임 550: 완충범퍼
551: 전면보호판 552: 걸림고정판
560: 탄성커버 561: 시작점
562: 제1 변곡점 563: 제2 변곡점
564: 제3 변곡점 565: 종료점
566: 제1 장착면 567: 제2 장착면
568: 제3 장착면 569: 탄성면
600: 정션박스 610: 압력패드
611: 압력센서 700: 무선연동부
710: 무선하우징 711: 통신박스
800: 표시모듈 810: 비례변환부
910: 센서모듈 920: 알람모듈
930: 범퍼제어부

Claims (10)

  1.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일 측에 기립 설치되는 기립체와, 상기 기립체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기립체의 내부에 마련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랩핑필름을 공급하는 랩공급부와, 상기 기립체의 타 측에 장착된 표시모듈로 구성되는 랩핑기;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랩핑대상이 놓일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고, 상기 랩핑대상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랩핑대상의 무게를 측정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회전기;
    상기 지지대가 측정한 무게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정션박스와, 측정된 무게가 상기 표시모듈에서 표시되도록 무선표시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연동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정션박스가 부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빔골격바디 및,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모서리 내측 부분에 위치하여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무게정보를 생성하는 로드셀과, 상기 빔골격바디의 측면 및 상부면을 개폐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면에는,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이 장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셀의 상부면에는,
    기립돌기를 매개로 장착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돌출 연장된 계량돌기 및, 상기 받침판 및 상기 계량돌기의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계량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로드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정션박스의 하부면까지 연장된 고정판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션박스와 상기 고정판연장부의 사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누름정도를 측정하는 4개의 압력센서를 내장한 압력패드가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무게정보를 측정된 상기 누름정도에 비례하도록 변환하여 이를 무게정보로 제공하는 비례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빔골격바디의 외측까지 연장된 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무선연동부가 내장된 무선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통신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연장부의 종단면은,
    상기 로드셀과 가까운 부위로부터 중앙부위까지는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중앙부위로부터 상기 정션박스와 맞닿는 부분까지는 다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고정판연장부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는,
    상기 고정판연장부가 수축 또는 이완되어 상하로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일정 간격마다 함입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빔골격바디의 모서리 외측 부위에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 부위를 커버하는 전면보호판과,
    상기 전면보호판의 양 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고정판으로 구성되는 완충범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범퍼는,
    하단부를 향해 연장된 탄성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커버의 횡단면은,
    상기 완충범퍼의 하단부 시작점에서 제1 변곡점까지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면 일측과 맞닿는 제1 장착면과,
    상기 제1 변곡점으로부터 제2 변곡점까지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측면과 맞닿는 제2 장착면과,
    상기 제2 변곡점으로부터 제3 변곡점까지 다시 내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하부면 일부를 가리는 제3 장착면과,
    상기 제3 변곡점에서 종료점까지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탄성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범퍼는,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접촉된 초기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리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분리감지센서를 구비한 센서모듈과,
    LED 및 스피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구동되는 알람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준 감지정보와 비교처리 함으로써 상기 알람모듈을 구동 제어하는 범퍼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KR1020160112425A 2016-09-01 2016-09-01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KR101831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425A KR101831527B1 (ko) 2016-09-01 2016-09-01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425A KR101831527B1 (ko) 2016-09-01 2016-09-01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527B1 true KR101831527B1 (ko) 2018-04-04

Family

ID=6197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425A KR101831527B1 (ko) 2016-09-01 2016-09-01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5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7851A (zh) * 2018-11-20 2019-02-22 浙江天珩自动包装机械有限公司 具有称重结构的胶膜裹包装置
RU2761685C1 (ru) * 2021-06-20 2021-12-13 Вячеслав Викторович Николаев Опорный узел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измерения веса, применяемый в устройстве для упаковки
CN117027637A (zh) * 2023-08-03 2023-11-10 西安建筑科大工程技术有限公司 适用于隧道超前小导管快速施做的辅助系统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402A (ja) * 1999-11-30 2001-06-12 Sekisui Jushi Co Ltd ストレッチ包装機
JP2002366690A (ja) * 2001-06-12 2002-12-20 Sekisui Jushi Co Ltd 包装用装置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3487061B2 (ja) * 1996-02-29 2004-01-13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棚設備
JP2013245962A (ja) * 2012-05-23 2013-12-09 Ihi Star Machinery Corp 重量計測装置及び重量計測装置の制御方法
KR101486280B1 (ko) * 2013-07-31 2015-01-28 (주)디에스아이 센서를 구비한 랩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7061B2 (ja) * 1996-02-29 2004-01-13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棚設備
JP2001158402A (ja) * 1999-11-30 2001-06-12 Sekisui Jushi Co Ltd ストレッチ包装機
JP2002366690A (ja) * 2001-06-12 2002-12-20 Sekisui Jushi Co Ltd 包装用装置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2013245962A (ja) * 2012-05-23 2013-12-09 Ihi Star Machinery Corp 重量計測装置及び重量計測装置の制御方法
KR101486280B1 (ko) * 2013-07-31 2015-01-28 (주)디에스아이 센서를 구비한 랩핑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7851A (zh) * 2018-11-20 2019-02-22 浙江天珩自动包装机械有限公司 具有称重结构的胶膜裹包装置
RU2761685C1 (ru) * 2021-06-20 2021-12-13 Вячеслав Викторович Николаев Опорный узел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измерения веса, применяемый в устройстве для упаковки
CN117027637A (zh) * 2023-08-03 2023-11-10 西安建筑科大工程技术有限公司 适用于隧道超前小导管快速施做的辅助系统及其施工方法
CN117027637B (zh) * 2023-08-03 2024-06-07 西安建筑科大工程技术有限公司 适用于隧道超前小导管快速施做的辅助系统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527B1 (ko) 랩 포장 스케일 시스템
US10329082B2 (en) Shower door glass pane packaging assembly
EP3505400B1 (en) Roof rack comprising sensors
EP2588388B1 (en) Cradle for transport and shipment without danger of breaking brittle and precious objects
US20060076259A1 (en)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ES2902126T3 (es) Contenedor de envío y exposición
JP4671060B2 (ja) 薄型表示装置の梱包構造
US20140203693A1 (en) Module for packages
US11008145B2 (en) Packing system and method of packing
JPWO2013136639A1 (ja) 薄型表示装置
JP2010105696A (ja) 薄型ディスプレイの搬送用治具
KR20120078111A (ko)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AU2003266063A1 (en) Shock absorbing packaging insert
JP4674153B2 (ja) 梱包装置
JP2012188121A (ja) 薄型テレビジョンの梱包構造
CN106742591B (zh) 展示箱和展示体
JP7230006B2 (ja) 梱包材
JP6383718B2 (ja) 重量計測ハンドル装置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かばん類
KR20150134003A (ko) 캐리어 보호장치
CN211686100U (zh) 可拼接的纸箱
KR101251606B1 (ko) 카트리지 포장박스
JP3211942U (ja) 商品陳列用パッケージ
KR101949587B1 (ko) 가이드 일체형 채소 포장용 박스
IT202000009601A1 (it) Confezione per placche per impianti elettrici, kit comprendente una placca per impianti elettrici ed una relativa confezione e metodo per il confezionamento protetto di placche per impianti elettrici e simili
KR200481819Y1 (ko) 상품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