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19Y1 - 상품 진열대 - Google Patents

상품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19Y1
KR200481819Y1 KR2020140003719U KR20140003719U KR200481819Y1 KR 200481819 Y1 KR200481819 Y1 KR 200481819Y1 KR 2020140003719 U KR2020140003719 U KR 2020140003719U KR 20140003719 U KR20140003719 U KR 20140003719U KR 200481819 Y1 KR200481819 Y1 KR 200481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ver
display
merchandise
shelf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208U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월드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룩 filed Critical (주)월드룩
Priority to KR2020140003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1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2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for granulated or powdered materials, i.e. bulk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측면 지지대들;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측면 지지대들에 장착된 상부 진열 커버;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측면 지지대들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진열 커버와 마주보게 배치된 하부 진열 커버; 상기 측면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홀; 및 상기 측면 지지대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하부 진열 커버의 하면으로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진 상품 진열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상품 진열대 {DISPLAY STAND FOR GOODS}
본 고안은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종류별 분리 수납 및 전시/판매가 가능한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 진열대는 다양한 상품을 전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품 진열대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이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진열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진열대에는 각 진열선반에 상품을 얹어 전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열대를 이용하여 매장에 물건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진열대 제조업체로부터 진열대를 공급받아 조립하고, 물건 제조업체로부터 각각의 물건을 공급받아 조립이 완료된 진열대에 각각 별도로 포장된 상품을 꺼내어 진열하게 된다.
하지만 판매 제품이나 매장의 여건이 달라지면 새로운 진열대를 공급받아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미 판매 제품이나 매장 여건의 변화에 따라 이미 공급, 조립된 진열대를 해체, 폐기해 하며, 이는 인테리어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확장, 축소가 용이한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확장, 축소가 용이하여, 매장 여건의 변화에 따라 그에 적합한 구조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측면 지지대들;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측면 지지대들에 장착된 상부 진열 커버;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측면 지지대들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진열 커버와 마주보게 배치된 하부 진열 커버; 상기 측면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홀; 및 상기 측면 지지대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하부 진열 커버의 하면으로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진 상품 진열대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품 진열대는, 복수의 상기 상품 진열대들이 서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진열대들 중 하나의 삽입 부재가 상기 하부 진열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상품 진열대들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삽입 홀에 삽입, 결속되어, 복수의 상기 상품 진열대들이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진열 커버 또는 하부 진열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 봉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봉은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가까워질수록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에 더 가까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진열 커버 또는 하부 진열 커버는 일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측면 지지대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가 거꾸로 상기 측면 지지대들에 장착될 때, 상기 거치 봉은 칸막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품 진열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진열 커버는, 상기 측면 지지대의 상단에 장착된 제1 상부 진열 커버와, 상기 제1 상부 진열 커버와 하부 진열 커버 사이에서 상기 측면 지지대에 장착,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부 진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상품 진열대는, 상하단에 삽입홀과 삽입부재를 구비하므로, 단수(single)로 설치하여 상품 진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plurality)를 적층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진열 상품의 양을 확대, 축소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판매 상품이나 매장 여건에 따라 진열대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업무의 번거로움을 덜고 인테리어 비용 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품 진열대는, 걸이 봉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전면에 위치한 상품이 판매 또는 이탈되면 후방에 위치한 상품이 진열대 전면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전면에 진열된 상품들이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수고 없이 디스플레이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품 진열대는, 걸이봉이 장착되는 상하부 진열 커버를 측면 지지대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여 거꾸로도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품의 진열 특성이나 포장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에 상품이 진열된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에 상품이 진열된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100)는 측면 지지대(101)들, 상부/하부 진열 커버(102a, 103), 삽입 홀(111) 및 삽입 부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대(101)들은 상기 상품 진열대(100)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상품 진열대(100)의 후면에 또 다른 측면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양 측면의 상기 측면 지지대(101)들이 후면의 또 다른 측면 지지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평면도로 볼 때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측면 지지대(101)들은 정면이 개방되며 평면도로 볼 때 'ㄷ'자 형상을 가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대(101)들은 상하 방향으로, 예컨대, 지면 또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부 진열 커버(102a, 103)는 그 배치 위치가 반대로, 예컨대,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가 하부에, 하부 진열 커버(103)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는, 상기 측면 지지대(101)에 의해 적어도 양 측면이 감싸진 상태로 상기 측면 지지대(101)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를 상기 측면 지지대(101)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 양면 테이프, 벨크로, 너트 등 다양한 형태의 체결, 고정 부재들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는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의 내측면에는 거치 봉(12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상기 거치 봉(121)은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의 전면에서 더 낮게, 후면에서 더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거치 봉(121)은 상기 하부 진열 커버(103)와 마주보는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가까워질수록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의 내측면에 더 가까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 진열 커버(103) 역시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 내측면에도 거치 봉(121)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하부 진열 커버(102a, 103)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진열 커버(103)는 상기 측면 지지대(101)에 의해 적어도 양 측면이 감싸진 상태로 상기 측면 지지대(101)의 하단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진열 커버(103)를 상기 측면 지지대(101)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 양면 테이프, 벨크로, 너트 등 다양한 형태의 체결, 고정 부재들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102a, 103)는 측면 지지대(101)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가 거꾸로 측면 지지대들에 장착될 수 있다(도 7 참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와 하부 진열 커버(103) 사이에는 제2의 상부 진열 커버(102b)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진열 커버(102b)의 내측면에도 상기 거치 봉(121)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상부 진열 커버(102b)는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만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진열 커버(102b)의 설치 여부와 그 수는, 상기 상품 진열대(100)의 크기와 진열될 상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의 크기가 상기 상품 진열대(100)의 절반 이하라면, 하나의 상기 제2 상부 진열 커버(102b)가 설치될 수 있다.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의 크기가 상기 상품 진열대(100)보다 작지만 절반 이상이라면, 상기 제2 상부 진열 커버(102b)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품을 지면에 대하여 직립 형태로 또는 눕힌 상태로 진열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도 상기 제2 상부 진열 커버(102b)의 설치 여부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상부 진열 커버(102b)는 상기 상품 진열대(100)의 크기에 대한 진열 상품의 크기에 따라 설치되지 않거나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대(101)들 각각의 상단에는 삽입 홀(111)이, 하단에는 삽입 부재(113)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부재(113)는 상기 하부 진열 커버(103)의 하면으로 접철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펼쳐질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상기 하부 진열 커버(103)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삽입 부재(113)가 다른 상품 진열대의 상기 삽입 홀(111)에 삽입됨으로써, 복수의 상기 상품 진열대(100)를 적층하여 더 많은 상품의 진열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판매 상품의 변화에 따라 또는 매장 여건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수의 상기 상품 진열대(100)를 적층하여 상품을 진열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품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상기 제2 상부 진열 커버(102b)를 장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다양한 상품의 진열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품 진열대(100)를 이용하여 양말, 손수건, 캐릭터 상품, 휴대 전화기의 보호 커버 등 다양한 생활 용품이나, 악세사리 등의 진열이 가능하다. 진열되는 상품의 경우 무게가 가벼운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품 진열대를 구성하는 측면 지지대들이나 상하부 진열 커버는 그 재질이 종이 재질이나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진열대의 운반이나 이동 등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품(P)의 포장 사양에 따라(예를 들어 상품이 걸이대와 결합한 경우), 상품을 상기 거치 봉(121)에 걸어서(직립 상태로) 진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 봉(121)은 상기 상부 진열 커버(102a)의 전면에서 더 낮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에 위치한 상품(P)이 판매되면 또는 상기 거치 봉(121)으로부터 이탈하면, 더 후방에 위치한 상품(P)이 상기 상품 진열대(100)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품 진열대(100)의 전면에서는 진열된 상품(P)들이 서로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품(P)의 진열 특성이나 포장 상태에 따라(예를 들어 상품이 걸이대 없이 비닐 포장이나 박스 포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를 거꾸로 배치하여 상품(P)을 진열,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거꾸로 배치한다는 의미는 상하부 진열 커버를 측면 지지대들로부터 분리한 후 연결 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측면 지지대들에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 진열 커버는 일정 높이를 갖게 되므로 상품은 상하부 진열 커버에 적재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거치 봉(121)은 상품을 종류별로 분리하는 칸막이(partition)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대는, 복수로 적층하는지의 여부, 제2 상부 진열 커버의 설치 여부, 상부 진열 커버를 상품 진열대의 하부로 배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진열 상품을 다양화하고 매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대는, 상품의 제조처 또는 도매업체 등에서 상품을 상품 진열대에 적재한 후 바로 소매처 또는 판매처로 바로 공급 또는 배송이 가능하므로, 소매처 또는 판매처 매장에서 별도의 상품의 진열 또는 배치 등에 대한 작업 없이 바로 판매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상품 진열대 101: 측면 지지대
102a: 상부 진열 커버 103: 하부 진열 커버
111: 삽입 홀 113: 삽입 부재

Claims (6)

  1. 상품 진열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측면 지지대들;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측면 지지대들에 장착된 상부 진열 커버;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측면 지지대들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진열 커버와 마주보게 배치된 하부 진열 커버;
    상기 측면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홀;
    상기 측면 지지대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 부재;
    상기 상부 진열 커버 또는 하부 진열 커버의 내측면에 상부 진열 커버 또는 하부 진열 커버의 폭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며 상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 봉;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하부 진열 커버의 하면으로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품 진열대는 복수 개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적층될 수 있어, 복수의 상품 진열대가 적층시 복수의 상품 진열대들 중 상대적으로 윗단의 상품 진열대의 삽입 부재가 하부 진열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상품 진열대들 중 상대적으로 아랫단의 상기 삽입 홀에 삽입, 결속되며,
    상기 거치 봉은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가까워질수록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에 더 가까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부 진열 커버 또는 하부 진열 커버는 일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측면 지지대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또한 180도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하부 진열 커버가 거꾸로 상기 측면 지지대들에 장착될 때, 상기 거치 봉은 칸막이 역할을 하는 상품 진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진열 커버는,
    상기 측면 지지대의 상단에 장착된 제1 상부 진열 커버와,
    상기 제1 상부 진열 커버와 하부 진열 커버 사이에서 상기 측면 지지대에 장착,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부 진열 커버를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KR2020140003719U 2014-05-14 2014-05-14 상품 진열대 KR200481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719U KR200481819Y1 (ko) 2014-05-14 2014-05-14 상품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719U KR200481819Y1 (ko) 2014-05-14 2014-05-14 상품 진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8U KR20150004208U (ko) 2015-11-24
KR200481819Y1 true KR200481819Y1 (ko) 2016-11-15

Family

ID=5486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719U KR200481819Y1 (ko) 2014-05-14 2014-05-14 상품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1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136Y1 (ko) * 2001-08-03 2001-11-22 (주)피앤에이코리아 상품 진열용 걸이대
JP2003250672A (ja) * 2002-03-06 2003-09-09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の商品棚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83Y2 (ja) * 1993-06-30 1996-03-13 株式会社パオパオ 組立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136Y1 (ko) * 2001-08-03 2001-11-22 (주)피앤에이코리아 상품 진열용 걸이대
JP2003250672A (ja) * 2002-03-06 2003-09-09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の商品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8U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039B2 (en) Rolling quarter pallet display system and shipping container
US2315595A (en) Display rack
US7886916B2 (en) Expandable modular display stand
JP5739996B2 (ja) モジュール式ラッキングシステム
US6793070B2 (en) Shipping and display case
JP2007509826A (ja) 製品を運送および展示するための包装装置
US9215939B2 (en) Retail fixtures
CA2831239A1 (en) Display system
CA3137507C (en) A-frame floor display
US2908397A (en) Display stand with folding trays
US11825963B2 (en) Retail product package and display
US20150129528A1 (en) Collapsible Retail Display
JPH11196984A (ja) 商品収納箱を展示するための展示棚
US20120267329A1 (en) Auto-adjustable position exhibitor
US6109447A (en) System for shipping and displaying small articles
CA2917448C (en) Merchandis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KR200481819Y1 (ko) 상품 진열대
US8875872B2 (en) Retail display package with foldable stand
KR20120055567A (ko) 포장 용기
KR200398741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US2896793A (en) Display stand
US3231097A (en) Disposable display stand
US20050184015A1 (en) Display unit with pass through shelves
US20170065103A1 (en) Elongated package display device
US20070006783A1 (en) Merchandis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