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396B1 - 채묘 장치 - Google Patents

채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396B1
KR101831396B1 KR1020150152522A KR20150152522A KR101831396B1 KR 101831396 B1 KR101831396 B1 KR 101831396B1 KR 1020150152522 A KR1020150152522 A KR 1020150152522A KR 20150152522 A KR20150152522 A KR 20150152522A KR 101831396 B1 KR101831396 B1 KR 10183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ting
net
network
mesh network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675A (ko
Inventor
임성범
Original Assignee
임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범 filed Critical 임성범
Priority to KR102015015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3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묘망이 안착되는 투입 장치를 갖고, 채묘망에 굴 공각을 투입시킨 후 채묘망을 묶어 거치 장치에 매달게 구성되어 굴의 채묘가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되는 채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채묘 장치{APPARATUS FOR SEEDING OF OYSTER}
본 발명은 채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묘망이 안착되는 투입 장치를 갖고, 채묘망에 굴 공각을 투입시킨 후 채묘망을 묶어 거치 장치에 매달게 구성되어 굴의 채묘가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되는 채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착성 패류의 일종인 굴(oyster)은 유생기에는 부유생활을 하다가 부화 후 약 20 일 정도가 지나 치패로 성장하면 바위 등에 부착 생활을 한다. 이러한 굴은 바다의 우유라 불릴 정도로 맛, 향, 영양분이 뛰어나서 훌륭한 영양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굴 양식 과정에서, "채묘"라 불리는 단계가 있다. 이러한 채묘는 종묘를 얻는 과정으로서, 굴, 가리비 등의 껍질을 부착기질로 사용하여 바다 또는 수조 등에 담가 유생의 부착을 유도하는 단계이다.
종래, 이러한 채묘의 전 과정은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즉, 가리비, 굴 등의 껍질을 채묘연에 고정시키고 이를 수조, 또는 바다에 담그는 과정에서 껍질의 손질 및 고정, 담금 등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그 비용과 시간이 매우 많이 소모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채묘를 위해 공각을 수조 등에 담글 경우, 공각이 설치된 채묘연을 먼저 넣고 유생을 넣게 되어 유생이 일부 가라앉고 유생이 헤엄쳐 다니는 공간이 고르지 아니하여 일정 부분에 부착이 몰려서 부착율이 약 25 % 내외로서 매우 낮은 부착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채묘 과정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채묘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11-002311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묘망이 안착되는 투입 장치를 갖고, 채묘망에 굴 공각을 투입시킨 후 채묘망을 묶어 거치 장치에 매달게 구성되어 굴의 채묘가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되는 채묘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채묘 장치는, 망상 구조로 구성되는 채묘망; 채묘망이 안착되는 투입 장치; 를 포함하는 채묘 장치로서, 상기 채묘망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그물망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 장치는, 반원통 형태로 구성되어 함몰면을 가지며 상기 함몰면에 상기 채묘망이 놓여지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1 회 이상 절곡되어 상기 채묘망의 그물망을 관통하여 상기 채묘망이 걸려지는 측방 돌부, 및 상기 투입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함몰면 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채묘망의 그물망을 관통하여 상기 채묘망이 걸려지는 상방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묘망이 상기 채묘 장치의 함몰면 상에 펼쳐지게 놓여져 상기 채묘망이 함몰면을 덮되 길이 방향 양측이 상기 상방 돌부에 의해 관통되고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측방 돌부에 의해 관통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공각이 상기 투입 장치 내에 투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묘망을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클립은, 고정 핀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 상기 고정 핀과 맞물리는 고정 홈을 구비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접힘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이 상기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져 서로 맞닿되 상기 고정 핀이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어 끼워져 고정되게 구성되며, 상기 채묘망이 상기 투입 장치 상에 안착되고 상기 채묘망이 놓인 투입 장치 내에 공각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채묘망의 양 측부를 내측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공각을 덮은 후 서로 겹쳐진 상기 채묘망의 양 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묘망은, 상기 그물망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채묘망이 상기 투입 장치 내에 놓일 때 상기 투입 장치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놓이는 당김줄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줄은, 상기 그물망의 폭보다 길며 상기 그물망을 폭 방향으로 통과하되 양 측이 상기 그물망의 양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채묘망이 상기 투입 장치 상에 안착되고 상기 채묘망이 놓인 투입 장치 내에 공각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채묘망의 양 측부를 내측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공각을 덮은 후 상기 당김줄을 묶어서 상기 채묘망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가 오므라져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묘망은, 폭 방향 양 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기준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을 매다는 거치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 장치는,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에 거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복수 개 배열되는 거치봉, 및 상기 거치봉이 통과되며 채묘망이 매달리는 복수의 걸이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 프레임은 각각의 사각 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 연결 고리, 및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봉 거치 홈을 구비하며, 상기 거치봉은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 돌부, 및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는 망 지지 돌부를 구비하고,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이 상기 걸이 고리를 통해 상기 거치봉에 매달리며 상기 거치봉이 상기 사각 프레임에 지지되어 공각이 채워진 복수의 상기 채묘망이 상기 사각 프레임에 매달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방법은, 망상 구조로 구성되는 채묘망, 및 상기 채묘망이 안착되는 투입 장치를 포함하는 채묘 장치를 이용하여 굴 유생을 공각에 고착시키는 채묘 방법으로서, (a) 상기 투입 장치 상에 상기 채묘망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투입 장치 내에 공각을 투입하는 단계; (b) 투입된 공각이 유실되지 않도록 상기 채묘망을 덮어 밀봉시키는 단계; (c) 공각이 채워진 복수의 상기 채묘망을 사각 프레임에 매다는 단계; (d) 해수가 담긴 수조 내에 굴 유생을 투입하는 단계; 및 (e) 사각 프레임에 매달린 복수의 상기 채묘망을 하강시켜 상기 수조 내에 투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묘망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그물망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 장치는 반원통 형태로 구성되어 함몰면을 가지며 상기 함몰면에 상기 채묘망이 놓여지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1 회 이상 절곡되어 상기 채묘망의 그물망을 관통하여 상기 채묘망이 걸려지는 측방 돌부, 및 상기 투입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함몰면 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채묘망의 그물망을 관통하여 상기 채묘망이 걸려지는 상방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채묘망이 상기 채묘 장치의 함몰면 상에 펼쳐지게 놓여져 상기 채묘망이 함몰면을 덮되 길이 방향 양측이 상기 상방 돌부에 의해 관통되고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측방 돌부에 의해 관통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공각이 상기 투입 장치 내에 투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묘 장치는 상기 채묘망을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클립은 고정 핀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 상기 고정 핀과 맞물리는 고정 홈을 구비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접힘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이 상기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져 서로 맞닿되 상기 고정 핀이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어 끼워져 고정되게 구성되며,
상기 (b) 단계는,
(f) 상기 채묘망의 양 측부를 내측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공각을 덮은 후 서로 겹쳐진 상기 채묘망의 양 측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 클립으로 서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묘망은 상기 그물망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채묘망이 상기 투입 장치 내에 놓일 때 상기 투입 장치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놓이는 당김줄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줄은 상기 그물망의 폭보다 길며 상기 그물망을 폭 방향으로 통과하되 양 측이 상기 그물망의 양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b) 단계는,
(g) 상기 채묘망의 양 측부를 내측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공각을 덮은 후 상기 당김줄을 묶어서 상기 채묘망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가 오므라져 밀폐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묘 장치는,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을 매다는 거치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 장치는,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에 거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복수 개 배열되는 거치봉, 및 상기 거치봉이 통과되며 채묘망이 매달리는 복수의 걸이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 프레임은 각각의 사각 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 연결 고리, 및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봉 거치 홈을 구비하며, 상기 거치봉은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 돌부, 및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는 망 지지 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c) 단계는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을 상기 걸이 고리를 통해 상기 거치봉에 매달고 상기 거치봉을 상기 사각 프레임에 지지시켜 공각이 채워진 복수의 상기 채묘망이 상기 사각 프레임에 매달리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호이스트 연결 고리에 호이스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사각 프레임을 하강시켜서 상기 수조 내에 복수의 상기 채묘망이 투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채묘 장치에 의하면, 공각을 채묘망에 투입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채묘망을 투입 장치에 거치시키고 공각을 투입시킨 후, 적정량의 투입이 이루어진 후 채묘망을 밀봉시키고, 채묘망과 투입 장치를 분리시킴으로서 공각의 투입 및 밀봉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채묘망이 거치 장치에 의해서 균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조에 투입되므로, 굴 유생의 흡착이 고루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유생을 수조에 넣은 후 채묘망을 투입시키기 때문에 유생이 고루 퍼진 후 공각이 투입됨으로써 고른 흡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장치의 채묘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장치의 투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장치의 고정 클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거치 장치의 각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거치 장치의 사각 프레임 상에 거치봉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장치의 투입 장치 상에 채묘망이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는 도 6 의 투입 장치 상에 공각을 투입하고 채묘망을 덮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공각이 채워진 채묘망을 고정 클립으로 고정시키고 당김줄로 묶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공각이 채워진 채묘망을 투입 장치로부터 이탈시켜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거치봉과 걸이 고리를 이용하여 채묘망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거치 장치에 채묘망을 거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수조에 채묘망을 투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장치의 채묘망(1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장치의 투입 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장치의 고정 클립(3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거치 장치의 각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거치 장치의 사각 프레임 상에 거치봉(420)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채묘 장치는, 망상 구조로 구성되는 채묘망(100); 투입 장치(200); 고정 클립(300); 및 거치 장치;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채묘망(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채묘망(100)은 그물망(110), 당김줄(120), 및 기준선(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물망(1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형 외형을 가지며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물망(110)을 구성하는 망상 구조의 크기는 채워진 공각이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임이 바람직하며, 망 사이의 폭이 20 내지 100 mm 일 수 있다. 한편, 그물망(110)의 크기에는 한정이 없으나 적절한 규격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가로 및 세로가 1 m 내외의 사각형일 수 있다. 아울러 그물망(110)을 구성하는 재질은 예컨대 pp 와 같이 늘어나지 않는 소재일 수 있다.
당김줄(120)은 그물망(110)의 길이 방향 양 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예컨대, 당김줄(120)이 구비되는 위치는 그물망(1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로부터 약 100 mm 내측일 수 있다. 당김줄(120)은 합성 섬유 등으로 구성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줄로서, 그물망(110)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고 그물망(110)을 폭 방향으로 통과하게 마련된다. 당김줄(120)의 양 단부는 그물망(110)의 양 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그물망(110)을 오므린 상태에서 당김줄(120)을 묶음으로써 그물망(110)의 양 단이 밀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기준선(130)은 그물망(110)의 폭 방향 양 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선으로서, 양 측 단부에 나란하게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물망(110)의 폭 방향 양 측 단부로부터 약 100 mm 내측에 표시되며, 예컨대 소정의 줄, 또는 도색 등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투입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투입 장치(200)는 투입부(210), 측방 돌부(220), 및 상방 돌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입부(210)는 전체적으로 반원통 형태로 구성되는 그릇 형태의 부재이다. 투입부(210)는 이에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둥근 그릇 형태의 함몰면(212)이 상부로 노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측방 돌부(220)는 투입부(210)의 폭 방향 양 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측방 돌부(220)는 투입부(21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1 회 이상 절곡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측방 돌부(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후,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갈고리 형상을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측방 돌부(22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아니하나, 일측에 복수 개 구비되며, 양 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측에 3 개씩 총 6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방 돌부(230)는 투입부(210)의 길이 방향 양 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상방 돌부(230)는 함몰면(21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빔 형태의 부재이며, 길이 방향 일 측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일 측마다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씩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방 돌부(230)는 상기 그물망을 뚫고 관통할 정도의 크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을 참조하여 고정 클립(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 클립(300)은, 돌출된 고정 핀(312)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310), 상기 고정 핀(312)과 맞물리는 고정 홈(322)을 구비하는 제2 고정판(320), 및 상기 제1 고정판(310)과 제2 고정판(320) 사이에 구비되는 접힘부(330)를 갖는다.
즉, 전체적으로 접힘부(330)를 중심에 두고 접힘부(330)를 중심으로 접혀져서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는 제1 고정판(310)과 제2 고정판(320)을 구비하되, 제1 고정판(310)과 제2 고정판(320)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서로에 대해 결합을 수행하는 고정 핀(312)과 고정 홈(322)이 형성된다. 즉, 고정 핀(312)이 고정 홈(322)에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고정 핀(312)이 구비된 고정판을 제1 고정판(310)이라고 하고 고정 홈(322)이 구비된 고정판을 제2 고정판(320)이라고 지칭한다.
도 3 의 (a)와 같은 구조의 고정 클립(300)을 접힘부(330)를 중심으로 접어 고정 핀(312)을 고정 홈(322)에 삽입시켜 끼우면 도 3 의 (b) 와 같이 고정되는 형태가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거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거치 장치는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100)을 매다는 장치로서, 상기 거치 장치는, 도 4 의 (a), (b), (c) 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410), 상기 사각 프레임(410)에 거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복수 개 배열되는 거치봉(420), 및 상기 거치봉(420)이 통과되며 채묘망(100)이 매달리는 복수의 걸이 고리(430)를 포함한다.
상기 사각 프레임(410)은 4 개의 변을 갖는 사각형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사각 프레임(410)은 강성을 가져서 중량을 갖는 채묘망(100)을 매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각 프레임(410)은 제1 내지 제4 변(411, 412, 413, 414)를 가지며, 각각의 변에는 호이스트 연결 고리(416)가 구비된다. 호이스트 연결 고리(416)는 호이스트가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410)을 들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1 내지 제4 변(411, 412, 413, 414)에 하나 또는 그 이상 마련되고, 중량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변(411, 412, 413, 414) 중 적어도 두 개에는 봉 거치 홈(415)이 마련된다. 봉 거치 홈(415)은 사각 변에 형성된 홈으로써, 어느 하나의 봉에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봉을 마주보는 다른 변에 복수 개 마련되고, 서로 대칭되는 배치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도 4 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3 변(413) 과 제4 변(41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봉(420)은 프레임 지지 돌부(422), 및 망 지지 돌부(424)를 구비한다. 거치봉(420)은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강성을 가져서 중량을 가지는 채묘망(100)을 매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봉(42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상기 사각 프레임(410)의 봉 거치 홈(415)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지지 돌부(422)가 마련되어 사각 프레임(410) 상에 상기 거치봉(420)이 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거치봉(4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는 망 지지 돌부(424)가 구비된다.
걸이 고리(430)는 둥근 고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거치봉(420)이 상기 걸이 고리(43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링 형태의 걸이 링(432)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이 링(432)에는 채묘망(100)을 걸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구성된 걸이 돌부(43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11 을 참조하여 채묘망(100)과 투입 장치(200)를 이용한 공각의 투입 및 거치 장치에 의한 거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묘 장치의 투입 장치(200) 상에 채묘망(100)이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도 6 의 투입 장치(200) 상에 공각을 투입하고 채묘망(100)을 덮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은 공각이 채워진 채묘망(100)을 고정 클립(300)으로 고정시키고 당김줄(120)로 묶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는 공각이 채워진 채묘망(100)을 투입 장치(200)로부터 이탈시켜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은 거치봉(420)과 걸이 고리(430)를 이용하여 채묘망(100)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 은 거치 장치에 채묘망(100)을 거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는 수조에 채묘망(100)을 투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 과 같이 채묘망(100)을 투입 장치(200)에 설치한다. 이때, 채묘망(100)의 설치는 채묘망(100)이 투입 장치(200)에 마련된 측방 돌부(220) 및 상방 돌부(230)에 각각 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투입 장치(200)의 투입부(210)의 함몰면(212)에 채묘망(100)이 밀착되도록 채묘망(100)을 펼쳐 놓는다. 이때, 채묘망(100)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 양 측 부분을 상방 돌부(230)가 관통하며 폭 방향 가장자리 양 측 부분을 상기 측방 돌부(220)가 관통하여 채묘망(100)이 고정된다. 특히, 측방 돌부(220)는 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절곡됨으로써 채묘망(100)이 이탈하지 않고 위치 고정되게 된다. 한편, 이때 채묘망(100)의 넓이는 투입 장치(200)보다 넓음으로써 채묘망(100)이 투입 장치(200)의 폭 방향 향 측, 및 길이 방향 양 측으로 더 펼쳐져 있게 된다.
이어서, 도 7 과 같이 채묘망(100)을 투입 장치(200) 상에 거치시킨 후에 채묘망(100) 상에 공각(P)을 투입하게 된다. 도 7 의 (b) 와 같이, 공각(P)의 투입한 상태에서, 투입 장치(200)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 양 측 부분에 구비된 상방 돌부(230)에 의해서 공각(P)이 빠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공각(P)은 굴 껍질, 가리비 껍질 등 각종 패류의 껍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공각(P)이 일정량 투입되면 도 7 의 (c) 와 같이 채묘망(100)의 폭 방향 양 측으로 투입 장치(200)보다 더 펼쳐진 부분(R2, R1)을 화살표 K 와 같이 내측으로 서로 겹쳐지게 말아서 상기 부분으로 공각(P)을 덮는다. 즉, 공각(P)이 채묘망(100)으로 완전히 덮여지도록 한다. 여기서, 채묘망(100)의 양 측의 펼쳐진 부분(R1, R2)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채묘망(100)이 공각(P)을 충분히 둘러싸지 못하게 되므로, 채묘망(100)을 투입 장치(200)에 적절히 펼쳐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채묘망(100)에 기준선(130)이 마련되어 채묘망(100)의 위치를 적절히 규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과 같이 채묘망(100)의 서로 겹쳐진 부분을 상기 고정 클립(300)으로 고정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채묘망(100)의 폭 방향 양 측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겹쳐지게 한후 고정 클립(300)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채묘망(100)이 말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채묘망(100)의 길이 방향 양 측 가장자리는 상기 당김줄(120)을 통해 밀봉시킨다. 즉, 공각(P)이 채워진 상태에서 채묘망(100)의 길이 방향 양 측 가장자리를 오므린 후 당김줄(120)을 묶어서 공각(P)이 채묘망(100)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여 밀봉되도록 한다. 여기서 밀봉이라 함은 공각(P)이 채묘망(100)에 의해 둘러싸여져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서, 채묘망(100)의 길이 방향 양 측 가장자리(S1, S2)는 묶여져서 캔디 형태로 오므라지게 된다.
이어서, 도 9 와 같이 채묘망(100)으로부터 투입 장치(200)를 이탈시킨다. 투입 장치(200)에 마련된 측방 돌부(220) 및 상방 돌부(230)로부터 채묘망(100)을 빼서 공각이 담겨진 채묘망(100)이 투입 장치(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공각을 둘러싸서 밀봉시킨 캔디(candy) 형상의 채묘망(1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및 11 과 같이 상기 캔디 형태의 채묘망(100)을 거치 장치에 거치한다. 채묘망(100)의 거치는 소정의 줄, 또는 고리(L)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줄 또는 고리(L) 등이 상기 걸이 고리(430)에 매달리게 된다. 이때, 걸이 고리(430)에 구비된 걸이 돌부(434)에 상기 고리 또는 줄이 걸려져 채묘망(100)이 매달릴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걸이 고리(430)를 상기 거치봉(420)에 위치시킨 후, 상기 거치봉(420)을 사각 프레임(410)에 거치시켜서 채묘망(100)이 거치될 수 있다. 이때, 걸이 고리(430)는 상기 거치봉(420)의 상기 각각의 망 지지 돌부(424) 사이에 걸려져 위치하도록 하며, 따라서 각각의 망 지지 돌부(424) 사이 공간에 하나의 걸이 고리(43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여러 개의 채묘망(100)이 서로 부딪히거나 일 위치에 몰려서 밀착하지 않도록 하고 나란하게 비교적 균일한 배치를 가지며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공각이 담긴 채묘망(100)을 거치 장치에 거치시킨 후, 도 12 와 같이 상기 거치 장치를 옮겨서 채묘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거치 장치의 운반은 상기와 같이 사각 프레임(410)에 마련된 호이스트 연결 고리(416)에 호이스트(H)를 연결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채묘를 위해, 굴의 유생이 분포된 해수가 담긴 소정의 수조(5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조(500) 내에 상기 채묘망(100)을 하강하여 투입시킴으로써 공각에 굴의 유생의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약 3 시간 내외의 시간 동안 상기 채묘망(100)을 수조(500) 내에 위치시켜 흡착을 수행한 후, 투입된 채묘망(100)을 빼내고, 새로운 채묘망(100)을 수조(500) 내에 투입시켜 새로이 흡착을 수행할 수 있다.이때, 상기와 같이 투입되는 채묘망(100)의 분포가 균일하여 굴의 유생이 공각에 고루 흡착되어 흡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묘 장치에 의하면, 공각을 채묘망(100)에 투입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각을 채묘망(100)이 설치된 투입 장치(200)에 단순히 투입시키게 되므로 공각 투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채묘망(100)을 투입 장치(200)에 거치시키고 공각을 투입시킨 후, 적정량의 투입이 이루어진 후 채묘망(100)을 밀봉시키고, 채묘망(100)과 투입 장치(200)를 분리시킴으로서 공각의 투입 및 밀봉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채묘망(100)이 거치 장치에 의해서 균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조에 투입되므로, 굴 유생의 흡착이 고루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유생을 수조에 넣은 후 채묘망(100)을 투입시키기 때문에 유생이 고루 퍼진 후 공각이 투입됨으로써 부착율이 약 75 % 내외로서 더욱 효과적인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채묘망(100)은 수거 후 재활용될 수 있고, 그 처리 또한 간단하여 후속 작업의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묘 장치를 이용한 채묘 방법은 하기와 같다. 하기 단계들은 채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각각 나누어진 것들로서, 반드시 그 순서가 정해진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투입 장치(200) 상에 상기 채묘망(100)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투입 장치(200) 내에 공각을 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채묘망(100)은 상기 투입 장치(200)에 구비된 측방 돌부(220) 및 상방 돌부(230)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 상태로 거치된다. 공각의 투입은 기계, 또는 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공각이 일정량 투입되면 투입된 공각이 유실되지 않도록 상기 채묘망(100)을 덮어 밀봉시킨다. 이때, 채묘망(100)은 길이 방향으로는 당김줄(120)을 묶어서 밀봉하며, 폭 방향으로는 채묘망(100)을 덮어 겹치게 한 후, 고정 클립(300)을 사용하여 밀봉시킨다.
이어서, 공각이 채워진 상태로 밀봉된 복수의 상기 채묘망(100)을 거치 장치에 매단다. 여기서, 거치 장치는 사각 프레임(410), 거치봉(420), 및 걸이 고리(430)를 포함하며, 걸이 고리(430)에 채묘망(100)을 매달고, 거치봉(420)이 걸이 고리(430)를 통과하게 하며, 거치봉(420)이 사각 프레임(410) 상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채묘망(100)이 거치 장치에 매달 수 있다.
아울러, 해수가 담긴 수조(500) 내에 굴 유생을 투입한다. 해수가 담긴 수조(500) 및 굴 유생의 투입은 상기한 공각의 투입 단계 전에 이루어져 준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수조(500) 내에 상기 채묘망(100)을 하강시켜 투입시키고 굴 유생을 공각에 흡착시킨다. 채묘망(100)의 하강 및 투입은 상기 사각 프레임(410)에 구비된 호이스트 연결 고리(416)에 호이스트(H)를 걸고 하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묘 방법의 효과는 상기 채묘 장치의 효과와 상통한다. 즉, 공각을 채묘망(100)에 투입하고 밀봉하는 과정이 간단히 이루어지며, 공각에 대한 굴 유생의 흡착이 고루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유생을 수조에 넣은 후 채묘망(100)을 투입시키기 때문에 유생이 고루 퍼진 후 공각이 투입됨으로써 고른 흡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채묘망
110: 그물망
120: 당김줄
130: 기준선
200: 투입 장치
210: 투입부
212: 함몰면
220: 측방 돌부
230: 상방 돌부
300: 고정 클립
310: 제1 고정판
312: 고정 핀
320: 제2 고정판
322: 고정 홈
330: 접힘부
410: 사각 프레임
411: 제1 변
412: 제2 변
413: 제3 변
414: 제4 변
415: 봉 거치 홈
416: 호이스트 연결 고리
420: 거치봉
422: 프레임 지지 돌부
424: 망 지지 돌부
430: 걸이 고리
432: 걸이 링
434: 걸이 돌부
500: 수조

Claims (10)

  1. 망상 구조로 구성되는 채묘망;
    채묘망이 안착되는 투입 장치; 를 포함하는 채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묘망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그물망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 장치는,
    반원통 형태로 구성되어 함몰면을 가지며 상기 함몰면에 상기 채묘망이 놓여지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1 회 이상 절곡되어 상기 채묘망의 그물망을 관통하여 상기 채묘망이 걸려지는 측방 돌부, 및
    상기 투입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함몰면 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채묘망의 그물망을 관통하여 상기 채묘망이 걸려지는 상방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묘망이 상기 채묘 장치의 함몰면 상에 펼쳐지게 놓여져 상기 채묘망이 함몰면을 덮되 길이 방향 양측이 상기 상방 돌부에 의해 관통되고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측방 돌부에 의해 관통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공각이 상기 투입 장치 내에 투입되는 채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망을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클립은,
    고정 핀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 상기 고정 핀과 맞물리는 고정 홈을 구비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접힘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이 상기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져 서로 맞닿되 상기 고정 핀이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어 끼워져 고정되게 구성되며,
    상기 채묘망이 상기 투입 장치 상에 안착되고 상기 채묘망이 놓인 투입 장치 내에 공각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채묘망의 양 측부를 내측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공각을 덮은 후 서로 겹쳐진 상기 채묘망의 양 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채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망은,
    상기 그물망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채묘망이 상기 투입 장치 내에 놓일 때 상기 투입 장치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놓이는 당김줄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줄은,
    상기 그물망의 폭보다 길며 상기 그물망을 폭 방향으로 통과하되 양 측이 상기 그물망의 양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채묘망이 상기 투입 장치 상에 안착되고 상기 채묘망이 놓인 투입 장치 내에 공각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채묘망의 양 측부를 내측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공각을 덮은 후 상기 당김줄을 당겨서 상기 채묘망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가 오므라져 밀폐되도록 하는 채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망은,
    폭 방향 양 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기준선을 포함하는 채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을 매다는 거치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 장치는,
    사각 프레임, 및
    상기 사각 프레임에 거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복수 개 배열되는 거치봉, 및
    상기 거치봉이 통과되며 채묘망이 매달리는 복수의 걸이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 프레임은,
    각각의 사각 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 연결 고리, 및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봉 거치 홈을 구비하며,
    상기 거치봉은,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 돌부, 및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는 망 지지 돌부를 구비하고,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이 상기 걸이 고리를 통해 상기 거치봉에 매달리며 상기 거치봉이 상기 사각 프레임에 지지되어 공각이 채워진 복수의 상기 채묘망이 상기 사각 프레임에 매달리게 구성된 채묘 장치.
  6. 망상 구조로 구성되는 채묘망, 및 상기 채묘망이 안착되는 투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채묘망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그물망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 장치는 반원통 형태로 구성되어 함몰면을 가지며 상기 함몰면에 상기 채묘망이 놓여지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1 회 이상 절곡되어 상기 채묘망의 그물망을 관통하여 상기 채묘망이 걸려지는 측방 돌부, 및 상기 투입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함몰면 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채묘망의 그물망을 관통하여 상기 채묘망이 걸려지는 상방 돌부를 포함하는 채묘 장치를 이용하여 굴 유생을 공각에 고착시키는 채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투입 장치 상에 상기 채묘망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투입 장치 내에 공각을 투입하는 단계;
    (b) 투입된 공각이 유실되지 않도록 상기 채묘망을 덮어 밀봉시키는 단계;
    (c) 공각이 채워진 복수의 상기 채묘망을 사각 프레임에 매다는 단계;
    (d) 해수가 담긴 수조 내에 굴 유생을 투입하는 단계;
    (e) 사각 프레임에 매달린 복수의 상기 채묘망을 하강시켜 상기 수조 내에 투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채묘망이 상기 채묘 장치의 함몰면 상에 펼쳐지게 놓여져 상기 채묘망이 상기 함몰면을 덮되 길이 방향 양측이 상기 상방 돌부에 의해 관통되고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측방 돌부에 의해 관통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공각이 상기 투입 장치 내에 투입되는 채묘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 장치는 상기 채묘망을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클립은 고정 핀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 상기 고정 핀과 맞물리는 고정 홈을 구비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접힘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이 상기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져 서로 맞닿되 상기 고정 핀이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어 끼워져 고정되게 구성되며,
    상기 (b) 단계는,
    (f) 상기 채묘망의 양 측부를 내측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공각을 덮은 후 서로 겹쳐진 상기 채묘망의 양 측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 클립으로 서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묘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망은 상기 그물망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채묘망이 상기 투입 장치 내에 놓일 때 상기 투입 장치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놓이는 당김줄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줄은 상기 그물망의 폭보다 길며 상기 그물망을 폭 방향으로 통과하되 양 측이 상기 그물망의 양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b) 단계는,
    (g) 상기 채묘망의 양 측부를 내측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공각을 덮은 후 상기 당김줄을 묶어서 상기 채묘망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가 오므라져 밀폐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묘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 장치는,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을 매다는 거치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 장치는,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에 거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복수 개 배열되는 거치봉, 및 상기 거치봉이 통과되며 채묘망이 매달리는 복수의 걸이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 프레임은 각각의 사각 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 연결 고리, 및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봉 거치 홈을 구비하며,
    상기 거치봉은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 돌부, 및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는 망 지지 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c) 단계는,
    공각이 채워진 상기 채묘망을 상기 걸이 고리를 통해 상기 거치봉에 매달고 상기 거치봉을 상기 사각 프레임에 지지시켜 공각이 채워진 복수의 상기 채묘망이 상기 사각 프레임에 매달리도록 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호이스트 연결 고리에 호이스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사각 프레임을 하강시켜서 상기 수조 내에 복수의 상기 채묘망이 투입되도록 하는 채묘 방법.
KR1020150152522A 2015-10-30 2015-10-30 채묘 장치 KR101831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522A KR101831396B1 (ko) 2015-10-30 2015-10-30 채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522A KR101831396B1 (ko) 2015-10-30 2015-10-30 채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675A KR20170050675A (ko) 2017-05-11
KR101831396B1 true KR101831396B1 (ko) 2018-02-22

Family

ID=5874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522A KR101831396B1 (ko) 2015-10-30 2015-10-30 채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3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513A (ja) * 2000-04-03 2001-10-09 Sadao Tagawa 養殖貝の洗浄方法
JP2009225678A (ja) * 2008-03-19 2009-10-08 Kaiyo Tansa:Kk 沈着基質ユニット及び浮遊幼生育成用構造物
KR101535067B1 (ko) * 2015-04-13 2015-07-08 주식회사 이엠티 패류 수하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513A (ja) * 2000-04-03 2001-10-09 Sadao Tagawa 養殖貝の洗浄方法
JP2009225678A (ja) * 2008-03-19 2009-10-08 Kaiyo Tansa:Kk 沈着基質ユニット及び浮遊幼生育成用構造物
KR101535067B1 (ko) * 2015-04-13 2015-07-08 주식회사 이엠티 패류 수하 자동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675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8995A1 (en) Method of culturing organism to be cultured, and culturing facility
CA2905179C (en) Loop-work rope for mussel culture
JP2007236359A (ja) 蚊の産卵器
WO2001024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quacultured mussels
KR101071149B1 (ko) 어류종묘 중간 육성기 및 이를 이용한 어류종묘 방류 시스템
JP3157283U (ja) 魚介藻類育成用収容体
KR101831396B1 (ko) 채묘 장치
KR101384116B1 (ko) 연승수하식 어패류 양식장치용 양식부
JP2013116063A (ja) ポケット押え蓋付き連段養殖かご
WO2008067612A1 (en) Spat collection and growing medium
CA3097018C (en) Adjustable natural culling of mussel population on mussel-culture ropes
KR101563730B1 (ko) 밴드를 이용한 해양수산물 양식구조체
CA2130099A1 (en) Cultivation of shellfish
KR200415851Y1 (ko) 수하식 사상체 배양장치
JP4629708B2 (ja) 貝類の養殖篭
KR101582104B1 (ko) 굴 양식 설비
JP5302789B2 (ja) 海藻類の養殖方法
JP3199092U (ja) 食用貝養殖器、及び食用貝養殖装置
KR102040792B1 (ko) 미역 채묘틀
JP3197020U (ja) 口を縫わずに貝の出し入れを容易にした貝類の円筒状養殖篭
KR101359539B1 (ko)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KR101703559B1 (ko)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NO770213L (no) Anordning for oppdrett av skalldyr.
ES1205886U (es) Tramado que maximiza la producción en el cultivo de mitilidos
KR101402685B1 (ko) 갯벌참굴 양성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