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39B1 -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39B1
KR101359539B1 KR1020110097479A KR20110097479A KR101359539B1 KR 101359539 B1 KR101359539 B1 KR 101359539B1 KR 1020110097479 A KR1020110097479 A KR 1020110097479A KR 20110097479 A KR20110097479 A KR 20110097479A KR 101359539 B1 KR101359539 B1 KR 10135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edling
seedling frame
side support
fix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670A (ko
Inventor
남명모
문태석
이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9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종묘틀 수동회전 거치장치는, 수중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수동회전되도록 거치되며, 종묘가 부착된 종사가 고정되는 종묘틀;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중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거치대에서 수동회전되는 종묘틀을 포함함으로써, 종묘가 부착된 종사의 전체적인 부위에 태양광 에너지가 골고루 도달되어 종묘를 효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APPARATUS FOR REVOLVING FRAME HOLDING ROPE WITH AQUATIC SEED}
본 발명은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성 유생을 종묘틀에 균질하게 부착시켜 종묘를 효율적으로 대량배양할 수 있는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묘틀을 이용한 양식방법은 종묘를 특정한 부착기질(종사, 그물망 등)에 부착시킨 후 일정기간 동안 육성시키고, 성장된 종묘가 부착되어 있는 종자 자체를 양식하고자 하는 육성용 양성기로 옮기거나, 로-프 또는 기타 도구에 다시 옮겨 부착시켜 성장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4-0067183호는 공정이 단순하고 바다로의 이양과정에서 어린 종자에게 스트레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우렁쉥이 양식방법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공개특허공보 제2004-0067183호는 천을 꼬아서 형성한 천줄 외주면에 팜사 줄을 감은 것을 수조 수면에 잠기게 적치하고 우렁쉥이 알을 수조에 방사하여 부화된 종자들이 팜사 또는 천줄에 부착되도록 한 후 일정 기간 종자를 배양시키고, 이 후 종자가 배양된 천줄을 바다로 옮겨 수중 일정 깊이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2540호는 우렁쉥이 채묘 및 육성기에 관한 것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2540호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 테에 팜사를 횡으로 감아 형성한 채묘기 틀에 우렁쉥이의 란 을 부착하고, 채묘기의 틀과 틀이 일정 간격이 되도록 체결한 후, 원하는 수심에 위치시킴으로써, 우렁쉥이를 육성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종묘틀을 수중에 설치한 경우,수조에서 배양한 가리비 등 부유성 무척추동물 유생을 팜사나 경심어망 등으로 제작한 종묘틀에 부착시키고자 할 때 유생이 종묘틀 상하부에 균질하게 부착하지 않아서 종묘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데 있어 한계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묘틀을 단순히 수상에 고정배치된 지지체에 매달아서 하측 수중으로 늘여드리는 경우, 수조 일측에 분포하는 성질이 있는 부유성 유생이 종묘틀 상부 또는 하부에 한정되어 부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종묘틀이 여러 개 겹쳐서 배치된 경우에는, 수조의 물 흐름이 나빠서 바닥의 수질이 악화되고, 원생생물이 과다번식하여 부착기 종묘의 생존율이 크게 저하되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인력으로 상기 종묘틀을 하나하나 위치변경을 하기에는 여러 가지의 어려움이 있어서,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을 가져왔다.
만약 상기 작업을 한다고 하더라도 작업에 적합한 장치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인력의 낭비 및 과대 경비지출이 불가피, 그리고 작업의 능률도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인력난에 시달리는 어업인들의 경비절감과 시간 단축으로 어업인 소득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빠른 시간 내에 능률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조에서 배양된 가리비 등 부유성 무척추동물 유생이 팜사나 경심어망 등으로 제작된 부착기질인 종묘틀에 부착할 때 수조 속에서 손쉽게 종묘틀을 회전시켜 상하좌우면에 종묘를 균일하게 많이 부착시킬 수 있는,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착기 어린 무척추동물 유생(패류, 해삼, 멍게 등)을 수조에서 배양할 경우 종묘가 부착된 종묘틀을 간단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종묘가 부착된 종사의 전체적인 부위에 종묘가 균질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종묘를 효율적으로 배양하는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거치대에서 회전되는 종묘틀고정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사육수조의 물 흐름을 개선하여 부착기 종묘의 생산량과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는, 수중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회전되도록 거치되며, 종묘가 부착된 종묘틀이 고정되는 종묘틀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종묘틀고정장치는, 양측에 각각 배치된 측지지부재; 두 개의 상기 측지지부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종묘틀이 고정되는 종묘틀고정부; 및 두 개의 상기 측지지부재를 통과하면서 고정되며, 양단부가 상기 거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두 개의 상기 측지지부재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종묘틀고정부는, 일측 상기 측지지부재의 일 모서리로부터 타측 상기 측지지부재의 마주보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고정바가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되어 구성되는 제1 고정면; 및 상기 제1 고정면과 마주보도록, 일측 상기 측지지부재의 다른 모서리로부터 타측 상기 측지지부재의 마주보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고정바가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되어 구성되는 제2 고정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면과 제2 고정면 각각은 이웃하는 두 개의 고정바들이 순차적으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종묘틀은, 상기 제1 고정면의 한 쌍의 상기 고정바와 상기 제2 고정면의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상기 고정바 사이에 펼쳐져서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묘틀고정부는, 쌍을 이루는 상기 고정바들 사이를 연결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거치대에 복수 개의 상기 종묘틀고정바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는, 수중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거치대에서 회전되는 종묘틀고정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부유성 유생을 종묘틀에 균질하게 부착시키고, 사육수조의 물 흐름을 개선하여 부착기 종묘의 생산량과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사를 고정부재로 감은 종묘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가 수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에서 종묘틀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종묘틀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종묘틀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종묘틀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종묘틀고정장치의 종묘틀고정바에 도 1의 종묘틀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종사를 고정부재로 감은 종묘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가 수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는 수중에 설치되는 거치대(20)와, 상기 거치대(20)에 거치되는 종묘틀고정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20)는 수중에 설치되는데,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와 같이 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고정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거치대(20)는 양단부가 양측의 수조(1) 벽에 고정지지되기 위해 수조(1) 벽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방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수조(1) 내측으로 배치된 부위는 수조(1) 내에 수용된 물속으로 위치되도록 양단부로부터 내측 하방절곡되어 연장된 구조를 지닌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거치대(20)에 상기 종묘틀고정장치(40)가 회전되도록 거치된다.
도 3은 도 2의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에서 종묘틀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종묘틀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종묘틀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종묘틀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3의 종묘틀고정장치의 종묘틀고정바에 도 1의 종묘틀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종묘틀고정장치(40)는 양측에 각각 배치된 측지지부재(42), 및 상기 측지지부재(42)에 설치된 종묘틀고정부(44)와 회전축(46)을 포함한다.
상기 측지지부재(42)는 종묘틀고정장치(40)의 전체적인 외형구조를 이루기 위한 프레임 역할을 하며, 종묘틀고정부(44)가 마련되도록 두 개가 서로 적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구성을 이룬다.
일례로서, 측지지부재(42)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일정두께를 가진 외형바(42a) 네 개가 각각 모서리로서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중심을 통과하면서 배치될 상기 회전축(46)을 위한 지지바(42b)가 적정한 형태로 상기 외형바(42a)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묘틀고정부(44)는 두 개의 측지지부재(42)를 연결하면서 종사(4)가 감긴 종묘틀(도 1)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종묘틀고정부(44)는 종사(4)가 감긴 종묘틀(도 1)을 고정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고정면(44a)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1 고정면(44a)과 동일 구성의 제2 고정면(44b)을 구비한다.
이때, 제1 고정면(44a)은 일측 측지지부재(42)의 일 모서리로부터 타측 측지지부재(42)의 마주보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고정바(45)가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제2 고정면(44b)은 상기 제1 고정면(44a)과 마주보도록, 일측 측지지부재(42)의 다른 모서리로부터 타측 측지지부재(42)의 마주보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고정바(45)가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면(44a)과 제2 고정면(44b) 각각은, 이웃하는 두 개의 고정바(45)들이 순차적으로 한 쌍을 이룬다.
여기에서, 종묘가 부착된 종사(4)를 감은 종묘틀(도 1)은 양단부가 각각 제1 고정면(44a)과 제2 고정면(44b)에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고정면(44a)의 한 쌍의 고정바(45)와 제2 고정면(44b)의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고정바(45) 사이에 펼쳐져서 고정부재(49)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9)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줄과 같은 형태의 묶음부재로서, 종사(4)를 일정배열로 유지시키면서, 서로 마주보는 제1 고정면(44a)과 제2 고정면(44b)에서의 각각의 한 쌍의 고정바(45)를 감아서, 종묘틀을 제1 고정면(44a)과 제2 고정면(44b) 사이에 늘어뜨린 형상으로 묶을 수 있다.
이러한 종묘틀고정부(44)에서, 쌍을 이루는 상기 고정바(45)들은 서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45a)에 의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45a)는 일정길이 이상으로 형성된 고정바(45)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또는 부러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46)은 두 개의 측지지부재(42)를 연결하며, 양단부가 거치대(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거치대(20)에 대한 회전축(46)의 연결구조는, 회전축(46)이 종묘틀고정장치(40)를 위치 고정시키면서 원활하게 회전하면 될 뿐 한정되지 않으며, 부싱과 같은 연결부재가 활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종묘틀고정장치(40)는, 사용자가 종묘틀고정장치(40)에서 고정바(45)와 같은 일부분에 걸림부재를 걸어서 밀거나 당김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나아가 종묘틀고정장치(40)는 거치대(20)에 복수 개의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거치대(20)가 적정한 크기인 것이 활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종묘틀고정장치(40)가 바람직하게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종사(4)가 고정된 종묘틀고정장치(40)를 수중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부유성 유생이 종사(4)의 전체적인 부위에 균질하게 부착되고, 수조 하부의 물 흐름이 개선됨으로써, 종묘를 효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 : 종사 20 : 거치대
40 : 종묘틀 42 : 측지지부재
44 : 종사고정부 44a : 제1 고정면
44b : 제2 고정면 45 : 고정바
45a : 리브 46 : 회전축
49 : 고정부재

Claims (6)

  1. 수조에서 배양된 부유성 무척추동물 유생이 부착되는 종사가 감긴 종묘틀을 구비한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에 있어서,
    수중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회전되도록 거치되고, 종묘가 부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종묘틀이 내부에 고정되는 종묘틀고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틀고정장치는,
    양측에 각각 배치된 사각형 구조인 측지지부재;
    두 개의 상기 측지지부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종묘틀이 고정되는 종묘틀고정부; 및
    두 개의 상기 측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양단부가 상기 거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종묘틀고정부는,
    일측 상기 측지지부재의 일 모서리로부터 타측 상기 측지지부재의 마주보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고정바가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되어 구성되는 제1 고정면; 및
    상기 제1 고정면과 마주보도록, 일측 상기 측지지부재의 다른 모서리로부터 타측 상기 측지지부재의 마주보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고정바가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되어 구성되는 제2 고정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면과 제2 고정면 각각은 이웃하는 두 개의 고정바들이 순차적으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복수개의 종묘틀은 상기 제1 고정면의 한 쌍의 상기 고정바와 상기 제2 고정면의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상기 고정바 사이에 펼쳐지고, 상기 각각의 한 쌍의 고정바를 감아서 상기 복수개의 종묘틀을 상기 제1 고정면과 상기 제2 고정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늘어뜨린 형상으로 묶을 수 있는 줄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묘틀고정부는,
    쌍을 이루는 상기 고정바들 사이를 연결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복수 개의 상기 종묘틀고정장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KR1020110097479A 2011-09-27 2011-09-27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KR10135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479A KR101359539B1 (ko) 2011-09-27 2011-09-27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479A KR101359539B1 (ko) 2011-09-27 2011-09-27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70A KR20130033670A (ko) 2013-04-04
KR101359539B1 true KR101359539B1 (ko) 2014-02-25

Family

ID=4843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479A KR101359539B1 (ko) 2011-09-27 2011-09-27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13B1 (ko) * 2015-05-18 2016-09-19 전라남도 대형 해조류용 채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69B1 (ko) * 2013-08-16 2015-07-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051A (ja) * 2003-07-29 2005-02-24 Howa Mach Ltd 海苔網への海苔種付け方法及び海苔網種付装置
KR200378627Y1 (ko) 2004-12-31 2005-03-16 황보철 김 인공 채묘기
KR200412543Y1 (ko) 2006-01-13 2006-03-28 황보철 김 인공 채묘기
KR100762389B1 (ko) 2006-06-12 2007-10-04 황보철 김 육상 채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051A (ja) * 2003-07-29 2005-02-24 Howa Mach Ltd 海苔網への海苔種付け方法及び海苔網種付装置
KR200378627Y1 (ko) 2004-12-31 2005-03-16 황보철 김 인공 채묘기
KR200412543Y1 (ko) 2006-01-13 2006-03-28 황보철 김 인공 채묘기
KR100762389B1 (ko) 2006-06-12 2007-10-04 황보철 김 육상 채묘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13B1 (ko) * 2015-05-18 2016-09-19 전라남도 대형 해조류용 채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70A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838B1 (ko) 피양식 생물의 양식 방법 및 그 양식 시설
CN102150630B (zh) 鲍鱼养殖装置
KR101872289B1 (ko) 이동식 채묘 상자와 이를 이용한 자연형 해조류 양식 방법
CN101606497B (zh) 虾夷扇贝三级育成方法
KR20140003671A (ko)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CN105028278A (zh) 一种南美白对虾定向交尾方法
KR101359539B1 (ko)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KR101359538B1 (ko) 종묘틀 자동제어 장치
KR101538500B1 (ko) 패류 양식용 상자
CN110583544B (zh) 一种扇贝-刺参底层生态综合养殖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63730B1 (ko) 밴드를 이용한 해양수산물 양식구조체
CN211064716U (zh) 一种水产养殖捕捞设备
KR20150068044A (ko) 수산종묘 배양 및 중간 육성을 위한 해면 구조물
JP2010284140A (ja) 海藻種苗の生産方法
CN114287337B (zh) 一种机械化海带养殖方法
KR101346505B1 (ko) 해조류 수평면 양식 장치
KR100261437B1 (ko)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JP5302789B2 (ja) 海藻類の養殖方法
CN205213855U (zh) 一种石斑鱼受精卵的孵化装置
CN203563536U (zh) 鳝鱼繁殖网箱
KR20170029137A (ko)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CN217791024U (zh) 一种鲍鱼养殖用吊箱
CN216363186U (zh) 一种生物治疗用水蛭养殖装置
KR20190002814U (ko)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CN209995154U (zh) 一种多区域分离式沙蚕养殖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