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137A -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137A
KR20170029137A KR1020150126089A KR20150126089A KR20170029137A KR 20170029137 A KR20170029137 A KR 20170029137A KR 1020150126089 A KR1020150126089 A KR 1020150126089A KR 20150126089 A KR20150126089 A KR 20150126089A KR 20170029137 A KR20170029137 A KR 2017002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ds
oysters
oys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진
박미선
Original Assignee
정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진 filed Critical 정선진
Priority to KR102015012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137A/ko
Publication of KR2017002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부착될 수 있는 치패의 수를 늘려 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굴 생산과정에서 노동력 절감을 통한 비용감소 및 재사용성의 확보를 통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측 및 하측의 대칭적인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측 및 하측에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목이 구비된 중앙 지지대, 및 중앙 지지대에 형성된 복수의 각 지지목 외측 단에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원형 형상의 복수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 복수의 측면 프레임을 가로질러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측 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가 구비되며,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부의 절개부를 통해 양단의 말미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부에 장착되어, 부착기에 접어든 굴의 부착 기질로 작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복수의 걸이봉; 걸이봉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삽입 관통하여 복수의 걸이봉 상호 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로프부재를 포함하는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를 포함하는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부착될 수 있는 치패의 수를 늘려 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굴 생산과정에서의 노동력 절감을 통한 비용감소 및 재사용성의 확보를 통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굴 양식은 채묘(採苗), 단련, 수하, 치패의 양성(養成), 수확의 과정을 거친다.
'채묘'는 종묘를 얻는 과정이고 '양성'은 치패(稚貝)의 생활반경을 제한하여 양성과정을 인위적으로 관리하며 생장시키는 과정이며, '수확'은 상품성을 띤 성패(成貝)를 수집 또는 채취하는 과정이다.
굴은 유생기에는 부유생활을 하다가 부화 후 20일 정도가 지나 치패(稚貝)로 성장하면 바위 등에 부착해서 생장한다.
'치패양성'은 수하를 한 후 인위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치패의 생활반경을 제한하여 일정기간 동안 성육시키는 과정으로서, 뗏목식, 로프식, 간이식과 같은 수하식 양성방법, 송지식과 같은 나무가지식 양성방법, 투석식 양성기법이 활용된다.
투석식 양성 방식은 부착 기질로서 사용되는 돌이나 패각을 해저에 투입하여 치패들이 적절한 시기를 골라 투입된 돌에 부착되어 양성되도록 한 방식이다.
이러한 투석식 양성 방식은 풍파 등에 의해 투석재가 매몰되거나 유실될 우려가 있고, 산석 자재의 구입이 어려우며, 산석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운반에 애로가 있다. 또한 매년 마다 전석 및 재투석을 해야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이 만료된 패각을 포함한 투석재의 처리가 문제시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굴 생산의 대부분은 도 1에서와 같이 다량의 굴 종묘를 부착한 가리비 껍질 등의 채묘기(콜렉타)를 줄코팅사 즉, 수하연에 수십 개 씩 부착하여 키우는 연승 수하식에 의존하고 있다.
수하식 양성 방법은 수면에 부유하는 복수의 부자(뜸통)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닻줄에 끼운 다음 닻줄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닻을 해저에 꽂아 고정하고, 해수면과 나란하게 떠있는 어미줄로부터 수하연을 적정 간격으로 벌려 매달아 수하연에 부착된 종패를 양성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수하식 양성 방법은 다량의 종패를 하나의 수하연에 일일이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노동 집약적인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사용한 가리비 패각 등의 채묘기는 재사용이 불가하여 폐기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폐기된 채묘기는 또 다른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541110호(2015.7.31.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부착될 수 있는 치패의 수를 늘려 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굴 생산과정에서의 노동력 절감을 통한 비용 감소 및 재사용성의 확보를 통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는 상측 및 하측의 대칭적인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측 및 하측에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목이 구비된 중앙 지지대, 및 중앙 지지대에 형성된 복수의 각 지지목 외측 단에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원형 형상의 복수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 복수의 측면 프레임을 가로질러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측 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가 구비되며,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부의 절개부를 통해 양단의 말미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부에 장착되어, 부착기에 접어든 굴의 부착 기질로 작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복수의 걸이봉; 걸이봉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삽입 관통하여 복수의 걸이봉 상호 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로프부재를 포함하는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를 포함한다.
또한,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자와 연결되어 하나 이상이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의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수면 아래로 내려질 수 있다.
또한,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는 복수의 걸이봉에 부착된 치패가 소정의 크기로 성장한 경우, 양측에 위치한 측면 프레임의 삽입부에 로프부재로 연결되어 삽입된 복수의 걸이봉은 양측 측면 프레임의 삽입부로부터 인출되어 수면 아래로 펼쳐질 수 있고, 펼쳐진 복수의 걸이봉 상호 간은 치패가 성장할 수 있는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프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를 이용하여 치패의 생육 및 성장한 성패를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단위 면적당 부착될 수 있는 치패의 수를 늘려 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굴 생산과정에서 노동력 절감을 통한 비용감소 및 재사용성의 확보를 통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굴을 양식하는 굴 수하시설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측면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걸이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의 걸이봉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다수의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굴을 양식하는 굴 수하시설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측면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걸이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의 걸이봉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다수의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패 및 성패의 생육이 가능한 굴 양식 장치는, 도 2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복수의 지지목(2)이 구비된 중앙 지지대(4), 절개부(6)가 형성된 원형 형상의 복수의 삽입부(8)를 구비한 측면 프레임(10), 복수의 걸이봉(16), 로프부재(18), 고정클립(30)을 포함하는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20)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측면 프레임(10)은 복수 개가 아래에 기술할 걸이봉의 양측 말미가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도록 걸이봉의 양측에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한다.
측면 프레임은 도 6을 참조하면 중앙 지지대(4) 및 삽입부(8)로 구성된다.
중앙 지지대(4)에는 복수의 지지목(2)이 상측 및 하측의 대칭적인 위치에서 돌출되어 중앙 지지대의 상측 및 하측에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중앙 지지대(4)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목(2) 상호 간의 이격거리는 각 지지목 사이로 해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래에 서술된 복수의 걸이봉(16) 간에 간섭을 피하여 걸이봉(16)에 부착된 치패가 생장하기 위한 영양염 섭식이 용이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 지지대(4)에 형성된 복수의 각 지지목(2) 외측 단에는 일측에 절개부(6)가 형성된 원형 형상의 복수의 삽입부(8)가 형성된다.
걸이봉(16)은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부착기에 접어든 굴 유생 또는 치패의 부착 기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각 양측 단 말미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14)가 구비된다.
요철부(14)는 굴 유생이 부착하는 부위로 부착되는 표면적을 넓혀 부착기 유생의 수용밀도를 높일 수 있고, 굴 유생 및 치패가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표면 거칠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요철부(14)는 유동하는 해류와 충돌로 인한 해류 파쇄효과를 주어 치패의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수의 걸이봉(1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배치되어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10)에 형성된 삽입부(8)의 절개부(6)를 통해 양단의 말미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부에 장착되어 걸이봉(16)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 프레임(10)을 가로질러 평행하게 설치된다.
측면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이봉(16)의 직경과 상호 간의 간격은 각 걸이봉 사이로 해류가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고, 걸이봉 상호 간의 간섭을 줄여 걸이봉에 부착된 치패가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확이 가능할 정도로 성장한 굴의 수확단계에서는 측면 프레임(10)에서 각 걸이봉(16)을 인출하여 걸이봉 표면에 부착된 성패를 쓸어내리는 방식으로 걸이봉에서 성패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수확과정에서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다수의 걸이봉을 사용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굴의 유생 및 치패가 부착할 수 있는 면적을 넓혀 굴의 대량생산을 통한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로프부재(18)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걸이봉(16)의 양측 단 말미에 각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12)에 삽입 관통하여 복수의 걸이봉(16) 상호 간을 직렬적으로 연결한다.
도 2 및 도 7에서는 걸이봉(16) 양측 말미부에 각각 하나의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로프부재(18)가 관통공을 삽입 관통하여 복수의 걸이봉 상호 간을 연결하고 있으나, 이 관통공은 걸이봉 양측 단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관통공을 하나 이상의 로프부재가 삽입 관통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프부재(18)는 비탄성의 끈, 로프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진 로프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20)는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걸이봉에 부착된 치패가 소정의 크기로 성장한 경우, 치패의 양성을 위해 양측에 위치한 측면 프레임의 삽입부(8)에 로프부재(18)로 연결되어 대칭적으로 삽입된 복수의 걸이봉(16)은 각 측면 프레임의 삽입부(8)로부터 인출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자(24)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26)에 의해 수면 아래로 펼쳐질 수 있다.
이렇게 펼쳐진 복수의 걸이봉(16) 상호 간은 치패가 충분한 크기의 성패로 성장할 수 있는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프부재(18)에 탈부착 가능하게 복수의 고정클립(30)이 장착된다.(도 2 내지 도5 및 도 8을 참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걸이봉(16)을 펼쳐 수하할 때 걸이봉들이 수면 아래로 용이하게 가라 않도록 하기 위해 해저 방향의 로프부재 말단에는 무게추 등이 부착될 수 있다.
고정클립(30)은 걸이봉이 해수의 유동 및 자중이나 부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를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걸이봉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측 부위와 로프부재가 맞닿는 부위에 고정클립이 걸려 걸이봉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고정클립(30)의 형상 및 고정방식은 각 걸이봉(16)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다면 마찰력이 큰 고무 링 등의 탄성 소재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소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과 재질의 고정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복수의 걸이봉(16)이 측면 프레임(10)으로부터 인출되어 로프부재(18)에 의해 상호 간 연결되어 펼쳐질 수 있는 상술한 기능에 의해 치패의 양성과정에서 걸이봉에 부착하여 성장하는 치패 상호 간의 간섭을 줄여 치패가 충분한 크기의 성패로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20)는 도 9를 참조하면, 수면에 부유하는 하나 이상의 부자(24)와 복수의 연결부재(26)에 의해 연결되어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 하나 이상이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면 아래로 내려질 수 있다.
도 9에서는 다수의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가 직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하나 이상의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20) 여러 개를 동시에 수하하여 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는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종래의 가리비 패각 등을 사용한 콜렉터와 달리 재사용한 장점이 있어 패각 처리인 인한 비용 절감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지지목 4 - 중앙 지지대
6 - 절개부 8 - 삽입부
10 - 측면 프레임 12 - 관통공
14 - 요철부 16 - 걸이봉
18 - 로프부재 20 - 봉 콜렉터
30 - 고정클립

Claims (3)

  1. 상측 및 하측의 대칭적인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측 및 하측에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목이 구비된 중앙 지지대, 및
    중앙 지지대에 형성된 복수의 각 지지목 외측 단에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원형 형상의 복수의 삽입부
    를 구비하고,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
    복수의 측면 프레임을 가로질러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측 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가 구비되며,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부의 절개부를 통해 양단의 말미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부에 장착되어, 부착기에 접어든 굴의 부착 기질로 작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복수의 걸이봉;
    걸이봉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삽입 관통하여 복수의 걸이봉 상호 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로프부재
    를 포함하는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
    를 포함하는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자와 연결되어 하나 이상이 상호 간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의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수면 아래로 내려질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단위 유닛의 봉 콜렉터는
    복수의 걸이봉에 부착된 치패가 소정의 크기로 성장한 경우,
    양측에 위치한 측면 프레임의 삽입부에 로프부재로 연결되어 삽입된 복수의 걸이봉은 양측 측면 프레임의 삽입부로부터 인출되어 수면 아래로 펼쳐질 수 있고,
    펼쳐진 복수의 걸이봉 상호 간은 치패가 성장할 수 있는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프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클립
    을 더 포함하는,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KR1020150126089A 2015-09-07 2015-09-07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KR20170029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89A KR20170029137A (ko) 2015-09-07 2015-09-07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89A KR20170029137A (ko) 2015-09-07 2015-09-07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37A true KR20170029137A (ko) 2017-03-15

Family

ID=5840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089A KR20170029137A (ko) 2015-09-07 2015-09-07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5660A (zh) * 2021-09-15 2022-01-04 集美大学 环保弹性填料在提高青蟹育苗成活率中的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5660A (zh) * 2021-09-15 2022-01-04 集美大学 环保弹性填料在提高青蟹育苗成活率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67097A (ja) 付着性海生動物の培養
CN213404432U (zh) 一种用于消落带水生观赏植物的培养装置
JP4711807B2 (ja) 海藻種苗の生産方法
CN203058077U (zh) 一种刺参生态苗种室外培育网箱
KR101402683B1 (ko) 갯벌참굴 양성망 설치대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CN102487899B (zh) 适于高沉积水体环境的造礁石珊瑚野外培植方法及其装置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KR20170029137A (ko) 조립형 수하식 굴 양식 장치
JP4915946B2 (ja) 海藻類の増殖方法
KR100261437B1 (ko)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CN110140680A (zh) 一种合浦珠母贝底播养殖方法
KR101402670B1 (ko) 갯벌참굴 양성망 거치대용 참굴 유생 채묘판
KR101582104B1 (ko) 굴 양식 설비
JP5302789B2 (ja) 海藻類の養殖方法
RU27306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трепангов
CN109090050B (zh) 一种免泥沙的沙蚕养殖装置及其使用方法
CN201577408U (zh) 底栖水产品沉礁养殖装置
CN205213855U (zh) 一种石斑鱼受精卵的孵化装置
CN219961682U (zh) 一种用于菲律宾蛤仔室内育苗新型附着基装置
KR101437469B1 (ko) 하이브리드 갯벌참굴 양성기
CN210538205U (zh) 一种合浦珠母贝底播养殖装置
CN218104561U (zh) 一种北方吊养牡蛎养殖期间防脱落装置
CN220292814U (zh) 一种杆线式蚌类吊养模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