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543Y1 - 김 인공 채묘기 - Google Patents

김 인공 채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543Y1
KR200412543Y1 KR2020060001072U KR20060001072U KR200412543Y1 KR 200412543 Y1 KR200412543 Y1 KR 200412543Y1 KR 2020060001072 U KR2020060001072 U KR 2020060001072U KR 20060001072 U KR20060001072 U KR 20060001072U KR 200412543 Y1 KR200412543 Y1 KR 200412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frame
spores
haitai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철
Original Assignee
황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철 filed Critical 황보철
Priority to KR2020060001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5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5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자가 배양 처리되어 있는 패각들과, 상기 패각들이 담겨지는 염수가 저장되어 있는 채묘탱크와, 상기 채묘탱크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해태망을 감을 수 있는 다수개의 살대들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태망을 회전시켜 염수내에 떠다니는 포자를 상기 해태망에 채묘시키는 회전틀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회전틀이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수면위로 수직이동되도록 구성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를 제안한다.
채묘탱크, 패각, 샤프트, 회전틀, 해태망, 유압실린더

Description

김 인공 채묘기{a laver seeds catcher}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김 인공 채묘기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김 인공 채묘기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상세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패각 2: 포자
10: 채묘탱크 14: 염수
18: 구동모터 20: 샤프트
26: 회전틀 32: 살대
34: 걸림테 40,50: 유압실린더
100: 김 인공 채묘기
본 고안은 김 인공 채묘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틀상에 감겨 있는 해태망을 회전시켜 포자가 육상에서 상기 해태망에 인공적으로 채묘되도록 구성한 김 인공 채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회전틀이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수면위로 수직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시킨 김 인공 채묘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김은 소화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김의 올리고당은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리 국민에게는 중요하게 인식되는 식품 중의 하나이지만, 이러한 김이 대량으로 양식되면서 여러 가지 질병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김의 질병을 퇴치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많은 량의 무기산(예를 들어, 염산)은 바다의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있다.
한편 김양식의 과정을 살펴보면, 시험관에서 배양한 유주자가 가을, 겨울, 봄에 걸쳐 자라면서 유성생식을 통해서 과포자를 생성하는데, 이 과포자가 패각에 착생하여 발아가 시작되고, 이것이 균사상의 사상체를 생성한다. 상기 사상체는 여름을 지나고 가을에 포자를 생성하는데, 이 포자가 발아하면 통상의 김으로 키워지게 된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양식방법은 바다에서 자연채묘(바다에 투척되어 있는 해태망에 포자가 자연적으로 착상되어 채묘되도록 하는 것)하기 때문에 양식업자가 원하는 품종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희망하는 날짜에 채묘가 불가능하고, 또한 해태망에 부착되는 포자낭 수를 조절하지 못하여 과밀식으로 인한 갯병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잦은 갯병 발생으로 인해 무기산 등의 산처리제를 바다에 투여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없으며, 또한 수온이 상승하고 저염도 및 태풍과 같은 기상이변시에 아무런 대책 수단이 없기 때문에 김 양식장이 파괴되어 양식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0378627호(김 인공 채묘기; 이하 선 고안이라 함)에서는 패각들이 담겨지는 염수가 저장되어 있는 채묘탱크의 내부에 포자가 배양 처리되어 있는 패각들과, 상기 채묘탱크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결합되어 둘레면에는 해태망을 감을 수 있는 다수개의 살대들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태망을 회전시켜 염수내에 떠다니는 포자를 상기 해태망에 채묘시키는 회전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 고안의 문제점은 상기 회전틀의 허부가 항상 수중에 잠겨있어 포자가 해태망에 일정하게 채묘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다에 투척된 해태망에 포자를 자연채묘 시키지 않고 육상에서 포자가 인공적으로 해태망에 채묘되도록 함으로서 원하는 품종을 선택적으로 양식할 수 있도록 한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하며, 회전틀을 수면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포자가 해태망에 일정하게 채묘될 수 있도록 한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해태망에 채묘되는 포자낭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희망하는 날짜에 채묘가 이루어지도록 한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자가 배양 처리되어 있는 패각들과, 상기 패각들이 담겨지는 염수가 저장되어 있는 채묘탱크와, 상기 채묘탱크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해태망을 감을 수 있는 다수개의 살대들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태망 을 회전시켜 염수내에 떠 다니는 포자를 상기 해태망에 채묘시키는 회전틀과 상기 회전틀을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수면위로 수직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를 제안한다.
즉,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바다에 투척된 해태망에 포자를 자연채묘시키는 양식법과는 개념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회전틀에 감겨있는 해태망을 적정회전수로 회전시켜 채묘탱크내의 염수가 상기 해태망의 회전으로 물결을 일으키며 출렁거리도록 하여 포자가 패각에서 떨어져 나와 염수내를 떠 다니며 상기 해태망에 착상되어 채묘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와같이 방식으로 포자가 채묘된 해태망은 바다 양식장에 직접 투척하거나 혹은 냉동실에 상기 해태망을 적정기간 동안 보관한 후, 적정시기(예를 들어 김 양식에 최적기인 9월달)에 꺼내어 바다에 투척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내지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김 인공 채묘기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김 인공 채묘기(100)는 크게 채묘탱크(10)와, 상기 채묘탱크(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샤프트(20) 및 회전틀(26)과 상기 회전틀(26)을 수면위로 이송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40,50)로 구성된다.
상기 채묘탱크(10)는 직사각형태로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공간부(12)가 구비되고, 이 공간부(12)에는 적정량의 염수(바닷물)(14)가 저장되어 진다. 또한 상기 공간부(12)에는 김의 씨앗에 해당하는 포자(2)가 배양되어 있는 패각(1)(조개류), 들은 염수(14)내에 담겨진 상태가 된다.
상기 회전틀(26)은 상기 샤프트(24)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4)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는 틀로서, 양단에는 링형상의 휠림(Wheel Rim)(28)이 복수개 구비되고, 이 휠림(28)은 상기 샤프트(20)와 보조살(30)로 연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휠림(28)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살대(32)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살대(32)에는 상기 패각(1)에 배양되어 있는 포자(2)를 채묘하게 되는 해태망이 감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틀(26)은 전술한 채묘탱크(10)의 염수(14)내에 적정깊이 담겨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염수(14)가 회전틀(26)의 회전에 따른 물리적인 힘으로 물결을 일으키며 출렁이도록 하여 패각(1)에 배양된 포자(2)가 분리되어 염수(14)내로 떠 다니도록 하여 회전틀(26)에 감겨있는 해태망에 포자(2)가 인공적으로 채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회전틀(26), 바람직하게는 해태망(50)이 감겨지는 다수개의 살대(32)들중 어느 하나의 살대(32) 양 끝단에는 핀형상의 걸림테(3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테(34)는 살대(32)에 감겨지는 해태망이 걸려지도록 하여 해태망이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채묘탱크(10)내의 공간부(12)에 패각(1)을 수용시키게 되면 패각(1)들은 상기 공간부(12)에 저장되어 있는 염수(14)내에 담겨진 상태가 된다.
이후, 회전틀(26)의 살대(32)에 해태망을 감은 다음, 구동모터(18)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구동모터(18)에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20)가 정회전(시계방향)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틀(26)과, 상기 회전틀(26)의 살대(32)에 감겨 있는 해태망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틀(26)과 해태망은 채묘탱크(10)내의 염수(14)에 적정깊이 담겨있는 상태임으로서 상기 회전틀(26)과 해태망이 회전하게 되면 염수(14)는 물리적인 힘을 받아 물결을 일으키며 출렁(요동)이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염수(14)가 출렁이게 되면 패각(1)에 배양되어 있는 포자(2)는 패각(1)에서 떨어져 나와 염수(14)내를 떠다니며 해태망에 착상되어 짐으로서 인공적으로 채묘되어 진다. 또한 상기 해태망은 정지된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해태망 전체면에 포자(2)가 균일하게 채묘될 수 있게 된다.
그러고 상기 유압실린더(40,50)는 채묘탱크(10)의 좌/우측에 설치된 프레임(43,53)에 설치되어 유압유니트(42,52)에 의하여 작동되며, 해태망에 채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유압실린더(40,50)를 작동시켜 상기 회전틀(26)이 수면을 벗어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틀(26)의 이송운동은 베이스프레임(60)에 설치된 롤러(62,72)와 가이드프레임(70,72)에 의하여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압실린더의 작동은 유압유니트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은 것이다.
이후, 해태망에 포자(2)가 채묘되고 나면 회전틀(26)을 역회전시켜 살대(32)에 감겨있는 해태망을 풀어줌으로서 작업이 완료된다.
미설명부호......71,73은 보강프레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 인공 채묘기는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고안은 희망하는 품종을 확실하게 채묘를 하므로서 실패율을 최소화하고, 채묘작업이 끝난 다음 해태망이 제거되기 전에 채묘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해태망 하부의 과밀식 채묘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 본 고안은 양식업자들이 희망하는 날짜에 채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다에서 채묘하지 않고 육상에서 채묘가 가능하므로 어촌의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우량품종을 혼합 사용하여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본 고안은 파래구제와 갯병을 예방하고 김 생산의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김 생산으로 인해 가격 상승효과를 가져오며, 또한 무기산 사용을 억제하여 환경오염 및 생태계의 파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네 번째로, 본 고안은 김양식의 이모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한 밀식예방으로 인해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 번째로, 본 고안은 갯병이 발생했을 때 혹은 수온이 높거나 태풍 등으로 기상이 악화시에는 해태망을 전량 수거하여 냉동보관하므로서 김 폐사율을 현저히 낮추고, 또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김 양식어민들의 소득 증대를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포자(2)가 배양 처리되어 있는 패각(1)들과;
    상기 패각(1)들이 담겨지는 염수(14)가 저장되어 있는 채묘탱크(10)와;
    상기 채묘탱크(10)에 설치되며 구동모터(18)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에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해태망(50)을 감을 수 있는 다수개의 살대(32)들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태망(50)을 회전시켜 염수(14)내에 떠 다니는 포자(2)를 상기 해태망(50)에 채묘시키는 회전틀(2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에 있어서,
    채묘탱크(10)의 좌/우측에 설치된 프레임(43,53)에 설치되어 유압유니트(42,52)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압실린더(40,50)와;
    프레임(43,53)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틀(26)의 원활한 이송운동을 돕는 베이스프레임(60)과, 롤러(62,72) 및 가이드프레임(70,7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대(32)의 양 끝단에는 상기 해태망을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테(34)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
KR2020060001072U 2006-01-13 2006-01-13 김 인공 채묘기 KR200412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072U KR200412543Y1 (ko) 2006-01-13 2006-01-13 김 인공 채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072U KR200412543Y1 (ko) 2006-01-13 2006-01-13 김 인공 채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543Y1 true KR200412543Y1 (ko) 2006-03-28

Family

ID=4176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072U KR200412543Y1 (ko) 2006-01-13 2006-01-13 김 인공 채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543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39B1 (ko) 2011-09-27 2014-02-25 대한민국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KR101359538B1 (ko) * 2011-10-20 2014-02-25 대한민국 종묘틀 자동제어 장치
KR101527060B1 (ko) * 2012-07-06 2015-06-08 조재현 포자이앙 클램프
KR101533969B1 (ko) * 2013-08-16 2015-07-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
KR101657413B1 (ko) * 2015-05-18 2016-09-19 전라남도 대형 해조류용 채묘장치
KR102478878B1 (ko) 2022-09-23 2022-12-16 최옥산 포자양생탱크가 구비된 김 육상 채묘장치
KR102478888B1 (ko) 2022-06-13 2022-12-16 최옥산 김 육상 채묘장치
KR20230030147A (ko) 2021-08-25 2023-03-06 최옥산 김 육상 채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39B1 (ko) 2011-09-27 2014-02-25 대한민국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KR101359538B1 (ko) * 2011-10-20 2014-02-25 대한민국 종묘틀 자동제어 장치
KR101527060B1 (ko) * 2012-07-06 2015-06-08 조재현 포자이앙 클램프
KR101533969B1 (ko) * 2013-08-16 2015-07-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
KR101657413B1 (ko) * 2015-05-18 2016-09-19 전라남도 대형 해조류용 채묘장치
KR20230030147A (ko) 2021-08-25 2023-03-06 최옥산 김 육상 채묘장치
KR102478888B1 (ko) 2022-06-13 2022-12-16 최옥산 김 육상 채묘장치
KR102478878B1 (ko) 2022-09-23 2022-12-16 최옥산 포자양생탱크가 구비된 김 육상 채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543Y1 (ko) 김 인공 채묘기
KR100762389B1 (ko) 김 육상 채묘 장치 및 그 방법
CN102783433B (zh) 一种稻田养殖扣蟹的方法
CN108967085B (zh) 一种稻田-南美白对虾异位生态养殖系统
CN101292614A (zh) 稻田与池塘杂交龙虾养殖技术
CN102835243A (zh) 无瓣海桑育苗及造林方法
CN104206144B (zh) 一种红树植物银叶树种苗繁育栽培的方法
CN101032235A (zh) 淡水杂交龙虾孵化养殖技术
CN103385195A (zh) 淡水龙虾的养殖方法
CN107873443A (zh) 一种生产马铃薯原原种的方法
CN103563861B (zh) 双齿围沙蚕全人工繁养工艺
CN114885875A (zh) 稻田双虾轮养综合种养方法
KR200378627Y1 (ko) 김 인공 채묘기
CN105145413B (zh) 一种菲律宾蛤仔种苗规模化培育方法
CN104521654A (zh) 一种通过种植水稻治理池塘富营养化的方法
CN112493188A (zh) 一种稻虾轮作生态养殖方法
CN104938263B (zh) 一种异形瓢虫防治设施蔬菜蚜虫的方法
JP2008125422A (ja) 海苔の単細胞化方法及び養殖方法
CN108293747A (zh) 一种水稻生态种植方法
CN104938381B (zh) 一种多鳞鱚与对虾低位土塘混养方法
CN104304131A (zh) 水稻田中养殖泥鳅鱼的方法
Sudhan et al. Paddy cum prawn farming (Pokkali fields) of Kerala
CN1762192A (zh) 一种耐盐植物-三角叶滨藜的种植方法
Sreelatha et al. Pokkali rice cultivation in India: A technique for multi-stress management
CN107548753A (zh) 一种桂花双膜覆盖扦插育苗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