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627Y1 - 김 인공 채묘기 - Google Patents

김 인공 채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627Y1
KR200378627Y1 KR20-2004-0037629U KR20040037629U KR200378627Y1 KR 200378627 Y1 KR200378627 Y1 KR 200378627Y1 KR 20040037629 U KR20040037629 U KR 20040037629U KR 200378627 Y1 KR200378627 Y1 KR 200378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tai
spores
shaft
artifici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철
Original Assignee
황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철 filed Critical 황보철
Priority to KR20-2004-0037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2001/048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자가 배양 처리되어 있는 패각들과, 상기 패각들이 담겨지는 염수가 저장되어 있는 채묘탱크와, 상기 채묘탱크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해태망을 감을 수 있는 다수개의 살대들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태망을 회전시켜 염수내에 떠 다니는 포자를 상기 해태망에 채묘시키는 회전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김 인공 채묘기{a laver seeds catcher}
본 고안은 김 인공 채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틀상에 감겨 있는 해태망을 회전시켜 포자가 육상에서 상기 해태망에 인공적으로 채묘되도록 구성한 김 인공 채묘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김은 소화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김의 올리고당은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리 국민에게는 중요하게 인식되는 식품 중의 하나이지만, 이러한 김이 대량으로 양식되면서 여러 가지 질병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김의 질병을 퇴치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많은 량의 무기산(예를 들어, 염산)은 바다의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있다.
한편 김양식의 과정을 살펴보면, 시험관에서 배양한 유주자가 가을, 겨울, 봄에 걸쳐 자라면서 유성생식을 통해서 과포자를 생성하는데, 이 과포자가 패각에 착생하여 발아가 시작되고, 이것이 균사상의 사상체를 생성한다. 상기 사상체는 여름을 지나고 가을에 포자를 생성하는데, 이 포자가 발아하면 통상의 김으로 키워지게 된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양식방법은 바다에서 자연채묘(바다에 투척되어 있는 해태망에 포자가 자연적으로 착상되어 채묘되도록 하는 것)하기 때문에 양식업자가 원하는 품종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희망하는 날짜에 채묘가 불가능하고, 또한 해태망에 부착되는 포자낭 수를 조절하지 못하여 과밀식으로 인한 갯병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잦은 갯병 발생으로 인해 무기산 등의 산처리제를 바다에 투여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없으며, 또한 수온이 상승하고 저염도 및 태풍과 같은 기상이변시에 아무런 대책 수단이 없기 때문에 김 양식장이 파괴되어 양식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다에 투척된 해태망에 포자를 자연채묘시키지 않고 육상에서 포자가 인공적으로 해태망에 채묘되도록 함으로서 원하는 품종을 선택적으로 양식할 수 있도록 한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해태망에 채묘되는 포자낭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희망하는 날짜에 채묘가 이루어지도록 한 김 인공 채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포자가 배양 처리되어 있는 패각들과, 상기 패각들이 담겨지는 염수가 저장되어 있는 채묘탱크와, 상기 채묘탱크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해태망을 감을 수 있는 다수개의 살대들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태망을 회전시켜 염수내에 떠 다니는 포자를 상기 해태망에 채묘시키는 회전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를 제안한다.
즉,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바다에 투척된 해태망에 포자를 자연채묘시키는 양식법과는 개념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회전틀에 감겨있는 해태망을 적정회전수로 회전시켜 채묘탱크내의 염수가 상기 해태망의 회전으로 물결을 일으키며 출렁거리도록 하여 포자가 패각에서 떨어져 나와 염수내를 떠 다니며 상기 해태망에 착상되어 채묘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와같이 방식으로 포자가 채묘된 해태망은 바다 양식장에 직접 투척하거나 혹은 냉동실에 상기 해태망을 적정기간 동안 보관한 후, 적정시기(예를 들어 김 양식에 최적기인 9월달)에 꺼내어 바다에 투척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김 인공 채묘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김 인공 채묘기(100)는 크게 채묘탱크(10)와, 상기 채묘탱크(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샤프트(20) 및 회전틀(26)로 구성된다.
상기 채묘탱크(10)는 직사각형태로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공간부(12)가 구비되고, 이 공간부(12)에는 적정량의 염수(바닷물)(14)가 저장되어 진다. 또한 상기 공간부(12)에는 김의 씨앗에 해당하는 포자(2)가 배양되어 있는 패각(1)(조개류),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각(1)들이 보관되어 있는 다수의 보관함(16)들이 수용되어 지며, 따라서 패각(1)들은 염수(14)내에 담겨진 상태가 된다.
상기 샤프트(20)는 구동모터(18)와 벨트(22) 연결되어 정, 역회전하는 축으로서, 이 샤프트(20)의 양측에는 서포트(24)가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24)는 상기 채묘탱크(10)에 지지되어 상기 샤프트(20)를 채묘탱크(10)상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틀(26)은 상기 샤프트(24)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4)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는 틀로서, 양단에는 링형상의 휠림(Wheel Rim)(28)이 복수개 구비되고, 이 휠림(28)은 상기 샤프트(20)와 보조살(30)로 연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휠림(28)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살대(32)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살대(32)에는 상기 패각(1)에 배양되어 있는 포자(2)를 채묘하게 되는 해태망(50)들이 수회 감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틀(26)은 전술한 채묘탱크(10)의 염수(14)내에 적정깊이 담겨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염수(14)가 회전틀(26)의 회전에 따른 물리적인 힘으로 물결을 일으키며 출렁이도록 하여 패각(1)에 배양된 포자(2)가 분리되어 염수(14)내로 떠 다니도록 하여 회전틀(26)에 감겨있는 해태망(50)에 포자(2)가 인공적으로 채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회전틀(26), 바람직하게는 해태망(50)이 감겨지는 다수개의 살대(32)들중 어느 하나의 살대(32) 양 끝단에는 핀형상의 걸림테(3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테(34)는 살대(32)에 감겨지는 해태망(50)이 걸려지도록 하여 해태망(50)이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김 인공 채묘기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첨부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묘탱크(10)내의 공간부(12)에 패각보관함(16)을 수용시키게 되면 패각(1)들은 상기 공간부(12)에 저장되어 있는 염수(14)내에 담겨진 상태가 된다.
이후, 회전틀(26)의 살대(32)에 해태망(50)들을 수회 감은 다음, 구동모터(18)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구동모터(18)와 벨트(22)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20)가 정회전(시계방향)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틀(26)과, 상기 회전틀(26)의 살대(32)에 감겨 있는 해태망(50)들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틀(26)과 해태망(50)은 채묘탱크(10)내의 염수(14)에 적정깊이 담겨있는 상태임으로서 상기 회전틀(26)과 해태망(50)이 회전하게 되면 염수(14)는 첨부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적인 힘을 받아 물결을 일으키며 출렁(요동)이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염수(14)가 출렁이게 되면 패각(1)에 배양되어 있는 포자(2)는 패각(1)에서 떨어져 나와 염수(14)내를 떠 다니며 해태망(50)에 착상되어 짐으로서 인공적으로 채묘되어 진다. 또한 상기 해태망(50)은 정지된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해태망(50) 전체면에 포자(2)가 균일하게 채묘될 수 있게 된다.
이후, 해태망(50)에 포자(2)가 채묘되고 나면 회전틀(26)을 역회전시켜 살대(32)에 감겨있는 해태망(50)을 풀어줌으로서 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 인공 채묘기는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고안은 희망하는 품종을 확실하게 채묘를 하므로서 실패율을 최소화하고, 또한 포자낭 부착수를 조절하여 과밀식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 본 고안은 양식업자들이 희망하는 날짜에 채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다에서 채묘하지 않고 육상에서 채묘가 가능하므로 어촌의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우량품종을 혼합 사용하여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본 고안은 파래구제와 갯병을 예방하고 김 생산의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김 생산으로 인해 가격 상승효과를 가져오며, 또한 무기산 사용을 억제하여 환경오염 및 생태계의 파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네 번째로, 본 고안은 김양식의 이모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한 밀식예방으로 인해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 번째로, 본 고안은 갯병이 발생했을 때 혹은 수온이 높거나 태풍 등으로 기상이 악화시에는 해태망을 전량 수거하여 냉동보관하므로서 김 폐사율을 현저히 낮추고, 또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김 양식어민들의 소득 증대를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김 인공 채묘기의 전체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와 도 2b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김 인공 채묘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패각 2: 포자
10: 채묘탱크 14: 염수
18: 구동모터 20: 샤프트
26: 회전틀 32: 살대
34: 걸림테 50: 해태망
100: 김 인공 채묘기

Claims (2)

  1. 포자(2)가 배양 처리되어 있는 패각(1)들과;
    상기 패각(1)들이 담겨지는 염수(14)가 저장되어 있는 채묘탱크(10)와;
    상기 채묘탱크(10)에 설치되며 구동모터(18)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에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해태망(50)을 감을 수 있는 다수개의 살대(32)들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태망(50)을 회전시켜 염수(14)내에 떠 다니는 포자(2)를 상기 해태망(50)에 채묘시키는 회전틀(2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살대(32)들 중 어느 하나의 살대(32) 양 끝단에는 상기 해태망(50)을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테(34)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인공 채묘기.
KR20-2004-0037629U 2004-12-31 2004-12-31 김 인공 채묘기 KR200378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29U KR200378627Y1 (ko) 2004-12-31 2004-12-31 김 인공 채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29U KR200378627Y1 (ko) 2004-12-31 2004-12-31 김 인공 채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627Y1 true KR200378627Y1 (ko) 2005-03-16

Family

ID=4368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629U KR200378627Y1 (ko) 2004-12-31 2004-12-31 김 인공 채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62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39B1 (ko) 2011-09-27 2014-02-25 대한민국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KR101359538B1 (ko) * 2011-10-20 2014-02-25 대한민국 종묘틀 자동제어 장치
KR101657413B1 (ko) * 2015-05-18 2016-09-19 전라남도 대형 해조류용 채묘장치
KR102478888B1 (ko) * 2022-06-13 2022-12-16 최옥산 김 육상 채묘장치
CN116267722A (zh) * 2023-01-31 2023-06-23 江苏海洋大学 一种简易的贝类苗种均匀播种装置
KR102629468B1 (ko) * 2023-03-13 2024-01-30 주식회사 슈니테크 김 양식용 사상체 배양필름 및 이를 이용한 사상체 배양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39B1 (ko) 2011-09-27 2014-02-25 대한민국 종묘틀 회전 거치장치
KR101359538B1 (ko) * 2011-10-20 2014-02-25 대한민국 종묘틀 자동제어 장치
KR101657413B1 (ko) * 2015-05-18 2016-09-19 전라남도 대형 해조류용 채묘장치
KR102478888B1 (ko) * 2022-06-13 2022-12-16 최옥산 김 육상 채묘장치
CN116267722A (zh) * 2023-01-31 2023-06-23 江苏海洋大学 一种简易的贝类苗种均匀播种装置
CN116267722B (zh) * 2023-01-31 2024-02-27 江苏海洋大学 一种简易的贝类苗种均匀播种装置
KR102629468B1 (ko) * 2023-03-13 2024-01-30 주식회사 슈니테크 김 양식용 사상체 배양필름 및 이를 이용한 사상체 배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543Y1 (ko) 김 인공 채묘기
KR100762389B1 (ko) 김 육상 채묘 장치 및 그 방법
CN102783433B (zh) 一种稻田养殖扣蟹的方法
CN103461049B (zh) 水稻保护地设施栽培技术
CN102835243A (zh) 无瓣海桑育苗及造林方法
CN113647349B (zh) 一种基于无沟化稻田改造的稻虾综合种养方法
CN101595857B (zh) 广聚萤叶甲的人工大规模饲养方法
KR100594729B1 (ko) 김 양식용 수하식 채묘장치 및 채묘방법
KR200378627Y1 (ko) 김 인공 채묘기
CN101049077A (zh) 淡水蔬菜海水化无土营养液栽培技术
CN108076999A (zh) 一种糯米种植方法
CN112493188A (zh) 一种稻虾轮作生态养殖方法
CN107926500A (zh) 一种草果种苗的高效培育方法
KR200373832Y1 (ko) 회전형 새싹 채소 재배 장치
CN114568363B (zh) 一种仿生蜕壳窝以及利用稻谷加工副产品辅助河蟹养殖的方法
JP2008125422A (ja) 海苔の単細胞化方法及び養殖方法
CN109258152A (zh) 一种泰山紫草瓶内微茎扦插繁殖方法
CN101702967B (zh) 提高海菜花种子萌发率的种子冬季储存及春季栽培的方法
CN110786277B (zh) 疣吻沙蚕的人工育苗与大田养殖方法
CN102783367A (zh) 防治西瓜枯萎病的嫁接苗培育方法
KR100696371B1 (ko) 김 육상채묘 및 냉동망 양식 방법
RU2291606C2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сахарной кукурузы на зерно
JP2012016343A (ja) 褐藻アカモク藻体の養殖方法
CN107278737B (zh) 一种水稻鱼苗共作生态养殖方法
Kaliaperumal et al. Hand Book on Aquafarming: Seaweed, Sea Urchin and Sea-Cucu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