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492B1 -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492B1
KR101830492B1 KR1020160009094A KR20160009094A KR101830492B1 KR 101830492 B1 KR101830492 B1 KR 101830492B1 KR 1020160009094 A KR1020160009094 A KR 1020160009094A KR 20160009094 A KR20160009094 A KR 20160009094A KR 101830492 B1 KR101830492 B1 KR 10183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jugated diene
added
polymer
butadiene
dien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112A (ko
Inventor
정진성
이도훈
최준걸
김경하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492B1/ko
Priority to CN201611163542.6A priority patent/CN106995541B/zh
Priority to JP2016245307A priority patent/JP6615739B2/ja
Publication of KR2017008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2Introducing metal atoms or metal-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25Incorporating silicon atoms into th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양쪽개시제를 활용한 음이온 중합기술을 이용하여 특정한 구조로 양쪽 말단이 실리카와 혼용성이 좋은 관능기로 변성된 선형구조와 가지형 공액디엔계 고분자의 조합을 통한 공액디엔계 고분자 제조로 고무복합재 제조 시 무기물 충진재와의 친화성의 증대로 인한 무기물 분산성이 향상이 될 수 있는 변성된 공액 디엔계 고분자 소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고무조성물{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a tire rubber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성율을 증대시킨 공액 디엔계 고분자에 관련된 것으로 충진제 및 가황제에 의한 고무복합재 재조시 쉬트 가공성, 저히스테리시스로스성, 웨트 스키드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타이어 트레드(tread)용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용액중합을 이용하여 얻어진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SBR)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카본 음이온성을 가지는 유기금속촉매를 개시제로 사용하고 음이온 중합이라는 중합법의 특징으로 분자량, 분자량 분포는 물론 고분자 미세구조(micro-structure) 뿐만이 아니라 거대구조(macro-structure)도 조절할 수 있어 타이어 트레드에 사용 시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 향상 및 연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고무 소재를 디자인 할 수 있다.
USP 7915349 B2, USP 8426513 B2, USP 8383711 B2, EP 2045272 B1에서는 카본음이온성을 가지는 알킬리튬과 같은 유기금속촉매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중합하고 변성화합물로는 아민기와 알콕시 실란이 포함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는 말단에 존재하는 아민기와 알콕시 실란이 표면에 극성기를 가지는 실리카 같은 무기첨가제와의 상용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관능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카본계 유기금속 촉매 개시제로 중합을 개시 시키기 때문에 중합이 시작되는 시작말단은 변성이 불가하고 고분자 끝말단만이 변성 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분자량을 높이거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이온과 반응할 수 있는 3가 이상의 변성제에 의해 커플링 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관능기 부분이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 중앙에 존재하기 때문에 무기첨가제와의 상용성 및 분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변성공액디엔계로 타이어 트레드 제조 시 변성되지 않은 고분자 시작말단으로 인해 연비가 낮아지거나 제동성과 연비의 균형이 낮아질 수 있다.
USP 8278395 B2, KR20045225 B1에서도 말단 변성을 위해서 다가의 글리시딜기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변성제를 부틸리튬과 같은 유기금속촉매로 개시하여 중합한 공액디엔계 고분자에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관능기를 가지는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실리카와 같은 무기첨가제에 도입함으로써 상용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3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용액중합 공액디엔계 고분자의 경우 분자량은 200,00~600,000 g/mol로써 실리카와 복합재를 제조 하였을 경우 기존 ESBR과 카본블랙 복합재 대비 타이어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마모특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결과를 보인다.
US 5487848 A, WO 2002008300 A1에서는 2가 이상의 음이온 리튬촉매를 활용하여 다가의 공액디엔계 고분자 제조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사용한 개시제로는 1,3-디비닐벤젠(1.3-divinylbenzene),1,3-디이소프로필벤젠(1,3―diisopropenylbenzene), 1,3,5-트리비닐벤젠(1,3,5-trivinylbenzene) 및 1,3,5-트리이소프로페닐벤젠(1,3,5-triisopropenylbenzene) 등을 부틸리튬(Butyl lithium), 세컨더리 부틸리튬(secondary butyl lithium)과 반응하여 2가 또는 3가의 음이온 개시제를 제조 하고 이를 중합에 활용하여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제조 하였다. 이 기술은 말단 변성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반면, 커플링 반응 시 겔화(gelation) 반응이 일어날 수 있어 상업적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양쪽개시제를 활용하여 양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화 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역디엔계 고분자 제조 후 선택적으로는 추가 변성제를 사용하여 양말단 변성 선형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제조하고 다른 반응기를 사용하여 중합 한 가지형의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일정 비율로 블랜딩 함으로서 변성율과 거대분자구조와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컴파운딩시 무기물 충진재와의 친화성의 증대 및 이로 인한 분산성이 향상이 될 수 있는 변성된 공액 디엔계 고분자 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쪽개시제를 이용하여 양쪽의 말단에 실리카와 혼용이 용이한 관능기를 부여한 선형 구조와 거대 분자인 가지형의 구조를 동시에 가지게 함으로서 무기첨가제의 고무상에서의 분산 향상 및 가교시편의 기계적성능과 마모성을 개선시켜 타이어트레드에 이용시 고연비성, 고제동성, 고마모성등을 갖는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무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쪽개시제를 이용하여 양쪽말단에 실리카와 혼용이 가능한 관능기를 부여한 선형의 공액디엔계 고분자와 고분자량의 가지형 공액디엔계 고분자의 용액블랜드로 얻어지는 혼합형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무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선형의 양쪽말단이 변성된 고분자는 양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말단 변성제를 투입하여 제조한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뜻한다.
사용할 수 있는 개시제로는 1,3-디비닐벤젠(1.3 divinylbenzene), 1,3-디이소프로펜일벤젠(1,3-diisopropenylbenzene), 1,3,5-트리비닐벤젠(1,3,5-trivinyl benzene) 및 1,3,5-트리이소프로펜일벤젠(1,3,5-triisopropenylbenzene)등을 부틸리튬(butyl lithium), 세컨더리 부틸리튬(secondary butyl lithium)과 반응한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1,3-디이소프로펜일벤젠(1,3-diisopropenylbenzene)을 터셔리-부틸리튬(tert-부틸리튬(BuLi))을 혼합하여 양쪽성 개시제를(DIB-dianion) 제조한 것을 이용하여 스티렌-부타디엔 고분자 양쪽 말단 활성 음이온을 제조하고 양쪽 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 된 선형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에 말단 변성제로 아민계, 알콕시실란계, 시아노계, 히드록시계, 카르복시기계, 설폰계, 포스페이트계, 이써계, 아크릴계, 메타이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계 변성제를 투입하여 양쪽 말단이 변성된 고분자를 제조한 것을 의미한다.
고무조성물 제조 시 사용된 공액디엔계 고분자는 앞서 제조한 선형 양변성 한종 이상과 가지형의 용액 블랜드를 통하여 제조한 것을 의미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형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제조할 경우 단량체, 용매, 분자조절제(랜돔화제)를 반응기에 채운 후 양쪽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양말단이 음이온으로 되어 활성말단이 존재하는 공액디엔계 고분자 중합을 수행한 후에 추가로 말단변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양말단변성공액디엔계 선형 고분자를 뜻한다. 자세한 방법은 하기에 명시한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가지형의 고분자량 공액디엔계 고분자는 끝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플링제 투입에 의해 제조 된 다가 가지형으로 별형의 고분자를 뜻한다.
가지형의 공액디엔계 고분자는 노말부틸리튬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끝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화 된 스트렌-부타디엔 음이온 중합 후 커플링제를 관능기수에 따라 음이온 대비 1당량 투입하여 90%이상이 가지형인 공액디엔계 고분자 제조를 의미한다.
고무조성물 제조시 사용된 공액디엔계 고분자는 앞서 제조한 선형 양변성 한종 이상과 가지형의 용액 블랜드를 통하여 제조한 것을 의미한다.
가지형 공액디엔계 고분자는 앞서 설명한 선형의 활성말단을 포함한 공액디엔계 고분자에 활성화된 리빙음이온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가 3개 이상인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가지형의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제조한다.
커플링제는 일반적으로 음이온과 반응할 수 있는 어떤 것이든 가능하며, 관능기 개수에 따라 분자량이 증가 되거나 고분자 구조가 변형된 것을 얻을 수 있는데 별형의 가지형 고분자를 얻기 위해서는 3가 이상의 커플링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주석계열이나 알콕시실란 혹은 실릴할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글리시딜기가 포함된 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석계열로는 디페닐주석 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 디클로라이드, 디헥실주석 디클로라이드, 디올틱주석 디클로라이드, 페닐주석 트리클로라이드, 부틸주석 트리클로라이드, 옥틸주석 트리클로라이드, 테트라클로로 주석, 테트라 메톡시주석, 테트라 에톡시주석, 테트라프로폭시주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알콕시실란계열은 디메틸디메톡시 실란, 디에틸디메톡시 실란, 디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부틸디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 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부틸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릴할라이드계열은 디페닐디클로로실란, 디헥실디클로로실란, 디옥틸디클로로실란, 디부틸디클로로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헥실트리클로로실란, 옥틸트리클로로실란, 부틸트리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테트라클로로실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글리시딜기가 포함된 화합물은 4,4'-메틸렌비스(N,N-디글리시딜아닐린), N,N-디글리시딜-4-글리시독시아닐린, N,N-디글리시딜아닐린, N,N,N'N'-테트라글리시딜-3,3'-디에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터셔리 부틸 아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이 에스테르기를 함유하고 있는 아미노실란 유도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커플링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예시하는 것은 구조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주석계열, 알콕시실란계열, 실릴할라이드계열, 글리시딜계열과 같이 음이온 활성을 가진 끝말단과 반응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양쪽개시제를 활용한 공액 디엔계 고분자에 관련된 것으로 양쪽성 선형과 가지형의 블랜드(blend)로 충진제 및 가황제에 의한 고무복합재 재조 시 쉬트 가공성, 저히스테리시스로스성, 웨트 스키드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타이어 트레드(tread)용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 1은 양말단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를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는 하기와 같이 중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두 개의 각기 다른 반응기에서 한쪽은 양쪽성 개시제를(DIB-dianion) 이용하여 선형구조의 양쪽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 된 공액디엔계 제조 후 변성제를 투입하여 양말단을 변성하고 반응을 종결하여 양말단 변성의 선형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제조 한 것과 다른 반응기에서는 선형구조의 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 된 공액디엔계 제조 후 커플링제를 투입하여 가지구조의 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제조한다. 이렇게 얻어진 두가지 샘플을 용액상에서 블랜드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이용하여 잔류 용매 제거 후 건조를 하여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중합 시 경우에 따라서 극성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극성첨가제는 중합체의 미세구조를 제어하기 위해서나 중합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반응성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며, 첨가량은 첨가제의 목적이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극성첨가제의 예로서는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에틸에테르, 시클로아말에테르, 디프로필레테르, 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아민, 에틸부틸 에테르, 크라운에테르, 디테트라하이드로퓨릴프로판, 에틸테트라하이드로퓨릴 에테르,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과 그들의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극성첨가제에 의해 중합체의 랜덤구조와 비닐그룹의 함량들이 목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또한 중합반응 속도를 향상시키기도 한다.
중합 시 사용되는 용매는 탄화수소 용매로 n-헥산, n-헵탄, 사이클로헥산, 이소옥탄, 메틸싸이클로펜탄, 벤젠, 톨루엔, 크시렌,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단량체들은 상기 탄화수소 용매내에서 5~50중량% 이 되도록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15~35 중량% 수준에서 첨가한다. 5 중량% 미만에서는 중합시간이 길어지거나 반응이 어려울 수 있으며, 50 중량% 이상에서는 용액 점도가 상승하여 분자량이나 반응열을 제어하기 어렵거나 중합 시 균일한 교반이 어렵다.
블랜드 샘플을 제작함에 있어 선형구조의 함량과 선형/가지형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을 조절한 이유는 타이어 복합재 제조 시 요구되는 무늬점도로 블랜드 샘플을 제조하기 위함이다.
양말단 변성 선형구조의 함량은 10~60 중량부가 바람직한데.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블랜드 샘플의 무늬점도가 너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60 중량부 초과인 경우는 무늬점도가 너무 높아져 타이어 복합재 제조시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양말단 변성 선형구조의 고분자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200,000g/mol이며, 가지형 고분자의 커플링 전 선형의 음이온 활성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0~4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를 활용하여 타이어 복합재 제조 시 사용되는 고무의 무늬점도는 배합용도에 따라서 무늬점도 30~180의 고무를 사용하여 복합재를 제조 한다. 선형구조 함량이 너무 많아 지거나, 수평균 분자량이 너무 낮게 제조 되면 무늬점도가 30이하로 제조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선형구조 함량이 너무 적거나, 수평균 분자량이 너무 높게 되면 무늬점도가 180을 넘을 수 있기 때문이다.
중합 시 중합온도는 용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0~160℃에서 중합이 가능하다. 중합온도에 따라 미세구조가 달라질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중합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말단변성제 투입 전 중합체 말단의 음이온 반응성에 따라 혹은 추가변성제와 중합체의 결합을 안정 혹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액디엔계 모노머나 비닐계 탄화수소 모노머를 추가로 투입한 후에 변성제를 첨가하기도 한다.
고무배합은 통상적으로 타이어용으로 사용되는 배합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무기입자 첨가제는 카본블랙, 실리카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배합 시 실리카와 같이 무기입자 표면에 기능성기가 다수 존재하는 무기입자 첨가제에 본 발명이 제시하는 변성공액디엔계 고분자의 성능이 더욱 우수하다.
1. 고분자 미세 구조 분석
중합된 중합체의 미세구조는 Bruker사의 400MHz 1H-NMR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2. 분자량측정
분자량 측정은 PLgel사의 폴리스티렌 5μm mixed-C column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폴리스티렌 기준샘플 (분자량 5000g/mol)을 중합체와 함께 용매는 THF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검출기는 굴절율 검출기(RI)를 이용하였다. 방법은 실리카계 겔(Zorbax PSM)이 충진 된 두 개의 컬럼을 직렬로 연결하여 용매는 THF를 이용하고 변성율은 변성성공액디엔계 고분자의 변성율을 뜻하며, 실험적으로는 실리카겔이 충진된 두개의 컬럼을 직렬로 연결하여 용매를 THF로 사용하여 계산된 값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험방법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3. 변성율 측정
실리카계 겔(Zorbax PSM)이 충진된 두 개의 컬럼을 직렬로 연결하여 용매는 THF를 이용하고, 검출기는 굴절율 검출기(RI)로 측정하였다. 폴리스티렌 기준 샘플 (분자량 5000g/mol)을 중합체와 함께 녹인 후 컬럼에 주입하여 측정을 하였다.
변성율(%)= [1-(A2xA3)/(A1xA4)]x100
A1: 스타이렌겔 컬럼에서 얻어지는 전체 피크의 면적을 100으로 했을 때 샘플의 총 피크면적 (폴리스티렌 기준샘플 피크면적 제외)
A2: 스타이렌겔 컬럼에서 얻어지는 전체 피크의 면적을 100으로 했을 때 폴리스티렌 기준샘플의 피크면적
A3: 실리카계겔 컬럼에서 얻어지는 전체 피크의 면적을 100으로 했을 때 실리카계겔에 흡착되지 않은 샘플 피크면적
A4: 실리카계겔 컬럼에서 얻어지는 전체 피크의 면적을 100으로 했을 때 폴리스티렌 기준샘플의 피크면적
변성율이 높을수록 고무배합과 가황공정에 의해 성능이 우수하므로 목적에 따라서는 변성율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변성율은 10% 이상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어야 한다.
4. 인장실험
가황된 시험편을 c-type 덤벨을 제작하여 ASTM 412 인장시험법에 준하여 만능시험기(LLOYD UT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점탄성 특성
가황된 시험편의 점탄성 특성인 tanδ는DMTA 장비를 이용하여 10Hz, 0.1%변형 조건에서 온도변화를 주면서 (temperature sweep) 측정을 하였다. 0oC에서의 tanδ값이 높으면 제동성인 웨트스키드성이 우수하고, 60oC에서의 tanδ값이 낮으면 저히스테리시스성이 발현되어 연비에 좋은 것을 뜻한다.
6. 무기물 입자 분산성
변성공액디엔계와 무기물 입자의 분산성은 Hakke로 블랜드 후 가황을 하기전 샘플로 Alpha Technology사의 RPA2000을 이용하여 페이니(Payne) 효과로 확인하였다.
페이니 효과는 0.1Hz, 60oC에서 변형 0.7%와 14%에서의 차이를 kPa로 나타내었으며 값이 작을수록 무기물 입자의 분산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7. 무늬점도
변성공액디엔계고분자 자체의 무늬점도는 Alpha technology사의 Mooney viscometer를 이용하여 100oC에서 ML(1+4)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DIB-dianion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양쪽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디에폭시디메틸실란(diethoxydimethylsilane)을 투입한 DIB-dianion 몰수 대비 2.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선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0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20중량부(40g), 2) 80중량부(16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미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2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DIB-dianion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양쪽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3-시아노프로필)디메틸클로로실란((3-Cyanopropyl)dimethylchlorosilane)을 투입한 DIB-dianion 몰수 대비 2.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선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0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20중량부(40g), 2) 80중량부(16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미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3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DIB-dianion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양쪽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1-(2-클로르에틸)-2,2,5,5-테트라메틸-1-아자-2,5-디실라사이클로펜탄 (1-(2-chloroethyl)-2,2,5,5-tetramethyl-1-aza-2,5-disilacyclopentane)을 투입한 DIB-dianion 몰수 대비 2.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선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0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20중량부(40g), 2) 80중량부(16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미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4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DIB-dianion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2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양쪽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디에톡시디메틸실란(diethoxydimethylsilane)을 투입한 DIB-dianion 몰수 대비 2.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선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40중량부(80g), 2) 60중량부(12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미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5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DIB-dianion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2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양쪽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3-시아노프로필)다메틸클로르실란((3-Cyanopropyl)dimethylchlorosilane)을 투입한 DIB-dianion 몰수 대비 2.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선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40중량부(80g), 2) 60중량부(12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미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6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DIB-dianion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2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양쪽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1-(2-클로르에틸)-2,2,5,5-테트라메틸-1-아자-2,5-디실라사이클로펜탄(1-(2-chloroethyl)-2,2,5,5-tetramethyl-1-aza-2,5-disilacyclopentane)을 투입한 DIB-dianion 몰수 대비 2.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선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40중량부(80g), 2) 60중량부(120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미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1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디에톡시디메틸실란(diethoxydimethyl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한쪽 말단이 에톡시실란으로 변성된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0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20중량부(40g), 2) 80중량부(16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단말단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2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3-시아노프로필)디메틸클로로실란((3-Cyanopropyl)dimethylchloro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한쪽 말단이 시아노기로 변성된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0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20중량부(40g), 2) 80중량부(16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단말단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3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1-(2-클로르에틸)-2,2,5,5-테트라메틸-1-아자-2,5-디실라사이클로펜탄(1-(2-chloroethyl)-2,2,5,5-tetramethyl-1-aza-2,5-disilacyclopent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한쪽 말단이 질소와 규소화합물로 변성된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0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20중량부(40g), 2) 80중량부(16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단말단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4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2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디에톡시디메틸실란(diethoxydimethyl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한쪽 말단이 에톡시실란으로 변성된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40중량부(80g), 2) 60중량부(12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단말단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5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2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3-시아노프로필)디메틸클로르실란((3-Cyanopropyl)dimethylchloro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한쪽 말단이 시아노기로 변성된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40중량부(80g), 2) 60중량부(12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단말단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6
1) 선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2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변성제 1-(2-클로르에틸)-2,2,5,5-테트라메틸-1-아자-2,5-디실라사이클로펜탄(1-(2-chloroethyl)-2,2,5,5-tetramethyl-1-aza-2,5-disilacyclopent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2몰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종결제인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한쪽 말단이 질소와 규소화합물로 변성된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2) 가지형 SBR제조
10L 오토크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170g, 1,3-부타디엔 630g, 헥산 4150g을 넣고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을 10ml를 투입한 후에 반응기 온도를 교반기로 돌리면서 50oC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부틸리튬(BuLi)을 넣어 중합반응을 거쳐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350,000g/mol인 선형의 SBR을 중합하였다. 반응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10분이 경과한 후 부타디엔 50g을 투입하여 5분간 중합체의 끝말단을 부타디엔 활성음이온으로 치환하였다. 여기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투입한 부틸리튬(BuLi) 몰수 대비 1/3을 투입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중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I-1076을 중합체에 대해 0.2wt% 첨가하여 가지형의 SBR용액을 제조 하였다.
3) 블랜드 SBR제조
앞서 제조한 1)과 2)를 총 고체 중량부 100기준 1) 40중량부(80g), 2) 60중량부(120g)의 비율로 혼합 후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 한 후 스팀스트리퍼를 활용하여 용매인 헥산을 제거 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의 수분은 100oC의 가공롤을 이용하여 수분을 건조하여 200g의 단말단변성 공액디엔계 고분자 블랜드 시편을 제조 하였다.
실험예. 중합체 무기물과의 혼련 및 물성측정실험
상기에서 얻어진 중합체의 고무조성물의 혼련방법은 Thermo Scientific사의 Haake Polylab OS Rheodrive를 이용하였으며, 범버리 로터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중합체를 하기 표에 나타낸 조성으로 배합하였다.
배합은 2단계로 진행하였다. 혼련은 제1혼련으로는 75% 충전하고 로터 회전수를 60rpm조건으로 중합체, 충진제(실리카), 오일, 산화아연(ZnO),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실란커플링제(Si-69), 산화방지제(6-PPD)를 넣어 온도를 제어하여 150~160oC에서 1차 고무조성물을 얻는다. 제2혼련으로는 배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90oC 이하에서 황(sulfur)과 DPG(Diphenyl Guanidine), CBS(N-cyclohexyl-2-benzothiazole sulfonamide)를 첨가하여 5분간 혼련 하였다.
배합된 고무를 160oC에서 T90+5min 프레스에서 가황하여 가황된 고무를 제조한다.
물질명 함량 ( Phr )
중합체(SSBR) 100
실리카(Silica) 50
오일(Oil) (TDAE) 5
산화아연(ZnO) 3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
Si69 4
6-PPD (A/O) 1
황(Sulfur) 1.5
디페닐구아니딘(DPG) 1.5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 술폰아미드(CBS) 1.8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합체 및 중합배합물을 분석 및 성능을 평가하여 표2~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선형
S-SBR
변성종류 양말단 ethoxysilane변성 양말단
cyano변성
양말단
amine-silane변성
분자량 144kg/mol 147kg/mol 153kg/mol
가지형
S-SBR
커플링제 GPTMS GPTMS GPTMS
커플링 전 선형 S-SBR분자량 298kg/mol 298kg/mol 298kg/mol
가지수
(함량%)
3(92) 3(92) 3(92)
블랜드비
(선형:가지형)
wt% 2:8 2:8 2:8
3가 가지비율 wt% 75 75 74
스티렌 함량 wt% 21 20 21
비닐함량 wt% 58 59 61
분자량
(중량평균분자량(Mw))
g/mol 770.000 745,000 754,000
변성율 % 24 27 25
무늬점도 66 62 64
* 스티렌함량, 비닐함량은 H-NMR로 계산한 결과
* GPTM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선형
S-SBR
변성종류 양말단 ethoxysilane변성 양말단
cyano변성
양말단
amine-silane변성
분자량 118kg/mol 122kg/mol 119kg/mol
가지형
S-SBR
커플링제 GPTMS GPTMS GPTMS
커플링 전 선형 S-SBR분자량 361kg/mol 361kg/mol 361kg/mol
가지수
(함량%)
3(86) 3(86) 3(86)
블랜드비
(선형:가지형)
wt% 4:6 4:6 4:6
3가 가지비율 wt% 52 51 52
스티렌 함량 wt% 21 21 20
비닐함량 wt% 60 59 59
분자량
(중량평균분자량(Mw))
g/mol 758,000 744,000 739,000
변성율 % 46 50 47
무늬점도 64 62 62
* 스티렌함량, 비닐함량은 H-NMR로 계산한 결과
* GPTM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선형
S-SBR
변성종류 단말단 ethoxysilane변성 단말단
cyano변성
단말단 amine-silane변성
분자량 155kg/mol 153kg/mol 149kg/mol
가지형
S-SBR
커플링제 GPTMS GPTMS GPTMS
커플링 전 선형 S-SBR분자량 299kg/mol 299kg/mol 299kg/mol
가지수
(함량%)
3(91) 3(91) 3(91)
블랜드비
(선형:가지형)
wt% 2:8 2:8 2:8
3가 가지비율 wt% 73 73 73
스티렌 함량 wt% 21 22 21
비닐함량 wt% 59 61 60
분자량
(중량평균분자량(Mw))
g/mol 732,000 735,000 740,000
변성율 % 18 21 22
무늬점도 61 62 64
* 스티렌함량, 비닐함량은 H-NMR로 계산한 결과
* GPTM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선형
S-SBR
변성종류 단말단 ethoxysilane변성 단말단 cyano변성 단말단 amine-silane변성
분자량 125kg/mol 122kg/mol 117kg/mol
가지형
S-SBR
커플링제 GPTMS GPTMS GPTMS
커플링 전
선형 S-SBR
분자량
355kg/mol 355kg/mol 355kg/mol
가지수
(함량%)
3(87) 3(87) 3(87)
블랜드비
(선형:가지형)
wt% 4:6 4:6 4:6
3가 가지비율 wt% 52 52 52
스티렌 함량 wt% 22 21 20
비닐함량 wt% 61 61 62
분자량
(중량평균분자량(Mw))
g/mol 732,000 735,000 740,000
변성율 % 37 41 42
무늬점도 63 60 62
* 스티렌함량, 비닐함량은 H-NMR로 계산한 결과
* GPTM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Cold flow % 11.5 10.6 11.2
인장강도 kgf/cm2 143 147 144
300% 모듈러스 kgf/cm2 124 126 123
분산성
(페이니효과)
kPa 51 53 50
Tanδ 0℃ 1.313 1.319 1.322
60℃ 0.065 0.067 0.064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Cold flow % 9.9 10.2 10.6
인장강도 kgf/cm2 142 146 144
300% 모듈러스 kgf/cm2 122 124 123
분산성
(페이니효과)
kPa 49 51 48
Tanδ 0℃ 1.333 1.329 1.342
60℃ 0.062 0.064 0.06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Cold flow % 12.8 12.1 13.3
인장강도 kgf/cm2 140 142 139
300% 모듈러스 kgf/cm2 125 124 127
분산성
(페이니효과)
kPa 55 52 54
Tanδ 0℃ 1.296 1.303 1.302
60℃ 0.069 0.068 0.069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Cold flow % 12.6 12.4 11.9
인장강도 kgf/cm2 128 127 129
300% 모듈러스 kgf/cm2 125 122 127
분산성
(페이니효과)
kPa 53 50 46
Tanδ 0℃ 1.312 1.323 1.349
60℃ 0.068 0.066 0.067

Claims (5)

  1. 베치(batch)식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병렬로 연결된 반응기를 이용하여 양말단 변성의 선형 공액디엔계 고분자와 가지형 구조의 공액디엔계 고분자의 함량이 조절된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로서,
    1) 1,3-디이소프로펜일벤젠(1,3-diisopropenylbenzene)을 터셔리-부틸리튬(tert-부틸리튬(BuLi))과 혼합하여 제조한 양쪽성 개시제(DIB-dianion)를 이용하여 양쪽 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 된 선형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에 말단 변성제로 아민계, 알콕시실란계, 시아노계, 히드록시계, 카르복시기계, 설폰계, 포스페이트계, 이써계, 아크릴계, 메타이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계 변성제 중 어느 하나를 투입하여 제조된 양말단 변성의 선형 공액디엔계 고분자 함량이 10~60중량부이고,
    2) 양말단 변성의 선형 공액디엔계 고분자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200,000g/mol이며, 가지형 구조의 공액디엔계 고분자의 커플링 전 선형의 음이온 활성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0~400,000g/mol이고,
    3)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로서의 변성율이 20%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가지형구조 제조 시 한쪽 말단이 음이온으로 활성 된 선형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에 커플링제로 주석계열, 알콕시실란, 실릴할라이드, 글리시딜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로서, 무늬점도가 3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5. 제 1항 내지 제 2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타이어 고무 조성물.
KR1020160009094A 2016-01-26 2016-01-26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고무조성물 KR10183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094A KR101830492B1 (ko) 2016-01-26 2016-01-26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고무조성물
CN201611163542.6A CN106995541B (zh) 2016-01-26 2016-12-16 改性共轭二烯系聚合物及使用其的轮胎橡胶组合物
JP2016245307A JP6615739B2 (ja) 2016-01-26 2016-12-19 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ゴム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094A KR101830492B1 (ko) 2016-01-26 2016-01-26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112A KR20170089112A (ko) 2017-08-03
KR101830492B1 true KR101830492B1 (ko) 2018-02-20

Family

ID=5943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094A KR101830492B1 (ko) 2016-01-26 2016-01-26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15739B2 (ko)
KR (1) KR101830492B1 (ko)
CN (1) CN10699554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740A1 (ko) * 2018-12-21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WO2020130741A1 (ko) * 2018-12-21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22177297A1 (ko) * 2021-02-16 2022-08-2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4790B (zh) * 2017-08-10 2020-03-31 袁晓明 一种新型钢丝绳处理工艺
KR102139528B1 (ko) * 2018-02-0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0619A (ja) * 1982-01-12 1983-07-18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組成分布を有するスチレン−ブタジエン共重合体
US6451935B1 (en) * 2000-05-10 2002-09-17 Bridgestone Corporation Highly functionalized polymers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EP1942120B1 (en) * 2005-09-22 2012-03-07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Conjugated diene 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1049675B1 (ko) * 2007-03-28 2011-07-14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타이어
BRPI0907687A2 (pt) * 2008-04-30 2019-09-10 Styron Europe Gmbh processo para polimerizar um polímero compreendendo unidades monoméricas derivadas de estireno e 1,3- butadieno, polímero, composição e artigo
KR101044070B1 (ko) * 2008-09-23 2011-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관능성 유기 리튬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공역디엔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9416252B2 (en) * 2010-12-03 2016-08-16 The Yokohama Rubber Co., Ltd. Rubber composition for tire tread
JP2012229383A (ja) * 2011-04-27 2012-11-2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101680370B1 (ko) * 2013-11-15 2016-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이온 변성 중합 반응의 커플링 향상 방법
KR20150135912A (ko) * 2014-05-26 2015-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개질된 공액 디엔계 중합체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740A1 (ko) * 2018-12-21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WO2020130741A1 (ko) * 2018-12-21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US11713365B2 (en) 2018-12-21 2023-08-01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US11970616B2 (en) 2018-12-21 2024-04-30 Lg Chem, Ltd.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22177297A1 (ko) * 2021-02-16 2022-08-2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5541B (zh) 2019-10-01
JP6615739B2 (ja) 2019-12-04
KR20170089112A (ko) 2017-08-03
CN106995541A (zh) 2017-08-01
JP2017132986A (ja)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508B1 (ko)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2796B1 (ko)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를 이용한 고무조성물
KR101653574B1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고무 조성물 및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534103B1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594217B1 (ko)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 이로부터 수득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668567B1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461778B1 (ko)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4102B1 (ko) 말단 기능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0492B1 (ko)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고무조성물
KR101508465B1 (ko) 말단 기능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528050A (ja) 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313850B2 (ja) 低ビニル結合の変性エラストマー性コポリマー
KR20160079323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EP2868670B1 (en)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method for preparing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KR20160063966A (ko) 말단 기능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9402B1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20150131465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132272A (ko)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조성물
KR101649024B1 (ko) 변성 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700012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25347B1 (ko)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3980A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705947B1 (ko) 실릴음이온 개시제를 이용한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중합
KR101614985B1 (ko)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그 중합방법
KR20170061895A (ko)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