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405B1 -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405B1
KR101830405B1 KR1020170114142A KR20170114142A KR101830405B1 KR 101830405 B1 KR101830405 B1 KR 101830405B1 KR 1020170114142 A KR1020170114142 A KR 1020170114142A KR 20170114142 A KR20170114142 A KR 20170114142A KR 101830405 B1 KR101830405 B1 KR 10183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measuring
measurer
pole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978A (ko
Inventor
안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11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40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는: 걸이폴대에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가로측정자와, 가로측정자에서 연장되어 측정폴대에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세로측정자를 포함하는 측정자본체와, 세로측정자에 형성되어 측정폴대를 상하 이동하는 슬롯홀과, 슬롯홀에 후측에 연결되어 측정폴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MULTIPLE USE MEASURING SCALE OF 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하네스를 적용함에 있어 직선경로 품목과 꺽임경로 품목에 대한 여유길이를 미리 감안하여 손실값을 선반영하여 측정자본체에 세팅함으로써 측정값을 읽기만 하면 직선경로 품목과 꺽임경로 품목의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줄임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측정시 가이드부와 탄성부를 이용하여 측정폴대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밴드 클립등의 서포트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도록 한다.
와이어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한다.
차량의 전장품에 설치할 와이어하네스를 중심부분을 꼬아준 후 하측으로 당겨서 수직으로 겹쳐진 길이를 측정자로 측정하고 측정길이에 2배를 과다 손실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자로 측정한 수치가 50mm이면 2를 곱하여 100mm의 과다 손실길이를 측정하고 그 길이 만큼 와이어하네스를 커팅하여 줄여주면 된다.
그런데, 와이어하네스는 제작 및 조립시 많은 지그가 사용되기 때문에 종전 방식의 과다 손실길이를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와이어하네스의 길이가 짧아져 현장에 적용하는 데 한계점이 있다. 즉, 품목에 따라 와이어하네스가 꺽이거나 직선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회로가 있기 때문에 측정시 품목별 여유길이(손실량 반영값)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순히 처짐값 적용만으로는 와이어하네스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공개 특허공보 제2005-0015259호(발명의 명칭: 다기능 측정자, 2005.02.21: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하네스를 적용함에 있어 직선경로 품목과 꺽임경로 품목에 대한 여유길이를 미리 감안하여 손실값을 선반영하여 측정자본체에 세팅함으로써 측정값을 읽기만 하면 직선경로 품목과 꺽임경로 품목의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줄임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측정시 가이드부와 탄성부를 이용하여 측정폴대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는, 걸이폴대에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가로측정자와, 상기 가로측정자에서 연장되어 측정폴대에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세로측정자를 포함하는 측정자본체; 상기 세로측정자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폴대를 상하 이동하는 슬롯홀; 및 상기 슬롯홀에 후측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폴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폴대는,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측정바디부; 상기 측정바디부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측정나사부; 및 상기 측정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바디부를 상기 가로측정자의 후면에 지지하는 설치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설치블록을 설치하도록 상기 세로측정자의 후면에 형성되는 함몰홈부; 상기 설치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몰홈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세로측정자의 후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함몰홈부에 비해 더 넓은 너비를 갖는 수납홈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측정자는,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제1품목에 적용시 손실값을 감안하여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적용 줄임값을 표기하는 제1줄임눈금; 및 상기 와이어하네스가 제2품목에 적용시 손실값을 감안하여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적용 줄임값을 표기하는 제2줄임눈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폴대는 탄성복귀부재에 의해 상기 세로측정자에서 측정 후 원상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복귀부재는 상기 설치블록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설치블록을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세로측정자의 후면에 형성된 함몰홈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은 승강레일부에 의해 승강시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레일부는, 상기 설치블록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슬라이드공; 및 상기 슬라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세로측정자에 지지되는 슬라이드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복귀부재는 상기 슬라이드축부재에 삽입 설치되어 이탈 방지되는 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는, 와이어하네스를 적용함에 있어 직선경로 품목과 꺽임경로 품목에 대한 여유길이를 미리 감안하여 손실값을 선반영하여 측정자본체에 세팅함으로써 측정값을 읽기만 하면 직선경로 품목과 꺽임경로 품목의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줄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와 승강레일부를 이용하여 측정폴대를 이동함으로써, 측정폴대가 좌우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복귀부재를 이용하여 측정폴대를 이동하여 측정값을 측정한 후 측정폴대를 놓아주면 원 위치로 복귀하므로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후면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단면도 및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에서 품목에 따른 여유길이를 선반영한 제1줄임눈금과 제2줄임눈금의 변환 도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후면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단면도 및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의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에서 품목에 따른 여유길이를 선반영한 제1줄임눈금과 제2줄임눈금의 변환 도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는, 측정자본체(100), 슬롯홀(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측정자본체(100)는 와이어하네스의 커팅(절단)할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와이어하네스의 처짐길이를 측정하는 자이다.
와이어하네스는 품목별 회로에 따라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의 처짐길이를 다르게 측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어(DOOR)류 품목에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와 메인(MAIN)류 품목에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의 꺽임경로가 서로 다르게 존재함으로써, 와이어하네스의 처짐길이 측정값을 그대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이어하네스의 길이가 짧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이를 감안하여 품목에 따라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의 꺽임 경로를 미리 감안하여 여유길이(꺽임으로 인한 손실량 반영값)를 선 반영하고, 측정자본체(100)에서 측정되는 수치가 실제적으로 외이어하네스에서 절단(커팅)해야 하는 줄임값으로 결정되도록 측정자본체(100)에 표기하므로 줄임값을 읽고 절단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꺽임경로를 반영하게 되므로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측정자본체(100)는 걸이폴대(130)에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가로측정자(110)와, 가로측정자(110)에서 연장되어 측정폴대(140)에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세로측정자(120)를 포함한다.
걸이폴대(130)는 가로측정자(110)의 양단에 각각 1개씩 모두 2개 형성되어 와이어하네스의 저면을 걸어준다.
걸이폴대(130)는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가로측정자(110)의 결합공(116)에 결합된다. 물론, 걸이폴대(130)는 가로측정자(110)에 압입방식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측정폴대(140)는 세로측정자(120)에서 하강할 때 복수개의 걸이폴대(130)와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도록 세로측정자(120)에 배치된다.
슬롯홀(200)은 세로측정자에 형성되어 측정폴대(140)를 상하 이동하는 구성이다. 슬롯홀(200)은 세로측정자(120)의 중심부에서 전후로 관통되는 상태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되, 가로측정자(110)의 걸이폴대(130) 보다 더 높은 상측 위치까지 관통 형성된다.
측정폴대(140)는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측정바디부(150)와, 측정바디부(150)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측정나사부(160)와, 측정나사부(160)에 결합되고, 측정바디부(150)를 세로측정자(120)의 후면에 지지하는 설치블록(170)을 포함한다.
측정바디부(150)는 와이어하네스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측정나사부(160)는 측정바디부(15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슬롯홀(200)의 전측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치블록(170)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함몰홈부(310)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설치블록(170)의 전측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측정나사부(160)가 결합된다. 이로써, 측정폴대(140)를 슬롯홀(200)을 따라 상하이동하면 설치블록(170) 역시 함몰홈부(310) 내에서 함께 상하 이동한다.
가이드부(300)는 슬롯홀(200)에 후측에 연결되어 측정폴대(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가이드부(300)는 설치블록(170)을 설치하도록 세로측정자(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함몰홈부(310)와, 설치블록(1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몰홈부(31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320)와, 커버부재(320)를 세로측정자(120)의 후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330)를 포함한다.
함몰홈부(310)는 설치블록(170)의 전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홀(200)의 너비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다.
커버부재(320)는 함몰홈부(310)에 비해 더 넓은 너비를 갖는 수납홈부(34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320)는 직사각형 판체일 수 있다.
수납홈부(340)의 깊이는 커버부재(320)의 두께에 비해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므로 세로측정자(120)의 후면에서 커버부재(3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부재(330)는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세로측정자(120)는 와이어하네스를 제1품목에 적용시 손실값을 감안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적용 줄임값을 표기하는 제1줄임눈금(112)과, 와이어하네스를 제2품목에 적용시 손실값을 감안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적용 줄임값을 표기하는 제2줄임눈금(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품목은 도어(DOOR)류 품목이고, 제2품목은 메인(MAIN)류 품목이다.
도 7의 도표에서, 도어(DOOR)류에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는 세로측정자(120)에서 좌측에 EXTN 눈금으로 표기된 제1줄임눈금(112)을 읽어 절단(커팅)하면 된다. 메인(MAIN)류에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는 세로측정자(120)에서 우측에 MAIN 눈금으로 표기된 제2줄임눈금(114)을 읽어 절단(커팅)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1줄임눈금(112)과 제2줄임눈금(114)은 제1품목과 제2품목에 각각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의 처짐길이(d)를 b(걸이폴대(130) 사이의 길이 반(50mm), c(걸이폴대(130)와 측정폴대(140) 사이의 길이를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7의 좌측(EXTN)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OOR)류의 와이어하네스 처짐길이(b)가 110mm(도표 첫번째 칸)인 경우, 실제로는 와이어하네스가 10mm 길지만 꺽이는 여유길이를 감안하여 5mm만 손실값으로 선반영하므로 실제 줄임값으로 표기된 제1줄임눈금(112)의 표시량을 그대로 읽어 5mm만 줄이면 된다, 즉, 와이어하네스가 10mm가 처졌지만, 제1줄임눈금(112) 표시량인 5mm만 커팅(절단)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7의 우측(MAIN)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MAIN)류의 처짐길이(b)가 115mm(도표 첫번째 칸)인 경우, 실제로는 와이어하네스가 15mm 길지만 꺽이는 여유길이를 감안하여 10mm만 손실값으로 선반영하므로 실제 줄임값으로 표기된 제2줄임눈금(114)의 표시량을 그대로 읽어 5mm만 줄이면 된다, 즉, 와이어하네스가 15mm가 처졌지만, 제2눈금(114) 표시량인 5mm만 커팅(절단)하면 된다.
측정폴대(140)는 탄성복귀부재(400)에 의해 새로측정자(120)에서 측정 후 원상복귀 할 수 있다.
탄성복귀부재(400)는 설치블록(170)에 접촉 지지되어 설치블록(170)을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함몰홈부(310)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설치블록(170)은 승강레일부(500)에 의해 승강시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승강레일부(500)는 설치블록(170)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슬라이드공(510)과, 슬라이드공(510)에 삽입되어 세로측정자(120)에 지지되는 슬라이드축부재(520)를 포함한다.
와이어하네스를 걸어 측정폴대(140)를 하강하면 측정폴대(140)에 결합된 설치블록(170) 역시 하강하게 되므로 설치블록(170)의 슬라이드공(510)이 슬라이드축부재(520)를 따라 하측 이동하여 탄성복귀부재(400)를 탄성 수축시킨다.
연이어, 사용자는 측정폴대(140)가 위치한 제1줄임눈금(112, EXTN눈금) 또는 제2줄임눈금(114, MAIN눈금)을 읽어 내므로 도어류와 메인류에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의 줄임값을 결정하고 잘라내면 된다.
탄성복귀부재(400)는 슬라이드축부재(520)에 삽입 설치되어 이탈 방지되는 상태로 설치블록(170)을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탄성 작동할 수 있다.
탄성복귀부재(400)는 탄성 작동시 과도하게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복귀부재(400)의 내경은 슬라이드축부재(520)의 외경에 비해 약간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축부재(520)는 세로측정자(120)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공(530)을 거쳐 함몰홈부(310)의 바닥에 형성된 끼움공(540)에 압입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슬러이드축부재(520)는 조립 후 측정자본체(100)의 세로측정자(12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세로측정자(120)의 하측에는 걸어줄 수 있도록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걸이홈(118)이 구비될 수 있다. 걸이홈(118)은 원형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는, 와이어하네스를 적용함에 있어 직선경로 품목과 꺽임경로 품목에 대한 여유갈이(손실량 반영값)를 미리 감안하여 측정자본체에 세팅(표기)함으로써 측정값을 읽기만 하면 직선경로 품목과 꺽임경로 품목의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줄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측정폴대를 이동함으로써, 측정폴대가 좌우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상복귀부를 이용하여 측정폴대를 이동하여 측정값을 측정한 후 측정폴대를 놓아주면 원 위치로 복귀하므로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측정자본체 110 : 가로측정자
112 : 제1줄임눈금 114 : 제2줄임눈금
120 : 세로측정자 130 : 걸이폴대
140 : 측정폴대 150 : 측정바디부
160 : 측정나사부 170 : 설치블록
200 : 슬롯홀 300 : 가이드부 :
310 : 함몰홈부 320 : 커버부재
330 : 결합부재 340 : 수납홈부
400 : 탄성복귀부재 500 : 승겅레일부
410 : 슬라이드공 420 : 슬러이드축부재
430 : 삽입공 440 : 끼움공

Claims (7)

  1. 걸이폴대에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가로측정자와, 상기 가로측정자에서 연장되어 측정폴대에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세로측정자를 포함하는 측정자본체; 상기 세로측정자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폴대를 상하 이동하는 슬롯홀; 및 상기 슬롯홀에 후측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폴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폴대는,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걸어주는 측정바디부; 상기 측정바디부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측정나사부; 및 상기 측정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바디부를 상기 세로측정자의 후면에 지지하는 설치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설치블록을 설치하도록 상기 세로측정자의 후면에 형성되는 함몰홈부; 상기 설치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몰홈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세로측정자의 후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폴대는 탄성복귀부재에 의해 상기 세로측정자에서 측정 후 원상복귀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함몰홈부에 비해 더 넓은 너비를 갖는 수납홈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함몰홈부는 상기 설치블록의 전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롯홀의 너비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부의 깊이는 상기 커버부재의 두께에 비해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세로측정자의 후면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직사각형 판체이고,
    상기 결합부재는 나사 또는 볼트이며,
    상기 걸이폴대는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로측정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측정자는,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제1품목에 적용시 손실값을 감안하여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적용 줄임값을 표기하는 제1줄임눈금; 및
    상기 와이어하네스가 제2품목에 적용시 손실값을 감안하여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실제 적용 줄임값을 표기하는 제2줄임눈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귀부재는 상기 설치블록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설치블록을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세로측정자의 후면에 형성된 함몰홈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블록은 승강레일부에 의해 승강시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일부는,
    상기 설치블록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슬라이드공; 및
    상기 슬라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세로측정자에 지지되는 슬라이드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귀부재는 상기 슬라이드축부재에 삽입 설치되어 이탈 방지되는 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7. 삭제
KR1020170114142A 2017-09-06 2017-09-06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42A KR101830405B1 (ko) 2017-09-06 2017-09-06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42A KR101830405B1 (ko) 2017-09-06 2017-09-06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261A Division KR101780960B1 (ko) 2015-12-18 2015-12-18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978A KR20170104978A (ko) 2017-09-18
KR101830405B1 true KR101830405B1 (ko) 2018-02-21

Family

ID=6003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142A KR101830405B1 (ko) 2017-09-06 2017-09-06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4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778A (ja) 1998-06-22 2000-01-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電線の切断寸法設定方法
JP2003257262A (ja) 2002-02-27 2003-09-1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切断長チューニング用治具
KR101780960B1 (ko) * 2015-12-18 2017-09-2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778A (ja) 1998-06-22 2000-01-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電線の切断寸法設定方法
JP2003257262A (ja) 2002-02-27 2003-09-1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切断長チューニング用治具
KR101780960B1 (ko) * 2015-12-18 2017-09-2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978A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60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US4314429A (en) Siding holder
KR100939857B1 (ko) 유연성 측정장치
KR101830410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9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8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5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6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4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7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CN105300239A (zh) 一种测量外螺纹中径的方法及装置
CN102243047A (zh) 电线长度测量装置
JP3985549B2 (ja) 電線切断長チューニング用治具
KR20140073831A (ko) 듀얼 하이트 게이지
KR20110091063A (ko) 차량용 각도측정장치
JP2018080973A (ja) 水準器
JP5676830B1 (ja) 電力量計用端子装置及び電力量計
CN209448196U (zh) 一种线束轮廓度管控装置
CN210464268U (zh) 一种便于携带的土木工程用测量尺
KR102282038B1 (ko) 하네스 케이블 보관 장치
CN218452907U (zh) 一种功能测试仪用检测夹具
CN213631936U (zh) 垂直度测量工具
CN214747826U (zh) 一种用于机电产品的外壳平整度检测装置
KR101248208B1 (ko) 와이어하네스의 손실 측정자
CN110953969A (zh) 一种均压环屏蔽深度测量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