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62B1 -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62B1
KR101830162B1 KR1020170135273A KR20170135273A KR101830162B1 KR 101830162 B1 KR101830162 B1 KR 101830162B1 KR 1020170135273 A KR1020170135273 A KR 1020170135273A KR 20170135273 A KR20170135273 A KR 20170135273A KR 101830162 B1 KR101830162 B1 KR 101830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mold
assembly
expansion
blo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정 filed Critical (주)삼정
Priority to KR102017013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82Mould cavity ge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블로잉공법으로 제조하기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라 제조된 조립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간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측부금형에 홈구조의 조립요부와 돌출구조의 조립철부가 각각 형성된 분체를 포함시키고, 조립요부에 석셕유로와 히터가 구비되어서 블로잉 공정에서 불량율을 줄인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는 복수의 분체로 구성되는 측부금형; 상기 측부금형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금형; 프리폼의 플랜지 주변을 잡아주고, 상기 측부금형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프리폼의 블로잉성형을 위항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는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부금형의 어느 한 분체에는 홈구조의 조립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금형의 다른 한 분체에는 상기 조립요부에 상응하는 돌출구조의 조립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Blowing apparatus for assembly container and thereof manufactured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를 블로잉공법으로 제조하기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라 제조된 조립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간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측부금형에 홈구조의 조립요부와 돌출구조의 조립철부가 각각 형성된 분체를 포함시키고, 조립요부에 석션유로와 히터가 구비되어서 블로잉 공정에서 불량율을 줄인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PET 소재를 주로 이용하고, 음료용 병 등 다양한 용기를 신속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어 각광받는 블로잉성형 방식은 사출 성형되는 프리폼을 마치 풍선을 부는 것과 같이 스트레칭과 공기의 블로잉을 함께 적용하여 최종 용기를 제조하게 된다.
블로잉성형으로 제조되는 용기는 공개특허 제10-2007-2222414호 "플라스틱 투명캔의 제조방법", 공개특허 제10-2000-0063581호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등에서 보듯이 급작스런 변형이 없고 전체적으로 연속하여 완만하게 연결되는 단순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블로잉성형은 프리폼을 공기의 블로잉으로 팽창시켜 용기를 제조하는 방식으로, 모양이 급작스럽게 변형되는 부위를 갖는 용기는 블로잉성형 시 그 모양대로 형성되지 않는 불량률이 높다.
그래서 종래기술에서는 용기 간에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조립구조, 즉, 모양이 급작스럽게 변형되는 부위를 갖는 용기를 갖는 블로잉성형으로 제조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용기의 생산성은 높지만 그 제조방식의 특성상 모양이 급벽하게 변하는 부분이 있는 용기의 제조에는 불량률이 높은 블로잉성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용기가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에 홈구조의 조립요부와 돌출구조의 조립철부를 형성하되, 블로잉 공정에서 조립요부와 조립철부에서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석션유로와 히터를 구비하여 조립식 용기를 생산성이 높고 불량율을 낮은 블로잉공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는
복수의 분체로 구성되는 측부금형;
상기 측부금형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금형;
프리폼의 플랜지 주변을 잡아주고, 상기 측부금형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프리폼의 블로잉성형을 위항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는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부금형의 어느 한 분체에는 홈구조의 조립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금형의 다른 한 분체에는 상기 조립요부에 상응하는 돌출구조의 조립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요부의 바닥에는 성형되는 용기를 당겨주는 석션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립요부에는 프리폼의 팽창을 촉진하는 히터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조립식 용기는 위와 같은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로 제작되어서 외측면에 상응하는 구조의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는 측부금형을 구성하는 분체에 조립요부와 조립철부가 형성되어서 제조되는 용기에는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구비되어 서로 조립이 가능하고, 분체의 조립요부에는 석션유로와 히터가 구비되어서 프리폼의 블로잉 과정에서 조립요부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하여 조립식 용기를 생산성이 높은 블로잉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조립식 용기의 단면도.
도 2 와 도 3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조립식 용기의 도면 대용 사진
도 4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금형장치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금형장치에 장착된 모양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측부금형의 평면도.
도 7 은 팽창보조수단을 이용한 블로잉성형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조립식 용기(10)는 외측면에 조립홈(11)과 조립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11)과 조립돌기(13)는 서로 상응하는 구조를 가져서, 도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홈(11)과 조립돌기(13)는 각각 다른 조립식 용기(10)에 형성된 조립돌기(13)와 조립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11)과 조립돌기(13)는 용기(10)의 표면과 연결되는 부위에서부터 폭이 점점 길어지는 구조를 가져서 조립홈(11)과 조립돌기(13)는 걸림결합된다.
도1b를 보면, 상기 조립홈(11)과 조립돌기(13)는 용기(10)의 측면에 형성되어서 용기(10)들이 옆으로 조립되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조립홈과 조립돌기 같은 조립구조를 용기(10)의 바닥에도 형성하여 두 용기(10)가 바닥이 마주보도록 조립하여 연결할 수 있고, 용기(10)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에도 상기 조립홈과 조립돌기 같은 조립구조를 형성하여 두 용기(10)가 뚜껑을 마주보도록 조립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용기(10)의 바닥에 다른 용기(10)의 개구부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조립되거나, 개구부 주변의 나사산과 스크류결합되도록 나사탭을 형성하여 조립되도록 하여 용기(10)들이 위아래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표면에 알파벳과 같은 문양을 형성하여, 어린이들이 용기(10)들을 조립연결하여 특정한 문자를 만드는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로 제조되는 조립식용기에 관한 도면대용 사진으로, 도2를 참조하면 동일한 형상의 조립식 용기들이 옆으로 조립되어 연결되고, 도3을 참조하면 모양과 크기가 다른 두 조립식 용기가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용기와 같은 형상을 한다.
먼저, 도5를 참조하면, 프리폼(20)은 개구부(21)의 외주연에 성형된 용기(10)와 뚜껑(미도시)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23)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턱을 이루는 플랜지(25)가 형성된다.
상기 프리폼(20)은 블로잉성형을 위한 금형장치에 투입되기 전에 가열되거나 투입 된 후에 금형장치 내에서 가열되어서, 블로잉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4와 도5를 참조하면, 프리폼(20)의 블로잉성형을 위한 금형장치는 측부금형(30), 상부금형(40), 하부금형(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은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프리폼(20)의 블로잉성형을 위한 성형공간(61)을 형성한다.
상기 측부금형(30)은 성형공간(61)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금형(40)은 상기 측부금형(30)의 상부에 연결되어서 성형공간(61)의 상부벽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금형(50)은 상기 측부금형(30)의 하부에 연결되어서 성형공간(61)의 하부벽을 형성하며, 프리폼(20)의 블로잉을 위한 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워(63) 등의 장치가 장착되거나 배치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측부금형(3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상하분체(30A, 30B, 30C)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상기 측부금형(30)은 수평방향으로도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수평분체(31, 32, 33, 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금형(30)을 구성하는 수평분체(31, 32, 33, 34)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분체(31) 내면에는 홈구조의 조립요부(35)가 형성되고, 다른 수평분체(31, 32, 33, 34)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분체(33) 내면에는 상기 조립요부(35)에 상응하는 돌출구조의 조립철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요부(35)나 조립철부(36)가 형성되지 않는 분체(32, 34)의 내면에는 알페벳 등의 문자가 성형된 용기(10)에 새겨지도록 얕은 깊이의 음각이나 양각의 형성될 수 있다.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상기 조립요부(35)와 조립철부(36)는 분체(31, 33)의 내면과 연결되는 부분은 폭이 좁고 연장되는 부분은 폭이 넓어서 성형된 용기(10)의 조립홈(11)과 조립돌기(13)는 걸림결합된다. 걸림결합이 될 수 있는 모양의 일례로 도면에서는 상기 조립요부(35)와 조립철부(36)가 도브테일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측부금형(30)을 구성하는 수평분체(31, 32, 33, 34)들의 내면이 원형 모양이라고 가정할 때, 수평분체(31, 32, 33, 34)들은 일반적으로 중심에서 멀어지는 법선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걸림결합이 가능한 모양(예; 도브테일 모양)의 조립요부(35)와 조립철부(36)가 형성된 분체(31, 33)는 법선방향으로 이동하면 성형공간(61)에서 성형된 용기(10)를 변형손상시키게 된다. 그래서 조립요부(35)나 조립철부(36)가 형성된 분체(31, 33)는 접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성형된 용기(10)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도6을 참고하면, 4개의 수평분체(31, 32, 33, 34) 중에서 조립요부(35)나 조립철부(36)가 형성되지 않는 두 분체(32, 34)는 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조립요부(35)나 조립철부(36)가 형성된 두 분체(31, 33)는 접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성형된 용기(10)를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된다.
상기 상부금형(40)은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금형(50)은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측부금형(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측부금형(3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상부금형(40)과 하부측형이 안착되어서 이들이 만드는 내부의 성형공간(61)이 일치되도록 하는 단턱(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40)에도 상기 측부금형(30)의 수평분체(31, 32, 33, 34)처럼 걸림결합을 위한 홈구조와 돌출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는 상부금형(40)은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측부금형(30)과 결합될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금형(50)은 사출성형된 프리폼(20)의 플랜지(25) 주변을 잡아준다. 하부금형(50)이 잡아주는 프리폼(20)의 플랜지(25) 주변은 블로잉성형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금형(50)이 잡고 있는 프리폼(20)의 개구부(21)로는 블로워(63)가 투입되어 프리폼(2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블로잉 한다.
참고로, 이상에서 상기 상부금형(40)과 하부금형(50)은 측부금형(30)과 분리된 별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40, 50)은 측부금형(30)의 수평분체(31, 32, 33, 34)들 중에서 조립요부(35)와 조립철부(36)가 없어서 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분체(32, 34)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리폼(20)의 개구부(21)로 블로잉되는 공기에 의해 프리폼(20)은 팽창하여 상기 측부금형(30), 상부금형(40) 및 하부금형(5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이들이 형성하는 내부의 성형공간(61)과 같은 형상의 용기(10)로 제작된다.
이때, 측부금형(30)의 내면에서 급격한 모양의 변화가 생기는 조립요부(35)와 조립철부(36)에서는 프리폼(20)이 밀착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요홈구조의 조립요부(35)의 경우 팽창하는 프리폼(20)이 조립요부(35) 안으로 깊숙이 침투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고, 안으로 침투한 후에 다시 오목진 구석으로 들어가 밀착되는 것이 원활하지 않다.
돌출구조의 조립철부(36)의 경우 돌출되어 있어서 팽창하는 프리폼(20)이 조립철부(36)의 표면에 쉽게 밀착되지만, 오목진 구석에는 프리폼(20)이 쉽게 밀착되지 않고, 돌출구조인 조립철부(36)의 옆으로 상부금형(40)측은 반대로 홈구조가 되어서 팽창하는 프리폼(20)이 침투하기 어렵다.
그래서 도4b와 도5를 참조하면, 급격한 모양의 변화가 발생하는 조립요부(35)와, 조립철부(36)에는 석션유로(70)를 구비하여 블로잉에 의해 팽창하는 프리폼(20)을 강제로 흡입하여 당김으로써, 팽창하는 프리폼(20)이 조립요부(35)와, 조립철부(36)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5를 참조하면, 석션유로(70)는 미세유로(71)들을 통해 홈구조의 바닥에 연결되어서 흡입력을 홈구조 바닥 전체로 분산시키고 균일화하며, 팽창하는 프리폼(20)이 바닥에 접촉되면 미세유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성형된 용기(10)에 흡입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홈구조인 상기 조립요부(35)와, 조립철부(36)에는 프리폼(20)의 팽창을 촉진하는 히터(80)가 내장된다. 특히, 수평분체(31, 32, 33, 34)의 내면과 연결되는 조립요부(35)의 오목진 부위는 상대적으로 프리폼(20)의 많은 변형(팽창)을 요구하는 부위로서 성형되는 용기(10)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구조의 상기 조립철부(36)와 수평분체(31, 32, 33, 34)의 내면이 연결되는 부위도 프리폼(20)의 변형 정도가 심한 부위로서 히터(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터(80)는 열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리폼(20)이 성형공간(61) 내에서 팽창되는 과정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신장되고, 사방으로 균일한 압력을 받으면서 팽창되도록 하기 위한 팽창보조수단이 구비된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팽창보조수단은
상기 상부금형(40)을 관통하며 성형공간(61)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한 지지로드(110)와,
상기 지지로드(1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리폼(20)의 바닥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11)과,
상기 블로워(63)를 통해 상기 프리폼(20)의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로드(120)와,
상기 투입로드(120)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는 인출입로드(130)와,
상기 인출입로드(1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판(131)과,
내피복(141)과 외피복(143)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 접힘이 가능한 팽창지원튜브(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하부측에서 상기 투입로드(120)과 내부로 관통되고, 상기 고정판(131)은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상부측에 위치한 내피복(141)에 고정된다.
상기 투입로드(120)는 상기 내피복(14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투입로드(120)에는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내피복(141)과 외피복(143)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노즐(150)이 구비된다.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내피복(141)과 외피복(143)은 곳곳에서 연결되어서 서로 간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내피복(141)과 외피복(143)은 팽창, 수축, 접힘 등의 모양의 변형이 함께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지원튜브(140)는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원통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측이 상부측의 내측으로 접혀 들어가 상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외피복(143)에는 수많은 토출홀(145)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팽창보조수단은 상기 블로워(63)의 블로잉과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프리폼(20)이 성형공간(61) 안에서 상하좌우방향으로 균형있게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성형되는 용기의 불량을 방지한다.
블로워(63)가 프리폼(20)의 개구부(21)로 공기를 공급하여 블로잉이 시작하면, 상기 주입노즐(150)도 팽창지원튜브(140)의 내피복(141)과 외피복(143)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여 토출홀(145)들에서 공기가 사방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프리폼(20)의 내면은 상하 전체에서 전반적으로 균일한 공기압을 받으며 팽창하게 된다.
블로워(63)가 프리폼(20)의 개구부(21)로 공기를 공급하여 블로잉이 시작하면, 프리폼(20)의 팽창에 맞춰 상기 인출입로드(130)가 투입로드(120)에서 인출되어 프리폼(20)을을 상부측으로 신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투입로드(120)는 하부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상기 지지로드(110)는 프리폼(20)의 신장에 맞춰 승강되고, 상기 지지판(111)은 신장되는 프리폼(20)의 상부측 외면을 지지하여 프리폼(20) 신장의 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인출입로드(130)가 인출되면 하부측이 상부측 안으로 들어가 있던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하부측이 나오면서 펼쳐져 팽창지원튜브(140)의 길이도 길어지고, 토출홀(145)들은 신장되는 프리폼(20)의 내면 전체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상하방향으로 신장되는 프리폼(20)은 동시에 옆으로도 팽창된다. 그래서 상기 투입로드(120)는 인출입로드(130)의 인출에 맞춰 팽창지원튜브(140)의 내피복(141)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지원튜브(140)가 옆으로도 팽창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팽창하는 프리폼(20) 내면과의 거리를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프리폼(20)의 블로잉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주입노즐(150)은 공기 주입을 중단하고, 상기 투입로드(120)는 흡기하여 내피복(141)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인출입로드(130)는 투입로드(120)로 인입되어 팽창지원튜브(140)가 초기상태로 복귀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기 11 : 조립홈
13 : 조립돌기 20 : 프리폼
21 : 개구부 23 : 나사산
25 : 플랜지 30 : 측부금형
31~34 : 분체 35 : 조립요부
36 : 조립철부 37 : 단턱
40 : 상부금형 50 : 하부금형
61 : 성형공간 63 : 블로워
70 : 석션유로 80 : 히터
110 : 지지로드 120 : 투입로드
130 : 인출입로드 140 : 팽창지원튜브
150 : 주입노즐

Claims (4)

  1. 복수의 분체로 구성되는 측부금형;
    상기 측부금형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금형;
    프리폼의 플랜지 주변을 잡아주고, 상기 측부금형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프리폼의 블로잉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는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부금형의 어느 한 분체에는 홈구조의 조립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금형의 다른 한 분체에는 상기 조립요부에 상응하는 돌출구조의 조립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리폼이 성형공간 내에서 팽창되는 것을 보조하는 팽창보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팽창보조수단은
    상기 상부금형을 관통하며 성형공간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한 지지로드(110)와,
    상기 지지로드(1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리폼의 바닥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11)과,
    내피복(141)과 외피복(143)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 접힘이 가능한 팽창지원튜브(140)와,
    블로워를 통해 상기 프리폼의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하부측에서 내부로 관통되어서 상기 내피복(14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투입로드(120)와,
    상기 투입로드(120)에 구비되어서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내피복(141)과 외피복(143)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노즐(150)과,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외피복(143)에 형성되어서 프리폼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홀(145)들과,
    상기 투입로드(120)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는 인출입로드(130)와,
    상기 인출입로드(130)의 단부에 구비되과, 상기 팽창지원튜브(140)의 상부측에 위치한 내피복(141)에 고정되는 고정판(1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요부의 바닥에는 성형되는 용기를 당겨주는 석션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요부에는 프리폼의 팽창을 촉진하는 히터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
  4. 제 1 항에 따른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로 제작되어서 외측면에 상응하는 구조의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형성되는 조립식 용기.
KR1020170135273A 2017-10-18 2017-10-18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 KR101830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273A KR101830162B1 (ko) 2017-10-18 2017-10-18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273A KR101830162B1 (ko) 2017-10-18 2017-10-18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162B1 true KR101830162B1 (ko) 2018-02-21

Family

ID=6152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273A KR101830162B1 (ko) 2017-10-18 2017-10-18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071B1 (ko) * 2020-06-19 2021-08-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신 블로우 성형으로 균일한 두께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2100A (ja) * 2013-03-15 2016-07-28 フレンドシップ プロダクツ エルエルシー モジュール式連結物品を製造する成形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2100A (ja) * 2013-03-15 2016-07-28 フレンドシップ プロダクツ エルエルシー モジュール式連結物品を製造する成形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071B1 (ko) * 2020-06-19 2021-08-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신 블로우 성형으로 균일한 두께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2169B1 (en) Blow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
US11220023B2 (en) Preform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
US10737428B2 (en) Forming mold and injection mold
KR101830162B1 (ko)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
KR102285874B1 (ko) 수지제의 용기 부품의 제조 방법, 금형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블로우 성형기
JP5160658B2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90135043A (ko) 디스펜서 용기
JP5337577B2 (ja) 容器の製造方法及びブロー成形用金型
JP2016037313A (ja) 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789556B2 (ja) 二重容器の製造方法
KR102170786B1 (ko) 인몰드 라벨 사출장치
US11247382B2 (en) Blow molding mold and blow molding apparatus
KR102456985B1 (ko) 블로우 성형용 금형, 이것을 사용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의 용기
KR102292071B1 (ko) 연신 블로우 성형으로 균일한 두께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212352857U (zh) 一种吹塑模具改良结构及吹塑设备
CN213082526U (zh) 一种制造分段纸浆瓶的瓶口段的模具
KR200209509Y1 (ko) 슬라이드방식의 블로우 금형
US20220134630A1 (en) Container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iner
CN113165250A (zh) 吹塑塑料结构
KR200319711Y1 (ko) 라벨 인몰딩 장치에서의 라벨 공급기 아암
CN117980128A (zh) 模塑工具及拉伸吹塑聚酯瓶
JP2006175844A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0120112390A1 (en) Stretch rod for a two-stage blow molding machine
JP2003062842A (ja) 発泡成形型及び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