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183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183B1
KR101829183B1 KR1020177025625A KR20177025625A KR101829183B1 KR 101829183 B1 KR101829183 B1 KR 101829183B1 KR 1020177025625 A KR1020177025625 A KR 1020177025625A KR 20177025625 A KR20177025625 A KR 20177025625A KR 101829183 B1 KR101829183 B1 KR 10182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width
rear portion
absorbent articl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067A (ko
Inventor
아이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longitudinal raised end, e.g. cup-shaped gluteal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Abstract

(과제)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하여, 착용자에게 누수 불안감을 주지 않음과 함께, 장착감을 높인다.
(해결 수단) 흡수체 (4) 의 피부측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피부측으로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 (20) 가 형성된 생리용 냅킨 (1) 이다. 상기 중고부 (20) 는, 착용자의 체액 배출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중고 전방부 (24) 와, 착용자의 둔부 고랑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중고 후방부 (25) 와, 상기 중고 전방부 (24) 와 중고 후방부 (25) 를 냅킨의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형성됨과 함께,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해져 있는 중고 잘록부 (23) 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중고 후방부 (25) 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측의 둔부 고랑이 개시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둔부 고랑을 넘은 위치, 둔부 고랑의 종점 위치 또는 둔부 고랑의 중간 위치까지의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고 후방부 (25) 의 최대 폭은 20 ∼ 36 ㎜ 가 됨과 함께, 그 중고 후방부 (25) 의 최대 폭과 상기 중고 전방부 (24) 의 폭은 등폭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주로 생리용 냅킨, 냉대하 시트, 실금 패드, 토일리트리 등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체의 피부측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피부측으로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 (中高部) 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팬티라이너,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 시트 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부직포 또는 투액성 플라스틱 시트 등의 투액성 표면 시트 사이에 면상 (綿狀)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도 수많은 개량이 거듭되어, 흡수체의 피부측면에 피부측으로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를 형성한 것이 여러 가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51) 의 배혈구 대응 영역에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융기되는 전방 중고부 (52) 를 가짐과 함께, 둔부 고랑에 대응하는 영역보다 후방에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융기되는 후방 중고부 (53) 를 갖고 있는 생리용 냅킨 (50) 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 에 있어서는, 흡수체가, 그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그 흡수체보다 폭이 좁고 또한 볼록상으로 돌출되는 중고부를 갖고 있으며, 그 중고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전방 중고부와 후방 중고부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574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12864호
상기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중고부 (52) 및 후방 중고부 (53) 가 각각 별개로 흡수성 물품의 전후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는 피부측면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 중고부 (52) 는, 착용자의 체액 배출부에 밀착되어, 배출된 체액을 재빨리 흡수하는 것을 주된 역할로 하고, 후방 중고부 (53) 는, 피부면과 흡수성 물품의 표면의 간극에 있어서 피부를 타고 후방으로 흐른 체액을 막아 흡수하는 것을 주된 역할로 하고 있다.
상기 전방 중고부는, 충분한 흡수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펄프량을 증가시키는 대책이 강구되는 경우가 있지만, 피트성 등의 관계에서 피부면으로의 돌출 높이에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전방 중고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충분한 펄프량을 확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전방 중고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입체 개더의 근방까지 형성되는 경우가 있어, 전방 중고부에 흡수된 체액이 입체 개더에 부착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었다. 입체 개더에 체액이 부착되면, 사용 후의 체액의 확산 상황에서, 착용자에게 누수가 생길 것 같은 불안감을 줄 우려가 있었다.
또, 전방 중고부와 후방 중고부의 이간 부분에서는, 흡수체의 피부측으로의 돌출 높이가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표면과 피부면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체액이 피부를 타고 후방으로 흐를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피부를 타고 흐르는 체액의 흐름이 발생하면, 착용자에게 누수에 대한 불안감을 줄 뿐만 아니라, 장착시에 흡수성 물품의 뭉침이나 틀어짐이 발생한 경우에는, 후방으로 흐른 체액을 후방 중고부에서 막아 흡수할 수 없어,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후방 중고부는, 사용시에 꼬리뼈 부근에 닿아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하여, 착용자에게 누수에 대한 불안감을 주지 않음과 함께, 장착감을 높인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피부측으로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중고부는, 착용자의 체액 배출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중고 전방부와, 착용자의 둔부 고랑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중고 후방부와, 상기 중고 전방부와 중고 후방부를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형성됨과 함께,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해져 있는 중고 잘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고 전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가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전체 길이에 걸쳐 등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폭은 20 ∼ 36 ㎜ 가 되고,
상기 중고 후방부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측의 둔부 고랑이 개시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둔부 고랑을 넘은 위치, 둔부 고랑의 종점 위치 또는 둔부 고랑의 중간 위치까지의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고 후방부의 최대 폭은 20 ∼ 36 ㎜ 가 됨과 함께, 그 중고 후방부의 최대 폭과 상기 중고 전방부의 폭은 등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고 잘록부는, 양측 가장자리가 폭 방향 외측에 중심을 갖는 호상 (弧狀) 곡선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고 전방부와의 경계는 착용자의 회음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그 중고 잘록부의 최소 폭은 10 ∼ 20 ㎜ 가 되고, 또한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중고 전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45 ∼ 75 %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흡수체의 중고부를, 체액 배출부에 대응하는 중고 전방부와, 둔부 고랑에 대응하는 중고 후방부와, 상기 중고 전방부와 중고 후방부를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형성됨과 함께,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해져 있는 중고 잘록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고 전방부와 중고 후방부 사이에 중고 잘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고 전방부에 흡수된 체액이 중고 잘록부 및 중고 후방부의 중고부 전체에 걸쳐 확산될 수 있어, 체액이 중고부에 효율적으로 흡수되어, 체액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중고 전방부에 흡수된 체액이 중고 잘록부 및 중고 후방부의 중고부 전체에 걸쳐 확산되어, 중고부 전체에서 충분한 흡수 용량이 확보되므로, 중고 전방부를 폭 넓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양측부의 입체 개더 근방까지 체액이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착용자가 누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상기 중고 전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가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전체 길이에 걸쳐 등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폭은 20 ∼ 36 ㎜ 가 되어 있기 때문에, 중고 전방부가 착용자의 체액 배출부에 밀착되기 쉬워져, 중고 전방부에 확실하게 체액을 흡수할 수 있음과 함께, 중고 전방부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의 체액의 확산이 억제되어, 후방으로의 체액의 확산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상기 중고 후방부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측의 둔부 고랑이 개시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둔부 고랑을 넘은 위치, 둔부 고랑의 종점 위치 또는 둔부 고랑의 중간 위치까지의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고 후방부의 최대 폭은 20 ∼ 36 ㎜ 가 됨과 함께, 그 중고 후방부의 최대 폭과 상기 중고 전방부의 폭은 등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중고 후방부에서 충분한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중고 전방부로부터 확산된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고 잘록부는, 양측 가장자리가 폭 방향 외측에 중심을 갖는 호상 곡선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고 전방부와의 경계는 착용자의 회음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양측 가장자리를 폭 방향 외측에 중심을 갖는 호상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중고 잘록부에 있어서의 후방으로의 체액의 확산이 저하되기 어려움과 함께, 중고 잘록부가 신체를 따르기 쉬워진다.
상기 중고 잘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중고 전방부와 중고 후방부를 연결하는 부분에서도 피부측으로 돌출되는 중고로 형성되기 때문에, 체액 배출부와 둔부 고랑 사이에서 피부면과 흡수성 물품 표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아, 체액이 피부를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액의 누수가 확실하게 방지되어, 착용자에게 누수에 대한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중고 잘록부는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고 잘록부가 신체의 가는 홈이나 작은 오목부에도 간극 없이 들어가, 피부를 타고 흐르는 체액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중고 전방부와 중고 잘록부의 경계는, 착용자의 회음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고 잘록부가 회음부로부터 후방의 피부면에 밀착될 수 있어, 체액의 누수를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고 잘록부의 최소 폭은, 5 ㎜ ∼ 30 ㎜ 로 하고, 상기 중고 잘록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중고 전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45 % ∼ 75 % 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고 잘록부가 확실하게 피부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중고 후방부는, 흡수성 물품의 후방측을 향하여 점차 폭을 좁게 한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중고 후방부는, 흡수성 물품의 후방측을 향하여 점차 폭을 좁게 한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고 후방부가 둔부 고랑에 들어가기 쉬워져, 둔부 고랑을 타고 흐르는 체액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누수에 대한 불안감을 주지 않음과 함께, 장착감이 높아지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생리용 냅킨 (1) 의 일부 파단 전개도이다.
도 2 은 도 1 의 Ⅱ-Ⅱ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Ⅳ-Ⅳ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는 종래의 생리용 냅킨 (50) 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서술한다.
[생리용 냅킨 (1) 의 기본 구조]
상기 생리용 냅킨 (1) 은,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경혈이나 냉대하 등 (이하, 모두 체액이라고 한다) 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이들 양 시트 (2, 3) 사이에 개재 장착된 면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4) 와, 이 흡수체 (4) 의 형상 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 상기 흡수체 (4) 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 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포 (被包) 시트 (5) 와, 상기 흡수체 (4) 의 대략 측가장자리부를 기립 기단 (基端) 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배혈구부 (H) 를 포함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구간 내에 있어서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좌우 1 쌍의 입체 개더 (BS, BS) 를 형성하는 입체 개더 형성용 부직포 (6) 와, 상기 입체 개더 (BS) 의 외측에 냅킨 길이 방향 (이하, 냅킨 전후 방향이라고도 한다) 을 따라 형성된 사이드 부직포 (7) 와, 상기 흡수체 (4) 의 피부측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냅킨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피부측으로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 (20) 로 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흡수체 (4) 의 주위에 있어서는, 그 상하단 (端) 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핫 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고, 또 그 양측 가장자리부에서는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가 핫 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이들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사이드 부직포 (7) 에 의한 적층 시트 부분에 의해 측방으로 돌출되는 윙상 플랩 (W, W)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보다 둔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 2 윙상 플랩 (WB, WB) 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추가로 상기 생리용 냅킨 (1) 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면,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는, 폴리에틸렌 등의 적어도 차수성을 갖는 시트재가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 축 또는 2 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의 비사용면측 (외면) 에는 1 또는 복수 조의 점착제층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신체에 장착했을 때 생리용 냅킨 (1) 을 속옷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로는,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를 적층시킨 폴리라미 부직포를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고, 스판 레이스법, 스판 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점에서 우수하고, 서멀 본드법은 벌크하고 압축 복원성이 높은 점에서 우수하다.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에 다수의 투공을 형성한 경우에는,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게 되어, 드라이터치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투액성 표면 시트 (3) 사이에 개재되는 흡수체 (4) 는, 예를 들어 면상 펄프와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펄프 중에, 예를 들어 입상 분말로서 혼입되어 있다. 상기 펄프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활엽수 펄프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 쪽이 기능 및 가격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흡수체 (4) 에는 합성 섬유를 혼합해도 된다. 상기 합성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및 이들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2 종을 혼합한 것이어도 된다. 또, 융점이 높은 섬유를 코어로 하고 융점이 낮은 섬유를 시스로 한 코어/시스형 섬유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는, 체액에 대한 친화성을 갖도록, 소수성 섬유의 경우에는 친수화제에 의해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 (4) 의 피부측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피부측으로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 (2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고부 (20) 로는, 기능적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상면에 배출된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하지만, 흡수한 체액을 내부에 보류하지 않고 흡수체 (4) 에 침투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펄프 섬유 중에 화학 섬유를 혼합한 것, 에어스루 흡수체나 에어레이드 흡수체 또는 토우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고부 (20) 에 화학 섬유를 혼합함으로써 체액 흡수 상태시에도 오므라지지 않고 부피를 유지하여 쿠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고부 (20) 에는, 벌크해져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토우 섬유 (섬유속) 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체 (4) 는 화학 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지 않고, 펄프 섬유 단독, 혹은 펄프 섬유와 고흡수성 수지의 혼합체로 할 수 있다. 상기 흡수체 (4) 는 투과성이 중시되지 않고, 중고부 (20) 로부터 침투한 체액을 내부에 보류하여 외부로 스며나오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화학 섬유를 함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수체 (4) 및 중고부 (20) 는, 각각 별개로 제조한 후, 조립 공정에서 적층해도 되고, 흡수체를 입체적으로 적섬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흡수체 (4) 의 상단에 중고부 (20) 를 적섬하는 2 단 적섬 구조로 해도 된다.
이 중고부 (20) 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본 생리용 냅킨 (1) 에서는, 상기 중고부 (20) 를 둘러싸도록,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외면측으로부터 생리용 냅킨 (1) 의 대략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1 쌍의 중앙 압착 홈 (16)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 압착 홈 (16) 은, 적어도 길이 방향 중심선 (CL) 의 양측에 각각 냅킨의 대략 길이 방향을 따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도시예에서는, 이 좌우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접속되고, 전체적으로 냅킨 길이 방향으로 길고 가느다랗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폐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중앙 압착 홈 (16) 보다 전측으로 이간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Ω 형상의 전측 압착홈 (16a) 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앙 압착홈 (16) 보다 후측으로 이간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 Ω 형상의 후측 압착홈 (16b)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측 압착홈 (16a) 및 후측 압착홈 (16b) 은, 각각 생리용 냅킨 (1) 의 표면을 전측 및 후측으로 타고 흐르는 체액을 포착하여, 체액이 흘러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폭 치수는, 도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 의 횡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폭보다 약간 길어, 흡수체 (4) 를 덮는 데에 그치고, 상기 입체 개더 (BS) 는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는 별개의 입체 개더 형성용 부직포 (6) 에 의해 형성되고, 입체 개더 (BS) 의 외측에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의 표면측에 사이드 부직포 (7) 이 적층되어 있다. 이들 입체 개더 형성용 부직포 (6) 및 사이드 부직포 (7) 는, 체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피부 촉감을 높이는 등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발수 처리 또는 친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직포 (6, 7) 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재생 섬유 등을 소재로 하여,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뻣뻣한 감을 없앰과 함께, 땀이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량을 억제하여 통기성을 갖게 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평량을 13 ∼ 23 g/㎡ 로 하여 제작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체액의 투과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클로라이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 처리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의 외측 가장자리까지의 범위에 걸쳐 핫 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이들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의 적층 시트 부분에 의해, 거의 체액 배출부에 상당하는 흡수체 측부 위치에 좌우 1 쌍의 윙 플랩 (W, W) 을 형성함과 함께, 이보다 둔부측 위치에 제 2 윙상 플랩 (WB, WB) 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윙상 플랩 (W, W) 및 제 2 윙상 플랩 (WB, WB) 의 외면측에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쇼츠에 대한 장착시에, 상기 윙상 플랩 (W, W) 을 되접어 꺾음선 (RL) 위치에서 반대측으로 되접어 꺾어, 쇼츠의 크로치 부분에 감아 지착 (止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입체 개더 형성용 부직포 (6) 는, 이중으로 되접어 꺾인 시트가 사용되고, 이 이중 시트 내부의 소정 위치에, 그 높이 방향 중간부에 양단 또는 길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복수 조의 사상 탄성 신축 부재 (21…, 22…) 가 배치 형성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혈구부 (H) 를 포함하는 소정의 길이 범위에 걸쳐 기립 상태가 되어, 내측에 개구를 향한 포켓 (P, P) 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입체 개더 (BS) 는, 도 4 에 나타내는 접힌 상태에서, 냅킨 (1) 의 측방측으로부터 중심측 방향으로 연장된 입체 개더 형성용 부직포 (6) 가 중심측 위치에서 측방측으로 되접어 꺾인 제 1 되접어 꺾임부 (32) 와, 이 제 1 되접어 꺾임부 (32) 에 연속적으로 측방측 위치에서 중심측 방향으로 되접어 꺾이는 제 2 되접어 꺾임부 (33) 와, 이 제 2 되접어 꺾임부 (33) 에 연속적으로 중심측 위치에서 측방측으로 되접어 꺾이는 제 3 되접어 꺾임부 (34) 에 의해 4 개로 접혀, 하층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되접어 꺾임면 (35), 제 2 되접어 꺾임면 (36), 제 3 되접어 꺾임면 (37) 및 제 4 되접어 꺾임면 (38) 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4 되접어 꺾임면 (38) 은, 피부 맞닿음면부 (31) 를 구성하고 있다.
본 생리용 냅킨 (1) 에서는, 상기 입체 개더 (BS) 는, 배혈구부 (H) 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전측 입체 개더 (BS1) 와, 둔부측의 영역에 형성된 후측 입체 개더 (BS2) 에서 상이한 기립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전측 입체 개더 (BS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되접어 꺾임면 (36) 과 제 1 되접어 꺾임면 (35) 을 접합하고, 그 밖의 되접어 꺾임면끼리를 비접합으로 함으로써, 상기 흡수체 (4) 의 측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으로부터 기립하는 측면 기립부 (30) 와, 이 측면 기립부 (30) 의 선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냅킨 (1) 의 표면에 대해 대략 수평 또는 중심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소정 폭의 피부 맞닿음면부 (31) 를 갖는 입체 개더이다. 상기 측면 기립부 (30) 및 피부 맞닿음면부 (31) 에는, 각각 생리용 냅킨 (1) 의 길이 방향을 따름과 함께 기립 방향으로 이간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사상 탄성 신축 부재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측면 기립부 (30) 에 2 개의 사상 탄성 신축 부재 (21, 21) 가, 피부 맞닿음면부 (31) 에 3 개의 사상 탄성 신축 부재 (22, 22…) 가 각각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측 입체 개더 (BS2) 는, 상기 제 1 되접어 꺾임면 (35) 과 제 2 되접어 꺾임면 (36) 을 비접합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 2 되접어 꺾임면 (36) 과 제 3 되접어 꺾임면 (37) 을 접합함과 함께, 상기 제 3 되접어 꺾임면 (37) 과 제 4 되접어 꺾임면 (38) 을 접합함으로써, 상기 제 1 되접어 꺾임부 (32) 를 기립점으로 하여 외측 방향을 향하여 직선 경사상으로 기립하는 입체 개더이다.
상기 전측 입체 개더 (BS1) 및 후측 입체 개더 (BS2) 를 형성함으로써, 배혈구부 (H) 를 포함하는 전측 영역에 있어서는, 입체 개더의 제 4 되접어 꺾임면 (38) 이 장착자의 샅부에 밀착되도록 기립되고, 둔부측의 후측 영역에서는 직선 경사상으로 기립한 입체 개더가 둔부의 둥근 부분을 따라 밀착되게 되기 때문에, 각각의 부위의 신체 형상에 맞는 피트성이 높은 입체 개더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고부 (20)]
본 생리용 냅킨 (1) 에서는, 상기 중고부 (2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혈구부 (H) 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중고 전방부 (24) 와, 착용자의 둔부 고랑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중고 후방부 (25) 와, 상기 중고 전방부 (24) 와 중고 후방부 (25) 를 냅킨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형성됨과 함께,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해져 있는 중고 잘록부 (23)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고부 (20) 는, 냅킨 전후 방향을 따라 길고 가느다랗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 중심선 (CL) 에 대해 좌우 대칭의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중고부 (20) 는, 상기 중고 잘록부 (23) 의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중고 전방부 (24) 의 후단 및 중고 후방부 (25) 의 전단에 연속됨으로써, 상기 중고 전방부 (24), 중고 후방부 (25) 및 중고 잘록부 (23) 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중고 전방부 (24) 는, 착용자의 배혈구부 (H) 를 포함하는 영역, 구체적으로는 배혈구부 (H) 보다 전측 및 후측으로 약간 긴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고 전방부 (24) 는, 냅킨 전후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가 냅킨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중고 전방부 (24) 가 착용자의 배혈구부 (H) 에 밀착되기 쉬워짐과 함께, 배출된 체액이 중고 전방부 (24) 에 확실하게 흡수될 수 있게 된다. 또, 양측 가장자리를 냅킨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중고 전방부 (24) 에 흡수된 체액이 폭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되어, 체액을 전후 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쉬워진다. 만일, 양측 가장자리를 냅킨 폭 방향 외측으로 팽출된 곡선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팽출 폭이 최대가 되는 부분에 체액이 집중되어, 그곳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체액이 흘러나올 우려가 있다.
상기 중고 전방부 (24) 의 전단 가장자리는, 냅킨 전방을 향하여 팽출되는 호상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피부에 닿는 느낌이 부드러워져, 장착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전단 가장자리는, 냅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고 전방부 (24) 는,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등폭으로 형성되고, 그 폭은 15 ㎜ ∼ 40 ㎜, 바람직하게는 20 ㎜ ∼ 36 ㎜ 로 하는 것이 좋다. 본 생리용 냅킨 (1) 에서는, 중고 전방부 (24) 에 흡수된 체액이 중고 잘록부 (23) 나 중고 후방부 (25) 에 확산되므로, 중고 전방부 (24) 만으로 충분한 흡수 용량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통상적인 생리용 냅킨의 체액 배출부에 형성된 중고부와 비교하여, 가는 폭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양측부의 입체 개더의 근방까지 체액이 확산되는 것이 억제되게 된다.
상기 중고 전방부 (24) 의 후단은, 상기 중고 잘록부 (23) 에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중고 전방부 (24) 에 흡수된 체액이, 재빨리 중고 잘록부 (23) 에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고 후방부 (25) 는, 착용자의 둔부 고랑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측의 둔부 고랑이 개시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둔부 고랑을 넘은 위치, 둔부 고랑의 종점 위치 또는 둔부 고랑의 중간 위치까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고 후방부 (25) 는, 냅킨의 후방측을 향하여 점차 폭을 좁게 한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중고 후방부 (25) 가 둔부 고랑의 안쪽까지 들어가기 쉬워져, 둔부 고랑을 타고 흐르는 체액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끝이 가는 형상은, 도시예에서는, 중고 후방부 (25) 의 전단 (중고 잘록부 (23) 와의 경계) 부터 개시하도록 하고 있자먼, 중고 후방부 (25) 의 전단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양측 가장자리를 냅킨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형성한 후, 그곳으로부터 끝이 가는 형상으로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중고 후방부 (25) 의 최대 폭은, 15 ㎜ ∼ 40 ㎜, 바람직하게는 20 ㎜ ∼ 36 ㎜ 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중고 후방부 (25) 의 최대 폭은, 상기 중고 전방부 (24) 의 최대 폭과 거의 등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중고 후방부 (25) 에서 충분한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중고 전방부 (24) 로부터 확산된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끝이 가는 형상을 중고 후방부 (25) 의 전단부터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중고 후방부 (25) 의 최대 폭은 중고 후방부 (25) 의 전단 (중고 잘록부 (23) 과의 경계) 에 형성된다.
상기 중고 후방부 (25) 의 전단은, 상기 중고 잘록부 (23) 에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중고 잘록부 (23) 에 흡수된 체액이, 재빨리 중고 후방부 (25) 에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고 잘록부 (23) 는, 상기 중고 전방부 (24) 와 중고 후방부 (25) 를 냅킨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즉, 중고 전방부 (24) 와 중고 후방부 (25) 는 냅킨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형성되고, 그 이간된 부분을 중고 잘록부 (23) 로 연결하고 있다. 중고 잘록부 (23) 의 전단은 중고 전방부 (24) 의 후단에 연속되고, 중고 잘록부 (23) 의 후단은 중고 후방부 (25) 의 전단에 연속되어 있다.
중고 전방부 (24) 와 중고 잘록부 (23) 의 경계는, 착용자의 회음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회음부로부터 둔부 고랑의 개시 위치에 걸친 피부면의 가는 고랑이나 작은 오목부에 중고 잘록부 (23) 가 피트되어, 체액이 피부를 타고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 중고 후방부 (25) 와 중고 잘록부 (23) 의 경계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측의 둔부 고랑이 개시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중고 잘록부 (23) 가 회음부로부터 둔부 고랑의 개시 위치에 걸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중고 잘록부 (23) 는,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중고 잘록부 (23) 의 중간 부분이 양단 부분보다 폭 방향으로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중고 잘록부 (23) 가 신체의 가는 고랑이나 작은 오목부에도 간극없이 밀착될 수 있어, 피부를 타고 흐르는 체액의 누수나, 체액이 피부를 타고 흐르는 것에 의한 누수에 대한 불안감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중고 잘록부 (23) 가 가장 폭이 좁아지는 부분은, 중고 잘록부 (23) 의 냅킨 전후 방향의 중앙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고 잘록부 (23) 는, 양측 가장자리가 폭 방향 외측에 중심을 갖는 호상 곡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호상 곡선을 따른 체액의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고 잘록부 (23) 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체액의 확산을 저해하기 어려워짐과 함께, 중고 잘록부 (23) 가 신체를 따라 피부면에 밀착되기 쉬워진다. 상기 호상 곡선은, 단일의 원호 또는 상이한 곡률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원호의 조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고 잘록부 (23) 에 있어서,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하도록 형성된 잘록 부분은, 중고 잘록부 (23) 의 전단 (중고 전방부 (24) 와의 경계) 으로부터 후단 (중고 후방부 (25) 와의 경계) 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고 잘록부 (23) 의 양측 가장자리가 전체 길이에 걸쳐, 폭 방향 외측에 중심을 갖는 호상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양측 가장자리가 완만한 호상 곡선으로 형성되어, 체액의 확산을 저하시키기 어려워진다.
상기 중고 잘록부 (23) 의 최소 폭은 5 ㎜ ∼ 30 ㎜, 바람직하게는 10 ㎜ ∼ 20 ㎜ 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중고 잘록부 (23) 의 냅킨 전후 방향의 길이는, 인체의 가랑이 아래의 회음부로부터 둔부 고랑의 개시 위치까지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고려하여, 중고 전방부 (24) 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45 % ∼ 75 %, 바람직하게는 55 % ∼ 65 % 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중고 전방부 (24) 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70 ㎜ ∼ 100 ㎜ 로 하는 것이 좋다. 중고부 (20) 의 전체 길이는, 180 ㎜ ∼ 250 ㎜ 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생리용 냅킨 (1) 에서는, 중고 전방부 (24) 와 중고 후방부 (25) 사이에 중고 잘록부 (23)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중고 전방부 (24) 에 흡수된 체액이 중고 잘록부 (23) 및 중고 후방부 (25) 의 중고부 전체에 걸쳐 확산될 수 있어. 체액이 중고부 (20) 에 효율적으로 흡수되어, 체액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중고 전방부 (24) 에 흡수된 체액이 중고 잘록부 (23) 및 중고 후방부 (25) 의 중고부 (20) 의 전체에 걸쳐 확산되어, 중고부 전체에서 충분한 흡수 용량이 확보되므로, 중고 전방부 (24) 를 폭 넓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양측부의 입체 개더 근방까지 체액이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착용자가 누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중고 잘록부 (23) 를 형성함으로써, 중고 전방부 (24) 와 중고 후방부 (25) 를 연결하는 부분에서도 피부측으로 돌출되는 중고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혈구부 (H) 와 둔부 고랑 사이에서 피부면과 냅킨 표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아, 체액이 피부를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액의 누수가 확실하게 방지되어, 착용자에게 누수에 대한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중고 잘록부 (23) 는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고 잘록부 (23) 가 신체의 가는 고랑이나 작은 오목부에도 간극없이 들어가, 피부를 타고 흐르는 체액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일반적으로, 중고부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옆으로 누웠을 때 등 냅킨 폭 방향으로부터 각압 (脚壓) 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중고부가 피부면에 피트되어 체액의 흡수량이 많아질 것으로 생각되지만, 중고부의 폭이 좁기 때문에, 반듯이 누웠을 때 등 냅킨 폭 방향으로부터의 각압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의 흡수 용량이 저하되어 흡수할 수 있는 체액의 양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생리용 냅킨 (1) 에서는, 중고부 (20) 에 전후의 중고부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중고 잘록부 (23)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옆으로 누웠을 때 등 각압에 의해 냅킨 폭이 좁아졌을 때에도, 이 폭이 좁은 중고 잘록부 (23) 가 피부면에 피트되어, 피부면을 타고 흐르는 체액을 흡수할 수 있음과 함께, 반듯이 누웠을 때 등 냅킨 폭 방향으로부터의 각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중고 전방부 (24) 및 중고 후방부 (25) 에 의해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체액의 흡수량이 많아진다.
상기 중고 잘록부 (23) 의 잘록 부분을 형성하는 수단으로는, 다음의 3 개의 수단 중 어느 것으로 할 수 있다.
먼저 제 1 수단은, 처음부터 전술한 잘록 부분을 갖도록 중고부 (20) 를 적섬하는 것이다. 이로써, 잘록 부분이 명백히 형성되어, 생리용 냅킨 (1) 의 제조 후부터 사용 개시까지의 동안에 잘록 부분이 잘 변형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에 반해, 중고부 (20) 의 주위에 실시되는 상기 중앙 압착부 (16) 의 형상에 따라서는, 중고부 (20) 와 중앙 압착부 (16) 의 간격이 커져, 중고부가 틀어져 중고부가 신체에 피트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중고부의 형상이 유지되기 어려워지는 등의 결점이 있다.
이어서 제 2 수단은, 중고부로서, 양측 가장자리에 잘록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 중고 전방부 (24) 로부터 중고 후방부 (25) 에 걸쳐 연속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된 것을, 흡수체 (4) 에 적층하고, 엠보스에 의해, 전술한 잘록 부분을 가장자리를 두르듯이 압착함으로써 상기 중고 잘록부 (23) 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엠보스로는, 흡수체 (4) 및 중고부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중고부의 외면측으로부터 흡수체 (4) 및 중고부를 일체적으로 압착하는 코어 엠보스로 해도 되고, 흡수체 (4) 및 중고부의 적층체의 피부측면을 투액성 표면 시트 (3) 로 피복한 상태에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외면측으로부터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중고부 및 흡수체 (4) 를 일체적으로 압착하는 피트 엠보스로 해도 된다. 이로써, 상기 피트 엠보스를 실시한 경우에는, 외부에서 중고 잘록부 (23) 를 인식하기 쉬워짐과 함께, 사용시에 중고부 (20) 가 잘 변형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에 반해, 중고부의 압착에 의해 잘록 부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 (1) 의 제조 후부터 사용 개시까지의 동안에 압착 부분이 복원되어, 잘록 부분의 형상 유지가 어려워지는 결점이 있다. 또, 중고부와 주변의 흡수체 (4) 의 단차의 높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피부측으로의 돌출 높이가 낮아, 피부면에 밀착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제 3 수단은, 처음부터 상기 중고 잘록부 (23) 가 형성된 중고부 (20) 를 적섬에 의해 성형한 후, 이 중고부 (20) 를 상기 흡수체 (4) 에 적층함과 함께, 그 피부측면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피복한 상태에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외면측으로부터, 상기 중고부 (20) 의 외주를 가장자리를 두르듯이 피트 엠보스를 실시한 것이다. 이로써, 상기 제 1 수단 및 제 2 수단의 결점이 해소되는 한편으로, 잘록 부분이 변형되기 어렵고, 외부에서 인식하기 쉬워지는 등의 양자의 이점이 조합되어 보다 양호한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실시예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고부의 형상을 바꾼 생리용 냅킨을 제조하여, 체액의 흡수량을 비교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방법은, 여성의 인체를 본뜬 더미 인형에 생리용 냅킨을 장착시켜, 오른쪽을 향하여 누웠을 때 및 반듯이 누웠을 때의 각 자세에 있어서, 장착 상태를 외측으로부터 관찰하여, 생리용 냅킨의 양 측부의 입체 개더 중 어느 일방에, 인공 경혈을 육안으로 볼 수 있을 때까지, 0.06 cc/s 의 속도로 인공 경혈을 계속 배출했을 때의 생리용 냅킨에 흡수된 인공 경혈의 흡수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20 분마다 1 분간의 인터벌을 두었다. 상기 흡수량은, 시험 전후의 생리용 냅킨의 중량의 차에 의해 구하였다.
상기 인공 경혈은, 글리세린 12.30 중량%, 이온 교환수 85.18 중량%, C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45 중량%, NaCl (염화나트륨) 0.97 중량%, Na2CO3 (탄산나트륨) 1.04 중량%, 청분 0.06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7088348148-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련된 생리용 냅킨 (1) 에서는, 오른쪽을 향하여 누웠을 때 및 반듯이 누웠을 때의 양방의 누운 자세에 있어서, 체액의 흡수량이 각 비교예와 비교하여 많아지는 결과가 얻어졌다. 특히, 오른쪽을 향하여 누운 경우에는, 실시예는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흡수량이 16 % 증가하였다. 이로써, 상기 중고 잘록부 (23) 를 형성함으로써, 냅킨 폭 방향으로부터 각압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중고부의 피트성이 향상되어 피부면을 타고 흐르는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반듯이 누운 경우에는, 실시예는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흡수량이 14 % 증가되어 있었다. 이로써, 중고 전방부 (24) 로부터 중고 잘록부 (23) 및 중고 후방부 (25) 로 체액이 확산되어 체액의 흡수량이 증가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실시예에 관련된 생리용 냅킨 (1) 에서는,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누수에 대한 불안감을 주기 어려워진다.
1 : 생리용 냅킨
2 : 불투액성 이면 시트
3 : 투액성 표면 시트
4 : 흡수체
5 : 피포 시트
6 : 입체 개더 형성용 부직포
7 : 사이드 부직포
20 : 중고부
23 : 중고 잘록부
24 : 중고 전방부
25 : 중고 후방부

Claims (2)

  1.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피부측으로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중고부는, 착용자의 체액 배출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중고 전방부와, 착용자의 둔부 고랑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중고 후방부와, 상기 중고 전방부와 중고 후방부를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형성됨과 함께, 양측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잘록해져 있는 중고 잘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고 전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가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전체 길이에 걸쳐 등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폭은 20 ∼ 36 ㎜ 가 되고,
    상기 중고 후방부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측의 둔부 고랑이 개시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둔부 고랑을 넘은 위치, 둔부 고랑의 종점 위치 또는 둔부 고랑의 중간 위치까지의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고 후방부의 최대 폭은 20 ∼ 36 ㎜ 가 됨과 함께, 그 중고 후방부의 최대 폭과 상기 중고 전방부의 폭은 등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고 잘록부는, 양측 가장자리가 폭 방향 외측에 중심을 갖는 호상 곡선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고 전방부와의 경계는 착용자의 회음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그 중고 잘록부의 최소 폭은 10 ∼ 20 ㎜ 가 되고, 또한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중고 전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45 ∼ 75 %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고 후방부는, 흡수성 물품의 후방측을 향하여 점차 폭을 좁게 한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77025625A 2015-03-16 2016-03-16 흡수성 물품 KR101829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1897 2015-03-16
JP2015051897A JP5927314B1 (ja) 2015-03-16 2015-03-16 吸収性物品
PCT/JP2016/058323 WO2016148191A1 (ja) 2015-03-16 2016-03-16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067A KR20170109067A (ko) 2017-09-27
KR101829183B1 true KR101829183B1 (ko) 2018-02-13

Family

ID=5608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625A KR101829183B1 (ko) 2015-03-16 2016-03-16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91001B2 (ko)
EP (1) EP3272320B1 (ko)
JP (1) JP5927314B1 (ko)
KR (1) KR101829183B1 (ko)
CN (1) CN107205860B (ko)
TR (1) TR201907752T4 (ko)
WO (1) WO2016148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3144A (zh) * 2017-11-24 2019-06-04 智邦(天津)卫生用品科技有限公司 卫生巾3d弹力贴身护围的制作工艺
USD963846S1 (en) * 2019-10-11 2022-09-13 Zhuhai Jianlang Daily Necessities Co., Ltd. Anti-leakage sanitary napki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0102B2 (ja) 1997-05-28 2006-11-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7143697A (ja) 2005-11-25 2007-06-14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8136738A (ja) 2006-12-04 2008-06-19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2050497A (ja) 2010-08-31 2012-03-1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5007156B2 (ja) 2007-05-29 2012-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77396B2 (ja) 2008-03-27 2013-04-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085829A (ja) 2011-10-20 2013-05-13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0U (ja) 1991-07-10 1993-02-02 株式会社資生堂 使捨ておむつ
JP2587787Y2 (ja) 1991-09-11 1998-12-24 河野 太恵美 生理用品
JP4901037B2 (ja) 2001-09-17 2012-03-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554274B2 (ja) * 2004-05-27 2010-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401309B2 (ja) 2005-03-03 2010-01-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599235B2 (ja) * 2005-06-10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954502B2 (ja) * 2005-06-14 2012-06-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69062B2 (ja) * 2005-06-14 2012-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装置
JP4619253B2 (ja) * 2005-09-29 2011-01-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94266B2 (ja) 2005-10-06 2011-10-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56588B2 (ja) * 2005-11-25 2011-08-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57039B2 (ja) * 2006-01-25 2011-08-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76066B2 (ja) * 2006-06-30 2012-07-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30510B2 (ja) * 2006-09-04 2012-09-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包装構造
JP5099770B2 (ja) * 2008-03-03 2012-12-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52910B2 (ja) 2008-12-08 2014-03-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0227543A (ja) 2009-03-02 2010-10-14 Uni Charm Corp 吸収体成型転写機構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877850B2 (ja) 2009-03-03 2012-0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27036B2 (ja) 2010-08-31 2015-12-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27246B2 (ja) 2011-01-31 2015-06-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255552A (ja) * 2012-06-11 2013-12-26 Kao Corp 吸収性物品
JP6120324B2 (ja) * 2013-07-26 2017-04-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0102B2 (ja) 1997-05-28 2006-11-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7143697A (ja) 2005-11-25 2007-06-14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8136738A (ja) 2006-12-04 2008-06-19 Kao Corp 吸収性物品
JP5007156B2 (ja) 2007-05-29 2012-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77396B2 (ja) 2008-03-27 2013-04-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2050497A (ja) 2010-08-31 2012-03-1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13085829A (ja) 2011-10-20 2013-05-13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1001B2 (en) 2019-08-27
EP3272320A4 (en) 2018-02-21
CN107205860B (zh) 2020-05-15
JP5927314B1 (ja) 2016-06-01
JP2016168302A (ja) 2016-09-23
US20180028368A1 (en) 2018-02-01
TR201907752T4 (tr) 2019-06-21
EP3272320B1 (en) 2019-04-24
CN107205860A (zh) 2017-09-26
EP3272320A1 (en) 2018-01-24
WO2016148191A1 (ja) 2016-09-22
KR20170109067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627B1 (ko) 흡수성물품
JP5727246B2 (ja) 吸収性物品
CN105455962B (zh) 吸收性物品
AU2011277778B2 (en) Disposable diaper
CN108430412B (zh) 吸收性物品
JP6884541B2 (ja) 吸収性物品
CN110461292B (zh) 吸收性物品
CN110730647B (zh) 吸收性物品
KR101829183B1 (ko) 흡수성 물품
CN110730652B (zh) 吸收性物品
JP6371802B2 (ja) 吸収性物品
WO2021090556A1 (ja) 吸収性物品
KR102593672B1 (ko) 흡수성 물품
CN109152683B (zh) 吸收性物品
JP2018000283A5 (ko)
CN109310553B (zh) 吸收性物品
JP2020137731A (ja) 吸収性物品
JP7227109B2 (ja) 吸収性物品
WO2023233780A1 (ja) 吸収性物品
JP7263189B2 (ja) 吸収性物品
WO2023233773A1 (ja) 吸収性物品
JP2023123972A (ja) 吸収性物品
TW202400100A (zh) 吸收性物品
JP2022099534A (ja) 吸収性物品
TW202237049A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