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954B1 -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954B1
KR101828954B1 KR1020170107327A KR20170107327A KR101828954B1 KR 101828954 B1 KR101828954 B1 KR 101828954B1 KR 1020170107327 A KR1020170107327 A KR 1020170107327A KR 20170107327 A KR20170107327 A KR 20170107327A KR 101828954 B1 KR101828954 B1 KR 101828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erage value
user
time
acceleration sensor
bina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동석
Original Assignee
(주)다보산업
나동석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보산업, 나동석, 박강훈 filed Critical (주)다보산업
Priority to KR102017010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954B1/ko
Priority to PCT/KR2018/009761 priority patent/WO20190398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된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제1시간 단위로 반복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바디의 전원스위치와;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 이전 제2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1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 이후 추가적인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시간까지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2평균값을 연산하며, 상기 추가적인 스위치 조작 이후 제3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3평균값을 연산하는 자세변동연산부와; 상기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평균값에 비하여 상기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이 크거나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로 비슷하면,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소정의 제4시간 동안 우선적으로 발생시키고, 이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는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도록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음원으로 상기 바이노럴비트를 생성하는 음원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Brain Stimulate Apparatus for Treating Dementia}
본 발명은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간의 청각을 자극하여 두뇌의 기능 활성화를 통한 치매 증상 등의 개선을 도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신체는 오감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오감의 감각기관으로부터 갖가지 정보와 자극을 수용하는 두뇌는 이러한 자극과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뇌는 시각, 청각, 촉각 등 외부의 자극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의 주파수와 일치되려는 뇌의 현상을 주파수 추종 반응(FFR: FREQUENCY FOLLOWING RESPONSE)이라 한다.
뇌파는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가 어떤 입력에 반응하여 발생하는 하나의 전기현상으로서, 근본적으로 소듐 포타슘 펌프의 발생 기전에 의해 나타난다.
뇌파를 측정하면, 인간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서, 즉 극도의 불안이나 흥분 상태에서는 30Hz 이상의 감마파가 관측되고, 일상생활에서는 15~30Hz 사이의 베타파가 관측되고, 명상이나 휴식 및 고도의 집중 상태에서는 8~14Hz의 알파파가 관측되고, 초학습 상태, 약간 졸린 상태, 고도의 창의력 발휘 상태에서는 4~7Hz의 세타파가 관측되고, 깊은 수면 상태에서는 0.5~3Hz의 델타파가 주로 관측된다고 알려져 있다.
뇌파유도기술은 상기와 같은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추종 반응 현상을 이용하여 인간의 뇌파를 인위적으로 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동조시킴으로써 흥분 상태의 사용자를 진정시키거나 너무 가라앉아 있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각성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뇌파를 유도시키는 신호를 뇌파유도신호라고 한다.
뇌파의 주파수의 분류에 따른 특징 중 알파파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알파파(8-14Hz)는 명상 같은 편안한 상태에서 나타나며,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눈을 감고 몸을 이완시키면, 뇌파의 활동은 속도를 완화시키게 된다. 이때 뇌는 14Hz 에서 8Hz 사이의 알파파를 폭발적으로 생산하게 되고, 뇌는 알파상태가 된다.
즉, 의식이 높은 상태에서 몸과 마음이 조화를 이루고 있을 때 발생되는 뇌파가 알파파인 것이다.
상기 알파파를 명상파라고도 하는데 근육이 이완되고 마음이 편안하면서도 의식이 집중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알파파가 나오면 몸과 마음이 매우 안정된 상태를 뜻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뇌파의 적절한 통제로서 집중력 강화를 통한 학습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불면증 같은 질병이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뇌파유도장치는 앞서 설명한 뇌파의 적절한 조절을 목적으로 개발된 장치로서, 알파파 또는 세타파 또는 델타파와 같은 뇌파의 주파수와 동일 유사한 신호를 전자적으로 생성시켜 뇌의 상태를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 상태로 유도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뇌파유도에 유용한 신호주파신호는 주로 20Hz 미만이다. 그러나 인간의 가청음은 대개 20Hz~20000Hz 범위이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뇌파유도 주파수를 들을 수 없다. 그래서 뇌파유도를 위한 들을 수 있는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두 신호음의 차를 이용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 방식을 이용한다.
바이노럴 비트 기술은 인간의 양쪽 귀에 주파수가 약간 차이가 나는 신호를 동시에 들려주면 그 차이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뇌파가 유도된다는 원리이다. 예를 들면, 왼쪽 귀에 400Hz의 신호를, 오른쪽 귀에 410Hz의 신호를 동시에 들려주면 그 차이에 해당하는 10Hz의 알파파가 사용자의 뇌에 유도된다.
두뇌 자극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바이노럴비트의 음향으로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여, 약화되거나 퇴화되어 가는 뇌 기능을 개선 내지는 재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두뇌 자극 장치는 간단한 청각적 자극만으로 인간의 삶에 수반되는 많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바,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기억력향상, 집중력 향상, 불면증치료, 우울증치료는 물론, 치매치료나 ADHD치료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 시 사용자의 상태는 다양하다. 즉 운동 직후에는 사용자의 맥박이나 뇌파가 흥분상태로 전반적으로 그 주파수가 높을 수 있으며, 하루 종일 비가 내리는 날 혼자 집안에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맥박도 낮고 뇌파의 주파수도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상황에서도 종래에는 사용자가 두뇌 자극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스트레스해소모드, 기억력향상모드, 집중력향상모드, 불면증치료모드, 우울증치료모드, 치매치료모드, ADHD치료모드 등과 같은 여러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곧 바로 해당모드의 바이노럴비트를 사용자의 청각에 제공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선택한 모드의 바이노럴비트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안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적절한 본래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441820 B
본 발명은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 개시 시,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이를 조절하여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에 의한 효과가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의 두뇌 자극이 본격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두뇌 자극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두뇌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된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제1시간 단위로 반복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바디의 전원스위치와;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 이전 제2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1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 이후 추가적인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시간까지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2평균값을 연산하며, 상기 추가적인 스위치 조작 이후 제3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3평균값을 연산하는 자세변동연산부와;
상기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평균값에 비하여 상기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이 크거나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로 비슷하고 상기 제3평균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이면,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소정의 제4시간 동안 우선적으로 발생시키고, 이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는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도록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음원으로 상기 바이노럴비트를 생성하는 음원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평균값과 제2평균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4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제3평균값에서 제2평균값을 뺀 값이 클수록 상기 제4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는 4Hz 내지 8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시간의 시작 시점에는 상기 제3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신호의 변동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바이노럴비트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제4시간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는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환하는 기능의 사용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선택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선택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이전에 상기 제4시간 동안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생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 개시 시,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이를 조절하여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에 의한 효과가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의 두뇌 자극이 본격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뇌 자극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두뇌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바디(1)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상기 바디(1) 내에 설치된 가속도센서(3) 및 자이로센서(5)와;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제1시간 단위로 반복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7)와; 상기 바디(1)의 전원스위치(9)와; 상기 바디(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스위치(9)가 온되면, 상기 메모리(7)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원스위치(9)의 온 이전 제2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1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전원스위치(9)의 온 이후 추가적인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시간까지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2평균값을 연산하며, 상기 추가적인 스위치 조작 이후 제3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3평균값을 연산하는 자세변동연산부(11)와; 상기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평균값에 비하여 상기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이 크거나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로 비슷하고 상기 제3평균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이면,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소정의 제4시간 동안 우선적으로 발생시키고, 이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는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도록 조절하는 제어부(13)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음원으로 상기 바이노럴비트를 생성하는 음원발생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원발생부(15)는 사용자의 이어폰(19)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바이노럴비트 음향을 제공한다.
상기 가속도센서(3) 및 자이로센서(5)는 두뇌 자극 장치의 바디(1)에 내장되어, 결국 사용자가 바디(1)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 및 팔의 움직임과 자세의 변화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격한 운동을 한 직후의 사용자가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을 위해 상기 바디(1)를 잡은 경우에는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에 의해 측정되는 신호의 변동량이 클 것이고, 우울하거나 기분이 다운된 사용자가 상기 바디(1)를 잡은 경우에는 측정되는 신호의 변동량은 매우 작을 것이다.
상기 제1시간은 예컨대 5초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시간은 상기 제1시간 이내의 시간으로 예컨대 3초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평균값은 상기 메모리(7)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전원스위치(9)를 온하기 직전 5초 동안의 센서 신호들 중, 전원스위치(9)를 온하는 시점으로부터 역으로 3초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3) 및 자이로센서(5) 신호 각각의 변동량 평균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제2평균값은 사용자가 전원스위치(9)를 온한 이후 추가적인 스위치(예컨대, 모드 선택스위치 등) 조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의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량 평균값이다.
따라서, 상기 제1평균값은 사용자가 바디(1)를 잡고 전원스위치(9)를 온하기 직전의 사용자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2평균값은 전원스위치(9)를 온한 이후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은 예컨대 2초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구해지는 제3평균값은 사용자가 본격적으로 두뇌 자극 장치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평균값에 비하여 상기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이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로 비슷하고 상기 제3평균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적어도 차분한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소정의 기준 범위는 예컨대 상기 제1평균값의 ±10% 범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제3평균값을 비교하는 기준값은 사용자의 흥분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수준으로 다수의 실험에 의해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평균값 내지 제3평균값은 각각 가속도센서(3) 신호의 변동량 평균과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량 평균을 적절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하나의 값으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가속도센서(3)나 자이로센서(5) 중 하나만 설치된 바디(1)에서는 상기 제1평균값 내지 제3평균값은 이들 중 설치된 센서의 신호 변동량으로 결정될 것이다.
상기 제4시간은 30초 내지 수분 이내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사용자가 두뇌 자극 장치의 효과를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가 상기 제1평균값에 비하여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이 상기 기준 범위 이내로 비슷하거나 더 큰 상황으로 판단하면, 사용자가 비록 어떤 작동모드를 선택하였다고 하더라도, 선택된 모드에 맞는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켜서 제공하기 이전에 상기 제4시간 동안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먼저 발생시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바이노럴비트가 잘 사용자에게 작용할 수 있는 상태로 사용자를 먼저 진정시킨 후 해당 선택 모드의 바이노럴비트를 제공하여 그 작용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3평균값과 제2평균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4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제3평균값에서 제2평균값을 뺀 값이 클수록 상기 제4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3평균값이 제2평균값에 비해 크다는 것은 사용자가 본격적인 두뇌 자극 장치의 사용 시점이 되었는데도 진정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제3평균값이 제2평균값보다 작아서 상기 뺀 값이 작다는 것은 사용자가 급격히 차분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상기 제4시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보다 적절한 시간 동안 사용자를 진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는 4Hz 내지 8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위 주파수범위는 ADHD치료모드의 주파수 범위와 거의 일치하는데, 정상인의 경우 이를 차분하게 유도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4시간의 시작 시점에는 상기 제3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바이노럴비트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바이노럴비트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와 거의 일치하는 주파수로서 사용자는 거부감이 거의 없이 바이노럴비트의 음향을 받아들이고 적응하게 되어 신속한 사용자의 적응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부터 서서히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주파수의 바이노럴비트로 전환해 감으로써, 사용자가 처음에 쉽게 바이노럴비트의 음향에 동조됨에 따라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전체 시간의 측면에서 오히려 좀 더 단축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이질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디(1)에는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제4시간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는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환하는 기능의 사용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선택스위치(1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기능선택스위치(17)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이전에 상기 제4시간 동안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생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참고로, 본 장치는 치매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스트레스해소모드, 기억력향상모드, 집중력향상모드, 불면증치료모드, 우울증치료모드, ADHD치료모드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바디
3; 가속도센서
5; 자이로센서
7; 메모리
9; 전원스위치
11; 자세변동연산부
13; 제어부
15; 음원발생부
17; 기능선택스위치

Claims (5)

  1.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바디(1)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상기 바디(1) 내에 설치된 가속도센서(3) 및 자이로센서(5)와;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제1시간 단위로 반복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7)와;
    상기 바디(1)의 전원스위치(9)와;
    상기 바디(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스위치(9)가 온되면, 상기 메모리(7)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원스위치(9)의 온 이전 제2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1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전원스위치(9)의 온 이후 추가적인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시간까지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2평균값을 연산하며, 상기 추가적인 스위치 조작 이후 제3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량 평균인 제3평균값을 연산하는 자세변동연산부(11)와;
    상기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평균값에 비하여 상기 제2평균값 및 제3평균값이 크거나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로 비슷하고 상기 제3평균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이면,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소정의 제4시간 동안 우선적으로 발생시키고, 이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는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도록 조절하는 제어부(13)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음원으로 상기 바이노럴비트를 생성하는 음원발생부(15);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3평균값과 제2평균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4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제3평균값에서 제2평균값을 뺀 값이 클수록 상기 제4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는 4Hz 내지 8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4시간의 시작 시점에는 상기 제3시간 동안의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신호의 변동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바이노럴비트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1)에는 상기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제4시간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는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환하는 기능의 사용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선택스위치(1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기능선택스위치(17)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이전에 상기 제4시간 동안 사용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바이노럴비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생략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KR1020170107327A 2017-08-24 2017-08-24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KR101828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27A KR101828954B1 (ko) 2017-08-24 2017-08-24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PCT/KR2018/009761 WO2019039896A1 (ko) 2017-08-24 2018-08-24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27A KR101828954B1 (ko) 2017-08-24 2017-08-24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954B1 true KR101828954B1 (ko) 2018-02-13

Family

ID=6123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327A KR101828954B1 (ko) 2017-08-24 2017-08-24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954B1 (ko)
WO (1) WO2019039896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559A (ko) * 2018-05-11 2019-11-20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도 진단 기구
KR20210137731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딥러닝 기반의 바이노럴 비트를 이용한 음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0514B1 (ko) * 2021-10-06 2022-03-04 (주)디라직 바이노럴 음향 재생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33676A (ko) 2020-09-10 2022-03-1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경두개 자극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두개 자극 치료방법
KR20220046123A (ko) 2020-10-07 2022-04-1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시변자기장을 이용한 경두개 자극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두개 자극 치료방법
KR20220057155A (ko) 2020-10-29 2022-05-0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경두개 펄스 자극장치
KR102400319B1 (ko) 2021-12-31 2022-05-24 (주)리솔 객체의 복수의 뇌 영역에서 동기화된 진동을 동조시킴으로써, 뇌를 자극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25066B1 (ko) 2022-03-25 2022-07-28 (주)리솔 실시간 eeg 신호 모니터링을 기초로, 뇌에서 동기화된 뇌파진동을 동조시키는 맞춤형 경두개교류전기자극 장치 및 방법
KR20220140153A (ko) 2021-04-09 2022-10-18 (주)뉴로니어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KR20230116289A (ko) 2022-01-28 2023-08-04 (주)뉴로니어 눈과 뇌의 교차신경을 이용한 치매 개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20B1 (ko)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101507446B1 (ko) 2013-10-17 2015-03-31 천민규 뇌파 조절 장치
KR101540561B1 (ko) 2013-11-07 2015-07-31 (주)넥스젠 능동형 뉴로 피드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471A (ja) * 2002-06-06 2004-01-15 Seiko Instruments Inc 行動状況モニター装置、行動状況解析装置および行動状況解析システム
JP2008011865A (ja) * 2004-10-27 2008-01-24 Sharp Corp 健康管理装置及びこれ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01664360B (zh) * 2008-09-03 2011-08-31 陈冠卿 头颈保健康复器
KR101667102B1 (ko) * 2013-06-28 2016-10-1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20B1 (ko)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101507446B1 (ko) 2013-10-17 2015-03-31 천민규 뇌파 조절 장치
KR101540561B1 (ko) 2013-11-07 2015-07-31 (주)넥스젠 능동형 뉴로 피드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29B1 (ko) 2018-05-11 2020-11-19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도인지장애 진단 기구
KR20190129559A (ko) * 2018-05-11 2019-11-20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도 진단 기구
KR20210137731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딥러닝 기반의 바이노럴 비트를 이용한 음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33676A (ko) 2020-09-10 2022-03-1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경두개 자극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두개 자극 치료방법
KR20220046123A (ko) 2020-10-07 2022-04-1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시변자기장을 이용한 경두개 자극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두개 자극 치료방법
KR20220057155A (ko) 2020-10-29 2022-05-0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경두개 펄스 자극장치
KR20220140153A (ko) 2021-04-09 2022-10-18 (주)뉴로니어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KR102370514B1 (ko) * 2021-10-06 2022-03-04 (주)디라직 바이노럴 음향 재생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5067B1 (ko) 2021-12-31 2022-07-28 (주)리솔 객체의 복수의 뇌 영역에서 동기화된 감마 진동을 동조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장치
KR102428580B1 (ko) 2021-12-31 2022-08-05 (주)리솔 객체의 복수의 뇌 영역에서 동기화된 진동을 동조시키고, 동조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피드백하는 방법
KR102400319B1 (ko) 2021-12-31 2022-05-24 (주)리솔 객체의 복수의 뇌 영역에서 동기화된 진동을 동조시킴으로써, 뇌를 자극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116289A (ko) 2022-01-28 2023-08-04 (주)뉴로니어 눈과 뇌의 교차신경을 이용한 치매 개선 장치
KR102425066B1 (ko) 2022-03-25 2022-07-28 (주)리솔 실시간 eeg 신호 모니터링을 기초로, 뇌에서 동기화된 뇌파진동을 동조시키는 맞춤형 경두개교류전기자극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896A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954B1 (ko)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CN113631212B (zh) 用于经皮振动的造波的系统和方法
AU2018226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JP6374483B2 (ja) 睡眠徐波活性を増強するための感覚刺激強さの調整
CN109152917B (zh) 监管装置和相关联方法
CN110520184B (zh) 睡眠诱导装置及诱导睡眠状态变化的方法
EP2936255B1 (en) Wake-up device
EP3474936B1 (en) System for adjusting the volume of auditory stimulation during sleep based on sleep depth latencies
CN107466241B (zh) 基于慢波周期提供感觉刺激
JP2017536219A (ja) 徐波活動を向上させるために睡眠中の感覚刺激の持続時間を調節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89402B1 (ko)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CN110381912A (zh) 减少前庭系统的疾病的症状的设备和方法
KR20170130998A (ko) 주파수 치료장치
KR101441820B1 (ko)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JP2021536280A (ja) 患者のニューロンを刺激してニューロンの病的同期活動を抑制するための治療装置及び方法
KR2020009126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수면 유도 방법
KR101667102B1 (ko) 동작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CA311283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ucing or modifying sleep
KR101044096B1 (ko) 꿈 기록 장치 및 그 기록 방법
KR20060007335A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인체 적응적 뇌파유도 장치 및 그 방법
EP3897800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uditory sleep stimulation
KR102410399B1 (ko) 광 자극을 이용하여 뇌파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22008004A (ja)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Tománková et al. Postural stability and postural control in visually a nd hearing impaired persons
US11707596B2 (en) Method and system to deliver timed and grouped sensory st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