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153A -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153A
KR20220140153A KR1020210046298A KR20210046298A KR20220140153A KR 20220140153 A KR20220140153 A KR 20220140153A KR 1020210046298 A KR1020210046298 A KR 1020210046298A KR 20210046298 A KR20210046298 A KR 20210046298A KR 20220140153 A KR20220140153 A KR 2022014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speaker
dementia
signal
hea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범
박용철
손영범
윤요환
Original Assignee
(주)뉴로니어
손영범
윤요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로니어, 손영범, 윤요환 filed Critical (주)뉴로니어
Priority to KR102021004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0153A/ko
Publication of KR2022014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voice-operated comm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생리학 기반으로 뇌를 자극하고 인지 기능을 촉진시켜 치매를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리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기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전두엽을 자극하는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청각중추를 자극하는 제2 스피커와,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미추신경을 자극하는 제3 스피커 및 머리의 미리 정해진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및 제3 스피커의 장착부(mounting place)가 형성된 착용부재(wearable means)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head mounting device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dementia symptom}
본 발명은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이 예상되거나 퇴행성 뇌 질환의 치료를 요하는 사용자에게 청각 생리학 기반으로 뇌를 자극하고 인지 기능을 촉진시켜 치매를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매란 그 자체가 하나의 질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뇌 손상에 의해 기억력을 위시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을 보인다.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는 80-90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임상적 증상에 따라서 알츠하이머, 파킨슨 치매,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치매 및 루이소체 치매로 분류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28954호는 치매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해 인간의 청각을 자극하여 두뇌의 기능 활성화를 통한 치매 증상 등의 개선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청각을 통해 뇌를 자극하는 것은 가능하였지만 인지 기능과 연관되지 않아 증상에 대한 개선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28954호(공개일 2018.02.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이 예상되거나 퇴행성 뇌 질환의 치료를 요하는 사용자에게 청각 생리학 기반으로 뇌를 자극하고 인지 기능을 촉진시켜 치매를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는 소리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기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전두엽을 자극하는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청각중추를 자극하는 제2 스피커와,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미추신경을 자극하는 제3 스피커 및 머리의 미리 정해진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및 제3 스피커의 장착부(mounting place)가 형성된 착용부재(wearable mean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는 이마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는 귀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스피커는 귀 밑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는 입 근처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생성기에 송신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머리에 착용되고, 눈 앞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회로를 통해 영상을 재생하며, 상기 영상의 소리 신호를 무선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신호 생성기로 송신하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head mount displa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기는, 상기 소리 신호를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초저주파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인간의 가청 주파수 대역이며,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초고음파 대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는 사용자의 목 부위에 배치되며, 부착 부위에 저주파를 인가하여 혈류량을 변화시키는 전기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패드는, 상기 소리 신호가 변화함에 따라 부착 부위에 인가되는 저주파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이 예상되거나 퇴행성 뇌 질환의 치료를 요하는 사용자에게 청각 생리학 기반으로 뇌를 자극하고 인지 기능을 촉진시켜 치매를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청각 및 시각을 인지시킴으로써 뇌의 복합 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치매의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팅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헤드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팅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에 예시된 헤드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팅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5에 예시된 헤드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팅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헤드 마운팅 장치는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이 예상되거나 퇴행성 뇌 질환의 치료를 요하는 사용자에게 청각 생리학 기반으로 뇌를 자극하고 인지 기능을 촉진시켜 치매를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치매는 임상적 증상에 따라서 알츠하이머, 파킨슨 치매,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치매 및 루이소체 치매로 분류된다.
알츠하이머는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서서히 발병하여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악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는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는 정상적인 체중과 혈압, 금연, 건강한 식단 등을 유지하고 약물 치료를 통한 치료만 가능하다.
파킨슨 치매는 뇌에 뇌비수체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도파민은 뇌의 기저핵에 작용해 몸이 원하는 대로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신경전달계 물질인데 파킨슨 치매는 도파민의 부족으로 움직임의 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파킨슨 치매는 현재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많이 연구된 바가 없다.
전두측두엽 치매는 두뇌의 전두엽 및 측두엽의 위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형적인 행동장애이다. 임상적으로 전두측두엽 치매라 하면 유사한 병인, 신경조직학적 소견, 그리고 생화학적 소견을 보이는 일련의 산발적인 또는 가족성의 신경퇴행성 질환을 묶어서 지칭한다. 전두측두엽 치매는 인격의 변화 및 언어 기능의 저하가 있다. 전두엽 치매는 인지 기능을 촉진 시키는 방식으로 증상의 억제, 지연 및 완화가 가능하다.
루이소체 치매는 알츠하이머 치매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치매의 원인 질환이다. 루이소체 치매의 핵심적인 증상은 인지기능 저하, 환시, 렘수면행동장애, 파킨슨증이 있으며, 그 밖에 불안정한 자세, 반복적인 낙상, 실신, 심한 자율신경계 이상(변비, 기립성 저혈압, 요실금, 성기능장애), 과다수면, 후각 감퇴, 환각, 구조화된 망상, 기분 장애(우울증 등) 등이 동반된다. 루이소체 치매는 뇌를 자극하는 취미와 학습을 통해 증상의 억제, 지연 및 완화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헤드 마운팅 장치는 인지 기능의 촉진, 뇌의 자극과 같이 물리적인 치료에 의해 증상의 억제, 지연 및 완화가 가능한 전두측두엽 치매 및 루이소체 치매를 대상으로 예방 및 개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헤드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헤드 마운팅 장치는 착용부재(100), 신호 생성기(110), 제1 스피커(120), 제2 스피커(130) 및 제3 스피커(140)를 포함한다.
착용부재(100)(wearable means)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안면의 일부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머리의 미리 정해진 부위에 대응하여 제1 스피커(120), 제2 스피커(130) 제3 스피커(140)가 연결되기 위한 장착부(mounting place)(미도시)가 형성된다. 착용부재(100)는 헤드셋 또는 헬멧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부재(100)의 형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신호 생성기(110)는 소리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주파수 대역은 초저주파 대역으로 전두엽 및 해마를 자극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인간의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청각중추를 자극하기 위한 것이며, 제3 주파수 대역은 초고음파 대역으로 미추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신호 생성기(110)는 마이크(111)로부터 소리 신호를 입력 받는다. 마이크(111)는 사용자의 입 근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음성을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생성기(110)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생성기(110)는 마이크(111)와 같이 구비될 수 있으며, 마이크(111)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신호 생성기(110)는 전송받은 소리 신호를 필터 회로(미도시)를 통해 초저주파 대역(제1 주파수 대역), 가청 주파수 대역(제2 주파수 대역) 및 초고음파 대역(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신호 생성기(110)는 제1 발신회로(미도시), 제2 발신회로(미도시) 및 필터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기(110)의 필터회로는 마이크(111)로부터 입력받은 소리 신호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한다.
그리고 신호 생성기(110)의 제1 발신회로는 필터링된 가청 주파수 대역(제2 주파수 대역)을 초저주파 대역(제1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고, 제2 발신회로는 필터링된 가청 주파수 대역을 초고음파 대역(제3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신호 생성기(110)는 제1 발신회로, 제2 발신회로 및 필터회로를 통해 소리 신호로부터 초저주파 대역(제1 주파수 대역), 가청 주파수 대역(제2 주파수 대역) 및 초고음파 대역(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스피커(120)는 착용부재(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배치된다. 제1 스피커(120)는 신호 생성기(110)로부터 제공받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전두엽 및 해마를 자극한다.
제2 스피커(130)는 착용부재(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 부위에 배치된다. 제2 스피커(130)는 신호 생성기(110)로부터 제공받은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청각중추를 자극한다.
예컨대, 제2 스피커(130)는 이어폰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골전도 스피커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 외부, 즉, 관자놀이 부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2 스피커(130)의 형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제3 스피커(140)는 착용부재(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 밑 부위에 배치된다. 여기서 귀 밑이라 함은 사용자의 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피커(140)는 신호 생성기(110)로부터 제공받은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미추신경을 자극시키고 교감신경을 안정시킨다. 또한, 제3 스피커(140)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해 뇌질환환의 수면장애, 심리적 안정감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 마운팅 장치는 제1 스피커(120) 내지 제3 스피커(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청각 생리학 기반으로 뇌를 자극하고 인지 기능을 촉진시켜 치매를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헤드 마운팅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을 제1 스피커(120) 내지 제3 스피커(140)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시키면, 사용자는 직접 말한 음성에 대해서 잔청이 발생하고, 이를 기억하면서 뇌 자극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전기 패드(250)를 이용하여 혈류량을 증대시켜 전두측두엽 치매 및 루이소체 치매 뿐만 아니라, 혈류량의 증대를 통한 혈관성 치매도 예방 및 개선을 하기 위한 것이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치매를 총칭한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질환에 의해 뇌조직이 손상을 입어 치매가 발생한다. 혈관성 치매는 갑자기 발생하거나 급격히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흔하며, 중풍을 앓고 난 후 갑자기 인지기능이 떨어진 경우 발병될 가능성이 높다. 혈관성 치매는 혈류순환개선을 통해 증상의 억제, 지연 및 완화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팅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헤드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의 신호 생성기(210), 마이크(211), 제1 스피커(220), 제2 스피커(230) 및 제3 스피커(240)는 제1 실시예의 신호 생성기(110), 마이크(111), 제1 스피커(120), 제2 스피커(130) 및 제3 스피커(14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헤드 마운팅 장치는 전기 패드(250)를 포함한다.
전기 패드(250)는 사용자의 목 부위에 배치되며, 부착 부위에 저주파를 인가한다.
전기 패드(250)는 저주파를 이용하여 근육 및 피부를 물리적으로 자극시켜 혈류량을 변화시킨다.
전기 패드(250)는 제어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마이크(111)로 입력된 소리 신호의 변화 또는 신호 생성기(110)에서 출력된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변화에 따라 부착 부위에 인가되는 저주파의 세기를 변화시킨다.
즉, 전기 패드(25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저주파를 통해 물리적 자극을 제공하여 인지 기능의 촉진 및 혈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혈관성 치매의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고, 영상의 소리 신호를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시키는 기술이다.
제3 실시예의 신호 생성기(310), 마이크(311), 제1 스피커(320), 제2 스피커(330), 제3 스피커(340) 및 전기 패드(350)는 제2 실시예의 신호 생성기(210), 마이크(211), 제1 스피커(220), 제2 스피커(230), 제3 스피커(240) 및 전기 패드(25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서 전기 패드(350)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팅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헤드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헤드 마운팅 장치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head mount display)(360)를 더 포함한다.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360)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머리에 착용된다.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360)는 눈 앞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회로를 통해 영상을 재생한다.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360)는 무선통신회로를 포함한다. 무선통신회로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360)에서 재생된 영상의 소리 신호를 신호 생성기(110)로 송신한다.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360)는 사용자에게 시각을 인지시키고, 제1 스피커(120) 내지 제3 스피커(140)는 사용자에게 청각을 인지시킴으로써 뇌의 복합 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치매의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팅 장치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360)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소리 신호와, 마이크(311)에 입력된 음성에 대한 소리 신호를 동시에 또는 교차하여 제1 주파수 대역 내지 제3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착용부재
110: 신호 생성기
120: 제1 스피커
130: 제2 스피커
140: 제3 스피커

Claims (8)

  1. 소리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전두엽을 자극하는 제1 스피커;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청각중추를 자극하는 제2 스피커;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미추신경을 자극하는 제3 스피커; 및
    머리의 미리 정해진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및 제3 스피커의 장착부(mounting place)가 형성된 착용부재(wearable means)
    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는 이마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는 귀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스피커는 귀 밑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입 근처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생성기에 송신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 또는 머리에 착용되고, 눈 앞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회로를 통해 영상을 재생하며, 상기 영상의 소리 신호를 무선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신호 생성기로 송신하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head mount display)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기는, 상기 소리 신호를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초저주파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인간의 가청 주파수 대역이며,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초고음파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 부위에 배치되며, 부착 부위에 저주파를 인가하여 혈류량을 변화시키는 전기 패드를 더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패드는, 상기 소리 신호가 변화함에 따라 부착 부위에 인가되는 저주파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KR1020210046298A 2021-04-09 2021-04-09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KR20220140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98A KR20220140153A (ko) 2021-04-09 2021-04-09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98A KR20220140153A (ko) 2021-04-09 2021-04-09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53A true KR20220140153A (ko) 2022-10-18

Family

ID=8380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298A KR20220140153A (ko) 2021-04-09 2021-04-09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01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452A1 (ko) * 2022-09-26 2024-04-04 (주)뉴로니어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954B1 (ko) 2017-08-24 2018-02-13 (주)다보산업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954B1 (ko) 2017-08-24 2018-02-13 (주)다보산업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452A1 (ko) * 2022-09-26 2024-04-04 (주)뉴로니어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fari et al. Age-related hearing loss and tinnitus, dementia risk, and auditory amplification outcomes
EP355114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US20060177799A9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non-stuttering speech-language disorders using delayed auditory feedback
SE527006C2 (sv) Anordning för att bota eller minska stamning
US107014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innitus and enhancing hearing
KR20220140153A (ko)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Eshraghi et al. Biomedical engineering principles of modern cochlear implants and recent surgical innovations
JP7387614B2 (ja) Tens治療機能を有する骨伝導装置
KR101745027B1 (ko) 맞춤형 이명치료장치 및 이명환자 청각세포 자극 방법
AU2017200809A1 (en) Apparatus to assist speech training and/or hearing training after a cochlear implantation
Fioretti et al. Severe hyperacusis, photophobia, and skin hypersensitivity
WO2019158674A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tinnitus-leidens
WO2021250104A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tinnitus-leidens
KR20180116653A (ko)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24071452A1 (ko) 치매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헤드 마운팅 장치
JP2021525039A (ja) 骨伝導用ヘッドセット
Vernon Masking of tinnitus through a cochlear implant
Houde et al. Neural evidence for state feedback control of speaking
Lockwood et al. Tinnitus and the performer
CN114464293A (zh) 一种感官刺激认知障碍康复训练系统
Xiu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subjective cognitive demand in cochlear implant users during listening in noise
Brajot The perception of speech intensity in Parkinson's disease
Gupta et al. A Scoping New Revolution for Tinnitus Management: A Neuromonics Narrative Review
Miwa et al. Effect of occlusion effects by bone-conduction sound on speech perception assessed by monosyllable articulation test and confusion in phoneme perception
Diego et al. Current Outcomes and Future Perspectives of Cochlear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