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653A -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653A
KR20180116653A KR1020170049240A KR20170049240A KR20180116653A KR 20180116653 A KR20180116653 A KR 20180116653A KR 1020170049240 A KR1020170049240 A KR 1020170049240A KR 20170049240 A KR20170049240 A KR 20170049240A KR 20180116653 A KR20180116653 A KR 2018011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zziness
wearable device
stimulation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춘
이현희
박병림
권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to KR102017004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653A/ko
Publication of KR2018011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29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된 상태로 청각자극을 제공하는 청각자극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진동자극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갈바닉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갈바닉 전기자극부와; 사용자가 어지럼증 진단과 치료를 위한 자극을 제공 받을 시 몰입감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제공되는 증강현실부와; 사용자의 어지럼증 수준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어지럼증 치료 수준을 판단하여 상기 청각자극부, 진동자극부, 갈바닉 전기자극부 및 증강현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어지럼증을 갖는 환자의 머리와 접촉되어 웨어러블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지럼증 수준을 판단한 후 증강현실 기반 복합감각자극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많이 구성될 필요없이 머리에 착용하는 간단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Combined sensation wearable device treating and rehabilitating dizziness}
본 발명은 어지럼증 환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어지럼증 수준을 판단 후 설정된 값에 따라 증강현실 기반 복합자극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지럼증 해소를 위해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들을 많이 구비할 필요 없고 몰입감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증강현실 기술을 접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 하나로 효과적인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픈 증상을 표현하는 말 중에 가장 흔한 하나가 '어지럽다'는 것으로 보편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증상이지만 어지럽다는 하나만으로 뚜렷하게 원인을 찾기 어렵다. 어지럼증은 크게 귀의 내이와 전정신경 이상에 의한 말초성 어지럼증과 중추신경 이상에 의한 중추성 어지럼증 두 가지로 구분되며 전체 어지럼증의 약 80%정도가 말초성이며 20%는 중추성 또는 그 외 원인이 작용된다. 말초성 질환은 양성 돌발성 체위성 어지럼증(이석증), 전정신경염, 메르에니 증후군, 만성 중이염 합병증이 대부분으로 어지럼증의 80%는 귀에 원인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어지럼증 환자의 어지럼증을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자극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또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를 회전하는 테이블 위에서 환자의 자세를 통해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자세를 검출해내는 '특허등록 제 10-1335862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 10-1335862호'에는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강제적인 움직임을 통해 유발하고 또한 어지럼증 자세에 의한 검출방법으로 진단 시 비효율적이고 환자에게 고통을 제공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어지럼증 환자의 몸을 3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어지럼증 진단,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특허등록 10-1592726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10-1592726호'에는 어지럼증 측정 및 치료를 위해 환자의 신체를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어지럼증을 유발하여 사용자에게 고통을 유발할 수 있고 또한 머리만 독립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키면 경추 손상에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또한, 어지럼증 질환 중 하나인 메니에르병 치료를 위해 귀 안으로 공기압을 제공하여 치료가 가능한 '특허출원 10-2016-4314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 10-2016-4314호'에는 공기압을 귀에 직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귀 안 압력을 높여 신체기관에 상해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공기압을 만들기 위해 콤프레서가 별도로 있어야 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써는 접근성이 매우 제한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어지럼증 환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어지럼증 수준을 판단 후 설정된 값에 따라 증강현실 기반 복합자극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지럼증 해소를 위해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들을 많이 구비할 필요 없고 몰입감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증강현실 기술을 접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 하나로 효과적인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된 상태로 청각자극을 제공하는 청각자극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진동자극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갈바닉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갈바닉 전기자극부와; 사용자가 어지럼증 진단과 치료를 위한 자극을 제공 받을 시 몰입감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제공되는 증강현실부와; 사용자의 어지럼증 수준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어지럼증 치료 수준을 판단하여 상기 청각자극부, 진동자극부, 갈바닉 전기자극부 및 증강현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하면, 어지럼증을 갖는 환자의 머리와 접촉되어 웨어러블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지럼증 수준을 판단한 후 증강현실 기반 복합감각자극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많이 구성될 필요없이 머리에 착용하는 간단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감각 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감각 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된 상태로 청각자극을 제공하는 청각자극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진동자극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갈바닉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갈바닉 전기자극부와; 사용자가 어지럼증 진단과 치료를 위한 자극을 제공 받을 시 몰입감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제공되는 증강현실부와; 사용자의 어지럼증 수준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어지럼증 치료 수준을 판단하여 상기 청각자극부, 진동자극부, 갈바닉 전기자극부와 증강현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청각자극부는 사용자 모니터링 상황 소리 제공되고 증강현실 환경 사운드 결합하여 이어폰을 이용한 좌, 우측 사운드자극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자극부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어지럼증 실시간 모니터링 후 어지럼증 수준에 따라 진동자극이 8가지 방향별 제공되는 헤드 진동자극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지럼증 치료를 통해 자세 균형을 검출하기 위해 머리뿐만 아니라 좌, 우측 복사뼈에도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갈바닉 전기자극부는 전정척수반사 측정하고 어지럼증 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어지럼증 수준에 따라 유돌기 자극을 위한 DC, AC 갈바닉 자극모듈이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강현실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자극강도가 최대 DC 2㎃ 정전류 자극기 모듈형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증강현실 콘텐츠를 통해 어지러움을 진단하고 미리 설정해둔 평가 기준에 따라 어지럼증 수준을 판단 후 상기 복합자극 모듈부에서 자극종류, 자극세기, 자극시간 등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지럼증을 갖는 환자의 머리와 접촉되어 웨어러블 상태에서 증강현실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진단하고 그 수준을 판단하여 복합감각자극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많이 구성될 필요없이 머리에 착용하는 간단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증강현실부가 어지럼증 환자의 신체를 강제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키지 않고 어지럼증을 판단할 수 있어 진단 시 사용자의 고통이나 상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청각자극부의 청각자극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모니터링 상황을 소리로 제공하고 증강현실 콘텐츠 환경 사운드를 결합하여 보다 몰입감을 제공하여 더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청각자극부가 이어폰을 이용하여 좌측과 우측에 사운드 자극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치료사에게 활용 면에서 용이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자극부는 진동자극에 따른 어지럼증을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머리에 착용 후 8 방향에 대한 자극이 가능해 사용자 마다 신체적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부위에 진동자극을 제공해 치료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진동자극부는 머리뿐만 아니라 좌측과 우측 복사뼈에 진동을 제공하여 사용자를 강제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키지 않고도 어지럼증에 따른 자세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갈바닉 전기자극부는 전정척수반사 측정이 가능하고 유돌기 자극을 위한 DC, AC 2mA 정전류 자극이 가능하여 어지럼증 평가 및 치료에 높은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진동자극부는 증강현실 콘텐츠와 함께 활용되어 자극을 하는 동안 별도의 움직임 없이도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여 사용자와 치료사 모두 상해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상기 헤드마운트 형태에 부착된 형태로 활용도가 높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Claims (3)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된 상태로 청각자극을 제공하는 청각자극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진동자극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갈바닉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갈바닉 전기자극부와;
    사용자가 어지럼증 진단과 치료를 위한 자극을 제공 받을 시 몰입감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제공되는 증강현실부와;
    사용자의 어지럼증 수준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어지럼증 치료 수준을 판단하여 상기 청각자극부, 진동자극부, 갈바닉 전기자극부 및 증강현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환자의 현 상태 모니터링 상황 소리와 증강현실 콘텐츠 환경 사운드를 동시 제공하고 어지럼증 치료를 위한 이어폰을 이용한 좌, 우측 청각자극을 제공하는 청각자극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부의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어지럼증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어지럼증 수준을 평가하고, 미리 설정해둔 평가 알고리즘에 따라 머리의 8 방향에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진동자극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70049240A 2017-04-17 2017-04-17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80116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40A KR20180116653A (ko) 2017-04-17 2017-04-17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40A KR20180116653A (ko) 2017-04-17 2017-04-17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53A true KR20180116653A (ko) 2018-10-25

Family

ID=6413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240A KR20180116653A (ko) 2017-04-17 2017-04-17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6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5994B2 (en) 2014-05-16 2023-04-11 Not Impossible, Llc Vibrotactil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2536119B1 (ko) * 2022-08-04 2023-05-26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KR102591369B1 (ko) 2023-07-25 2023-10-19 김상식 어지럼증 진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5994B2 (en) 2014-05-16 2023-04-11 Not Impossible, Llc Vibrotactil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2536119B1 (ko) * 2022-08-04 2023-05-26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WO2024029860A1 (ko) * 2022-08-04 2024-02-08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KR102591369B1 (ko) 2023-07-25 2023-10-19 김상식 어지럼증 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576B2 (ja) ガルバニック前庭刺激(gvs)装置
Jastreboff et al. Neurophysiological approach to tinnitus patients
AU2018226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JP7269010B2 (ja) 脳に刺激を与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28532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ing peripheral nerve function
US115542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al and non-invasive stimulation of the nervous system
Naranjo et al. Vestibulo-spinal and vestibulo-ocular reflexes are modulated when standing with increased postural threat
CN108697890B (zh) 一种通过同步激活神经治疗各种神经疾病的系统和方法
CN108882875B (zh) 用于神经血管刺激的设备
US9415220B1 (en) Auricular stimulation for inflammatory parasympathetic diseases
JP4961016B2 (ja) 経皮的に刺激を印加するかまたは経皮的にパラメータを検出する装置
US201903880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ognitive Disorders
EP266130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various neurological conditions
KR101754840B1 (ko) 실시간 생체신호 모니터링 및 광 치료 기능을 포함한 이명치료기 장치
KR20090097150A (ko) 청각, 촉각, 또는 시각적 자극을 통해 대상체의 감각, 반사, 및/또는 운동 기전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85269B1 (ko)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30237746A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US20180001088A1 (en) Device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by means of multichannel bursts
Maslin et al. Source analysis reveals plasticity in the auditory cortex: evidence for reduced hemispheric asymmetries following unilateral deafness
KR20180116653A (ko)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19226656A1 (en) A non-pharmaceutical method of managing pain
Hwang et al. Electrical, vibrational, and cooling stimuli-based redirected walking: Comparison of various vestibular stimulation-based redirected walking systems
KR102591072B1 (ko)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자극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Hwang et al. Enhancing Seamless Walking in Virtual Reality: Application of Bone-Conduction Vibration in Redirected Walking
EP3996805B1 (en) Systems for treating equilibrium disorders and improving gait and bal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